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A+) 정신간호학 – 정신재활에 대한 사례학습

    목차

    1. 정신 재활 사례
    2. 사례학습을 통해 알게된 점
    3. 사례학습 후 실무적용 방안
    4. 추가 ) 자료조사용 뉴스기사 2개 (영상1, 기사1) 첨부

    본문내용

    1. 정신 재활 사례

    ① (믿어요 울산) 정신 장애인 바리스타가 만드는 커피 – 울산MBC뉴스

    ‘정신장애인이 만드는 달콤한 커피’
    울산광역시 남구 무거건강생활지원센터 1층 히즈빈스 카페에서 커피를 내리는 이들은 모두 정신장애인들이다.
    청년 바리스타 지도자 한명과 함께 정신장애인 바리스타 7명이 직접 커피를 만든다. 양극성장애, 우울증, 조현병 등 각자 다른 이름의 정신장애를 겪고 있다.
    [오소라(‘히즈빈스 카페’ 매니저)] : “메뉴가 많기는 해도 다 일반인처럼 하실 수 있어서. 다 자격증이 있으시거든요. 바리스타 자격증이 다 있으세요.
    편견 속에 갇혀있던 이들이 세상에 나오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남구 보건소와 지역재활시설이 바리스타 직업재활을 시작한건 지난 2015년. 정신장애인 13명이 자격증을 취득했지만 취업으로 이어지지 않았고, 결국 ‘직업재활’ 보건소, 재활시설, 사회적기업이 손을 잡고 나서 이들이 출근할 일터를 만들었다.
    [윤혜선(바리스타)] : 커피가 잘 안 만들어질 때도 있어서 기분이 좀 안 좋을 때도 있는데 잘 만들어질 때는 기분이 좋은 것 같아요.
    수년간 연습한 커피기술을 이제서야 선보일 수 있게 된 장애인 바리스타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A+] 케이스스터디_Gastric cancer_위암_사례보고서

    목차

    Ⅰ. Admission Note
    Ⅱ. 간호력
    Ⅲ. 신체검진
    Ⅳ. 검사소견
    Ⅴ. Problem List
    Ⅵ. 우선순위
    Ⅶ.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의 적용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Admission Note
    ∎입원일자 : 2023.02.27
    ∎입원과 : 혈액종양내과

    [주호소]
    abdominal pain, for CTx

    [현병력]
    # 2022.10 AGC
    상기질환에 대하여 CTx 및 Supportive care 위해 입원

    [과거력]
    HTN / DM / Dyslipidemia / TB (+/-/-/-)
    OP Hx : –
    Family Hx : 아버지(Lung ca)
    Alcohol : Former(Type: 소주, Quantity Unit: 1병, Frequency: 4회/주)
    Smoking : Former(Type: Cigarettes, Quantity Unit: 1 pack, Frequency: 1 pack/일)

    [계통문진]
    General
    General fatigue / general weakness (-/+)
    febrile / chilly sense (-/-) myalgia (-)

    GI Sx
    Anorexia / nausea / vomiting / diarrhea / constipation (+/-/-/-/+)
    abd pain / td / rtd (+/-/-)

    URI Sx
    c/s/r/sore throat (-/-/-/-)
    tonsil enlargement / redness / injection / exuadate / white patch (-/-/-/-/-)

    Neurologic
    headache / dizziness / insomnia / unilateral limb weakness (-/-/-/-)

    ENT
    Sore throat / voice change (-/-)

    Cardiovascular / Respiratory
    dyspnea / chest pain / palpitation / cough / hemoptysis (-/-/-/-/-)

    GU Sx
    Genitourinary / frequency / residual urine sense (-/-/-)
    gross hematuria (-)

    출처 : 해피캠퍼스

  • 국외 ADHD 논문 초록(6편) 번역

    목차

    1) Grommet, E. K., Hemmes, N. S., & Brown, B. L. (2019). The Role of Clock and Memory Processes in the Timing of Fear Cues by Humans in the Temporal Bisection Task. Behavioural Processes, 164, 217-229. *IF= 2.008
    2) Baumann, A. A., & Odum, A. L. (2012). Impulsivity, risk taking, and timing. Behavioural processes, 90(3), 408-414. *IF= 1.507
    3) Fayolle, S. L., & Droit-Volet, S. (2014). Time perception and dynamics of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s. PLoS One, 9(5), e97944. *IF= 2.776
    4) Droit-Volet, S. (2013). Time perception, emotions and mood disorders. Journal of Physiology-Paris, 107(4), 255-264. *IF= 2.45
    5) Lake, J. I., LaBar, K. S., & Meck, W. H. (2016). Emotional modulation of interval timing and time perception.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64, 403-420. *IF= 8.299
    6) Ptacek, R., Weissenberger, S., Braaten, E., Klicperova-Baker, M., Goetz, M., & Stefano, G. B. (2019).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Perception of Time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 Review. Medical Science Monitor: international Medical Journal of Experimental and Clinical Research, 25, 3918. *IF= 1.405

