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사회복지실천론 ) 사회복지 실천에서 가치갈등의 유형과 가치갈등의 해결책에 대해 논하시오.

    목차

    1.서론

    2.본론
    1) 가치갈등의 유형
    2) 해결책
    3) 윤리적 의사결정의 우선순위
    4) 느낀점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회복지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사회적 욕구에 대한 것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라고 볼 수 있으며 사회복지실천을 통해 사람을 대상으로 더 나은 삶에 대한 최종적인 목표를 토대로 목표 달성을 위해 여러 방법과 기술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사회복지실천에서 과학적, 객관적인 접근으로 인해 사회복지사가 가치 갈등의 상황에서 윤리적인 판단을 내리는데 어려움을 만들 고 있으며, 이런 경향이 사회복지실천에서 윤리적 측면에 대해 회피하거나 제외하게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사회복지에 대한 욕구가 경제속도와 함께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회복지 고유의 가치기준에 따라 옳고 그름에 대해 판단하여 윤리적 결정을 내려야 할 필요가 있는 순간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사회복지실천론 ) 나에게 사회복지실천은 00이다(그 이유), 사회복지실천가로서의 나의 강점 3개

    목차

    없음

    본문내용

    [나에게 ‘사회복지실천은 공감’이다(그 이유 ’10줄이상’)]
    공감은 사회복지 실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공감은 사회복지 실천에 필수적인 대상자와의 관계 형성, 심리적 지지, 그리고 희망과 용기의 전달 모두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사회복지 실천의 근간에는 대상자와의 깊은 관계 형성이 있는데, 다정다감한 성격은 대상자와의 깊은 연결을 만들어내는 시작이 된다. 이러한 연결이 공감을 통해 더욱 강화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사회복지 실천가는 대상자의 어려움과 고통을 이해하고, 그들의 입장에 공감하며, 공감을 기반으로 그들을 지원해야 한다. 사람들의 말을 신중하게 귀 기울이고 따뜻한 마음으로 공감하는 특성은 대상자로 하여금 안정감을 느끼게 하고, 그들의 마음의 상처나 문제에 대응하는 깊은 원동력이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서강대학교 일반생물학실험1 실험 11. Plasmid DNA의 제한효소 절단 및 전기영동 풀레포트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
    5. Discussion

    본문내용

    Abstract
    DNA 운반체인 vector는 종류가 다양하며, DNA의 유지와 복제가 가능한 DNA분자이다. 그 중 plasmid는 가장 널리 쓰이는 vector이며, circular구조의 이중가닥 형태를 갖는다. 이번 실험에서는 제한효소(BamH I)를 이용하여 plasmid DNA(pUC4K)를 반응시켜 BamH I 인식부위인 405bp와 1669bp에서 plasmid DNA를 절단한 다음 그 결과물을 1% agarose gel을 이용하여 100V에서 30분간 electrophoresis를 실시하고 ladder를 기준으로 잘린 band와 잘리지 않은 band의 DNA 크기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한다. 잘리지 않은 plasmid DNA(pUC4K)의 총 길이는 3966bp이며 405bp와 1669bp에서 잘린 Plasmid DNA는 길이가 1264bp, 2702bp의 두 DNA로 나뉘며, 1264bp길이의 band가 크기가 제일 작기 때문에 전기영동 결과 이동속도가 제일 빠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기영동 시 Supercoiled형태는 linear형태보다 속도가 빨라 잘리지 않은 plasmid DNA는 크기가 제일 크나 2702bp 크기의 DNA와 비슷한 이동속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 이용한 제한효소(BamH I) 이외에 다른 제한효소인 EcoR I를 plasmid DNA와 반응시키고 그에 따른 결과를 예상하여 비교해보았으며, agarose gel의 농도를 더 높였을 때, 실험 과정 및 결과의 변화에 대해서도 예측해보았다.
    Introduction
    Vector란, DNA 운반체로 유전물질의 처리와 조작 그리고 운반에 필요하다. Vector는 숙주 안에서 안정적인 유지와 복제가 가능하고, 외부 DNA를 특정부위에 집어넣거나 제거할 수 있다. 특정부위에 삽입된 표적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하여 vector는 DNA 복제가 가능하도록 origin of replication을 갖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서강대학교 일반생물학실험1 실험 6. GFP 단백질과 단백질 정량 (Protein Measurements) 풀레포트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
    5. Discussion

