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만4세 2학기 평가제 발달평가 및 총평 (기본생활,신체운동,의사소통,사회관계,예술경험,자연탐구)

    목차

    1. 기본생활
    2. 신체운동
    3. 의사소통
    4. 사회관계
    5. 예술경험
    6. 자연탐구
    7. 2학기 총평

    본문내용

    영 역
    발 달 내 용
    기본생활
    지난학기에는 깍두기를 잘 먹지 않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제는 깍두기도 잘 먹고, 젓가락으로 작은 반찬도 잘 집는 모습을 보였다.
    신체운동
    군밤이 익어가는 모습을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모습이었다. 뜨거운 화로 속에 들어간 것을 상상하면서 군밤이 익어가는 모습을 점프와 팔을 흔드는 것으로 표현하는 모습이었다.
    의사소통
    OO는 책의 그림으로 다음 내용이나 사진을 보고 내용을 유추하여 정리한 후 다른 사람에게 내용을 전달할 수 있으며 내용을 이해할 수 있고 관심이 많은 편이다
    사회관계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 존댓말을 쓰는 모습을 볼 수 있으나, 자신이 하기 싫은 행동을 시키자 바로 ‘안돼요!’라는 거부의사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자신의 행동을 말로 표현하며, 그 행동에 감탄사등을 넣어 그 행동을 더 돋보이게 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만4세 1학기 평가제 발달평가 및 총평 (기본생활,신체운동,의사소통,사회관계,예술경험,자연탐구)

    목차

    1. 기본생활
    2. 신체운동
    3. 의사소통
    4. 사회관계
    5. 예술경험
    6. 자연탐구
    7. 1학기 총평

    본문내용

    영 역
    발 달 내 용
    기본생활
    OO는 편식하지 않고 골고루 먹는 습관을 가지고 있으며 더 먹고 싶은 만큼 자율적으로 배식할 수 있다.
    신체운동
    줄을 이용한 신체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두 팔과 다리, 발의 균형을 잡고 움직이며 줄넘기를 잘 넘는 모습을 보였다. 줄넘기에 흥미를 보이면서 학기초에 비해서 줄넘기를 잘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의사소통
    간단한 질문(예 : 누구, 어디에, 언제 등)에 답할 수 있으며 친숙한 낱말의 발음에 관심을 갖고 상황에 적절한 말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말하는 사람의 표정과 몸짓을 관심있게 보고 따라한다.
    사회관계
    평소 역할영역에서 친구들과 소꿉놀이하는 것에 많은 흥미를 갖고 놀이하며 친구들과 역할을 정해 놀이하면서 사회관계형성이 잘 증진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예술경험
    동요를 배울 때 교사를 따라 율동을 하고 노래를 따라 부른다.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그림으로 표현할 때에는 친구들을 관찰한 후 다소 또래보다 늦게 그리기를 시작하여 반복되는 형태를 그리고, 2~3가지 색상으로 표현을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용인술을 읽고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인재만사할것인가 인재망사할 것인가

    ‘나뿐인 성공은 나쁜성공이다’ 남을 성장하게끔, 성공하게끔 하는 것이 리더쉽의 진수다.
    공자는 제자가 벼슬자리에 오르면 가장 먼저 “인재를 얻었는가”를 물었다고 한다. 공자에 따르면 “인재는 자기가 일어서기를 원하면 남을 먼저 일으키고, 자기가 성공하고자 하면 먼저 남이 서도록 돕는다”라고 한다. 공자가 쓴 논어는 지엽적인 경영의 기술보다 인간의 마음가짐, 인간형성의 기본철학을 담고 있기에 경영에 유용하다. 때로는 흔들리고 헷갈리고 부대끼고 뒤통수를 맞았지만 끝내 기본과 중심을 지켰던 ‘평범해서 더 위대한’ 공자의 인재경영, 경영이란 결국 사람을 남기는 것이다.

