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중앙대학교 일반물리실험1 구심력 측정(결과) A+

    목차

    [1] 실험값
    (1) 실험1 – 과정(3)~(13)
    (2) 실험2 – 과정(14)
    (3) 실험3 – 과정(15)
    (4) 실험4 – 과정(16)

    [2] 결과 분석

    [3] 오차 논의 및 검토
    (1) 회전수 측정 오류
    (2) 회전 시간 측정 오류
    (3) 구심력의 이론값을 구하는 과정에서의 오류

    [4] 결론

    본문내용

    실험1~4의 구심력의 이론값과 실험값, 오차율을 그래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실험2~4는 회전수가 클수록 대체적으로 오차율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여 더 좋은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재실험을 진행한 실험1과 뒤쪽에 실험한 실험4는 오차율이 적지만 그렇지 않은 실험2와 실험3은 비교적 오차율이 크게 나왔다.

    [3] 오차 논의 및 검토

    ➀ 회전수 측정 오류
    회전수를 측정할 때 처음에 한 바퀴를 돌았을 때부터 수를 세기 시작하여야 한다. 하지만 처음 실험을 진행할 때 시작하자마자 하나를 세고 측정을 하였다. 순서가 늦은 실험4와 재실험을 진행한 실험1에서는 제대로 측정을 하였지만 실험2와 실험3은 회전수 측정에 큰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으므로 오차가 발생하였을 것이라 예상하고 보정을 해보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중앙대학교 일반물리실험1 선팽창계수 측정(결과) A+

    목차

    1) 실험 결과
    ⓵ 고체 시료 이름 : 알루미늄
    ⓶ 고체 시료 이름 : 구리
    ⓷ 고체 시료 이름 : 철

    2) 실혐 결과 분석

    3) 오차 논의 및 검토

    4) 실험 결론

    본문내용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으며 3개의 시료 선팽창계수의 대소는 알루미늄 > 구리 > 철 순으로 동일하다. 하지만 측정한 선팽창계수는 참값과 약 8~20% 사이의 오차가 생겼다.
    특히 첫 번째로 진행한 알루미늄의 선팽창계수가 오차 정도가 가장 컸다.

    선팽창계수를 측정할 때 증기발생기를 통한 가열로 각 고체 시료 막대를 약 99℃에 가깝게까 지 가열하면서 온도 변화가 생기지 않자 다이얼의 눈금도 움직이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고체 시료를 식힐 때도 실내 온도와 고체 시료의 온도 변화가 비슷해지면서 온도 변화가 미미 해지자 다이얼의 눈금이 거의 움직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고체 시료 막대 길이의 증감은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중앙대학교 일반물리실험1 글라이더의 가속도 측정(결과) A+

    목차

    [1] 실험값
    [2] 결과분석
    [3] 오차논의 및 검토
    [4] 결론

    본문내용

    [2] 결과 분석

    실험(1)

    글라이더 질량은 190.62g으로 일정하고, 추(추걸이 포함)의 질량을 25.49g으로 5회 실험을 했을 때 실험의 평균은 112.2이고 이론은 115.6으로 오차율이 2.898% 로 나타났다. 추(추걸이 포함)의 질량을 45.57g으로 5회 실험을했을 때 실험의 평균은 186.0이고 이론은 189.1으로 오차율이 1.650% 로 나타났다. 추(추걸이 포함)의 질량을 65.90g으로 5회 실험을 했을 때 실험의 평균은 250.56이고 이론은 224.7으로 오차율이 0.4775% 로 나타났다.

    추(추걸이 포함)의 무게가 무거워질수록 이론값과 실험값의 오차율이 약 2.9% 에서 약0.5% 까지 점점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글라이더의 질량이 일정할 때 추(추걸이 포함)의 무게가 무거워질수록 글라이더의 가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뉴턴의 제2법칙에 따라 가속도는 계의 알짜힘에 비례하기 때문에 추의 질량이 증가할수록 알짜힘이 커지기 때문에 가속도가 증가하는 것임을 확인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중앙대학교 일반물리실험1 힘의 합성과 분해(결과) A+

    목차

    [1] 실험값
    [2] 결과분석
    [3] 오차논의 및 검토
    [4] 결론

    본문내용

    [1] 실험값
    – 중력 가속도의 크기 g= 9.80665m/s
    (1) 두 힘 A와 B의 크기만 변화
    ➀ 세 힘 A, B, R 과 관련된 각과 질량의 측정
    회 
        
    1 15 50 34 15.5 15.5 30.5
    2 15 50 34 20.5 20.5 37.5
    3 15 50 34 26.5 26.5 50.5
    4 15 50 34 31.5 31.5 60.5
    5 15 50 34 35.5 35.5 65.5
    ➁ 두 힘 A와 B의 합력의 이론값 C(이론)과 실험값 C(실험)의 비교
    회 이론  실험  이론 
    이론  실험 
     ×
    
