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실습> [A] 모의수업지도안 최종 세종한국어 (-(으)니까)

    목차

    1. 인적사항
    2. 학습 정보
    3. 지도안

    본문내용

    3. 지도안
    교수∙학습 활동
    도입
    수업에 들어가기 전, 교사가 학습자에게 오늘 배울 문형의 ‘-(으)니까’를 유도하는 질문을 해본다. 이때 학습자가 각자 생각하는 이유나 원인을 이야기 할 수 있게 유도해본다.
    [T : 여러분들은 혹시 자주 가는 음식점이 있나요?]

    플랜Ⓐ : 질문을 던졌을 때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학습자가 있을 경우
    T : 하루나 씨가 자주 가는 음식점이 있나요?
    S : 네 있어요.
    T : 어느 음식점을 자주가나요?
    S : (음식점 이름)에 자주 가요.
    T : 왜 자주가나요? 맛있어서 가나요?
    S : 맛있어서요.
    T : 하루나 씨는 그 음식점이 맛있으니까 자주 가는군요.

    플랜Ⓑ : 적극적으로 질문에 대답하는 학습자가 없을 경우.
    T : 여러분들은 자주 가는 음식점이 있나요?
    S : (대답 없음)
    T : 저는 자주 가는 음식점이 있어요.
    왜 자주 갈까요? 맛있어서?
    (질문으로 학습자에게 유도해본다.)
    대답이 없을 경우, 학습자 한명에게 질문해 본다.
    T : 하루나 씨가 자주 가는 음식점이 있나요? 맛있나요?
    S : 맛있어서요.
    T : 하루나 씨는 (음식점 이름)에 맛있으니까 자주 가는군요.

    학습자에게 다시 한 번 더 왜 하루나 씨가 그 음식점을
    가는지에 대해 질문을 다시 던져서 오늘 배울 문형에 대해 이야기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지역사회간호학 케이스스터디_모자보건 적용

    목차

    1. 서론 : 연구의 필요성

    2. 본론
    1) 문헌고찰
    2) 사례
    3) 간호사정
    4) 간호진단
    5) 우선순위 설정 (임상실습지침서 p56 참조)
    6) 목표 설정
    7) 방법 및 수단의 선택
    8) 계획 및 평가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우리나라 출산률과 결과 해석(통계청 자료 참조)

    위 그래프는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2020,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합계출산율은 가임여성(15~49세) 한 명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의미하며,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8년 합계출산율은 0.977로 1.0명대 이하로 떨어졌다. 이는 출산통계 작성(1970년) 이래 최저치이다. 2020년 총 출생아 수는 27만 2천 3백 명으로 전년보다 -10.0% 감소하였고 합계출산율은 0.84명으로 전년(0.92명) 보다 0.08명 감소하였다.
    또한 OECD회원국과의 합계출산율 비교에서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 우리나라 저출산 고령화 추이와 결과 해석(통계청 자료 참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으로 저출산은 합계출산율이 2.1명 이하인 현상을, 초저출산은 합계출산율 1.3명 이하인 현상을 뜻한다. 앞선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이미 2009년 이전부터 초저출산 상황이 이어지고 있으며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통계청(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00년 전체 인구의 7.2%에서 점차 증가하여 2018년 14.3%로 고령화사회로 진입하여 2021년에는 16.5%를 차지하였다. 이후 2060년에는 43.9%로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2005년 합계출산율이 세계 최저 수준(1.08명)에 도달함으로인해 한국사회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 확산과 평균수명연장으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8년 고려화 사회로 진입하여 현재 추세가 지속 될 경우 총인구 감소와 함께 생산 가능 인구가 감소하고, 평균 근로 연령 상승으로 저축, 소비, 투자 위출 등으로 경제 활력이 저하되어 국가경쟁력이 약화될 전망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DHD 연구계획서

    목차

    1. ADHD의 시간 지각 결함
    2. 시간 지각에 정서가 미치는 영향
    3. ADHD의 정서적 간섭 통제(emotional interference control) 결함
    4. 연구 가설
    5. 실험 결과

    본문내용

    1. ADHD의 시간 지각 결함
    · ADHD 아동의 억제 능력 결함이 시간 감각을 포함한 작업 기억에서의 부진함을 초래하고, 이는 결국 자기 조절과 미래를 위해 행동을 조직화하는 것을 어렵게 만듦(Barkley, 1997).

    그림 1. Internal-Clock Model (Gibbon et al., 1984)
    · ADHD 아동: 비교적 짧은 시간(12초, 24초)은 일반 아동에 비해 더 길게 인식 but, 긴 시간(48초, 60초)은 더 짧게 인식(Barkely, Kopolowitz & Anderson, 1997).
    · 초기 성인기 ADHD: 통제 집단에 비해 재산출 과제 수행 저하(Barkley, Murphy & Bush, 2001).
    · ADHD: 재산출 과제 수행 저하(Meaux & Chelonis, 2003)
    · 시간 변별 과제 결과, ADHD 아동의 시간 변별 역치가 50ms에서 더 높음(Smith, Taylor, Rogers, Newman & Rubia, 2002).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내분비계 표 비교정리, 어려운 내분비계 이 자료 하나로 공부하세요!!