    인재에 목을 메면서 인재난에 허덕이는 이유는 인재를 보는 눈이 없어서다. 나아가 공자는 보는 눈이 없는 것은 모든 것을 갖춘 인재만을 원하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진선미를 다 갖추면 좋지만 그렇지 못할 바에는 기준을 정해 그에 맞춰 찾아야 한다. 인재경영을 잘한다는 것은 강점대로 쓰는 것이다. 기지란 사람의 재능과 도량에 맞춰 잘 쓴다는 것이다. 소인은 완벽한 인재만 찾는다. 그 같은 인재는 구하기 힘들다. 설령 어렵게 찾아도 그 사람만 혹사시켜 결국 소진시킨다. 송나라 소순은 권서에서 이렇게 말했다. “현명한 군주는 마치 손재주가 뛰어난 이에게 그릇을 만들도록 하는 것처럼 능력에 맞추어 사람을 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보건의료분야에서 팀워크 향상 방안 보고서, 호스피스, 간호관리학

    목차

    Ⅰ. 서론
    (1) 팀과 팀워크의 정의
    (2) 팀워크의 중요성
    (3) 보건의료분야에서 팀워크 향상의 필요성

    Ⅱ. 본론
    (1) 팀워크 구성요소
    (2) 팀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호스피스에서의 팀워크 향상 사례
    (4) 호스피스에서의 팀워크 개선 방안

    Ⅲ. 결론
    (1) 기대효과
    (2)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팀과 팀워크의 정의
    팀이란 공유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공동의 책임을 지고 정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사회적 집합체를 말한다. 팀워크란 팀 구성원간의 협동 동작, 작업, 또는 그들의 연대를 말한다. 팀의 성원(成員)인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 역할에 따라 책임을 다하고 협력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여러학자들이 정의한 팀워크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① Anhalt(1995) : 조직의 과업이 완전히 분리되어 독립적이고 동시에 반응하는 단위
    ② Katzenback &Smith(1995) 서로 보완적 기술을 가지고 구성원 간에 서로 관심을 가지고 행동하는 집합체
    ③ Prince & Salas(1995) 팀위크는 2명 이상으로 이루어진 조직원들이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 주어진 임무를 조정해나가는 행위
    ④ 김명소, 한영석(2010) 팀의 성과에 기여하기 위한 구성원들의 내적인특성 및 상호 작용
    ⑤ 정민주, 장대성(2012) 서로 의존적인 거동과 제도적인 의사소통을 기본으로 주어진 임무를 책임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여 이행하며 팀원들 간에 지식, 정보, 영감를 공유하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제휴하는 과정
    ⑥ 배현숙, 유양호(2016) 제휴적 태도, 공동목표의 판단, 역동적 상호작용등 3가지 요소로 계측가능, 리더의 감수성에 영향

    (2). 팀워크 중요성
    공동의 목표를 위해 팀워크는 필수적이다. 팀워크의 중요성으로 첫 번째는 직장에서의 화합을 촉진한다. 팀워크 환경은 우정과 충성심을 키우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이러한 긴밀한 관계는 직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동시에 더 열심히 일하고 서로 협력하고 지원하도록 조정한다. 개인은 다양한 재능, 약점, 의사소통 기술, 강점 및 습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팀워크 환경이 권장되지 않는 경우 전체 목표를 달성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관리학, 병동QI 투약오류, 환자안전QI (자세함, A+받은과제)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간호단위 수행하는 QI 관련 주요 업무 내용을 확인한다.
    활동 영역
    □ 진료과정개선 □ 간호업무개선 □ 행정업무개선
    ■ 환자안전 □ 진료표준화
    주제
    병동에서의 투약오류 감소를 위한 예방활동
    QI 10단계 (FOCUS PDCA)
    구체적 내용
    Find
    1. 활동의 필요성 : 주제선정배경
    투약은 환자의 질병예방과 치료에 필수적인 업무로, 정확하고 안전하게 투여되어야 하나 부적절하게 투여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며 환자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고 병원에는 막대한 타격과 간호사 개인에게도 과오에 대한 책임이 따르게 된다. 투약오류는 의료기관 내에서 정확한 환자 확인이 제대로 되지 않아 발생하는 사건 사고로 사망이나 영구적인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무의식 환자뿐만 아니라 의식이 있는 환자인 경우도 다른 환자 호명에 대답을 하거나 병실 표시오류, 다인실의 침대 번호 위치 표시오류 등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투약 오류로 인한 의료사고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투약오류 감소를 위한 예방 활동을 하기 위해 주제로 선정하였다.
    Organize
    2. 팀구성
    팀장
    양OO
    팀원
    박OO, 윤OO, 최OO, 황OO