    본문내용

    1) Grommet, E. K., Hemmes, N. S., & Brown, B. L. (2019). The Role of Clock and Memory Processes in the Timing of Fear Cues by Humans in the Temporal Bisection Task. Behavioural Processes, 164, 217-229. *IF= 2.008
    공포가 타이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Scalar Expectancy Theory가 제안한 두 가지 설명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왜 공포 자극의 지속 시간이 중립 자극의 지속 기간에 비해 과대평가되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한 가지 가능한 설명은 공포가 가상의 내적 시계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자극제 역할을 한다는 것이고, 또 다른 설명은 공포가 시간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킨다는 것입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강박장애 사례보고서- 불안과 관련된 자살위험성, 강박행동과 관련된 비효과적 대처

    목차

    1. 정신상태 검진(MSE, Mental status examination)
    2. 간호진단
    3. 간호진단에 따른 목표 및 계획

    본문내용

    1. 정신상태 검진(MSE, Mental status examination)

    •일반적 외모
    -위생상태 : 168cm 정도의 키에 보통체격, self care는 양호한 편임.

    -전반적 태도 : 말의 속도는 normal tone에 normal range speech

    -얼굴표정 : 힘없는 모습

    -대인관계양상(행동) : 병실에 누워지내고, 힘없는 모습으로 응급실 침대에 누워 있었음, 면담 시 비교적 협조적인 모습이며, eye contact 양호함.

    • 사고의 과정과 형태 : irrelevant, coherent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케이스스터디, 응급실 ER 실습

    목차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및 징후

    2. 사례연구 대상자의 인상적인 순간에 대한 Nursing narrative 작성

    3. 환자성명, 성별, 나이

    4. 응급실 도착 당시의 주호소(C.C)

    5. 현병력

    6. 실시한 응급검사(종류, 목적, 정상치, 결과 등)
    1) ABGA 검사
    2) 일반화학
    3) 혈액학
    4) 영상검사
    5) 미생물검사

    7. 실시한 응급치료(시술 및 약물투여) 및 간호
    1) 산소공급
    2) 약물투여

    8. 치료경과 및 계획

    9. 문헌고찰 : 응급사례에 대한 자가학습
    1) 호흡곤란
    2) 감별진단
    3) 병력청취 및 신체검진

    10. 간호과정 (SOAPIE)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11.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 정의
    (1) 호흡곤란
    호흡곤란은 호흡기질환 환자에게 흔히 볼 수 있으며, 불편감을 동반하기 때문에 빠른 호흡과 과다호흡과는 구별되는 증상으로 호흡곤란의 종류, 증상의 정도, 기간, 시작 시간, 급/만성 여부, 유발요인, 악화요인, 완화요인을 확인하고 활동이나 운동으로 악화되는 여부, 관련 자세들을 확인한다.

    (2)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폐염증으로 폐실질 파괴와 소기도질환이 발생하여 이로 인해 기도에서의 공기흐름제한이 진행되고 호흡곤란과 COPD의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기도에서 공기흐름 제한, 공기포획 가스교환장애, 점액증가를 보이고 진행단계에서 폐고혈압, 전신 증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다양한 원인으로 염증반응이 시작되고 정상적인 기도의 방어기전과 폐조직 복원이 저하되며 폐조직의 파괴가 유발된다.

    (3) COPD 급성악화
    COPD의 급성악화는 기본적인 호흡기증상이 매일매일의 변동범위를 넘어서 치료약제의 변경이 필요할 정도로 급격히 악화된 상태이다.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가장 흔한 원인은 기도감염이다. 약물치료는 기관지확장제, 스테로이드, 항생제가 사용되며 예방을 위하여 호흡재활치료, 금연, 예방접종과 규칙적인 약제 투약이 권장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불안정한 혈당수치와 관련된 비효과적 건강관리- 여성간호학

