[글쓴이:] dev@agentsoft.co.kr

  •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스터디 뇌졸중, 모야모야병

    목차

    Ⅰ. 서론 3
    Ⅱ. 문헌고찰 3
    Ⅲ. 간호사정 6
    Ⅳ. 간호과정 적용 27
    Ⅴ. 결론 21
    Ⅵ. 참고문헌 21

    본문내용

    Ⅰ.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뇌졸중, 모야모야병, 당뇨, 고혈압과 같은 질환들은 초기에 적절히 치료받지 못할 경우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과 일상생활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질환이다. 뇌졸중이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짐(뇌출혈)으로써 그 부분의 뇌가 손상되어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을 말하며 모야모야병은 특별한 이유 없이 두개 내 내경동맥의 끝부분, 즉, 전대뇌동맥과 중대뇌동맥 시작 부분에 협착이나 폐색이 보이고, 그 부근에 모야모야 혈관이라는 이상 혈관이 관찰 되는 것을 말한다. 고혈압은 “본태성고혈압”이라고도 하며,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고혈압증을 의미한다. 1차성 고혈압은 전체 고혈압 환자의 90~95% 이상을 차지하는데, 대개 나이가 들면서 점차 증가한다. 유전 경향이 강하며, 소금 섭취량이 많은 지역에서 발생률이 증가한다.
    신경외과 병동에서 실습하면서 봤던 환자들의 대부분이 뇌졸중과 고혈압을 앓고 있었으며 선장한 대상자는 당뇨병과 생소한 모야모야병을 진단받으신 분이셨다. 이 네 가지 질환에 대해 깊이 학습하는 시간을 가지고 싶어 대상자를 선정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배워왔던 이론과 실제를 비교해 보며 학습하고, 임상에서는 어떤 치료와 간호가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연구하게 되었다.

    Ⅱ. 문헌고찰
    1) 뇌졸중
    1.원인/ 병태생리
    뇌졸중이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짐(뇌출혈)으로써 그 부분의 뇌가 손상되어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을 말한다. 뇌졸중은 뇌혈관 질환과 같은 말이며 뇌졸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혈관이 막힘으로써 혈관에 의해 혈액을 공급받던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것인데, 이를 뇌경색(Infarction)이라고 하며 허혈성 뇌졸중(Iscemic stroke), 경색성 뇌졸중이라고도 불린다.
    둘째는 뇌혈관이 터짐으로써 뇌 안에 피가 고여 그 부분의 뇌가 손상당한 것으로, 뇌출혈(Hemorrhage) 또는 출혈성 뇌졸중(Hemorrhagic stroke)이라고 한다. 서양에서는 전자가 후자보다 3배 이상 많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허혈성 뇌졸중이 약 85% 정도로 출혈성 뇌졸중보다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실습 사례보고서 모야모야병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목적

    2.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위험인자 예방
    4) 병태생리
    5) 증상과 징후
    6) 검사
    7) 치료와 간호중재
    8) 예후 및 합병증
    9) 생활가이드

    3. 연구기간 및 방법

    4.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적용

    5. 결론

    본문내용

    1.서론
    1)연구의 필요성
    :일본의 경우 1990년까지 집계된 환자 수는 약 3,300명이며 매년 새로 발견되는 환자 수는 약 200명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에서 일본 다음으로는 한국과 중국에 이 질환이 많이 발생된다. 최근에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발견되고 있으나 구미, 동남아시아, 유럽과 미대륙 사람들에게는 드물다. 여자에게 좀 더 많이 발병하고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약 10%이다. 우리나라에서의 정식 통계는 아직 없다. 대략 1995년까지 문헌상에 발표된 증례만을 고려할 때 6백례 정도이지만 실제로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며, 최근 연간 약 100례로 추정되고 있다. 진단 방법이 발달되면서 이 질환의 발견율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발병 연령에는 10세 이하와 30∼40세 사이의 두 연령층이 있는데 특히 4세 중심의 소아에서 발병되는 경우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34세 중심의 성인에게 많이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조기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2)목적
    현재 원인이 없이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지만 치료법 또한 정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는 모야모야병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알아본 뒤 간호과정의 절차를 직접 수행함으로써 정확한 절차를 익히기 위해 연구를 하고자 한다.

