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A+] 성인간호실습 중환자실 급성신부전 케이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문헌고찰

    2. 본론
    1) 자료수집 양식
    (1)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2) 대상자 사정
    (3) Chart review

    2)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기록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급성신부전(ARF)은 신기능이 갑작스럽게 상실되어 혈액 내 요소와 크레아티닌이 증가하는 특징이 있는 질환이다. 수 시간에서 수일에 걸쳐 나타나며, 소변배출량은 대부분 감소하지만 정상이거나 증가하기도 한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급성신부전 유병률 추이는 2002년에 0.75%, 2020년에 1.89%로 앞으로 계속 증가된다면 2040년도에는 3.35%의 가능성을 보인다. 이는 최대한 빨리 원인을 찾아 치료하면 신장 기능을 회복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급격한 신장 기능 저하로 심각한 합병증이 생기기도 한다. 폐부종에 의한 호흡곤란, 고칼륨혈증, 대사성 산증 등이 대표적이다.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90%정도는 완전히 회복되는 경우에서부터 약 5~10% 정도에서는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여 투석치료나 신장이식을 받아야 한다. 이와 같이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으로 발전하지 않기 위해서는 환자의 적절한 상태를 유지하는 간호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급성신부전을 앓고 있는 중환자에게 필요한 간호를 올바르게 제공하고 회복하게 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급성신부전(ARF)은 어떠한 원인에 의해 갑자기 발생한 신기능의 감소로 정의될 수 있는 질병이다.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상황이 호전이 되지만, 이를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전해질 이상, 호흡곤란 등으로 만성 신부전까지 진행되어 투석 및 신장이식까지 고려해야 할 상황까지 올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성인간호실습 추간판탈출증(HIVD) 케이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문헌고찰

    2. 본론
    1) 자료수집 양식
    (1)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2) 대상자 사정
    (3) Chart review

    2)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기록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일반적으로 디스크라고 불리는 추간판 탈출증은 뼈와 뼈 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하는 디스크가 손상되는 질병이다. 정도가 심한 경우 디스크가 튀어나와 신경을 누르면서 통증을 유발한다. 이 질환은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퇴행성 질환이지만 최근에는 일상생활에서의 잘못된 습관이나 바르지 못한 자세 때문에 10~20대에서도 크게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2]에 따르면 추간판 탈출증 대상자 수는 총 170만 명으로, 최근 5년 동안 환자 수가 17%나 증가하였으며, 진료비 또한 1.56배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번 사례연구 대상자는 요추 뿐만 아니라 천추까지도 추간판 탈출증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 질병에 대해 더욱 심도 있게 연구해볼 필요성을 느껴 본 사례를 선정하게 되었다.

    2) 연구의 목적
    살면서 누구나 한 번쯤은 고생한다는 요통은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척추는 점점 약해지고 어느 순간 갑자기 터져 큰 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추간판 탈출증은 한 번 발생하면 오랫동안 고생하고 완치도 어렵기 때문에 재발 방지를 위해 지속적인 관리와 간호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추간판 탈출증을 정확히 이해하고 상황에 알맞은 간호를 도모하여 이와 같은 질병을 지닌 대상자들에게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고 사전에 미리 예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고자 한다.

    3) 문헌고찰
    ● 정의
    추간판 탈출증이란 추간판이 돌출되어 요통 및 신경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척추뼈와 척추뼈 사이에 존재하는 추간판(디스크)이 어떤 원인에 의해 손상을 입으면서 추간판 내부의 젤리 같은 수핵이 탈출하여 주변을 지나는 척추신경을 압박함으로써 다양한 신경학적 이상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성인간호실습 간경변증 케이스

    목차

    Ⅰ.문헌고찰
    1. 연구의 필요성
    2. 알코올성 간경변증 정의
    3. 알코올성 간경변증 원인
    4. 알코올성 간경변증 병태생리
    5. 알코올성 간경변증 증상
    6. 알코올성 간경변증 진단
    7. 알코올성 간경변증 치료 및 예방

