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일반물리학 실험 결과보고서> – 속도, 가속도 실험 / 그래프매칭

    목차

    1.실험 제목
    2. 실험 일자 및 시간
    3. 실험 목표
    4. 실험 도구
    5.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7. 결과
    8. 고찰

    본문내용

    1. 실험 제목: 그래프 매칭

    2. 실험 일자 및 시간:
    3. 실험 목표
    –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을 분석한다.
    – 시간에 대한 거리, 시간에 대한 속도의 그래프를 미리 예측하고, 실제로 실험을 통해 확인한다.

    4. 실험 도구: 컴퓨터,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 연결케이블, 센서 연결케이블 1개, 운동기록 센서, USB 플래시 드라이브

    5. 실험 방법

    <실험 1>
    1. ‘문제’과정을 완료한다.
    2. 인터페이스 연결케이블(회색)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와 컴퓨터를 연결한다.
    3. Excel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왼쪽 상단의 ‘새 통합 문서’를 누른다.
    4. 센서 연결케이블(검은색)을 이용하여 운동기록 센서를 인터페이스의 [A] 채널에 연결한다.
    5. 리본 메뉴 중에 [추가기능]을 누른다.
    6. [실험설정] → [입력설정] 에서 [측정간격]을 0.05초로 바꾼다. [적용]을 누른다.
    7. [실험설정] → [채널설정]에서 운동기록 센서가 잡히는지 확인한다.
    ※ 만일, 운동기록 센서(모션 디텍터) 외의 다른 센서가 잡히거나, ‘터미널 블록’이라고 나타나면, 연결이 잘 안되었을 확률이 높다. 인터페이스의 전원이 잘 들어왔는지 확인한 후에 센서 연결 케이블을 점검한다.
    8. [실험설정] → [설정]의 ‘비주얼 스튜디오로 실험하기’의 체크를 해제한다.
    9. [과학실험] → [실험시트 만들기] → [그래프]를 누른다.
    10. 아래의 그림과 같이 운동기록 센서는 테이블의 한쪽 끝에 세워 두고, 물체는 약 30 cm 떨어진 곳
    에 세워 둔다.
    * 운동기록 센서는 충격에 상당히 약하므로 충격을 가하거나 부딪히지 않게 주의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반물리학실험 결과보고서>- 회전운동 실험

    목차

    1.실험 제목
    2. 실험 일자 및 시간
    3. 실험 목표
    4. 실험 도구
    5.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7. 결과 분석
    8. 고찰

    본문내용

    실험제목 – 회전운동

    실험일자 및 시간-

    실험 목표
    – 에너지 보존을 이용하여 관성 모멘트를 측정한다.
    – 다양한 물체의 관성 모멘트를 측정하여 이론값과 비교한다.

    실험 도구

    – 컴퓨터,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 연결케이블, 센서 연결케이블, 모션 디텍터, 쇠구슬, 플라스틱 파이프, 각도기, 버니어캘리퍼, 트랙

    실험 방법

    1. 인터페이스를 연결한 후 Excel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2. 모션 디텍터가 잘 작동하는지 확인한 후에 클램프를 트랙에 부착한다.

    3. 위의 그림과 같이 트랙을 약간 기울이고, 각도기를 이용하여 트랙이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한다. 부
    착한 클램프와 모션 디텍터 바닥쪽의 구멍을 연결한다.
    ※ 트랙은 10° 이하로 기울인다. 각도를 매우 정밀하게 측정 해야 하므로 스마트폰의 각도 측정

    출처 : 해피캠퍼스

  • 인간과환경 재생에너지 리포트

    목차

    Ⅰ. 재생에너지란

    Ⅱ. 재생에너지의 종류와 각 장단점
    1. 태양광
    2. 태양열
    3. 풍력에너지
    4. 해양에너지
    4.1.1. 조력발전
    4.1.2. 조류발전
    4.1.3. 파력발전
    4.1.4. 해수온도차 발전
    5. 바이오매스에너지
    6. 지열에너지
    7. 폐기물에너지
    8. 소수력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재생에너지란
    재생에너지란 햇빛, 바람, 비, 조수, 파도, 지열과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보충되는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부터 수집되는 에너지를 말한다. 재생에너지에는 태양광, 태양열, 풍력에너지, 해양에너지, 바이오매스에너지, 지열에너지, 폐기물에너지, 소수력 총 8종이 있다.

