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목 차
Ⅰ. 문헌고찰
1. 제왕절개 정의
2. 제왕절개 적응증
3. 제왕절개 종류 및 과정
4. 제왕절개에 대한 간호
5. 제왕절개 합병증과 위험성
Ⅱ. 연구 기간 및 방법
Ⅲ. 간호사정
Ⅳ. 간호과정의 적용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제왕절개 정의
임신부의 복부를 절개하여 태아를 출산하는 것으로 복벽과 자궁의 절개를 통해 자궁으로부터 태아를 꺼내는 것이다. 모든 분만의 25% 정도를 차지한다. 의료기술과 장비, 항생제의 발전으로 사망률이 낮아져 심각한 문제가 되지는 않았지만 자연분만에 비해 산모와 태아에게 미치는 위험은 더 크다.
2. 제왕절개 적응증
산모측 요인
– 협골반으로 태아의 머리보다 골반 크기가 작을 때
– 35세 이상의 노초산모
– 임신중독증 (전자 간 혈압이 130/90 이상으로 단백뇨가 나오고 전신에 부종이 나타날 때, 자간 혈압이 190/90 이상
으로 단백뇨가 나오며 간질까지 하는 때)
– 출산 12시간 전에 양수가 터져 아기의 감염이 우려되는 때
– 출산 전에 양수가 터져 탯줄이 밖으로 나온 때
– 태아를 밀어내는 자궁의 힘이 약할 때
– 산모의 혈액형이 RH(-)일 경우
– 기존에 제왕절개술을 한 경험이 있는 산모
– 성병으로 자궁경부나 질에 균이 있을 때
– 유도분만에 실패했을 때
태아측 요인
– 태아가 거꾸로 선 경우나 옆으로 누워있을 때
– 분만전, 분만 중 맥박이 정상이 아니거나 태아의 상태가 나빠져 사산의 위험이 있을 때
– 태아가 너무 커 골반을 못 빠져 나올 때
– 제대 탈출 시 태아가 생존한 때
3. 제왕절개 종류 및 과정
(1) 제왕절개 종류
① 재래식 제왕절개술(classical cesarean section)
종적 절개가 직접적으로 자궁 체부의 벽으로 이어진다. 자궁체부에 수직절개를 하는 수술방법으로 제왕절개술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 방광과 자궁하부에 유착이 심할 때 그리고 횡위전치태반이 있을 때 등에 적용된다.
a. 방광과 하부근육의 유착이 광범위할 때 유용하다.
b. 전치태반일 때 선택된다.
c. 태아가 횡위일 때 선택된다.
d. 혈액 유실이 증가한다.
e. 추후 분만시 자궁파열 위험이 증가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