    Ⅱ. 임상사례연구
    1. 간호정보조사지
    2. 약물
    3. 활력징후
    4. 진단적 검사
    5. 기타 진단검사
    6. 주요자료 요약
    7.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목록
    8. 간호과정

    III. 결론

    본문내용

    연구의 필요성
    간경변증은 간암으로 진행될 확률이 높으며, 발생자수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발생자수가 늘어나는 만큼 간뿐만 아니라 간신증후군, 난치성 복수와 흉수 등의 합병증 사례 역시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다. 알코올성인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알코올성 간질환이 바이러스 간질환에 이어서 만성 간질환의 두 번째로 흔한 원인이며 높다. 그러나 우리나라 국민 정서는 음주와 주취에 관대하며 술은 사회생활을 매끄럽게 하는 윤활유로 여겨지고, 사업, 모임, 친목에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또한 개인의 문제로만 인식되는 경향이 있어 그 위험성이 실제보다 저평가되고 있다. 사례의 환자는 간경변증 합병증으로 복수가 흉막으로 나오는 상태이며, 일반적인 복수와 달리 특별한 케이스이다. 이러한 이유로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에게 적절한 전문적인 간호를 도모하기 위해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정의
    알코올성 간질환은 과다한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간질환을 의미한다. 무증상 지방간부터 알코올성 간염, 간경변, 말기 간부전에 이르는 다양한 질환을 포함한다. 또한 발생 가능성은 유전적인 특징, 성별 등에 따라 개인적인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하루 80g 이상의 알코올을 10~20년간 섭취한 경우, 약 20%에서 알코올성 간경변증이 발생한다.

    원인
    1. 알코올은 소장에서 흡수된다. 동시에 혈액의 알코올은 간으로 보내져 대사된다.
    2. 알코올은 간에서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변하고 사이토카인같은 강력면역물질을 생성한다.(아세트알데하이드가 아세트산으로 대사되지 않고 체내에 잔류되어있는 경우 간세포에 직접적인 독성효과가 있어 간세포의 손상 등 간경변증을 일으키고, 심각할 경우 염증과 조직손상을 일으킨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모성 자간전증(Preeclampsia) 케이스

    목차

    Ⅰ. 서론
    1. 사례 요약
    2. 자간전증 정의
    3. 자간전증 원인
    4. 자간전증 병태생리
    5. 자간전증 증상
    6. 자간전증 진단
    7. 자간전증 치료 및 예방

    Ⅱ. 본론
    1. 간호정보조사지
    2. 진단검사
    3. 약물
    4.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목록
    5.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례 요약
    Olivia Jones는 임신 36주+5일째인 23세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으로 G1P0이다. 그녀는 심한 자간전증 진단을 받았고 평가와 감시를 하기 위해 산부인과에 입원했다.
    정기적인 30주 산전 방문 때까지는 혈압 146/92mmHg, proteinuria, 가벼운 자간전증이 두드러지지 않았다. 하지만 오늘 산전 방문 전까지 집의 침대에서 휴식하다 증상이 심해져 입원했다. 그녀는 일주일 전 산전 방문 이후로 몸무게가 3파운드(1.3kg)증가, 단백질 딥스틱 결과 단백질(+4), ketone(-), glucose(-), dependent edema(+2), facial edema 등의 결과가 나왔다. 또한 아세트아미노펜으로 해결되지 않는 두통을 호소하고 있으며 메스꺼움과 피로감을 느끼고 상복부 통증, 시각변화, 가슴 조임을 호소하고 있다. 뱃속의 태아는 활동적이지만 환자는 평상시보다 다소 조용하다고 말한다. 양막이 조기에 파열될 가능성이 있다. 시뮬레이션 사정 결과, 현재 환자의 상태는 요흔성 부종 (+3), 심부건 반사 (+4), v/s는 BP 171/101, HR 115, BT 37, R 22으로 측정되고 SpO2 89%였으나 비재호흡마스크로 10L/min분의 산소 적용하여 98%까지 상승하였다. FHR은 154이다. 현재 자간전증 증상이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의
    자간전증은 흔히 임신중독증이라고 불리며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성 질환을 말한다.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이란 임신 중 고혈압이 발견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임신 전부터 고혈압이 있거나 임신 20주 이전에 고혈압이 발견되는 경우는 만성 고혈압이라 하고, 임신 20주 이후에 새로이 고혈압이 발견되고 출산 후에 정상화되는 경우 임신성 고혈압이라고 한다. 고혈압과 동반되어 소변에서 단백 성분이 나오거나 혈소판 감소, 간 기능 저하, 신장 기능의 저하, 폐부종, 두통, 흐린 시야 등의 동반 증상이 생기면 전자간증 또는 자간전증이라 하며 이는 질병이 더 진행한 형태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운영계획서] 우리말 겨루기 대회 운영계획서 예시

