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Acute kidney injury 급성신부전

    목차

    1. INTRODUCTION
    2. PATHOPHYSIOLOGY
    3. CLINICAL FEATURES
    4. DIAGNOSIS
    5. TREATMENT
    6. SPECIAL

    본문내용

    INTRODUCTION
    Community-acquired AKI

    Reversible mechanisms, such as volume depletion, medications, infection, or urinary obstruction
    Mortality : from 7.3% to 19.6%

    Hospital-acquired AKI
    Occurs or worsens in the hospital
    Mortality : from 27% to 62%

    PATHOPHYSIOLOGY
    Once the cause of injury is resolved, the remaining functional nephrons increase filtration and eventually hypertrophy

    Vicious cycle

    Remaining nephrons is below some critical number
    Continued hyperfiltration results in progressive glomerular sclerosis
    Leading to nephron loss

    This sequence explains the commonly observed scenario in which progressive AKI occurs after
    initial recovery from AKI, contributing to delayed mortality

    출처 : 해피캠퍼스

  • 고급영양학 요점정리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에너지와 운동영양>

    1. 에너지의 근원과 전환
    1. 식품에너지와 대사에너지
    1) 식품에너지: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알코올에 저장된 에너지
    2) 소화에너지: 식품에너지가 소화과정에서 손실되어 대변으로 배설하고 남은 에너지
    3) 대사에너지: 소화에너지에서 소변과 땀으로 배설된 것을 제외하고 남은 에너지
    50% 열로 발산되어 체온유지, 10% 영양소의 소화, 흡수, 분해, 저장 등
    4) 이용 및 저장 에너지: 식품 내에 저장되는 에너지의 양 – 식품에너지의 약 20~45%

    2. 인체 에너지의 이용과 저장
    1) 에너지 과량 섭취 시 여분의 에너지가 체내 저장
    (1) 먼저 포도당 –> 글리코겐
    (2) 여분의 아미노산, 지방산, 포도당 –> 지방
    (3) 알코올(7kcal)-> 에너지원, 과량 시 지방

    2. 인체 에너지 대사량
    – 인체 에너지 대사량: 인체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1. 기초대사량과 휴식대사량
    1) 기초대사량(BEE)
    (1) 생명유지와 인체의 기본적인 생체기능 수행을 위해 소비하는 최소한의 에너지
    (2) 휴식상태에서 체내 항상성 유지, 신경 전달, 혈액순환, 호흡운동 등에 필요한 에너지
    (3) 잠이 깬 직후 누운 안정 상태에서 측정
    (4) 1일 소모량의 60~70%: 간 30%, 뇌 20%, 근육 20%, 심장 10%
    (5) 남자 체중 1kg당 시간당 1kcal, 여자 0.9kcal (기초대사량: 근육>지방, 남>여, 청년>노인)
    (6) 성별, 나이, 체표면적, 호르몬 상태, 영양상태 등 요인에 의해 영향
    (7) 체온 1도 상승 시 기초대사량 13% 증가
    (8) 성인 남= 1kcal/시간/체중 × 체중 × 24시간
    여= 0.9kcal/시간/체중 × 체중 × 24시간
    2) 휴식대사량(REE)
    (1) 식사 또는 운동 후 4~5시간 지나 편안한 상태에서 정상적 신체기능, 체내 항상성 유지에 소비되는 에너지
    (2) 기초대사량에 비해 약 5% 많음 / 하루 총 소비 에너지량의 65~75%

    2. 신체활동대사량(PAEE)
    1) 인체가 의식적인 근육활동을 할 때 소비하는 에너지
    2) 1일 에너지 소비의 15~30%
    3) 활동 종류, 강도, 시간에 따라 영향, 근육이 많을수록 활동 시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

    출처 : 해피캠퍼스

  • 프로바이오틱스 그람염색 리포트

    목차

    1. 제목 (Title)
    2. 목표 (Purpose)
    3. 서론 (Introduction)
    4. 재료 및 방법 (Material and Methods)
    5. 결과 (Results)
    6. 고찰 (Discussion)

    본문내용

    1. 제목 (Title)
    Probiotics Gram staining

    2. 목표 (Purpose)
    probiotic 제제 그람염색을 통해 gram positive와 gram negative의 모양과 색을 관찰하고, 그람염색 하는 법을 익힌다.