    Clarify
    3. 현안 및 문제점
    – 오류 보고 및 공유 부족
    – 간호사의 교육 및 지식 부족
    – 5 right 확인 부족
    – 환자 확인 부족(이름, 등록번호)

    Understand Select
    4. 핵심지표 선정
    5. 자료수집
    6. 분석 및 해석 : 사전 자료수집결과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관리학실습과제, 리더십보고서,자율방임형리더십,수간호사리더십보고서

    목차

    없음

    본문내용

    제목:
    노인간호학 실습 때 본 수간호사선생님의 자유방임형 리더십

    사례
    • 노인 실습 때 만나뵈었던 수선생님은 병동 내 입원하고 있는 환자와 전체적인 진행 상황보다 자신의 업무 처리에 더 관심이 치중한 모습을 보였다. 인계 시간에 수선생님의 발언은 거의 없고, 수선생님을 제외한 간호사 선생님들간의 단합이 뛰어났다. 병동 내 문제가 발생하여도, 수선생님의 역할이 크지 않았고, 수선생님의 도움없이 일선간호사들이 해결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 수선생님께서 근무표를 짤 때, 근무표를 자유롭게 신청할 수 있게 하고 강제로 관여하기 보단 일선간호사들끼리 조정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분석
    • 인계 시간에 charge nurse만 이야기하고 수선생님은 듣고만 계신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관리학과제, 응급실간호사가 겪는 윤리적딜레마 윤리보고서

    목차

    1.사례
    2.분석
    3.개선사항
    4.결론

    본문내용

    주제:
    환자를 살려야 할지, 가족들의 의견을 따라 치료를 중단해야 할지에 대한 윤리적 딜레마
    사례
    • 환자: 85세 여성
    • 응급실 내원 이유: General weakness 및 탈수 증상, 피검사 수치 이상
    • 상황 변화: CT 스캔을 위해 이송 중 심장마비(arrest) 발생
    • 치료: 응급실에서 CPR 후 심장 기능 회복
    85세 여자 환자가 응급실에 general weakness, 탈수 증상, 피검사 이상으로 내원하였다. CT 찍으러간 사이에 심장마비(arrest)를 일으켜 응급실에서 CPR 시행 후 심기능을 다시 회복하였지만 가족들의 갑작스런 치료 중단 (Do Not Resuscitate, DNR) 요청으로 환자의 의사를 모르는 채 DNR 결정이 내려졌고, 치료를 중단하자 환자는 사망한 상황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호지킨림프종 간호과정2개

    목차

    1. 문헌고찰
    2. 환자사정
    3. 간호과정

    본문내용

    호지킨림프종
    호지킨림프종은 비교적 드물며 치유율이 높다. 남성이 여성보다 2배 정도 많으며, 15~35세와 50대 이후에 흔히 발병한다. 원인은 불명하나 20% 정도에서 EP-stein-Barr 바이러스 감염력이 있으며, HIV 감염이나 가족력도 관계된다. 유해한 직업 환경이나 화학물질의 노출도 가능성이 있는 원인이다.