    Ⅱ. 재생에너지의 종류별 특징과 장단점
    1. 태양광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핵심 부품인 태양전지는 태양의 빛에너지를 모아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장치이다. 태양광발전은 용도에 따라 자가용과 발전용으로 구분되며, 발전용은 설비 총량에 따라 대규모 발전과 소규모 발전으로 나뉜다.
    태양광의 경우 햇빛이 닿는 곳이라면 발전할 수 있어 공간적 제약이 적다는 장점이 있고, 모터를 사용하지 않아 소음공해나 진동이 발생하지 않고 유지보수가 쉽다.
    하지만 초기비용과 발전단가가 높고, 전력 생산량이 일사량에 의해 달라지기 때문에 주된 에너지 생산으로는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 단점이다. 또, 기본적으로 햇볕을 이용한 발전이므로 계절, 날씨, 위치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태양광발전은 일출과 함께 발전을 시작해 일조량이 많은 정오에서 오후 1시 사이의 최대 발전을 하고 일몰 후 발전을 마치는 일일 주기를 갖는다. 많은 일조량 확보를 위해선 위도가 낮고 산이 적은 지역과 태양광 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바람이 많이 부는 해안가 지역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2. 태양열
    태양열은 고온으로 집광 된 태양 복사에너지를 열원으로 이용해 터빈이나 엔진을 구동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태양 빛은 에너지 밀도가 낮아 고온을 얻기 위해선 소규모 분산형보단 다수의 반사판을 사용한 대규모 중앙 집중형 발전이 적합하다. 태양열의 집열 방식에 따라 난방, 급탕, 발전 등으로 구분되고, 이러한 태양열에너지는 주로 건물에 온수나 난방에 사용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 일반물리학실험 결과보고서 > 마찰력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일자 및 시간
    3. 실험 목표
    4. 실험 도구
    5.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7. 결과 분석
    8. 결론
    9. 고찰

    본문내용

    1. 실험 제목: 마찰력

    2. 실험 일자 및 시간:

    3. 실험 목표
     나무블록과 테이블의 최대정지 마찰계수와 운동 마찰계수를 구한다.
     수직항력과 마찰력의 관계를 확인한다.
     표면에 닿는 넓이와 마찰력의 관계를 확인한다.
     표면의 상태와 마찰력의 관계를 확인한다.

    4. 실험 도구: 컴퓨터,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 연결케이블, 센서 연결케이블 1개, USB 플래시 메모리, 힘 센서 1개, 나무블록 1개, 나무블록 1개, 말굽 추(100g 1개, 200g 1개), 500g 추 1개, 사포 1장, 실, 가위

    5. 실험 방법
    예비실험
    1. 인터페이스를 연결한 후 Excel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2. 힘 센서를 인터페이스에 연결한다.
    3. [실험설정] → [입력설정] 에서 [측정간격]을 0.05초로 바꾼다.
    4. 힘 센서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실험설정] → [센서설정]으로 들어가서 센서교정의 [교정하기]를 누른다. [교정]을 누른 후 [닫기]를 누른다.
    ※ 힘 센서는 매 실험마다 영점을 다시 잡아줘야 한다.
    5. 아래의 그림과 같이 나무블록의 부직포가 없는 넓은면이 바닥으로 향하게 두고, 나무블록의 고리와 힘 센서를 실로 연결한다.

    6. [차트 만들기] → [종합차트만들기]를 눌러서 힘-시간 그래프를 만든다.
    나무블록 위에 여러가지 추를 올려서 데이터가 가장 잘 나오는 질량 조건을 찾을 것이다. 찾은 조
    건으로 ‘본 실험’을 진행하라.
    7. [실험시작]을 누르고 힘 센서를 잡고 천천히 당긴다. 나무블록이 움직이기 시작하면 등속운동 해야 한다. 충분히 움직인 후 [실험중지]를 누른다.
    ※ 힘 센서의 고리를 잡고 물체를 움직일 때 윗방향이나 아랫방향으로 힘을 주지 않도록 한다. 또한 추가 나무블록을 벗어나지 않도록 너무 강하게 잡아당기지 않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반물리학 실험 결과보고서> – 역학적에너지보존

    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표
    3. 실험도구
    4. 실험과정
    5. 실험결과
    6. 결론
    7. 고찰

    본문내용

    실험제목 – 역학적 에너지 보존

    실험목표 – 외력이 작용할 때 에너지가 보존이 되는지 확인한다.