    목차

    1. 목적
    2. 기본 방침
    3. 세부 추진계획

    본문내용

    1. 목적
    가. 어휘의 사전적 의미를 명확히 알고 그 쓰임을 구분하며 어휘 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
    나. 고유어, 한자 성어와 속담 및 관용어 등 국어의 모든 어휘영역을 중심으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 문학작품 속의 우리말을 익힘으로써 교과 학습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고, 학생들이 단어의 다양한 의미를 정확하게 알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라. 학생들의 인터넷 사용으로 인한 은어와 줄임말 등의 잘못된 우리말 사용을 수정하여 올바른 언어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마. 일상 언어생활에서도 상황에 적합한 어휘를 적절하게 구사할 수 있도록 하여 창의적이고 효과적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운영계획서] 중고등학교 토론대회 운영계획서 예시입니다. 토론대회 운영계획서 작성은 매우 어렵습니다. 따라서 본 자료를 통해 그 같은 고민을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목차

    Ⅰ. 행사 계획
    1. 세부 계획
    2. 대회 진행

    Ⅱ. 심사
    1. 심사위원
    2. 심사내용

    본문내용

    1. 세부 계획
    가. 일시
    1) 예선리그전 : 2024년 4월 12일(금) ~ 7월 12일(금)
    2) 결선토너먼트 : 2024년 8월 30일(금) ~ 10월 18(금)
    3) 결승전 : 2024년 10월 18일(금)
    나. 장소
    1) 예선리그전 : 동아리 학급 교실
    2) 결선토너먼트 : 동아리 학급 교실
    3) 결승전 : 체육관
    다. 주관 : 사회교과부
    라. 참가대상 : 동아리 학급별 대표 3인 1팀
    (1개 학년에서 2명을 초과할 수 없음. 단, 3학년에서 2명 참가는 불가)
    마. 주제 : 탈원전 대책! 안전의 확보인가? 기술의 사장인가?
    ( 부제 : 탈원전 정책에 대한 우리의 선택은? )
    탈원전 정책은 미국 스리마일섬 원자력 발전소 사고,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일본의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겪으면서 세계적으로 공론화되었다. 우리나라는 최근 원전 대책 공론화 위원회를 구성하여 시민들이 참여하고 숙고하여 신규 원전의 건설을 막고, 기존 원전의 가동률을 감소시켜 나가기로 했다. 시민들의 안전 확보라는 측면에서 탈원전 정책이 추진되고 있지만 전기 생산 비용 증가와 또 다른 환경문제에 부딪힐 수 있다는 견해에서 탈원전 정책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우리는 탈원전 대책에 대한 논의를 통해 시사 문제에 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건전한 탐구 및 토론 문화를 정착시키고자 한다.

    바. 접수기간 : 2024년 3월 25일 ~ 2024년 3월 29일 17:00까지 접수
    사. 시 상 :

    구 분
    인 원
    비 고
    금 상
    1팀(3명)
    상장과 부상
    은 상
    1팀(3명)
    상장과 부상
    동 상
    2팀(6명)
    상장과 부상

    출처 : 해피캠퍼스

  • [운영계획서] 중고등학교 리더십 스피치 대회 운영계획서 예시입니다. 많은 이용바랍니다.