    2.문헌고찰
    1)정의
    :모야모야병은 특별한 이유 없이 두개 내 내경동맥의 끝부분, 즉, 전대뇌동맥과 중대뇌동맥 시작 부분에 협착이나 폐색이 보이고, 그 부근에 모야모야 혈관이라는 이상 혈관이 관찰 되는 것을 말한다. 1957년 다케우치와 시미즈가 양쪽 내경동맥의 형성부전으로 처음 기술하였고, 1969년 스즈끼에 의해 뇌혈관 동맥 조영상에 따라 일본말로 “담배 연기가 모락모락 올라가는 모양”의 뜻을 지닌 모야모야병으로 명명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로마서 5장-11절 주해

    목차

    1. 서론

    2. 본론
    1) 본문
    2) 구조
    3) 어휘 및 문법적 분석
    4) 신학적 이슈
    5) 메시지와 적용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517년 루터의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는 바울의 ‘이신칭의’ 신학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 로마서의 말씀을 묵상하면서 ‘오직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다’는 말씀이 주요 신학으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로마서 1장 17절이 그 대표적인 말씀이며 로마서 전체의 주제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구절을 보다 분명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로마서의 전체 문맥을 살펴보아야 한다. 로마서는 구원이라는 주제를 갖고 조직적으로 논증의 형식을 따라 전개되기 때문이다.

    이신칭의에 대한 내용은 로마서 5장 1-11절을 통하여 보다 풍성하고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전체 문맥 속에서 5장 1-11절이 어떠한 의미를 갖고 있는지 살펴보자. 로마서 1장 17절은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는 내용이다. 로마서 1장 18절부터 3장 20절까지는 이신칭의의 필요성을 논증하였다. 아담의 범죄로 인해 타락한 인간이 하나님의 심판 아래에 놓여져 있다는 사실과 스스로의 힘으로는 구원을 얻을 수 없는 인간의 전적 무능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그리고 3장 21절에서 4장 25절은 이신칭의가 행위나 할례가 아니라 오직 믿음으로 가능하다는 은혜의 개념을 아브라함의 예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이렇게 1장부터 4장에서는 ‘믿음으로 의롭게 된 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어서 나오는 5장부터 8장은 ‘살리라’에 해당한다. 특별히 로마서 5장 1-11절에서는 칭의의 결과로 성도들이 누리는 하나님과의 화평과 소망과 기쁨에 대하여 진술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모세 이전의 윤리(율법)

    목차

    1. 서론

    2. 본론
    1) 아벨을 통하여 알 수 있는 윤리의 내용과 그 조건(4절)
    2) 에녹을 통하여 알 수 있는 윤리의 내용과 그 조건(5,6절)
    3) 하나님의 윤리에 순종한 결과

    3. 결론

    본문내용

    기독교 윤리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어떤 행위가 바르고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를 판단할 수 있는 규범에 관한 것’이다. 규범은 성문화(成文化)된 것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구약의 율법은 십계명을 대표로 하는 모세의 율법으로 인식하고, 신약에서는 구약의 율법을 오해하고 있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재해석한 예수의 가르침이 있다. 하지만 율법은 모세 이전에도 존재하고 있었다. 만약에 하나님의 기준이 없었다면 하나님은 세상을 심판할 수 없었다. 하지만 창세기에 하나님의 심판이 있었다는 것은 하나님의 윤리 기준이 있었고, 사람들은 그것을 알고 있었다는 것을 증명한다. 그렇다면 모세 이전의 사람들이 알고 있었던 윤리(하나님의 뜻)란 무엇일까?
    이 글에서는 두 인물을 통하여 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벨과 에녹에 관한 것이다. 히브리서 11장은 믿음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1-3절에서는 믿음의 본질에 대하여 설명한다. 4절 이하에서는 믿음의 선진들을 언급하면서 믿음으로 사는 삶에 대하여 예증한다. 믿음과 관련하여 가장 처음으로 등장하는 두 인물이 바로 아벨과 에녹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선지서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목차

    1. 서론

    2. 본론
    1) 성경 해석학이란?
    2) 성경 해석의 삼각기둥
    3) 선지서 해석의 요소들
    4) 정경으로서의 기능
    5) 구속사적 시각