    목차

    1. 간호진단
    2. 간호계획
    3. 간호수행 및 평가

    본문내용

    간호수행 및 평가
    수행
    1. V/S을 4시간 마다 측정하였다.
    – V/S은 신체상태를 알 수 있는 지표로서 주기적으로 사정한다.
    2. 하루 3회 혈당검사를 측정하였다.
    -Gestational diabetes산모에게는 공복, 식후1h. 식후2h,에 혈당을 측정하는데 혈당조절이 안될 경우 추가적으로 혈당을 측정한다.
    3. 고혈당 징후를 사정하였다.
    -고혈당으로 인한 세포의 탈수와 다뇨현상으로 상실한 수분을 보충하고 순환혈액량의 수분보충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1. 처방된 인슐린을 투여하였다.
    -처방된 약물을 적절한 시기에 투여하여 혈당을 관리하기 위함이다
    2. 처방에 따라 당뇨식이를 제공하였다.
    -정상 혈당 및 체중을 유지하고 정상 지질수치와 혈압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3. 대상자에게 조용하고 편안한 장소를 제공하였다.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고하여 대상장가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서울대학교 화실 A+] 색소의 분리와 흡광 분석 결과보고서

    목차

    1. [ Data & Results & Analysis ]
    1.실험에서 표로 얻은 흡광 스펙트럼을 그래프로 그려서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Y, B, M 용액의 몰농도, 최대 흡수 파장, 흡광도, 몰흡광 계수를 구한다.
    (1)Y 용액의 흡광 스펙트럼 분석 – 최대 흡수 파장과 흡광도 구하기
    (2)B 용액의 흡광 스펙트럼 분석 – 최대 흡수 파장과 흡광도 구하기
    (3)M 용액의 흡광 스펙트럼 분석
    (4)Y, B, M 용액의 몰흡광 계수 구하기
    2.Y, B 용액에 대한 검정 곡선을 그리고 M 용액에 든 색소 Y, B의 전체 몰수 및 단위 부피당 몰수, 그리고 색소Y와 B의 몰 비율을 구한다.
    (1)Y 용액의 검정 곡선
    (2)B 용액의 검정 곡선
    (3)색소 Y와 B의 몰 비율 구하기
    3.C-18 카트리지를 통해 분리된 Y, B 용액의 흡광도를 구하고 이로부터 분리된 각 용액에 들어 있는 색소 Y, B의 몰수와 회수율을 구할 수 있다.

    2. [ Discussion ]

    3. [ Assignment ]
    1.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청색1호, 황색5호 색소의 루이스 구조식을 그리고 실험 결과가 아닌 루이스 구조식을 기반으로 어떤 색소가 더 극성이고 무극성일지 추측해보시오.
    2.우리가 색소 용액의 농도를 묽혀서 찍는 이유는 용액의 흡광도가 1이 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왜 용액의 흡광도 측정 시 흡광도가 1이 넘어가면 그 결과를 신뢰하기 어려운지 설명하시오.

    4. [ Reference ]

    본문내용

    [ Data & Results & Analysis ]

    1. 실험에서 표로 얻은 흡광 스펙트럼을 그래프로 그려서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Y, B, M 용액의 몰농도, 최대 흡수 파장, 흡광도, 몰흡광 계수를 구한다.
    (1) Y 용액의 흡광 스펙트럼 분석 – 최대 흡수 파장과 흡광도 구하기
    다음은 3.073×10-4mol/L의 농도를 가지는 Y 색소 원액을 각각 1/8, 1/12, 그리고 1/24로 희석한 용액의 흡광 스펙트럼 그래프이다.

    각 스펙트럼 그래프에 나타난 최대 흡수 파장 지점과, 그 지점에서의 흡광도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8 1/12 1/24
    최대 흡수 파장(nm) 484.512 484.512 484.512
    흡광도(AU) 0.811 0.561 0.282

    세 그래프의 y축을 보거나, 위의 표를 보면 흡광 분석을 하는 용액의 농도가 낮아질수록 피크의 높이 또는 이에 해당하는 흡광도의 값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대인관계.1학년 과제.학기 중 학습한 이론 2가지를 선정하여 자신의 생각을 기술하고, 실생활 적용방안 제시

    목차

    1. 공감적 경청
    2. 칭찬의 힘
    3. 참고자료

    본문내용

    1. 공감적 경청
    공감이란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공유 할 수 있는 능력으로 말로 표현되지 않는 생각과 감정까지도 파악하려는 노력을 통해서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려는 것이다
    경청이란 공감적 경청은 상대방의 말을 듣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전달하고자 하는 말의 내용은 물론이며, 그 내면에 있는 동기나 정서에 귀를 기울여 듣고 이해한 바를 상대방에게 피드백 해 주는 것, 즉 말하는 사람의 입장(감정이입의 상태로)에서 이야기를 들어주고 공감해 주는 것이다.

