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그 청년 바보의사 소감문

    목차

    없음

    본문내용

    故안수현씨는 내과 전문의로, 충실한 기독교인이었다. 환자들을 돌보고 사랑하며 의술을 펼치는 것이 주님께서 내려주신 자신의 ‘소명’이라 여기며 ‘참 의사’로서 성실하게, 또 신실하게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수많은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나누고, 예수를 닮은 흔적을 남기고자 했던 그는 안타깝게도 그는 33세라는 짧은 생을 살다 주님의 부르심을 받았으나 그의 삶 동안 그의 바른 행보와 쌓아온 덕으로 인해 4000명에 이르는 조문객을 맞았고, 또한 지금까지도 사람들 사이에서 추억되고 회자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원래는 1부만 보고 감상문을 제출하는 것이나 1부만으로는 안수현씨의 일생과 생의 마감을 완전히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2부까지 모두 감상한 후 감상문을 작성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고혈압 환자 식사요법 리포트

    목차

    Ⅰ. 1일 영양소량 결정
    Ⅱ. 식품군 교환단위 수 결정
    Ⅲ. 끼니별 교환단위 수 배분
    Ⅳ. 식단작성
    Ⅴ. 캔프로 결과

    본문내용

    • 65세 여성 최OO (155cm, 83kg, 혈압 160/100)
    • 직업: 전업 주부 (자녀 2명 모두 타 지역에서 살고 있음)
    • 1년 전에 2단계 고혈압을 진단 받았다. 현재까지의 치료는 비약물적 방법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관절 통증으로 운동이 어렵다. 고혈압에 대한 증상 (흉통, 숨 가쁨, 실신, 심계항진, 심근경색) 은 없다고 한다. 흡연은 하지 않고 가끔 과실주를 마신다. (1-2잔/월).
    • 평소: 최OO 씨는 밥맛이 없다고 말한다. 대부분의 식료품 쇼핑과 요리를 본인이 한다. 주중 낮에는 혼자 있기 때문에 점심은 주로 밥을 국에 말아 김치와 함께 먹는 것으로 때운다. 오후에는 배가 고파 떡, 빵, 아이스크림 등으로 군것질을 하게 된다고 한다. 주말에는 남편과 점심에 외식을 한다. 주말 저녁은 가볍게 먹는 편이라고 한다.
    • 작년에 고혈압을 진단 받았을 때 병원 간호사가 그에게 저염식을 하기 위해 피해야 할 식품 목록을 받았으나 식욕이 없는 데다 저염식을 하니 싱겁고 아무 맛이 느껴지지 않아 곧 포기하고 말았다.

    필요 에너지양 계산 → 비만 식사요법의 영양 관리 지침 이용

    해리스-베네딕트 공식사용
    BEE=655+(9.683)+(1.8155)-(4.765)1.3
    = 1852.89kcal/일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
    354-(6.9165)+1.12{(9.3683)+(7261.55)}
    = 2035kcal/일

    활동에 따른 에너지 산출
    Broca공식: (155-150)0.5+50 = 52.5kg
    52.530~35= 1575~1837.5kcal/일

    현재 체중과 활동 정도를 고려한 에너지 필요량 산출
    Broca공식: (155-150)0.5+50 = 52.5kg
    상대체중: 83/52.5100 = 158 → 비만
    1일 필요에너지: 8320~25
    = 1660~2075kcal/일

    비만 식사요법의 영양 관리 지침
    83kg20~25kcal/kg= 1660~2075kcal/일

    출처 : 해피캠퍼스

  • 나의 식이섭취조사 및 식사평가

    목차

    Ⅰ. 조사 방법 ———————————– 1 page
    Ⅱ. 식이섭취조사 ——————————- 2 page
    Ⅲ. 분석결과 및 해석 ————————– 4 page
    Ⅳ. 고찰 —————————————- 7 page
    Ⅴ. 참고문헌 ———————————- 10 page

    본문내용

    Ⅰ. 조사 방법

    식이 섭취 조사는 특별한 날을 제외하고 주중 이틀과 주말 하루를 포함한 3일간(20년 9월 27일 일요일, 28일 월요일, 29일 화요일) 섭취한 내용을 양적 조사인 회상법에 따라 기록하였으며, 식품섭취량 조사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은 CAN-pro 5.0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개인별 영양소 섭취량을 계산한 후 2015년 개정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 연령별 권장섭취량이 설정된 영양소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비타민 B6, 엽산, 비타민 C, 칼슘, 인, 철, 아연)에 대하여 권장섭취량에 대한 백분율 (% RI)을 계산하였고, 필요추정량이 설정된 열량에 대해서는 그에 대한 백분율 (% EER)을 계산하였다.