    3. 서론 (Introduction)
    1) Gram stain
    세균의 세포벽의 구조 차이를 이용하여 분류하는 기초적 세균염색법의 일종. C. Gram(1884)이 창안하였는데, 세균을 크게 2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우선 열 고정시킨 세균을 Crystal violet으로 염색한 후, Iodine으로 처리한 다음, Alcohol로 탈색하여 Safranin으로 대조염색한다. 첫 번째 염색색소로 염색되는 것을 그람양성이라고 하고, 두 번째 염색색소로 염색되는 것을 그람음성이라 한다.

    2) Probiotics
    프로바이오틱스란 체내에 들어가서 건강에 좋은 효과를 주는 살아있는 균을 말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산균들이며 일부 Bacillus 등을 포함하고 있다. 유산균을 비롯한 세균들이 프로바이오틱스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위산과 담즙산에서 살아남아 소장까지 도달하여 장에서 증식하고 정착하여야 하며 장관 내에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어야 하고 독성이 없으며 비병원성이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국립축산과학원 견학문

    목차

    1. 견학목적
    2. 견학내용
    3. 견학 후 느낀 점

    본문내용

    1. 견학목적
    국립축산과학원 유가공실, 축가공실 견학을 통해 축산물가공의 이해를 돕는다.

    2. 견학내용
    1) 국립축산과학원
    가축·가금의 품종개량, 영양생리·번식생리 및 사양기술, 축산물이용, 초지의 조성관리 사료작물의 육종재배 및 축산환경에 관한 시험·연구사무를 관장하는 국가 연구기관으로, 동물생명공학 기술을 활용해 부가가치가 높은 신소재를 개발하고 국가 차원의 가축 개량을 통하여 축종별 생산성을 높이며 풀사료 품종 육성과 사료 이용 기술뿐만 아니라, 안전한 축산물 생산 기수르 깨끗한 축산환경 조성, 동물복지 연구 등 축산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는 농촌진흥청 소속 기관이다.
    기능은 가축의 유전자원 보존 및 개량연구, 가축개량추진 및 결과평가, 가축의 사료이용효율 증진연구, 가축분뇨자원화 및 축산환경개선연구, 축산물의 품질향상 및 유통개선 연구, 조사료의 생산 및 이용효율 증진을 위한 연구이며,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한우·젖소·돼지·닭·염소 등 13종의 가축 2만 3500여 두와 초지, 사료포 등 토지 1,400여㏊, 축사·시험연구동 등 건물 2만 9400여 평, 전자현미경 등 주요 연구장비 230여 종을 보유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신장질환 환자 식사요법 리포트

    목차

    1. 1일 영양소량 결정
    2. 식품군 교환단위 수 결정
    3. 끼니별 교환단위 수 배분
    4. 식단작성
    5. 캔프로 결과 / 총평

    본문내용

    1일 영양소량 결정
    신장 164cm, 체중 78kg (평소체중 75kg)인 63세 여성 김씨는 15년 전에 고혈압 진단(165/103)을 받았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였으며, 2년 전에 만성신부전 진단 받았다. 현재 부종이 심하여 입원하였고 핍뇨증세 (소변 100 mL/일)가 있어 GFR 측정이 불가능하다.

    ▪에너지 필요량 계산하기
    ▹표준체중
    1) 브로카 = (164-100) × 0.9 = 57.6kg
    2) 대한당뇨협회 = 1.64 × 1.64 × 21 = 56.5kg
    ▹상대체중 = = 130.21 (비만)
    ▹비만도 = (75–57.6)/57.6×100 = 30.21
    ▹체질량지수 = 75/(1.64)2= 27.9 (중등도비만)
    ▹열량 : 57.6kg × 30~40kcal/kg(이상체중) = 1728~2304kcal
    2304 – 500 = 1804kcal
    → 비만, 고혈압 2단계, 만성신부전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에너지 필요량 계산시 비만인임을 고려하여 하루 500kcal씩 적게 먹도록 하였다.

    <중 략>

    4. 식단작성
    만성신부전을 진단받은 대상자는 칼륨과 인의 섭취를 조절해야하기 때문에 잡곡밥 대신 흰 쌀밥을 제공하였다.

    대상자는 고혈압이 있으며 부종이 심한 상태이므로, 염분과 수분을 제한해야한다. 따라서 모든 식사에 국을 제공하지 않았다.