    목차

    없음

    본문내용

    뇌하수체 기능항진증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원인
    ● 뇌하수체 호르몬 과다분비
    ● 뇌하수체 종양이나 증식
    ● 뇌하수체 호르몬 결핍
    ● 전엽과 후엽 모두에서 분비 안 될 때는 범하수체 기능저하증
    증상
    1) 거인증
    – 성장호르몬 증가
    – 장골과다성장, 240~270cm
    – 근육과다, 골관절염
    2) 말단비대증
    – 양성뇌하수체 선종
    – 키X, 뼈 두께커지고 연조직 비후 손 두껍고 넓음
    – 두통, 시력상실, 복시
    3) 쿠싱병
    – ACTH 과잉분비
    4)성기능장애
    – FSH, LH: 성조숙
    – 프로락틴: 무월경, 유즙누출증
    1) 난쟁이증
    – 선천적인 성장호르몬 결핍
    2) 2차성부신피질부전
    – ACTH 합성 감소
    3) 점액수종
    – TSH 결핌: 갑상샘기능저하증 초래
    4) 성 장애
    – FSH, LH부족: 불임증, 성욕/2차성징 감소

    출처 : 해피캠퍼스

  • 충북대학교 아보가드로수의 결정 일반 화학 실험 보고서

    목차

    1.실험 제목
    2.실험 목적
    3.실험 기구 및 시약
    4.실험 방법
    5.실험 결과
    6.고찰
    7.참고자료

    본문내용

    실험 제목: 아보가드로 수의 결정

    실험 목적: 물 위에 생기는 기름막을 이용하여 몰(mole)의 단위인 아보가드로 수를 결정한다.

    실험기구 및 시약: 수소, 뷰렛, 눈금실린더(10mL), 송화가루, 자, 헥세인(hexane),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약수저, 깔때기

    실험 방법:

    1. 수조에 물을 3/4쯤 채워 실험대의 가장자리에 놓고 수면이 잔잔해질 때까지 기다린다.

    2. 깔때기를 이용하여 헥세인으로 씻어준 뷰렛에 헥세인을 충분히 채운다.

    3. 뷰렛을 똑바로 세운 상태에서 밑에 눈금 실린더를 놓고 헥세인을 한 방울씩 떨어뜨려 부피가 1.00mL가 되도록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서울대학교 화실 A+] HPLC에 의한 아데닌과 카페인의 분리 결과보고서

    목차

    1. [ Data & Results ]
    I. 아데닌과 카페인의 분리
    II. 아데닌과 카페인의 흡수 스펙트럼
    III. 커피 속 카페인의 정량 분석

    2. [ Discussion ]

    3. [ Assignment ]
    과제 1
    과제 2

    4. [ Reference ]

    본문내용

    [ Data & Results ]

    I. 아데닌과 카페인의 분리

    300μM 아데닌 용액과 500μM 카페인 용액을 260nm의 파장 조건에서 각각HPLC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림 1-300μM 아데닌 용액 분석 결과
    그림 2-500μM 카페인 용액의 분석 결과

    이를 표로 정리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Retention Time(분) / 적분값(mV·s) / 피크 높이(mV)
    아데닌 1.9150 / 6556.7578 / 1472.7894
    카페인 3.4450 / 4517.5102 / 670.1788

    아데닌의 RT는 1.9150분, 카페인의 RT는 3.4450분으로, 아데닌이 카페인보다 더 빠르게 검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II. 아데닌과 카페인의 흡수 스펙트럼
    300μM 아데닌 용액과 500μM 카페인 용액을 1:1로 혼합 후 이를 각각 250nm, 260nm, 270nm, 280nm의 파장 조건에서 HPLC로 분석하였다.

    그림 3~5의 크로마토그램에는 각각 2개의 피크가 나타나는데, I. 아데닌과 카페인의 분리에서 얻은 결과에 의하면 먼저 나타나는 피크가 아데닌의 검출 피크임을 알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간호학- 신체 일부 상실과 관련된 상황적 자존감 저하(다낭성 난소)

    목차

    1.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결과
    2. 대상자의 약물치료 및 간호 현황
    3. 간호사정 및 진단
    4. 간호계획
    5. 간호수행