    조사 대상자인 본인은 만 23세로 권장식사패턴 1900B에 해당하며 BMI는 21.07로, 양호한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이상적인 체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현재의 체중을 유지할 수 있는 식단을 섭취해야 한다.

    <중 략>

    3. CAN-pro 5.0 분석 결과 총평
    ● 에너지
    3일간 섭취한 에너지는 1397.34kcal로, 성별에 따른 에너지의 필요 추정량과 비교하여 66.53% 수준이다. 체중과 활동량으로 산출한 에너지 요구량 2107.51kcal와 비교하면 66.3% 수준으로, 신장에 따른 이상체중을 위한 에너지 2105.31kcal에 비해서는 66.37% 수준으로 섭취하였다.

    ● 열량영양소
    열량영양소 섭취 적정비율은 탄수화물 55~65%, 단백질 7~20%, 지질 15~30%이다. 조사 결과 나의 3일간 실제 섭취비율은 탄수화물 57.78%, 단백질 15.13%, 지질 27.08%로 나타났다. 탄수화물과 지방은 적정비율 내에서 섭취하였으나 단백질 섭취 수준은 필요섭취량에 모자라진 않지만 권장섭취량에는 부족하게 섭취하였다. 식이섬유 섭취 수준 또한 충분섭취량보다 부족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초등학교 저학년 영양교육안

    목차

    본문내용

    1. 편식 영양교육의 필요성
    편의주의 식생활로 인한 가공식품의 남용, 외식의 증가, 잘못된 식습관의 형성으로 영양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편식아동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학령기 아동들은 자신의 건강과 영양에 관한 지식이 부족하며, 건강의 중요성도 잘 인식하고 있지 못하므로 식품 선택에 있어 올바른 판단 없이 기호에 치중하게 되어 편식이 심해질 우려가 크다. 식습관은 반복 학습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가치관이 완전히 확립되어 있지 않은 시기에 영양교육을 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일단 형성된 성인의 식습관은 교정하기 힘들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가정과 학교에서 영양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식습관을 가지고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나는 행복한 푸바오 할부지입니다] 에세이 독후감 감상문

    목차

    1. 나는 행복한 푸바오 할부지입니다 책 소개
    2. 나는 행복한 푸바오 할부지입니다 저자 소개
    3. 책을 읽으면서 인상 깊게 읽었던 구절 2개 소개
    4. 책을 읽으면서 얻은 교훈적인 내용
    5. 독후감 및 느낀 점
    6. 참고문헌

    본문내용

    [ 나는 행복한 푸바오 할부지입니다 책 소개 ]
    나는 행복한 푸바오 할부지입니다는 강철원 사육사가 들려주는 바오 가족의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입니다. 국내 최초 판다들인 리리와 밍밍과의 만남, 아이바오와 러바오의 한국 적응기, 푸바오의 성장 이야기, 푸바오의 쌍둥이 동생 루이바오와 후이바오의 성장기와 사육사를 꿈꾸는 사람들을 위한 특별 칼럼까지 함께 수록되어 있습니다.

    [ 나는 행복한 푸바오 할부지입니다 저자 소개 ]
    나는 행복한 푸바오 할부지입니다 저자인 강철원 작가는 고등학교 졸업 후 동물원 사육사로 일하였으며 아이바오와 러바오를 맡게 되면서 판다 아빠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 책을 읽으면서 인상 깊게 읽었던 구절 2개 소개 ]
    첫 번째 인상 깊은 구절은 ‘ 사육사는 동물과 정을 떼는 이별이 아니라 정을 감추는 이별을 한다 ’ 입니다.

    사람들이 푸바오를 중국으로 보낼 수 있겠냐는 물음에 저자가 한 답변 내용이었습니다. 정을 떼는 것이 아니라 정을 감춘다는 말이 더욱 마음을 아프게 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받은 사화복지법제와 실천 과제-사회복지사2급

    목차

    Ⅰ. 서론 :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의 전반적인 발달 사항의 특징과 내용을 제시하시오.
    1) 근대 이전의 사회복지법
    2) 근대 이후의 사회복지법
    3) 정부수립과 1950년대 시대의 사회복지법 역사
    4) 제3,4공화국 시대(1960~1970년대)의 사회복지법 역사
    5) 제5공화국 시대(1980~1988년대)의 사회복지법 역사
    6) 제6공화국 시대(1988~현재)의 사회복지법 역사