    목차

    1. 스피치의 정의
    2. 스피치 대회 개최 목적
    3. 행사 계획
    4. 스피치 대회 세부 진행계획
    5. 스피치 대회의 기대효과

    본문내용

    1스피치의 정의

    많은 청중 앞에서 자기의 주의 · 주장을 말로 전달하는 대중매체(비조직적인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하여 전달하는 대량의 사회정보 및 전달 상황)의 한 형식으로, 화자가 자기 아이디어를 논리적으로 정돈된 적절한 표현 양식으로 제시하여 청자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며 변화를 유도하는 과정이다.

    2스피치 대회 개최 목적

    우리는 지식정보화 사회에 살고 있으며 정보화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은 창의적인 사회적 지도자이다. 창의적인 생각을 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지 못한다면 이 시대에서 원하는 인재가 될 수 없으므로 스피치 능력은 누구나 갖추어야 하는 필수 능력이다. 본 활동을 통해 자기 계발의 기회를 제공하고, 전인교육을 실현하며, 나아가 자기 생각을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통해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고자 한다.

    3 행사 계획

    1. 일시

    ① 전체일정
    2024년 5월 9일 ~ 7월 8일
    ② 예선전
    2024년 5월 9일 : 1조~3조
    2024년 5월 10일 : 4조~6조
    ③ 준결승전
    2024년 6월 14일
    ④ 결승전
    2024년 7월 8일

    2. 장소

    ① 예선전 및 준결승전
    계단강의실, ○○아트홀, 4층 체육실
    ② 결승전
    세미나실

    3. 주관 : 영어 교과부

    4. 참가 대상 : 동아리 학급별 대표 각 1명씩
    (1, 2, 3학년 구분 없음. 단 지난해 스피치 부문 수상자는 참가 대상에서 제외함.)

    5. 신청 서류 : 참가 신청서 1부

    출처 : 해피캠퍼스

  • 신소재프로젝트2 금속 조직변태 A+ 결과레포트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5. 고찰
    6. 출처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순철 및 0.4Wt%, 0.8Wt%의 탄소강을 각각 노냉, 공냉, 유냉, 수냉하여 냉각 속도에 따른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고, 이에 따른 경도를 측정하여 철강의 조직 변태와 그에 따른 기계적 특성을 이해한다.

    2. 실험 이론
    1) Fe-C계 평형상태도
    순철에는 α, r ,δ의 3동소체가 있으며 이것은 역시 C를 용해하며 α, r ,δ의 고용체를 만든다. α고용체는 723℃에서0.025%C를 r 고용체는 1130℃에서2.0% δ고용체는 1490℃에서 0.1%의 C를 용해한다.
    -포정반응(peritectic reaction) : 1495℃
    L(0.53%C) + δ(0.09%C) → γ(0.17%C)
    -공정반응(eutectic reaction) : 1148℃
    L(4.3%C) → γ(2.08%C) + Fe3C(6.67%C)
    -공석반응(eutectoid reaction) : 723℃
    γ(0.8%C) → α-페라이트(0.02%C) + Fe3C(6.67%C)
    A:순철의 응고점(1538℃)AB:융액에서 δ고용체가 정출(晶出)하기 시작하는 온도곡선BC:융액에서 γ고용체가 정출하기 시작하는 온도곡선CD:융액에서 cementite가 정출하기 시작하는 온도곡선AH:0.1%C 이하의 강에서 융액으로 부터 δ고용체의 정출을 완료하는 온도곡선HJB:포정선(peritectic line)으로서 0.1~0.51%C의 강에서는 이온도(1494℃)에서 고상 H(δ고용체)+액상 B ↔고상 J(γ고용체)와 같은 포정반응이 일어난다.HN:δ고용체에서 γ고용체가 정출하기 시작하는 온도곡선JN:δ고용체에서 γ고용체의 정출이 끝나는 온도곡선JE:융액에서 γ고용체의 정출이 완료되는 온도곡선 ECF:공정선(共晶線)으로서 2.14~6.67%C의 Fe-C 합금에서는 이온도에서(1147℃)에서 액상 C ↔고상 E(γ고용체)+고상F(cementite, Fe3C)인 공정반응을 일으킨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신소재프로젝트2 금속 조직변태 A+ 예비레포트