    본문내용

    Abstract
    단백질 정량 방법 중 Lowry assay와 Extinction coefficient assay 두 방법을 사용하여 단백질 정량 방법을 이해하고,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두 방법의 EGFP의 질량농도 값을 도출해내 비교해보는 실험을 하였다. Lowry assay는 Biuret reaction 다음 Folin reaction을 진행해준 다음 최종적으로 환원된 용액을 7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BSA 표준곡선을 이용해 EGFP의 질량농도를 계산한다. Lowry assay에서 EGFP 용액의 흡광도는 0.059이며 표준곡선의 추세선을 이용하여 질량농도 0.55mg/ml를 얻었다. Extinction coefficient assay는 알고 있는 EGFP의 몰흡광계수와 몰질량을 이용하여 Lambert-Beer’s Law 관계식(A흡광도=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서강대학교 일반생물학실험1 실험 8. 효소 (Enzymes) 풀레포트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
    5. Discussion

    본문내용

    Abstract
    우리 몸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화학반응은 주로 효소에 의해 촉매 되는데, 이러한 효소의 반응속도에 영향을 끼치는 세가지 요인에는 기질의 농도, 온도, pH가 있으며 기질의 농도에 따른 반응속도와 최적의 온도, 최적의 pH를 찾기 위한 실험을 진행한다. 본 실험에서는 β-galactosidase를 효소로, 기질로는 Ortho-nitrophenyl- β-D-galactoside(ONPG)를 이용하였으며 기질의 농도, 온도 그리고 pH별 차이를 두어 반응시키고 효소에 의해 ONPG가 가수분해 되어 나오는 ONP를 최대 흡광도를 갖는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래프를 작성하고 반응속도를 비교해본다. 실험 결과로는 기질농도가 제일 높은 500uM에서 효소의 반응속도가 제일 빨랐으며, β-galactosidase의 최적 온도는 37˚C, 최적 pH는 7.3임을 나타냈다. 또한, 효소의 반응을 더 이상 하지 못하게 만드는 종결제에 대하여 생각해보았으며, 기질 농도나 효소의 농도가 더 많아 짐에 따라 그래프의 양상이 어떻게 바뀔지 예상해보았다. 더불어, 실험 진행 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Introduction
    효소(enzyme)란 단백질로 이루어져 생체 내 화학반응을 빠르게 해주는 촉매라고 할 수 있으며, 생물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화학반응은 대부분 효소에 의해서 촉매 된다.

    이러한 효소는 기질(substrate)이라는 물질이 촉매 반응에 참여하여 생성물(product)를 만들어낸다. 효소가 기질과 함께 먼저 결합하게 되며 이때 결합한 복합체를 효소-기질 복합체(enzyme-substrate complex)라고 한다. 여기서 기질이 효소에 결합하는 부위를 활성 부위(active site)라 하며, 각 효소는 활성부위에 기질이 자물쇠와 열쇠의 관계 같이 입체구조가 알맞아야 결합이 되는 높은 기질 특이성(specificity)을 가진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서강대학교 일반생물학실험1 실험 4. 확산(Diffusion), 원형질 분리(plasmolysis), 용혈현상(Hemolysis) 풀레포트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
    5. Discussion