    Ⅱ. 본론: 본인이 관심있는 사회복지법률 구체적으로 제시하시오.
    1) 의료급여 1종
    2) 의료급여 2종

    Ⅲ. 결론: 자신이 생각하는 사회복지법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은 산업화와 자본주의적 발달 그리고 정치적 변동에 상응해 나타난 사회복지제도와 함께 형성되고 발전한 법이다. 사회복지제도는 정치적, 시대적 상황에 따라 언제라도 쉽게 폐기될 수 있는 불안한 존재이고 국민은 사회복지법의 주체라기보다 수동적으로 정책 대상이 되는 것이다, 사회복지제도가 진정한 ‘법관계’로서 존재할 때 비로소 국가와 국민 사이에 사회복지에 관한 권리, 의무 관계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법에 기초한 사회복지여야 자선과 음모의 차원을 넘어설 수 있으며, 사회복지법은 사회복지의 제공자와 수급자를 규범적으로 결속시키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내시경(위내시경, 대장내시경, 기관지내시경, 경피 내시경하 위루술) 목적, 방법, 간호중재

    목차

    1. 위내시경(EGD)
    2. 대장내시경(CFS)
    3. 경피 내시경하 위루술(PEG)
    4. 기관지내시경(BFS)

    본문내용

    1. 위내시경 (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

    1. 검사 목적
    ① 입으로 내시경 기구를 삽입하여 상부 위장관(식도, 위, 십이지장)을 관찰하면서 염증이나 종양 등을 진단
    ② 검사의 목적뿐만 아니라 이상이 있는 부위의 조직검사를 시행 할 수 있으며, 병변의 절제도 가능하고 출혈이 있을 시 지혈도 가능하여 치료적 목적으로도 시행

    2. 적응증
    ① 식도 및 위내출혈이 의심되는 질병(ex. 간경화증)
    ② 상부위장관의 궤양과 암의 감별진단
    ③ 식도 내 손상, 급/만성 위염 진단
    ④ 소화기계 증상; 연하곤란(dysphasia), 소화불량(dyspepsia), 상복부 통증 등이 있을 때

    3. 검사 방법 – 소요시간; 약 10~15min
    ① 시야 확보를 위해 위장 내 기포제거제와 위장 운동 억제제를 투약
    – 기포제거제: 위 내의 기포와 위점막에 달라 붙어 있는 점막 제거 위해, 검사 10~20분 전 복용
    – 위장운동억제제(부교감신경차단제): 타액 및 위액 분비와 위장관 연동 운동 억제를 위해, 검사
    10~15분 전 IM or 5~10분 전 IV로 주사
    ② 내시경이 삽입되는 부위의 국소마취를 시행
    – 구역반사(gag reflex)와 연하반사(swallowing reflex)를 억제하고, 인후부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리도카액 등으로 국소마취
    ③ 수면 내시경의 경우 진정제를 투약
    ④ 왼쪽으로 누운 상태(Lt. lateral position)에서 검사를 진행
    ⑤ 구강을 통해 내시경을 삽입하여 공기를 주입하고, 위장관을 확장시킨 후 병변 관찰

    출처 : 해피캠퍼스

  • A+받은 사회복지행정론 과제-사회복지사2급자격

    목차

    Ⅰ. 서론:사회복지 전달체계 상의 대표적인 문제점인 ‘중복’과 ‘누락’의 개념 및 설명하시오.
    Ⅱ. 본론:’중복’과 ‘누락’ 대한 대표적 사례 제시하시오.
    Ⅲ. 결론:이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자신의 생각 기술하시오.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사회복지 전달체계 상의 대표적인 문제점인 ‘중복’과 ‘누락’의 개념 및 설명하시오
    1) 사회복지전달체계
    사회복지 서비스는 물질적 충족만으로 완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시대, 국가, 문화 등의 가변성이 큰 특징이 적절히 생성되어야 하는 사회심리적인 서비스이기 때문에 그 영역을 규제하기는 매우 어렵고 난해하다. 사회복지 전달 체계란 사회복지 정책을 사회복지 서비스를 옮기는 사회복지행정 과정에 사회복지서비스 공급 기관과 공급기관간, 공급 기관과 복지 수혜자 간을 연결시키기 위한 조직직 처계라고 말할 수 있다.
    ① 복지제도가 추구하는 목표를 실현하는 기체이며, 복지 관련 급여 및 서비스의 공급자와 수혜자를 연결하는 조직체 혹은 조직적 결함을 의미
    ② 사회복지전달체계는 사회복지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사회복지행정은 사회복지조직과 프로그램들이 띠고 있는 전달체계적 속성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역할이 요구됨

