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4차산업혁명의이해 과제

    목차

    1. 서론 ·······························································································3p
    1) 머리말 ······························································································3p

    2. 본론 ·······························································································3p
    2-1) 관련 사례(AI) ···············································································3p
    2-1) 관련 사례(ICT) ··············································································5p
    2-1) 관련 사례(IOT 국내) ·····································································6p
    2-1) 관련 사례(IOT 국외) ·····································································8p
    2-2) 4차 산업 혁명 기술의 융합 ·························································9p

    3. 결론 ······························································································10p
    5) 나의 생각과 아이디어·····································································10p

    4. 참고문헌 ·····················································································11p

    본문내용

    1. 서론

    1) 머리말
    최근 국내외 전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환경공학 분야에서도 관련된 연구개발이 폭넓게 진행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초연결, 초지능 및 융복합이라고 한다.
    그중에서도 주요한 기술들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차세대 통신기술, 로봇, 블록체인, 드론, 3D프린터, 빅데이터, 무인 운송수단, 바이오 공학, 신소재, 공유경제, VR/AR 등이 있다.
    인공지능(AI)과 정보 통신기술(ICT)는 전공 교수님들께서도 환경공학과 연계하여 많이 말씀해주신 내용이므로 AI와 ICT/IoT를 중점으로 환경공학과 연관된 기술의 사례를 조사하여 알아보고 아이디어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1. 본론

    2-1) 관련 사례

    AI를 이용한 사례

    1. 삼성SDS
    삼성SDS는 ‘전기먹는 하마’라 불리는 데이터센터에 AI 기술을 적용해 전력 소모를 낮추는 기술을 개발했다. 데이터센터 온도조절에 AI 기술을 적용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로스만의 사례관리 모델 실증적 실천을 향한 연구

    목차

    없음

    본문내용

    ack Rothman
    Case management is highly valued as an interventio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o clients requiring long-term care. However, it lacks definitional consensus and conceptual clarity. An explicit, empirically based model of case management is presented on the basis of 15 functions and their dynamic interrelationship along a sequential dimension. A series of studies is described by means of which the model was devised, tested, and refined.
    사례관리는 장기요양이 필요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입방법으로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의적 합의와 개념적 명확성이 결여되어 있습니다. 사례관리의 명시적이고 경험적인 모델은 15개의 함수와 순차적 차원을 따른 동적 상호관계를 기반으로 제시됩니다. 일련의 연구는 모델이 고안되고 테스트되며 정제된 방법을 통해 설명됩니다.

    THE emergence of case manage ment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developments in the human services. At the same time, nobody quite knows what case management is.

    출처 : 해피캠퍼스

  • [독후감] 추억을 버리지 못하시나요? '작은 수집, 스몰컬렉팅'을 읽고

    목차

    1. 맥시멀리스트였던 과거
    2. 미니멀리스트가 된 계기
    3. 책을 읽고 난 후 스몰컬렉팅의 의미

    본문내용

    버리는 게 참 어려울 때가 있었다. 나의 흔적이 묻어있는 것들을 버리는 게 마치 연인을 떠나보내는 것처럼, 다시 만날 수 없음을 상상하며 선뜻 손을 떼지 못했다. 그렇게 지내오니 방은 나의 흔적들로 가득 차 버렸다. 떠나보내려 할 때는 너무 아쉬웠지만 그렇다고 보관하고 있다고 다시 들춰보는 것은 아니었다. 그저 혹여나 ‘언젠가 보고 싶어지면 어떡하지’하는 나의 미련이 흔적들을 놓지 못하게 만들었다. 그러다가 스무 살이 훌쩍 넘었을 무렵 서점에서 책을 둘러보다 ‘나는 단순하게 살기로 했다’라는 제목의 책을 우연히 발견했다. 나처럼 버리는 것을 잘 못하던 작가가 어떤 계기로 인해 물건들을 비우면서 느꼈던 감정들, 그리고 다 비운 뒤 얻게 된 장점들을 하나씩 소개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임신성 당뇨 PBL case study_진단, 과정3개

    목차

    Ⅰ. 문헌고찰
      1. 임신성 당뇨병란?
      2. 위험인자
      3. 빈도
      4. 임신성 당뇨병의 진단
      5. 임신에 따른 모성의 신체변화
      6. 당뇨병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7. 임신성 당뇨병의 치료 및 관리
     