    본문내용

    Abstract
    이번 실험은 반투과성 막에서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용매가 이동하는 현상인 삼투현상(osmosis)을 관찰하며, 동물 세포와 식물 세포의 삼투현상으로 인한 용혈현상, 원형질 분리 등 농도에 따라 세포 변화가 어떻게 다른 지 탐구한다. 첫번째 실험에서는 DIW에 30분 이상activation 시킨 각 Cellulose dialysis membrane에 10%, 20%, 30% PEG 와 0.1% Congo red를 섞은 혼합물을 넣어 밀봉시킨 후 dialysis membrane을 물 속에 넣어 PEG농도 차에 따른 삼투현상을 관찰하였고, PEG 농도가 높을수록 부피 변화율이 큼을 보였다. 적혈구와 양파 표피 세포를 이용하여 DIW, 0.9% NaCl, 10% NaCl 세가지 용액 별 세포의 형태 변화를 살펴보았다. 적혈구는 DIW에서 팽창하거나 너무 팽창해서 터지는 용혈 현상을 보였고, 0.9% NaCl에서 변화가 없으며, 10% NaCl에서 위축현상을 나타냈다. 양파 표피세포는 DIW에서 마찬가지로 팽창하였지만 세포벽 존재로 터지진 않았고, 0.9% NaCl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며, 10% NaCl에서는 원형질 분리가 일어났다. 세포벽이 없는 적혈구는 세포 모양 변화에 매우 큰 차이를 보였지만, 식물세포는 세포벽을 갖고 있어 세포의 모양의 변화가 크지 않게 골격을 튼튼하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troduction
    세포막은 세포의 안과 밖을 구분지어 주며 세포막을 통해서 물질의 이동이 유동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인지질 이중층과 사이에 막 단백질이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선택적 투과성을 갖고있는 세포막은 특정한 물질만 투과가 가능하게 하고, 다른 물질은 투과가 되지 않도록 한다. 분자의 크기, 모양, 극성, 전하, 농도 기울기, 온도 등 여러가지 요인들로 인해 투과성이 결정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전통문화 속 숲과 나무에 대한 인식

    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본문내용

    전통문화는 그 문화가 생산된 자연환경과 그 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추구하는 가치관에 부합하고 발전되어 이루어진 문화이다. 전통문화는 잊혀져 과거 속에서만 존재하는 문화가 아니고, 오랜 세월 역사 속에서 살아 숨쉬는 문화로 앞으로도 계속해서 성장하고 이어갈 문화이다. 이러한 논리에서 전통문화는 그 민족과 공동체의 형성과 시발을 같이하여 전통문화를 통해 이를 형성한 이들의 가치관, 역사까지도 엿 볼 수 있게 한다.
    전통문화가 생산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일대는 나무가 울창한 산림지대, 숲으로 가득한 곳이다. 이 곳의 자연과 풍토에 더불어 순응하며 수천년을 살아왔기 때문에 산과 숲 자체가 삶의 터전이었고 문화를 발전시킨 밑거름이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2024 CFA level 1 Fixed Income 한글정리

    목차

    본문내용

    01 Fixed-income seurities의 특징
    1. Issuer
    – 주된 발행자 : 국가정부, 기업
    – 기타 발행자 : 지방 정부, 국제통화기금과 같은 초국가적 단체, 정부 후원의 준정부 단체, 특수목적법인(SPE)

    2. Maturity
    – 채권의 만기일은 최종 현금 흐름이 지급되는 날짜
    – Tenor : 잔여만기
    – Money market securities : 1년 이하의 만기를 가진 채권
    – Capital market securities : 1년을 초과하는 만기를 가진 채권
    – Perpeutal bonds (영구채) : 명시된 만기일X. 원금의 상환 없이 이자만 영구히 지급하는 채권

    3. Principal (= par value, face value)
    – 액면가(par value) = 상환되어야 하는 원금(principal)
    – 상환(repayment)은 일반적으로 만기에 발생하지만, mortgage loan은 만기일까지 점진적으로 상환

    4. Coupon rate and frequncy
    – 쿠폰 금리는 채권 보유자에게 지불되는 annual percentage of its par value
    “Coupon Rate = Annual Coupon / Face value”
    – 연간, 반기, 분기, 또는 월별로 쿠폰 이자 지급
    – 변동금리채권(FRNs)은 이자가 쿠폰을 납입하는 날의 변동시장금리(MRR)에 기반하며, 고정마진이 추가됨
    ➜ FRN = MRR (대표적인 기준금리 : LIBOR) + fixed margin (= credit spread)
    cf) 마진은 발행회사의 신용도를 보여줌
    ➜ 신용도가 좋지 않을수록 마진을 많이 붙여야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음!
    – 제로쿠폰 채권은 액면가에서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되며, 만기 시에 채권 보유자가 이자를 전액 지급 받음으로
    액면가를 받음 cf) 제로쿠폰 채권의 듀레이션이 일반채권보다 김