    3. 결론

    본문내용

    사람은 누구나 해석을 한다. 자신의 삶에 대하여 해석하고 주변에 일어나는 사건에 대하여 해석한다. 특별히 그리스도인의 경우 자신과 주변의 상황을 하나님과 연결시켜 해석하거나 성경 자체의 내용을 나름대로 해석하기도 한다. 사람들이 해석을 하려고 하는 이유가 있다. 해석은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간단하고 쉽게 정리해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해석의 전제와 방법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그것에 따라 같은 사건과 말씀을 놓고 전혀 다른 결론이 나타나게 되기 때문이다. 해석의 중요성이 여기에 있다. 건강한 해석은 건강한 신학을 만들고, 건강한 신학은 건강한 신앙을 만든다. 그리고 건강한 신앙은 건강한 공동체(교회)를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건전한 해석의 전제와 방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 다음은 해석의 중요성을 경험한 두 가지 예이다.
    1996년 고등학교 2학년 때의 일이었다. 서울의 Y교회에 십 수년 동안 다니고 있었던 나는 C목사에 대하여 절대적으로 신뢰하는 분위기 속에 신앙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설교 테잎을 듣게 되었다. 종말에 관한 내용이었다. 마태복음과 다니엘, 요한계시록을 가지고 종말의 시기를 알려주었다. 이스라엘(=무화과)의 독립(1948년) 이후 한 세대를 50년으로 해석하여서 1998년 전에 종말이 올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당시 2년 밖에 남지 않은 상황 속에서 충격과 혼동과 두려움 가운데 고등학교 시기를 지내게 되었다. 그런데, 1998년이 지나도 종말은 오지 않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독후감_소설)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목차

    1. 저자
    2. 책 소개
    3. 책 속에서 인상 깊었던 문장
    4. 책을 읽고 나서

    본문내용

    책 속에서 인상 깊었던 문장
    여자의 음성은 자음과 모음을 겨우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퉁퉁 부어있다. 얼굴이 붓고 몸이 붓듯이 목소리도 상처를 입으면 부을 수 있다는 것을 나는 이곳에서 알았다.  ―P. 18 

    나는 배고픔이나 추위, 짜증을 참는 일에는 의외로 약하다. 어머니는 나에게 그런 것은 참을 필요가 없다고 가르쳤다. 자식의 몫까지 당신이 충분히 참았다는 논리로. ―P. 27

    평생 자신의 외모를 가꾸며 살아가도록 태어나지 않고 평생 자신의 두뇌를 의지하며 살도록 태어난 것을 나는 하늘에 감사한다. ―P. 36

    하지만 그것들을 누릴 자격이나 안목이 있다면 삶을 보다 편안하게 사는 것도 좋을 것이다. 적당한 돈을 지급하고 대신 안락함을 얻는 일에 너무 인색하지 말 것. 그렇게 얻어지는 평화가 창조에 기여할 수 있다면 물질을 아끼지 말 것.―P. 49

    <중 략>

    책을 읽고 나서
    책의 메인 사건이 벌어지기 전부터 이 책은 나를 사로잡았다. 어떤 내용인지 장르인지 주제인지도 모르고 친구의 추천으로 읽기 시작했는데, 삽시간에 저자의 문체에 단어선택에 빠져들어 시간가는 줄 모르고 책을 읽어댔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신도의공동생활 독후감

    목차

    1. 공동 생활
    2. 남과 함께 사는 하루
    3. 홀로 있는 날
    4. 섬김
    5. 죄의 고백과 성만찬

    본문내용

    1. 공동 생활
    * 요약
    시편 133:1의 “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이 어찌 그리 선하고 아름다운고”라는 말씀과 스가랴 10:9에서 땅위에 흩어진다는 의미의 “열방에 뿌린다”는 말씀은 서로 상반되는 것처럼 보인다. 위의 말씀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 예수 그리스도의 주변에는 항상 원수들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지금의 그리스도인들도 흩어진 가운데 홀로 생활하고 있다. 그러나 그리스도께서 제자들과 함께 지낸 것과 같이 그리스도인들이 함께 만나거나 생활한다면 그것은 은혜이자 축복이다.
    이 사귐은 본질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와 관계되어 있다. 그 안에서 그 분을 통한 사귐이 되어야 한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의미가 담겨있다. 먼저 예수 그리스도 때문에 사귐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리스도인은 외부로부터 오는 하나님의 권리와 칭의를 받아 살게 된다. 따라서 우리의 내부가 아닌 그리스도의 진리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데, 불확실하고 연약한 내부의 약함은 형제들을 통하여 들리는 외부의 진리로 인해 강화된다. 형제와의 사귐의 필요가 있는 이유가 이것이다. 다음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사귐이 가능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가족의문제분석 가족유형 장애인가족 영화나의특별한형제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본론에 앞서 저는 이번 과제에서 다룰 ‘가족의 문제분석’에서 가족 유형을 장애인 가족으로 선정하였습니다. 평소에 장애인복지에 관심이 많았고 얼마 전 영화‘나의 특별한 형제’를 보면서 여운이 많이 남아있던 찰나에 이번 과제를 접하게 되었으며 이 영화 속에 그들의 가족 사정, 사회복지 개입과정, 문제점, 해결방안 등이 고스란히 담겨있었기 때문에 주제에 적절하다 생각하여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이 영화의 줄거리를 살펴본 후 가족의 문제를 분석해 보고 결론에서 해결방법을 모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Ⅱ 본론