    고혈압을 진단받은 대상자의 상태를 고려해 생선에 소금 간을 하지 않는 대신 새콤한 레몬즙을 뿌리면 소금 없이도 맛있게 먹을 수 있다. 또한 대상자가 비만이며 고혈압임을 고려하여 저지방 어육류군에 해당하는 연어를 선택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이지사이언스 미생물 이야기 감상문

    목차

    1. 발효, 미생물의 힘
    2. 자연의 마법사, 곰팡이
    3. 느낀점

    본문내용

    1. 발효, 미생물의 힘
    발효과정을 통해 완성되는 음식으로는 김치, 청국장, 요거트, 청어 통조림, 막걸리, 맥주, 와인에 이르기까지 아주 다양하다. 발효란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말하며, 이 과정이 유용하게 사용되는 물질이 되면 발효, 유해한 물질(악취, 질병 등)이 되면 부패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대표 발효식품으로는 각종 채소와 소금, 향신료, 젓갈을 이용한 김치가 있다. 김치를 익히거나 상큼한맛, 감칠맛 등의 맛을 결정짓는 것은 다름 아닌 젖산균(유산균)이다. 배추나 무에 포함된 당분이나 양념 속 설탕은 여러 미생물의 먹이가 되어 미생물이 생장하게 되며, 발효가 시작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미생물은 절임과정에서 사멸되어 염분에 강한 내염성 세균인 젖산균만 남아 김치를 익히게 된다.
    20여 종의 김치 젖산균은 숙성 온도에 따라 김치맛을 떨어뜨리는 종류와 감칠맛을 높여주는 종류로 나뉜다. 7°c 이하의 저온에서 숙성하면 탄산가스를 생산해 보편적으로 선호하는 시원하고 톡 쏘는 맛이 강한 류코노스톡균이, 7°c 이상이면 비타민, 효모, 단백질 등이 풍부해 신맛이 강한 락토바실러스균이 잘 자라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세계음식의 현지화(국내 중국과 일본 음식에 대한 견해)

    목차

    없음

    본문내용

    현재 우리는 다양한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와 더불어 식생활까지도 우리 생활 속에 녹아있다. 나는 중국과 일본을 비롯한 많은 나라들의 식생활 및 음식이 우리나라에 유입됨에 따라 음식 선택의 다양성은 물론이고, 현지화가 이루어지며 새로운 음식이 개발되기도 하므로 이는 매우 긍정적인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현지화’란 일을 실제 진행하는 곳의 특성에 맞추는 것을 말한다. 글로벌화(Globalization)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글로벌화가 세계 공통의 표준화를 노리는 전략이라면 현지화는 현지의 문화적, 정치적, 사회적 특성에 맞춘 특화에 초점을 맞춘다고 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비만환자 식사요법 리포트

    목차

    1. 1일 영양소량 결정
    2. 식품군 교환단위 수 결정
    3. 끼니별 교환단위 수 배분
    4. 식단작성
    5. 참고문헌

    본문내용

    23세 남성 김OO (키 173cm ​체중 135kg 대학생)
    운동: 통학, 수업 간 이동 포함 하루 1시간 걸음 ​
    채소를 좋아하지 않음, 육류 선호함, 피자, 치킨, 야식 좋아함, 복숭아 알레르기 있음, 친목을 위해 주 2-3회 소주 1병 마심 ​

    필요 에너지양 계산 → 비만 식사요법의 영양 관리 지침 이용

    해리스-베네딕트 공식사용
    남자 : BEE=66.4+(13.7135)+(5173)-(6.823)
    =2624.5kcal/일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
    남자 : 662-(9.5323)+1.11(5.91135+539.61.73)
    =2365kcal/일

    활동에 따른 에너지 산출
    Broca공식 : (173-100)0.9= 65.7
    65.7301=1971kcal/일

    현재 체중과 활동 정도를 고려한 에너지 필요량 산출
    표준 체중/현재 체중×100
    =135kcal/65.7100=205.48→ 비만
    Broca 공식 173-1000.9=65.7
    135kg25kcal(과체중 가벼운 활동 정도)=3375kcal

    비만 식사요법의 영양 관리 지침

    135kg25~30kcal/kg=3375~4050
    -0.5kg/주 감량을 위해 1일 500kcal 열량 감소 시
    3375~4050-500=2875~3350kcal/일

    비만 식사요법의 영양 관리 지침 이용
    =2875~3350kcal/일
    이 값의 평균값 이용
    3112.5kcal/일

    단백질 필요량 산정 : 계수를 이용한 방법
    환자의 단백질 필요량은 표준 체중 kg당 1g
    Broca 공식 이용 시 65.7kg
    단백질 필요량 = 65.7g

    비만인의 열량을 결정하는 방법에는 아래의 총 4가지가 있으나 ③번의 비만인과 상의하여 목표 감량분을 결정하는 방법의 경우 불가능하기에 이를 제외하고 고려하였다.