    출처 : 해피캠퍼스

  • 이미터 공통 증폭기 결과보고서

    목차

    1. 사용 장비 및 부품
    2. 실험 방법 및 결과
    3. 결론

    본문내용

    1. 사용 장비 및 부품
    ● 직류 전원 공급 장치
    ● 함수 발생기
    ● 오실로스코프
    ● 디지털 멀티 미터
    ● 트랜지스터:2SC1815 (1개)
    ● 저항 : 10 외 다수
    ● 커패시터 : 100 (3개)

    <중략>

    3. 결론
    이번 실험에서는 이미터 접지 증폭기에서의 이미터, 베이스, 콜렉터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에서 흐르는 전류의 값과 의 값을 계산할 수 있었다. 또한 입력과 출력 전압을 측정하여 입력과 출력 저항으 의 값을 계산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이미터 접지 증폭기의 입력 저항과 출력 저항의 개념을 잘 이해하게 된 것 같다. 출력 파형의 왜곡 현상을 관찰하여 회로가 포화상태에 도달하였는지, 차단 상태에 도달하였는지에 대하여 알아 볼 수 있었다. 이번 실험에서는 그래프의 윗부분이 잘렸으므로 회로가 차단 상태에 도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미터 접지 증폭기는 입력신호가 베이스에 들어가고, 출력 신호가 콜렉터에서 얻어진다. 이 증폭기는 전류와 전압 이득이 모두 1보다 커서 다른 증폭기보다 전력 증폭 이득이 크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실험을 통하여 이런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이미터 접지 증폭기에 대하여 잘 알게 된 것 같아 좋았다. 이번 실험은 회로 연결은 어렵지 않았지만 출력 저항 그래프를 관찰할 때 회로가 정교하지 않았던것인지 저항과 커패시터, 트랜지스터같은 부품을 바꿔 보았는데도 그래프가 자꾸 흔들렸다. 측정 값을 확인 하고 싶었는데 Average를 이용할 수 없을 때도 있어 측정과 회로 수정에 시간을 많이 소비한 것 같아 아쉬웠다. 다음부터는 더 주의를 기울여 실험의 정확성과 속도를 높이고 싶다.

    출처 : 해피캠퍼스

  • MOSFET 증폭기 회로 예비보고서

    목차

    1. 목적
    2. 이론적 배경
    3. 사용 장비 및 부품
    4. 실험 방법
    5. 예비 보고 사항

    본문내용

    목적
    MOSFET를 사용한 소스 접지 증폭기의 바이어스 방법과 기본적인 특성을 이해하도록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동작 원리
    n 채널 MOSFET (metal oxide semiconductor)의 구조는 그림 6-1과 같다.

    그림 6-1. n 채널 MOSFET의 구조 및 기호.
    게이트에 문턱 전압 이상의 (+) 전압을 인가하면 기판의 자유 전자들이 위로 모여채널을 형성하고 이 때 드레인과 소스 사이에 전압을 걸면 채널 내의 자유 전자들이 소스에서 드레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드레인에서 소스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게이트에인가되는 전압을 변화시키면 채널 폭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드레인에서 소스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가 변화한다.

    2.2 동작 영역에 따른 드레인 전류
    드레인 전류는 게이트-드레인 전압과 드레인-소스 전압에 의하여 제어되며 동작 영역에 따라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채널 길이 변조 효과는 무시한다.)

    1) 차단 영역

    2) 트라이오드 영역

    3) 포화 영역

    2.3 소스 공통 증폭기
    소스 공통 증폭기는 그림 6-2와 같이 입력 신호는 게이트에 들어가고 출력 신호는 드레인에서 얻는다. 소스 공통 증폭기는 일반적으로 게이트 공통이나 드레인 공통 증폭기에 비해 널리 사용된다. MOSFET 소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비해 게이트 전류가 0이고 소신호 등가 회로에서 에 해당하여 회로 해석이 간단해진다.
    그림 6-2는 소스 공통 증폭기의 기본 회로이다. 소스 공통 회로가 증폭기로 동작하려면 MOSFET가 포화 영역에서 동작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