    실험도구 – 컴퓨터,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연결케이블, 센서 연결케이블, 포토게이트, 도르래, 도르래 고정대, 분동추(20g 2개, 50g 3개), 용수철, 카트, 스토퍼 2개, 트랙, 실, 가위

    실험과정

    실험 1
    1. 인터페이스를 연결한 후 Excel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포토게이트를 반드시 [A] 채널에 연결한다. 포토게이트 중앙의 홈에 도르래를 연결한다.

    ※ 포토게이트의 위쪽 허브에 센서연결 케이블을 연결하고, 포토게이트 상단의 스위치가 안쪽으 로 향해 있는지 확인한다.
    2. 아래 그림과 같이 짧은 스토퍼를 트랙에 설치한다. 그리고 스토퍼 쪽에 도르래 고정대를 이용하여 도르래를 연결한 포토게이트를 설치한다.

    3. 카트 앞쪽의 구멍에 실을 연결하고, 실이 도르래를 지나 트랙 아래로 늘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실 끝에는 분동추를 연결한다. 카트와 도르래 사이의 실이 트랙과 최대한 평행하도록 도르래의 높이를 조절한다.
    ※ 실의 길이는 카트가 스토퍼에 닿았을 때, 분동추가 바닥에 닿지 않을 정도로 해야 한다.
    질문! 분동추의 무게는 어떻게 해야 할까? (Hint. 운동시간이 너무 짧으면 안 된다.)
    4. [과학실험] → [실험시트 만들기] → [속도, 가속도 – 포토게이트]를 선택한다.
    5. 실 끝에 단 분동추가 도르래에 닿을 정도로 카트를 뒤쪽으로 옮긴다.
    6. [실험 시작]을 누르고 카트를 놓는다. 카트가 스토퍼와 부딪친 후에 [실험 중지]를 누른다.
    ※ 카트를 손에서 놓기 전에 분동추의 흔들림 때문에 실험값이 나오면 안 된다. 분동추의 높이를 조절하여 실험을 다시 시작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본 명문 감상 5과 본문 해석 및 후리가나, 문형

    목차

    없음

    본문내용

    サラダの謎
    샐러드의 수수께끼

    私(わたし)はごく普通(ふつう)のフランス風(ふう)のサラダが好(す)きである。レタスとトマトを、酢(す)とオリーブ油(ゆ)でドレスしただけの簡単(かんたん)なサラダのことである。洋食(ようしょく)は、一般(いっぱん)にいってあまり好(す)かないが、このサラダだけは例外(れいがい)で、食卓(しょくたく)に出(で)ていると、つい先(さき)に手(て)が出(で)る。
    나는 지극히(아주) 평범한 프랑스식 샐러드를 좋아한다. 양상추와 토마토를, 식초와 올리브유로 드레싱한 것뿐인 간단한 샐러드다. 양식은, 일반적으로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이 샐러드만큼은 예외로, 식탁에 나와있으면, 바로 먼저 손이 나간다.
    ものの好(す)き嫌(きら)いなどというものは、たいてい子供(こども)の頃(ころ)か、せいぜい二十代(にじゅうだい)までの生活(せいかつ)環境(かんきょう)できまるものらしい。私(わたし)がこのサラダを好(す)きになったのは、若(わか)い頃(ころ)、もう三十年(さんじゅうねん)も昔(むかし)のことであるが、ロンドンに留学(りゅうがく)していた頃(ころ)に、下宿(げしゅく)で毎晩(まいばん)非常(ひじょう)にうまいサラダを食(く)わされたのが、今日(きょう)まで後(あと)をひいているようである。
    사물의 호불호라는 것은, 대개 어린 시절이나, 기껏해야 20대까지의 생활환경으로 결정되는 것 같다. 내가 이 샐러드를 좋아하게 된 것은, 젊은 시절, 벌써 30년이나 옛날의 일이지만, 런던에 유학했었던 시절에, 하숙집에서 매일 밤 아주 맛있는 샐러드를 먹게 되었던 것이, 오늘날까지 뒤를 잇고 있는 듯하다. (여운이 남는 것 같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A+]케이스스터디_Enteritis_장염_사례보고서_간호과정