    1. 증상
    호지킨림프종은 흔히 목의 한쪽 림프절이 통증없이 비대되면서 점점 커진다. 흔히 침범하는 부위는 경부(목), 쇄골(빅장뼈상부, 종기농(세로칸)이다. 때로는 액와나 서예부(샅글)의 림프절 또는 비장을 침범하기도 한다. 질병의 법위는 국소적이며, 주로 인접 림프계를 통하여 전파된다. 결절은 단단하고 분리되어 있으며 종창은 있으나 통증은 거의 없다. 다른 전신증상(B 증상)으로 발열(1~2주 간격으로 38도 이상), 야간발한, 체중감소(6개월간 체중의 10% 이상 감소), 소양증이 있다. B 증상이 있는 경우는 예휴가 불량하며. 이 외에도 피로, 쇠약, 빈맥이 나타난다.종양이 아는 부위에 통증과 압박증상이 나타나고, 종격동림프절이 침범되었을 때 진행된 병기에서는 기관과 식도를 압박하여 기침이나 호흡곤란, 협착음(그렁거럼. stridor), 연하곤란 (dysphagia)이 나타나며, 후두마비와 상원마비, 간과 비상의 비대가 나타난다.
    후부막림프절 (retropenitoneal lymphnode] 비대해 지면 압박증상이 심해진다. 신경을 압박하여 요추 (허리 뼈)와 천골(엉치뼈)의 신경통은 유발하고, 정맥을 압박하여 사지부종이 나타나며, 늑막 (가슴막) 삼출액과 복막 삼출액을 생성한다. 담관을 눌러 폐쇄성 황달을 일으키기도 하며 뼈를 침범하면 통증을 유발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실습, 중환자실,폐렴,pneumonia간호과정2개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정의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이다. 기침, 염증 물질의 배출에 의한 가래, 숨쉬는 기능의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폐의 정상적인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 폐 증상과 구역, 구 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 및 두통, 피로감, 근육통, 관절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아동기에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며, 영아와 어린 아동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 임상적으로 폐렴은 원발성이거나 다른 질환의 합병증으로 발생한다. 병인은 직접 폐로 흡입하거나 혈류를 통해 들어온다.
    2) 원인과 분류
    흔한 원인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이고, 드물게 곰팡이에 의한 감염이 있을 수 있다.
    원인 병원체에 따라서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비정형균, 결핵균, 리케치아, 기생충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폐렴 이외에 화학물질이나 방사선 치료 등에 의해 비감염성 폐렴이 발생할 수도 있다.

    세균

    그람 양성 구균
    폐렴구균, 황색 포도상구균, 렌서 구균
    그람 음성 구균
    Branhamella catarrhails
    그람 음성 간균
    폐렴간균, 인플루엔자균, 녹농균, 레지오넬라균
    혐기성균
    Bacteroides fragills, Peptostreptococcus
    특수한 세균
    마이코플라즈마
    진균
    칸디다(Candida), Aspergillus, Cryptococcus
    바이러스
    호흡기계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RS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콕사키 바이러스, 에코 바이러스,
    라이노 바이러스
    비호흡기계 바이러스
    홍역 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수두, 대상포진),
    사이토메가로 바이러스
    클라미디아
    Chlamydia psittaci, Chlamydia pneumonia, Chlamydia trachomatis(신생아의 산도 감염)
    원충
    Pneumocystis Carinii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위암Gastric Cancer 간호과정2개

    목차

    (1). 문헌고찰 : AGC = Advanced Gastric Cancer
    (2). 간호정보

    본문내용

    1. 원인
    위암은 선암(adenocarcinoma)이 대부분으로 우리나라 40세 이후, 남성 암 중 1위이다. 동양인에게 많다. 만성 위축성 위염, 염산결여증, 악성빈혈, 짠음식, 질산소다(음식방부제, 발암물질, 흡연이 원인이 된다. 조기위암(Early Gastric cancer, EGC)과 진행성위암(Advanced Gastric cancer, AGC)으로 구분한다.
    2. 병태생리
    위의 하부에서 많이 발생하며 하부일 경우, 하부 밑 부분만 절제한다. 위의 상부로 갈 수록 예후가 나쁘다. 용종성은 궤양성보다 예후가 좋으며 췌장, 림프절, 간, 폐, 뼈로 전이가 된다. 초기 위암은 생존률이 90%다.
    3. 증상
    인접기관으로 퍼지기 전까지 증상이 없다. 막연한 소화불량, 식욕부진, 오심, 점진적 체중감소, 피로, 빈혈, 잠혈의 증상이 있다. 분문부 종양은 연하곤란, 위액 속 유산과 LDH수치가 높고, 유문부 종양은 오심, 구토의 증상이 있다.
    4. 진단
    ① 혈액검사, 잠혈검사, 위액분석검사 – 염산결핍, 무산증 발견
    ② 상부위장관촬영술(UGI series) – 암세포위치발견
    ③ abd. CT, 내시경초음파 – 종양과 전이발견
    ④ Gastro Fiber Scopy(GFS)& biopsy
    ⑤ 종양표식자: CEA, CA19-9
    ⑥ Routine – CBC
    ⑦ Stat – Hgb, Hct, WBC, PLT
    5. 치료
    가장 먼저 수술을 하고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한다. 방사선 치료는 암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 시행되고 진행된 위암환자의 생존을 연장시킨다. 부작용으로는 피부손상, 피로, 식욕부진, 오심, 구토, 설사, 탈모 등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