    공감적 경청은 상대방의 마음을 여는 가장 좋은 지혜이다. 진정한 경청은 말하는 상대의 생각과 마음을 읽는 것으로 말하는 사람이 이해 받고 있다고 느끼게 하는 것이다.
    ‘제대로 된 듣기’는 귀 뿐만 아니라 마음으로 들어야 한다. ‘단순하게 듣기’는 경청이 아니다. ‘단순 듣기’는 그저 단어를 듣고 있을 뿐이다. 이것은 제대로 된 듣기가 아니다. 그 사람이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마음을 헤아리면서 주의 깊게 들어야 한다.

    이번 학기 교수님의 강의를 통해서 공감적 경청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으며, 그 의미를 마음속에 잘 되새기면서 실생활에 어떻게 적용 할 수 있을지 알아보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서혜부탈장 – 수술 후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목차

    1.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사정하시오.

    2. 대상자의 자료를 수집하시오.

    3.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결과
    1) 혈액검사
    2) 영상검사

    4. 대상자의 약물치료 현황

    5. 간호진단

    6. 간호계획

    7. 간호수행 및 평가

    본문내용

    1. 정의
    정상적인 경우 복강 안의 장기는 복막 안에 존재하는데 이러한 장기가 복벽(복강 앞쪽의 벽)의 약한 부분을 통해 복강 밖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탈장이라고 하며, 특히 서혜부(사타구니) 주위를 통해 빠져 나온 경우를 서혜부 탈장이라고 한다. 직접 탈장은 서혜부 후복벽의 약한 부분을 통해 튀어나오게 되고, 간접 탈장은 선천적으로 막혔어야 하는 서혜부 관(복강에서 사타구니를 거쳐 음낭으로 연결되는 길)이 열린 채로 남아있어 이를 통해 장기가 빠져 나오는 경우를 말한다.

    2. 원인 및 병태생리
    직접 탈장은 복벽(복강 앞쪽의 벽)이 약해진 상태에서 복강 내 압력이 올라가는 경우 장기가 복강 밖으로 빠져 나와 발생하며, 간접 탈장은 선천적으로 막혔어야 하는 서혜부 관(복강에서 사타구니를 거쳐 음낭으로 연결되는 길)이 열린 채로 남아있는 상태에서 복압이 올라가는 경우 발생하게 된다.

    3. 증상
    간간히 사타구니가 부풀어 오르는 증상을 호소하며, 대개는 힘을 주거나 장시간 서 있는 것과 연관을 보인다.또한 덩어리가 만져지지 않는데도 한 쪽 사타구니가 불편한 것을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의도적으로 변을 보거나 기침을 할 때처럼 배에 힘을 주게 되면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남자의 경우 고환까지 덩어리가 내려와 만져지는 경우가 있다. 드물게는 사타구니에 이상한 점이 관찰되지 않으면서 소장 폐색 증상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직접 탈장은 서혜부 후복벽의 약한 부분을 통해 튀어나오게 되고, 간접 탈장은 선천적으로 막혔어야 하는 서혜부 관(복강에서 사타구니를 거쳐 음낭으로 연결되는 길)이 열린 채로 남아있어 이를 통해 장기가 빠져 나온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급성충수염 진단명3 (문헌고찰, 진단명, 랩검사 0, 계획x)

    목차

    1.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사정하시오.

    2.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결과
    1) 혈액검사

    3. 간호진단

    본문내용

    1. 정의
    충수염이란 맹장 끝에 6~9cm 길이로 달린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흔히 맹장염이라고 불리는데, 이것은 잘못된 명칭이다. 충수염은 진행된 정도에 따라 조기 충수염, 화농성 충수염, 괴저성 충수염, 천공된 충수염 등으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항생제와 수액 치료가 발달함에 따라 만성 충수염도 발생하고 있다.

    2. 원인 및 병태생리
    충수염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대부분 충수돌기 개구부가 폐쇄되면서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대의 경우에는 점막 하 림프소포(lymphoid follicle)가 지나치게 증식하여 폐쇄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으며, 성인의 경우 대변이 딱딱하게 굳어 덩어리가 된 분석(fecalith)에 의해 폐쇄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3. 증상
    95% 이상에서 복통이 발생한다. 이 외 식욕부진, 오심, 구토(80%)가 있으면서 국소적으로 복부 압통과 발열이 있다. 복통은 초기에는 상복부 통증이 모호하게 있다가 점차 우측 하복부로 국한되어 통증이 발생한다. 그러나 비전형적으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충수돌기의 위치에 따라 우측 옆구리에 통증이 있을 수도 있으며, 골반 내에 위치하는 경우 이급후증(배변 후에도 변을 보고 싶은 증상) 및 치골 위쪽의 모호한 불편감이 나타날 수 있다. 이 외에도 장폐색 증상, 복막염, 변비, 설사 등을 주 증상으로 호소할 수도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