    ① 현재 체중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열량에서 목표 감량분 만큼 빼서 결정
    ② 목표 체중을 기준으로 필요한 열량 결정
    ③ 1일 섭취열량을 기준으로 목표 감량분을 고려하여 비만인과 상의하여 결정

    출처 : 해피캠퍼스

  • 영양소의 기능과 관련된 최신 내용 고찰(영양제 무용론)

    목차

    1.제목
    2.내용
    3.고찰

    본문내용

    제목
    영양제 무용론에 관한 고찰 (578회 SBS 스페셜 끼니外란 2부 – 영양제 진실게임)
    내용
    요약
    1. 영양제 실효에 관한 논문 및 실험 결과
    1) 22편의 비타민 임상실험 논문 종합 결과, 암 예방에 도움이 되지 않았으며 방광염 위험성은 52% 증가했다.
    2) 항산화제, 비타민A, 비타민E, 비타민C, 종합비타민 등의 영양제는 심혈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3) 비타민D와 칼슘을 동시에 섭취하면 오히려 뇌졸중 위험이 증가했다.
    4) 35만 명을 무작위 배정한 19건의 실험에서, 비타민E 복용그룹이 위약 그룹보다 높은 사망률을 나타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사회복지시설 식단 제시

    목차

    1. 사회복지시설급식
    2. 식단 작성 시 고려사항
    3.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4. 1일 영양소량 결정
    5. 식단 작성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사회복지시설급식
    1) 목적
    (1) 대상자의 영양필요량에 적합한 급식을 통해 그들의 신체·정신적 건강상태를 증진시킨다.

    2) 유의점
    (1) 치아부실, 신체기관 기능 감퇴, 소화흡수력 저하 등 노인 신체 특성을 감안한 급식 관리 및 세심한 배려가 필요
    (2) 노인·장애인 등 취약계층은 섭식기능 저하와 만성질환 가능성이 높아 영양 불균형에 유의 해야하며, 특히 나트륨·당류 등 건강위해가능 영양성분 관리가 중요하다.

    2. 식단 작성 시 고려사항
    1) 식품군 별 고려사항
    (1) 곡류: 잡곡류 섭취권장
    (2) 고기·생선·계란·콩류: 살코기 부위 이용
    (3) 채소류: 매끼 2가지 이상 반드시 섭취
    (4) 과일류: 주스보다 생과일 형태 섭취
    (5) 우유·유제품류: 매일 섭취, 칼슘강화 유제품, 단순당 적은 흰 우유 선택
    (6) 유지·당류: 과도한 단순당과 동물성 지방 섭취 피함
    (7) 기타: 부족되기 쉬운 영양소(칼슘, 철, 식이섬유)는 식단계획 시 주의
    국·찌개 경우 건더기 위주 섭취, 소금 5g이하로 가능한 싱겁게 조리
    ① 칼슘: 매일 우유·유제품 섭취, 칼슘강화 유제품 선택
    ② 철: 살코기, 고등어, 달걀노른자, 당근, 시금치, 깻잎 등 최대 활용, 가능한 동물성 식품
    ③ 식이섬유: 쌀밥보다 잡곡밥, 주스보다 생과일, 채소반찬 매끼 2가지 이상 반드시 제공

    2) 연령 특성 고려사항
    (1) 중장년층: 한식, 건강식 메뉴 선호
    (2) 노인: 딱딱한 음식 배제, 수분 충분히 공급
    (3) 어르신을 위한 식생활지침
    ① 각 식품군을 매일 골고루 먹자
    ② 짠 음식을 피하고 싱겁게 먹자
    ③ 식사는 규칙적이고 안전하게 먹자
    ④ 물은 많이 마시고 술은 적게 마시자
    ⑤ 활동량을 늘리고 건강한 체중을 갖자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