    Ⅱ. 임심성 당뇨 PBL 사례
     
    Ⅲ. 간호사정
      1. 환자 기본사정
      2. 신체 사정
     
    Ⅳ. 간호과정
      #1 간호진단 :  부적절한 당뇨관리와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수치
      #2 간호진단 :  조기양막파열로 인한 감염위험성
      #3 간호진단 : 질병의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임신성 당뇨병란?
    임신 전에는 당뇨병의 과거력이 없었다가 임신한 후 당뇨병이 발병하는 것으로 모든 임산부의 2~4%에게만 생기며 출산과 함께 사라지는 것으로, 고위험임신에 속한다.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임산부의 몸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작용을 억제하여 혈액 속의 당이 세포 내로 이동되지 못하므로 혈당이 상승한다. 태아로 인해 증가되는 에너지 필요량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모체는 더 많은 양의 인슐린을 만들어내야 하는데,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 인슐린의 생산과 기능을 방해하여 혈당량이 증가하는 것이다. 태반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는 임신 후반기에 시작되며, 출산시 태반이 함께 배출되면서 태반호르몬의 분비가 일어나지 않아 출산 후 임신성 당뇨병이 사라진다. 그러나 임신성 당뇨였던 여성은 나중에 당뇨병이 걸릴 수 있으므로, 출산 이후에도 의사와 상담하여 당뇨병을 예방해야 한다.
    ⦁임신 전 당뇨병(주로 제1형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이 임신 전부터 있었고 분만 후까지도 증상이 지속, 임신 전 기간 동안 임부의 대사이상으로 태아에게 손상이 초래된다.
    ⦁임신성 당뇨병(주로 제2형 비인슐린 의존성): 주로 임신 중반기, 말기에 대사 장애로 인해 태아에게 손상을 준다.

    2. 위험인자
    ⦁30세 이상의 산모 ⦁가까운 가족에 당뇨 환자가 있는 경우
    ⦁비만한 산모 ⦁뚜렷한 원인이 없는 거대아나 기형아를 출산한 경험이 있는 산모
    ⦁고혈압이 있는 산모 ⦁요검사상 당이 검출되는 경우
    ⦁양수과다증이 있는 경우 ⦁원인 불명의 사산, 유산이나 임신중독증의 경험이 있는 산모
    ⦁임신 중 체중이 갑자기 늘거나, 자궁 저가 갑자기 높아진 경우

    3. 빈도
    ⦁우리나라의 경우 발생률은 2~3%이다.
    ⦁임신성 당뇨를 앓은 임산부의 50%는 20년 이내에 제2형 당뇨병 재발확률이 높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싱간호학 논문요약

    목차

    1. 서론
    1) 논문 선정 이유
    2) 연구의 필요성
    3) 연구의 목적

    2. 본론
    1) 연구 방법&연구도구
    2) 연구 분석
    3) 연구 결과

    3. 결론
    1) 논의 및 제언
    2) 논문분석을 하면서 느낀점

    본문내용

    논문 선정 이유

    우리나라 인구 10만명 당 고의적 자해(자살) 사망자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라는 것은 이미 뉴스에서 자주 본적이있기에 인지하고있었다. 논문을 읽다보면 자살생존자에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자살생존자가 무엇인지 이런 사람들이 어떤 상관관계에 따라 자살을 생각하는지 굼금하여 다음과 같은 논문을 선정하게되었다.

    연구의 필요성

    대한민국은 최근 10년이상 OECD 국가중에서 자살률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자살로인한 사망은 우리나라 전체원인 중 상위 다섯 번쨰에해당되며 10대부터 30대 연령층에서 첫 번째 사망원인이되고 있어 심각한 건강문제가되고 있다.

    자살로 가족이나 친구 등 가까운 사람을 일은 자살 생존자는 다른 이유로의 상실자보다 우울과 자살생각에 노출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프로그램을 기획함에 있어 프로그램이 왜 필요한지를 논하고 기획과정에 대해서 논하여보자

    목차

    1. 프로그램의 기획과 필요성

    2. 프로그램 기획 과정
    1) 사회문제분석
    1/ 일반집단
    2/ 위기집단
    3/ 표적집단
    4/ 클라이언트집단
    2)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1) 프로그램의 목적
    (2) 프로그램의 목표
    3) 프로그램의 설계 및 실현
    4) 프로그램의 평가

    *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프로그램의 기획과 필요성

    일반적으로 우리는 무엇인가 행동을 행함에 앞서 어떻게 그 행동을 할 것인지 미리 계획을 판다. 연말이나 연초에 많은 계획을 짜고 그 계획에 맞는 구체적인 행동들을 할 것임을 스스로에게 약속하기도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계획을 수립해 나가는 과정을 기획(planning)이라고 한다. 따라서 기획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기획은 사회복지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그 내용을 개발하는 과정이다. 프로그램 기획과 유사한 계획은 사회복지행정에서 기획 과정을 거쳐서 얻어지는 최종 산출물 또는 결과물이다. 즉 프로그램 기획은 사회복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과정으로 설계과정의 동적 측면을 의미하며, 계획은 기획의 결과로 생성된 산출물이나 결과물을 의미한다. 기획과 계획의 차이점을 비교해보면 아래의 표와 같다.

