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선천성 거대 결장증 (hirschsprung’s disease) 정의 및 원인
2. 선천성 거대 결장증의 증상
3. 선천성 거대 결장증의 진단
4. 선천성 거대결장의 치료와 간호
5. 선천성거대결장의 예후 및 합병증
Ⅲ.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신체검진
4. 진단을 위한 검사 소견
5. 의학적 치료 및 경과
6. 기타 자료
Ⅳ. 간호진단&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선천성 거대결장은 모든 신생아 장폐색증의 약 1/4를 차지하고 있다. 발병빈도는 살아서 출생한 아동 5,000명 중의 1명이다. 여아보다 남아에서 4배더 많이 발생되고, 약 10%에서 가족력이 있다. 신생아는 출생 후, 태변 배출이 2일 이상 늦어지거나 복부 팽만이 심해 수유 진행이 어렵고 구토가 지속된다면 선천성 거대결장 질환의 가능성을 생각해 보고 빠르게 치료를 해야한다. 만약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해 둔다면 복부팽만, 구토 등의 장폐색 증상을 보이고 이후 위험한 합병증인 소장결장염으로 진행하여 이를 방치할 경우 패혈증으로 사망할 수 있다.
소아과에서 실습을 하면서 선천성 거대결장에 대한 치료법과 수술 전후 적절한 간호에 대해 공부해보고,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Ⅱ. 문헌고찰
1. 선천성 거대 결장증 (hirschsprung’s disease) 정의 및 원인
장에 신경이 제대로 분포되지 않아 정상적으로 변을 보지 못하는 병이다.
장에는 신경이 분포하여 장이 운동하게 하는데 선천성 거대 결장증은 신경 중에서 주로 부교감신경의 분포가 어느 부위 이하에서 제대로 되지 않아 그 이하의 장에서는 장이 제대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정상적으로 변을 배출할 수 없게 되며, 신경이 제대로 분포하고 있는 장에 대변이 고여 장이 늘어나게 된다. 주로 병변이 직장 및 결장에 위치하기 때문에 ‘거대결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병을 처음 기술한 사람의 이름을 따서 히르쉬스프룽병으로도 부른다.
<중 략>
3. 선천성 거대 결장증의 진단
① 직장 수지검사(Rectal Examination: 항문에 손가락을 집어 넣어 검사함)
: 직장에 손가락을 넣으면 직장이 비어있는 경우가 많으며 손가락을 뺏을 때, 대변과 공기가 다량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보고 이 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