    목차

    Ⅰ. 서론 및 문헌고찰
    A. 정의
    B. 병태생리
    C. 증상 및 징후
    D. 진단적 검사
    E. 치료 및 간호중재

    Ⅱ. 간호력

    Ⅲ. 신체검진

    Ⅳ. 검사소견

    Ⅴ. Problem List

    Ⅵ. 우선순위

    Ⅶ.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의 적용

    Ⅷ. 결론

    Ⅸ.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및 문헌고찰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장염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기생충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장관의 염증을 의미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2년~2016년인 5년간 장염 환자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2년 468만명에서 2016년 545만 명으로 77만 명이 증가(연평균 3.9%) 하였다. 오늘 날인 현대사회에 있어 변화하는 식습관으로 인해 장염에 시달리는 사람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누구나 다 걸릴 수 있는 질환이지만 특히, 면역 결핍자에서 감염된 경우는 중한 경과를 밟을 수 있으며 노인은 주로 면역력이 낮거나 노인성 질병을 갖고 있기에 회복 속도가 다소 늦을 수 있다.
    실습장소인 혈액종양내과, 소화기내과가 함께 있는 508병동에서 또한 장염을 앓고 있는 성인 환자분이 계셨고, 빈번하게 발생하는 질환의 발병과정 및 간호는 더 자세히 알아두어야 하므로 이 분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에 본 사례연구를 통해 대상자에게 적합한 간호방법을 습득하여 보다 효과적인 간호와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보고자 하였다.

    A. 정의
    장염(Enteritis)이란 장관 점막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급성장염과 만성장염으로 구분된다.
    ㆍ급성장염이란 장관의 급성 염증성 변화를 말하며, 원인이 분명한 것은 원인의 이름(예: 세균성 바이러스성 장염 등)으로 부르고, 원인이 불분명한 것을 급성장염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염증이 주로 소장에 있는 경우는 묽은 설사, 심와부통, 방주위통, 구토를 호소하고, 대장에 있는 경우는 하복부나 뒤무직(tenesmus. 시원하지 않음)을 호소하고, 점액 및 고름이나 혈액이 섞이는 경우도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CBD stones 총담관결석 사례보고서/케이스스터디 (진단 6개, 과정 3개)

    목차

    1. 성인 건강사정 도구
    2. 신체사정 지침
    3.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_ 총담관 결석 (CBD stones)
    4. 진단검사
    5. 간호문제 우선순위
    6. 간호과정 기록지

    본문내용

    *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_ 총담관 결석 (CBD stones)

    1. 원인
    ⦁담즙 성분의 변화 : 담즙에 콜레스테롤이 과포화되어 있으나 담즙산염이 부족하다 담즙의 콜레스테롤 포화상태는 연령과 함께 증가하고 있음을 보인다.
    ⦁ 담낭의 정체 : 담즙 구성 성분의 변화, 담즙에 콜레스테롤의 과포화, 담즙 구성 성분을 침전시킬 수 있다. 이는 담낭의 수축성 감소와 오디괄약근의 경련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감염 : 염증으로 인해 떨어져 나간 조직의 파편들은 담석이 성장하기 위한 일종의 핵이 될 수 있다. 염증과 관 련된 조직 손상이 담즙산염과 레시틴의 재흡수를 증가시켜 담즙의 성분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유전