    [표] 기획과 계획의 비교

    사회복지행정에서 프로그램 기획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이 여섯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무엇보다도 먼저 책임성의 증진을 들 수 있다. 둘째, 조직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 또는 성취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기획은 반드시 필요하다. 셋째,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전달을 위해 프로그램 기획은 반드시 필요하다. 넷째, 프로그램을 기획함으로써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이정표 또는 지도가 완성되어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사라지게 된다.
    다섯째, 개개인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 또는 지역문제의 해결이나 사회적 욕구의 해결을 위해 사회적 프로그램의 계획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여섯째, 좀 더 광범위한 입장에서 결국 프로그램 기획은 사회정의를 위한 구체적인 도구로써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기획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아동간호학실습 뇌성마비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목차

    본문내용

    입원아동 간호사례
    질병명: 뇌성마비, 갑상선저하증, 급성 세기관지염
    (1) 필요성 및 목적
    병동 대부분의 환자가 뇌성마비, 뇌전증과 같은 뇌 관련 질환을 가지고 있어 케이스 환자를 고르는데 고민이 많이 들었다. 그러다 강직을 유난히 자주하는 환아를 보게 되었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그에 맞는 간호는 무엇인지 공부하고 싶어 이 케이스를 선정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뇌성마비>
    -뇌성마비는 태아나 영아의 뇌에 발생하는 비진행성 장애에 의해 유발되는 영구적인 운동발달당애와 자세발달장애군이다. 운동장애는 뇌손상 부위와 관련된다.

    ① 원인
    뇌성마비는 대부분 태아기와 주산기에 발생한다. 대부분의 원인은 뇌손상이다. 주로 조산과 관련이 있으나 다양한 요인으로 뇌성마비가 나타날 수 있다.

    시기
    요인
    산전
    유전 혹은 염색체 이상
    뇌기형
    기형 발생 물질 노출
    태반 이상
    다태아
    자궁 내 감염
    출산
    난산
    두부 손상 (출산 중 뇌손상)
    제대압박 인한 질식
    태변 흡인
    출산 후
    신생아 패혈증
    뇌염
    고빌리루빈혈증
    뇌졸중
    독성 물질 노출

    ② 병태생리
    뇌성마비의 발생빈도는 1000명당 3.5명 정도로 적지 않게 나타난다. 뇌성마비를 진단받은 아동은 의학적 문제에 따라 예후가 다르다. 2세 이후에도 혼자 앉을 수 없다면 교정으로 고치기 힘들다 판단한다. 이러한 뇌성마비는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1)강직형(Spastic)
    대뇌겉질이나 피라미드로(주체로) 손상으로 인한 뇌성마비
    뇌성마비 대다수가 강직형(75%)
    2) 운동이상증-느림비틀림운동
    피라미드바깥길(추체외로), 바닥핵(기저핵) 손상으로 인한 뇌성마비
    뇌성마비 환자 중 10~15% 해당
    3) 운동이상증-근육긴장이상
    바닥핵, 피라미드바깥길 손상으로 인한 뇌성마비

    출처 : 해피캠퍼스

  • [A+] 제1형당뇨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목차

    I. 문헌고찰
    II. 사례보고서
    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췌장의 구조와 특성
    2) 췌장의 기능
    인슐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대사에 직접 관여하며 베타 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핵산을 합성하고 저장한다.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부위는 지방, 근육, 간세포 등이다. 인슐린의 작용은 세포막의 투과성을 변화시키고 포도당, 그 외 단당류, 일부 아미노산과 지방산, 칼륨, 마그네슘 등이 혈장에서 세포내로 이동하는 것을 촉진한다. 또한 세포의 기능과 에너지 생산에 필수적인 효소화학물질을 자극하기 위한 촉매작용을 한다.