    목차

    실험 목적

    실험 이론
    1. 순철과 탄소강
    2. Fe-C계 평형상태도
    3. 조성에 따른 조직변화
    4. TTT곡선
    5. CCT곡선
    6. 로크웰 경도측정
    7. 냉각

    실험 방법

    본문내용

    실험 목적 : 순철 및 0.4Wt%, 0.8Wt%의 탄소강을 각각 노냉, 공냉, 유냉, 수냉하여 냉각 속도에 따른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고, 이에 따른 경도를 측정하여 철강의 조직 변태와 그에 따른 기계적 특성을 이해한다.

    실험 이론
    1. 순철과 탄소강
    1) 순철
    (1) 순철의 성질: 탄소의 함유량이 0 – 0.025% 정도이므로 연하고 전연성이 풍부하여 기계재료로는 거의 쓰이지 않으나 전기 재료로 많이 사용한다.
    (2) 순철의 변태 : 동소 변태와 자기 변태
    – 동소 변태: 순철에는 α, γ, δ철의 3개 동소체가 있는데 910℃ 이하에서는 α철로 bcc, 910 – 1400℃ 사이에서는 γ철로 fcc이며, 1400℃이상에서는 δ철로 bcc이다.
    – 자기변태: 강은 강자성체이나 가열하면 자성이 점점 약해져서 768℃ 부근에서는 급격히 상자성체가 된다.

    2) 탄소강
    (1) 탄소강의 성질
    ① 물리적 성질과 화학적 성질
    강은 순철에 가까운 ferrite와 cementite가 혼합된 것으로 비중, 열팽창계수, 열전도율은 탄소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나 비열, 전기 저항, 항자력은 증가한다. 또한 내식성은 탄소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고 소량의 Cu가 첨가되면 내식성은 급증한다.
    ② 기계적 성질
    상온에서의 기계적 성질은 아공석강에서는 탄소함유량에 비례하여 거의 직선적으로 변하여 인장강도, 경도, 항복점등은 탄소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고, 공석강에서는 인장강도가 최대로 되며, 연신율 및 단면 수축율은 탄소량과 더불어 감소한다. 또한 과공석강에서는 cementite가 망상으로 나타나므로 인장강도는 탄소가 증가하여도 감소되나 경도는 증가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신소재프로젝트2 금속 분극 A+ 결과레포트

    목차

    □ 실험목적
    □ 실험이론
    □ 실험방법
    □ 실험결과
    □ 고찰

    본문내용

    □ 실험목적
    전기화학적 분극 곡선의 측정에 의하여 금속의 부식 속도를 구하고 분극 곡선 측정이 내식성 재료 선정 및 개발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아본다

    □ 실험이론
    ● 부식(Corrosion)
    금속의 표면에서 주위환경과의 전기적 또는 화학적 반응에 의해 산화 또는 변질되어 가는 것을 부식이라 한다. 부식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전기화학적 기구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이다.

    ● 전기 화학적 부식
    금속 재료를 수용액 중에 넣으면 금속 표면의 불균일성 때문에 Anode(양극)와 Cathode(음극)가 형성되어 국부전지작용에 의해 부식이 진행된다. Anode 부에는 금속이 이온으로 용출하고 Cathode 부에서는 전지를 받아 수소 발생반응(또는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나 전하적으로는 양극이 균형을 이루게된다. 이 경우, Anode 부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산화반응, Cathode 부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환원반응이라고 한다. 또한, 이러한 분극의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금속은 전면 부식형태로 된다.

    ● 금속 부식 계에서 일어나는 산화, 환원 반응과 그 예

    → 갈바닉 전지(Galvanic Cell)
    볼타 전지(Voltaire cell) 라고도 불리며, 자발적인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실험장치 두 종류의 금속을 각각 전해질 용액에 넣었을 때, 얻어지는 전지로, 자발적인 산화-환원 반응에 의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전지는 환원 전극을 통해 전기로 들어가고 산화 전극에서 방출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