    본문내용

    ■ 간호사정 및 진단

    간호사정
    의미 있는 자료
    주관적 자료
    – “저는 여자로서 이제 끝인걸까요?”
    – “수술을 하면.. 저는 이제 폐경인가요? 에휴..”
    – “기분이 안 좋아서 그러는데 복대 안하면 안될까요?”
    객관적 자료
    – 2023.04.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진단 받음.
    – 2023.05.01. 오른쪽 난소부분절제술을 시행함.
    – 렉사프로정 5mg(항우울 효과를 나타냄)
    – 다낭성 난소 증후군 진단 후 경구피임약 복용 이행 제대로 시행되지 않음
    – 여/19, 키: 170cm, 몸무게: 78kg, BMI: 30이상
    – 무리력한 표정과 힘없는 모습이 관찰됨

    출처 : 해피캠퍼스

  • 신우신염-성인간호

    목차

    1.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사정하시오.
    2. 대상자의 약물치료 현황
    3. 간호진단
    4. 간호계획
    5. 간호수행 및 평가

    본문내용

    1.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사정하시오.

    성명 : 이00
    성별 : M
    연령 : 76
    정보제공자
    본인
    입원일자 : 23년 9 월 11 일
    입원경로 : 외래 □ 병동 □ 응급실
    진단명 :
    ▪ 의식수준
    Alert □ Drowsy □ Stupor □ Semicoma □ coma
    ▪ 활력징후
    체온 38.2 ℃ 측정부위 고막
    호흡 20회/분 호흡을 위한 보조기구 무 □ 유
    맥박 70 회/분 측정부위 요골
    혈압 130 /90mmHg 측정부위 상완

    <급성 신우신염>
    정의
    급성 신우신염은 요로감염의 일종으로 신장에 세균 감염이 발생한 것을 말한다. 요도에 발생한 요로감염증은 요도염이라 하고, 방광에 발생한 것은 방광염이라고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중앙대학교 일반물리실험2 이중슬릿 간섭을 이용한 레이저의 파장측정 결과 A+

    목차

    [1] 실험값
    [2] 결과분석
    [3] 오차논의 및 검토
    [4] 결론

    본문내용

    [3] 오차논의 및 검토
    ① 실험값 측정오차
    [실험정보]에서 알 수 있듯이 레이저의 파장을 측정하기 위해 y의 값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교적 m이 작으면 무늬가 선명해 측정하기 용이하지만 그만큼 y의 측정값이 작아 1mm정도의 측정오차도 레이저 파장측정에서 큰 오차를 야기할 수 있다. m이 클때는 무늬의 선명도가 떨어져 중심 위치를 찾기 힘들기 때문에 오차가 커질 수 있다.
    우리는 실험에서 m=1,2,3을 선택해서 사용했다.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1에서는 m=2일 때 오차율이 가장 크게 나타난 것을 보아 m=2일 때 무늬의 중심 위치를 잘 찾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예상했다.
    실험2와 실험3(실험 3-2는 제외)에서는 m=1일 때 오차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므로 정확한 파장측정이 큰 오차를 야기했다고 예상했다. 아래의 실험2의 일부 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y의 보정값이 0.2mm의 작은 차이밖에 나타나지않지만 오차율이 매우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중앙대학교 일반물리실험2 쿨롱의 법칙 결과 A+

    목차

    [1] 실험값
    [2] 결과분석
    [3] 오차논의 및 검토
    [4] 결론

    본문내용

    [2] 결과 분석

    [실험1], [실험2] 의 모든 실험에서 전압이 증가할수록 실험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두 전극 사이의 간격(d=10mm, d=15mm, d=20mm)이 같을 때 원판 전극의 지름이 150mm(실험1)일 때 보다 125mm(실험2)일 때 실험값이 작게 측정되었다. 또한 두 전극 사이의 간격이 작을수록 그래프의 실험값의 변화율이 크게 나타났다. 식 이론    Δ 을 보면 이론 값을 구할 때 두 전극 사이의 간격의 제곱( )을 나눠준다. 따라서 두 전극 사이의 간격이 작을수록 실험값에 상대적으로 크게 영향을 주었다고 추정했다.

    위 그래프로 알 수 있듯이 [실험1], [실험2] 모두 두 전극 사이의 간격이 클수록 실험값이 작게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쿨롱의 법칙    에서 r이 커질수록 두 전극 판 사이의 힘(F)이 작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값은 (실험1-1) > (실험2-1) > (실험1-2) > (실험2-2) > (실험1-3) >(실험2-3) 순으로 으로 측정되었다.

    전기력의 이론값을 질량으로 환산하면    Δ   이므로 실험은 전기력의 크기에 비례한다. 즉 전압과 원판 전극의 지름이 클수록, 두 전극 사이의 간격이 작을수록 전기력이 크다. 실험값의 크기 비교해보면 (실험1-1) > (실험2-1) > (실험1-2) > (실험2-2) > (실험1-3) > (실험2-3)순으로 두 전극 판 사이의 힘이 크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 순서로 미루어 보아 실험값은 전극판의 크기보다 전극 사이의 간격에 영향을 더 크게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