    글루카곤
    글루카곤은 주로 간에서 작용하며, 포도당신합성, 지방분해, 글리코겐분해를 촉진한다. 또한 catecholamine의 방출을 자극하여 혈중 포도당의 농도를 높인다. 또한 글루카곤은 혈액 내 포도당의 농도를 조절한다. 췌장의 베타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인슐린 분비를 자극한다. 운동을 하면 글루카곤이 분비되어 인슐린 분비가 촉진된다. 또한 인슐린에 의해 저혈당상태가 되면 글루카곤의 분비가 자극되어 당원분해와 포도당신생합성이 일어나 혈당을 높인다. 글루카곤은 순수하게 혈당을 높이는 작용만을 하며, 높아진 혈당이 인슐린 분비를 자극하여 혈당을 낮춘다. 일반적으로 혈당과 글루카곤 생산은 반비례 관계이다.

    성장억제호르몬
    성장억제호르몬은 시상하부, 췌장의 베타세포, 위점막 상부와 소장에서 분비한다. 주요 기능은 성장호르몬과 갑상샘자극호르몬 방출인자의 분비를 억제하며, 인슐린의 분비를 자극하는 포도당, 아미노산 등이 많을 때 분비가 촉진된다. 분비된 다음에는 췌장의 인슐린 및 글루카곤 분비를 모두 억제하고 위장관에서 가스트린과 다른 분비물의 분비를 억제한다. 성장억제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비만, 고혈압 등 당뇨병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난다.

    2. 병태생리
    -당뇨병은 인슐린의 부족과 분비장애, 작용결함으로 발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독후감 3종(태도에 관하여, 데미안, 밤의 사색)

    목차

    없음

    본문내용

    책 제 목
    태도에 관하여

    저 자
    임경선

    출 판 사
    한겨레

    일 시
    2024년 00월 00일 ~ 2024년 00월 00일

    독서 동기 및 계기
    삶의 가치에서 가장 중요한 태도는 무엇인지, 어떠한 태도로 삶을 살아가면 좋을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작은 고민에서 시작하여 본 책의 제목을 보고 해답을 찾을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에 책을 읽게 되었다.

    감상문
    ‘밀리의 서재’라는 어플을 사용하여 책을 읽게 되었다. ‘하이라이트’ 기능을 사용하여 감명깊은 문장을 밑줄치고 그에 대한 내 생각을 간단하게 메모할 수 있었다. 밑줄 친 여러 문장 중 마음에 가장 와닿은 한 부분을 꼽자면 다음과 같은 구절을 선택할 것 같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인증有) 유능한 상담자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적 자질과 인간적 자질을 모두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George와 Christiani(1981)의 유능한 상담자의 특성에 근거하여 본인이 지니고 있는 상담자로서의 자질을 분석하고, 본인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자질과 이를 개발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유능한 상담자의 특성
    2) 상담자로서 지니고 있는 자질과 부족한 자질
    3) 부족한 자질 개선 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상담자는 상담을 통해 내담자와의 면대면 관계 속 라포(Rapport)를 형성하고 상호 협력적인 대화를 나누어 상담목표를 설정 또는 목표 달성에 요구되는 내담자의 변화를 이끌어내기도 한다. 내담자의 문제 해결을 위해 행동함에 있어 결과적으로 ‘수동적’이 아닌, ‘능동적’으로 자발적 변화에 도달하도록 돕는 것이 올바른 상담이라고 할 수 있다. 내담자가 상담 목표를 성공리에 달성하는 것은 상담자가 바람직한 특성과 자질을 지니고 있는가에 따라 성패를 좌우한다. 상담자는 국가가 지정한 기관에서 동일한 수련을 거쳤을지라도 자신이 진행하는 상담에 대한 책임감 없이 임한다면, 향후 내담자가 목표를 달성했을지언정 결국 이란격석(以卵擊石)일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내담자에게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유능한 상담자가 되기 위해 수련하고 정진할 필요가 있다. 본 과제에서는 George와 Christian(1981)이 분석한 유능한 상담자의 특성을 알아보고, 이때 필자에게 부족한 특성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 또한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유능한 상담자의 특성
    상담자의 자질은 바람직한 상담을 진행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도구이다. 거시적으로 전문적 자질과 인간적 자질로 나뉘어 의논 되는데, 학자의 견해에 따라 부각하는 측면이 상이할 뿐이지 두 자질 모두를 갖추어야 비로소 실질적인 상담에 능통한 상담자가 될 수 있다. 예시로 칼 로저스(Carl Rogers, 1952)는 유능한 상담자에게 반드시 요구되는 세 가지 특성을 공감과 진실성, 무조건적인 긍정 존중이라 언급하며 ‘선한 인간관’을 부각시켰다. 상담자 자신에 대해 거짓이 없어야 되고 실제와 다른 모습을 가장하지 않아야 한다. 내담자가 가고자 하는 길을 함께 거닐며 형성되는 신뢰를 바탕으로 내담자 스스로의 깊숙한 감정을 말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