    영화 ‘나의 특별한 형제’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장애인 형제의 이야기로 책임의 집에서 어릴 때부터 함께 살게 된 명석한 두뇌를 갖고 있지만 움직일 수 없는 몸으로 휠체어를 탄 형과 뛰어난 수영 실력을 갖췄지만 혼자서는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지적 장애가 있는 동생이 서로에게 도움을 주면서 의지하고 살아가는 모습을 담은 영화입니다. 조금씩 부족한 서로가 서로에게 버팀목이 되어주며 살아가다가 갑자기 닥친 현실에서

    출처 : 해피캠퍼스

  • 조직구조론 발표 PPT 맥도날드 (영문) A+

    목차

    1. Historical Background
    2. Key product, Services
    3. Size of Company
    4. Company’s Sales and revenue
    5. Other Background

    본문내용

    The Beginning of Mcdonald’s is, Crock, who visited the McDonald’s brothers’ hamburger restaurant, proposed a franchise business In 1955, the first official franchise store opened in Des Plains, Illinois

    Mcdonald’s entry into Korea is, First opened in Apgujeong-dong, which was emerging as the most trendy place for the 1988 Seoul Olympics

    Mcdonald’s management philosophy is, His goal is to provide good food and perfect service anytime, anywhere

    출처 : 해피캠퍼스

  • 공학윤리 레포트 과제 A+ (AI 딥보이스 피싱 원인 분석 및 해결책 제시)

    목차

    Ⅰ. 사건 개요 및 쟁점
    1. 사건 개요
    2. 쟁점 분석
    가. 사실적 쟁점
    나. 개념적 쟁점
    다. 도덕적 쟁점

    Ⅱ. 원인 분석
    1. 공학 기술적 측면
    2. 경영적 측면
    3. 윤리적 측면

    Ⅲ. 해결책
    1. 공학 기술적 측면
    2. 경영적 측면
    3. 윤리적 측면

    본문내용

    2. 쟁점 분석
    공학 윤리적 차원의 원인 분석을 위해, AI 음성 딥보이스 피싱 사건을 사실적 쟁점, 개념 적 쟁점, 도덕적 쟁점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해 보았다.

    1) 사실적 쟁점
    딥보이스의 기본적인 원리는 문자 음성 자동 변환 기술 (Text To Speech, 이하 TTS)이다. 특정 인물의 목소리를 딥 러닝 기술로 학습시키고 TTS로 해당 특정 인물이 하지 않은 말을 마치 한 것처럼 만들어 내는 기술이다. 이러한 딥보이스는 교육, 기업 홍보,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인터넷 사전에서 제공하는 단어의 발음이라든지, 좋아하는 배우의 음성을 이용해 알람을 생성하거나 오디오북을 듣는 등 일상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네이버의‘클로바’, 삼성전자의 ‘빅스비’, 애플의 ‘Siri’등 여러 기업들은 딥보이스를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딥보이스는 인스타, 틱톡 등 SNS에서 끊임없이 쏟아지는 개인정보들을 이용하여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AI 음성 합성 및 변조 기술이 경력 20년의 내로라하는 전문가들도 맨 귀로는 진위를 파악하기 힘들 정도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현재 딥보이스 기술은 일반인들은 물론 전문가들도 맨 귀로 진위를 판별하기 어렵다는 점이고 피싱 문제에 악용된다는 점이다. 개인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보안하는 기술이 어느정도 발전되었을 때 전문가들 먼저 서서히 상용화시켜야 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