    출처 : 해피캠퍼스

  • 수술실 실습-케이스 스터디

    목차

    1. Nissen’s fundoplication-laparoscopic
    2. BCS (Breast conserving surgery)

    본문내용

    1. 간호 기록지

    성명:김**
    성별/나이:M/40
    키,몸무게:173cm/71kg
    과명:GS
    수술 일자:2023.8.2
    [수술 전 간호 사정]
    -활력징후: B.T: 36.6℃ B.P:126/84mmhg P.R: 78회/분 R.R: 20회/분
    -금식:MN 금식
    -수술 부위 피부 준비:abdomen op site clear/제모(clipper)
    -수술 부위 표시:예
    -의치,안형,콘택트 렌즈,보청기,의족,의안,장신구 제거:예
    -머리 정리, 속옷 및 화장 제거:예
    -동의서:수술 동의서(O), 마취 동의서(O)

    [수술 중 간호 기록]
    -진단명:식도 열공 탈장(esophageal hital hernia)
    -수술명(수술 전):Nissen’s fundoplication(laparoscopic)
    -수술명(수술 후):Nissen’s fundoplication(laparoscopic)
    -수술 날짜:2023.8.2
    -집도의:윤** assist:강**
    -소독 간호사:하** 순환 간호사:김**
    -마취 종류: 전신 마취
    -수술 부위:abdominal

    <중 략>

    성명:권**
    성별/나이:F/63
    키,몸무게:153cm/57.3KG
    과명:OBGY
    수술 일자:2023.8.1
    [수술 전 간호 사정]
    -활력징후: B.T: ℃ B.P:mmhg P.R: 회/분 R.R: 회/분
    -환자 의식 상태:
    -금식:MN npo
    -수술 부위 피부 준비: 제모(clipper)
    -수술 부위 표시:
    -의치,안형,콘택트 렌즈,보청기,의족,의안,장신구 제거:예
    -머리 정리, 속옷 및 화장 제거:예
    -동의서:수술 동의서(O), 마취 동의서(O)

    [수술 중 간호 기록]
    -진단명:상세불명의 유방의 제자리 암종
    -수술명(수술 전):BCS(bresat conserving surgery)
    -수술명(수술 후):BCS(bresat conserving surgery)
    -수술 날짜:2023.8.1
    -집도의:김** assistant:
    -소독 간호사:장** 순회 간호사:김**
    -마취 종류: 전신 마취(General anesthesia)
    -수술 부위:Lt.breast/Lt.axillary

    출처 : 해피캠퍼스

  • 감염관리실_수술실 감염순회체크리스트 및 항목 선정의 근거자료_병원

    목차

    없음

    본문내용

    항목 20-1>
    손위생은 적절하게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
    ⇒ 의료관련감염_표준예방지침서 65페이지
    3.2.3.3 외과적 손위생(surgical hand preparation) 방법을 준수한다.
    • 손위생 전에 인공손톱, 반지, 시계, 장신구를 제거한다.
    • 솔을 이용한 손위생은 권고되지 않는다.
    • 소독력이 있는 적절한 항균비누나 알코올 함유 손소독제를 이용한다.
    • 아래팔(forearm)과 손을 손소독제를 이용하여 외과적 손씻기(surgical hand antisepsis)를 할 때 손씻기 시간은 소독제 제조회사의 권고사항에 따르며, 일반적으로 2~5분 정도가 추천된다. 장시간(예, 10분)의 손소독은 불필요하다.
    • 알코올이 포함된 외과적 손소독 제품을 이용할 때는 제조사의 소독력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사용하며, 손이 건조한 상태에서 손소독제를 적용한다.
    • 알코올이 포함된 외과적 손소독 제품을 이용할 때는 외과적 손위생 방법에 따라 아래팔과 손이 젖을 정도의 충분한 양의 소독제를 사용한다.
    • 알코올을 함유한 외과적 손소독 제품으로 권고사항에 따라 적용한 후에는 장갑을 착용하기 전에 완전히 손과 아래팔이 마르도록 한다.

    항목 20-2>
    손소독제는 구비상태가 충분한가
    ⇒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 22페이지
    3.1 손위생
    3.2 권고안
    3.2.1 의료기관 내 관리체계
    3.2.1.1 손위생과 관련한 내부 지침을 마련한다[26, 29]. (IB)
    3.2.1.2 의료종사자들은 정기적으로 손위생에 대한 교육을 받는다. (II)
    3.2.1.3 의료종사자들의 손위생이 용이하도록 적절한 시설과 설비를 구비하고, 환자 접점 구역에 손소독제를 비치한다. (IB)
    3.2.1.4 손위생 수행 현황을 주기적으로 모니터하고, 손위생 수행 감시 결과를 활용한다. (IA)

    항목 20-3>
    손소독제 유효기간은 잘 관리되고 있는가
    ⇒ 의료기관의 손위생 지침 9페이지 (제조사의 살균력, 안정성 보장범위 기간에서의 사용 필요)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