    2. 병태생리
    ⦁콜레스테롤 담석 : 콜레스테롤의 용해도는 담즙에 포함된 담즙산이나 레시틴 성분의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 간에서 담즙산의 합성은 감소하고 콜레스테롤이 과포화 상태가 되므로, 침전되어 담석을 형성하게 된다.
    ⦁색소성 담석 : 비결합성 빌리루빈이 담석을 형성한 것으로, 검은 것, 흑색의 칼슘빌리루빈산염 담석으로 분류된다.
    ⦁혼합형 담석 : 콜레스테롤 담석과 색소성 담석의 결합물이거나 둘 중 어느 하나와 칼슘 탄산염, 인산염, 담즙산염 등이 담석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3. 증상
    담석은 다른 질병의 수술 중 우연히 발견되건나, 담석과는 무관한 다른 질병의 진단 과정 중 발견될 수 있다. 담석증에 의한 대부분의 담낭질환 환자들은 담낭 자체의 질환으로 인한 증상과 담즙 흐름의 폐쇄로 인하여 발생하는 증상들을 경험하게 된다.
    증상들은 급성적이거나 만성적일 수 있는데, 명치통증(epigastric pain)이나 불편감, 복부 팽만, 오른위사분역(RUQ)에 경미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감은 기름에 튀기거나 지방 성분이 많은 음식을 먹었을 때 일어날 수 있다. 오른위사분역에서 등과 오른쪽 견갑골 부위로까지 방사되는 담석 산통을 겪게 된다. 이때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되며, 특히 과식한 지 몇 시간 후에 눈에 띄게 나타난다. 담낭질환 환자의 일부에서 총담관이 폐쇄됨으로써 황달이 발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보건의료법규A+] 정책보고서-간호법

    목차

    Ⅰ. 입법취지
    Ⅱ. 법적기준
    Ⅲ. 간호실무 영향력
    Ⅳ. 입법지지 찬성과 근거
    Ⅴ. 입법 활동 및 성찰
    Ⅵ. 참고자료

    본문내용

    Ⅰ. 입법취지
    우리나라는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한 이후 2026년에는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고령인구인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인구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의료 및 간호 서비스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주민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지역사회 통합돌봄체계 구축을 위한 간호ㆍ돌봄 인력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같은 감염병 대응 및 치료를 위한 숙련된 간호사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의료법」은 1951년 제정된 「국민의료법」에 기반한 의료인과 의료기관 규제 중심의 법률로서 고도로 발전된 현대 의료시스템에서 변화되고 전문화된 간호사 등의 역할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숙련된 간호사 등을 장기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열악한 근무환경의 개선과 지역 간 인력 수급 불균형의 해소를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간호 정책의 시행이 필요하나, 현행 의료법에는 이와 관련된 규정이 미비한 상태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나는 누구인가, 자아정체성에 대해/ 소설 <불멸>, 영화 <공각기동대>를 통해

    목차

    I. 서론 <자아란 무엇인가? ; 「불멸」과 「공각기동대」>

    II-1. <불멸하는 것은 나인가?>
    II-2. <무엇이 나인가?>

    III. 결론 <자아정체성은 무엇인가>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아란 무엇일까? 우리는 살아가며 ‘자아’라는 단어를 많이 듣고, 사용한다. 자아의 한자 뜻풀이를 하자면, 스스로 자(自)에 나 아(我)자를 사용한다. 나 스스로라는 말이다. 내가 생각하는 나, 스스로 자각 하는 나, 자기 자신 등의 여러 의미로 우리는 ‘자아’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이 글에서는 밀란 쿤데라의 소설 「불멸」과, 1995년의 영화 「공각기동대」를 중심으로 자아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밀란 쿤데라의 「불멸」에서는 상반된 두 여성이 등장한다. 바로 아녜스와 그녀의 동생 로라이다. 그리고 쿤데라는 작품에서 ‘덧셈법과 뺄셈법’이라는 자아의 유일성을 가꾸는 두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아녜스는 뺄셈법을 보여주는 인물로, 자신의 순수한 본질에 다가가기 위해 자아에서 외적인 것들을 모두 제거한다. 반면에 동생 로라는 자신의 자아를 좀 더 잘 보이게 하고, 좀 더 파악하기 쉽게 하고, 좀 더 두텁게 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덧붙여 그것에 자기를 동기화한다. 「공각기동대」에서는 일부의 뇌와 척수를 가진 쿠사나기라는 인물과 ‘고스트’라는 개념을 통해 자아를 말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