    

    ×1 289.93581gN 32.5 299.10282gN 34 3.1617365 4.6153846
    2 383.46350gN 32.5 367.74937gN 34 4.09794587 4.6153846

    출처 : 해피캠퍼스

  • 중앙대학교 일반물리실험1 토크의 이해 – 회전평형(결과) A+

    목차

    [1] 실험값
    [2] 결과분석
    [3] 오차논의 및 검토
    [4] 결론

    본문내용

    [2]결과분석

    (1) 용수철저울의 용수철상수(k) 측정

    질량추에 작용하는 중력과 용수철저울의 탄성력이 평형을 이루게 하여 용수철 상수를 계산해보았다. 질량추의 무게를 추가해줄수록 용수철이 늘어난 길이 x가 증가하였고, 용수철 상수(k)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3) 실험

    추걸이에 얹는 질량을 약 20g씩 증가시키며 작용하는 힘의 크기(F)만을 변화시켜 토크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왼쪽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질량이 20g씩 증가할수록 토크는 약 0.02N·m정도씩 증가하였다.

    회전축으로부터 힘의 작용점의 거리를 11cm 부터 1cm씩 줄여가며 토크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오른쪽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r_M이 1cm씩 줄어들수록 토크는 약 0.01N·m정도 씩 줄어들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감염관리실_spill kit 사용설명서_병원

    목차

    없음

    본문내용

    * Spill kit 사용법 (혈액, 체액 누출 시)

    kit들고 이동
    접근금지표지 세우기
    보호구 착용
    비닐봉지 벌려놓기
    락스 희석액 만들기
    1차로 혈액 위로 종이타월을 덮어닦고 2차로 희석락스를 적신 종이타월로 닦는다.
    마스크를 제외한 보호구와종이타월을 비닐봉지에 밀봉한다.
    마스크와 밀봉된 비닐봉지를 의료폐기물 봉투에 넣고 밀봉한다.
    밀봉한 폐기물 봉투를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폐기한다.
    손위생 실시

    ※ 락스 희석액 만들기
    ° 10ml미만의 소량 → 1: 100 락스 희석액 (락스 1ml + 물 100ml)
    ° 10ml이상의 다량 →1:10 락스 희석액 (락스 10ml + 물 100ml)

    출처 : 해피캠퍼스

  • 중앙대학교 일반물리실험1 공기 중에서의 소리의 속도 측정(결과) A+

    목차

    [1] 실험값
    [2] 결과분석
    [3] 오차논의 및 검토
    [4] 결론

    본문내용

    [2] 결과 분석
    (실험1 – 진동수 650hz 소리굽쇠 이용)

    진동수 650hz의 소리굽쇠를 이용한 실험에서의 공명마디점 위치는 다음 그래프와 같다. 평균적으로 1 의 위치는 11.5cm, 2 의 위치는 37.3cm, 3 의 위치는 64cm, 4 의 위치는 91.4cm로 나타난다.

    공명마디점의 위치를 이용하여 공명정상파 파장의 길이를 구하면 위 그래프와 같이 나타난다. 평균적 으로는 약 53cm의 파장이 나온다.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5회 측정값 각각 λ1에서는 약1~4cm 정도 , λ2는 약 1~3cm, λ3 약 4cm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λ 평균값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공기 중에서의 소리의 속도의 측정값과 이론값을 구하고 5회 결과값의 평균을 계산했을때 오차율은 0.4656%로 나타났다.

    (실험2 – 진동수 800hz 소리굽쇠 이용)

    진동수 800hz의 소리굽쇠를 이용한 실험에서의 공명마디점 위치는 다음 그래프와 같다. 평균적으로 1 의 위치는 9.0cm, 2 의 위치는 30.7cm, 3 의 위치는 51.9cm, 4 의 위치는 73.1cm로 나타난다.
    진동수가 650hz인 소리굽쇠를 이용한 실험1과 비교하면 공명마디점의 위치가 1 은 약 3cm 낮게, 2 는 약7cm낮게, 3 는 약20cm 정도로 높게 위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1 의 위치는 11.5cm, 2 의 위치 는 37.3cm, 3 의 위치는 64cm, 4 의 위치는 91.4cm로 나타났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행동이론과 상황적합이론을 설명하고 두 가지 이론의 공통점을 분석한 후 어느 유형의 리더십 이론이 우리나라 사회복지행정에서 적용에 적절할지에 대하여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시오

    목차

    I. 리더십 행동이론
    1)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연구
    2) 미시간 대학의 연구
    3) 관리격자연구이론

    II. 리더십 상황적합이론
    1) 피들러의 상황이론
    2) 하우스의 경로-목표이론

    III. 우리나라에 적합한 리더십 이론에 대한 나의 의견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I. 리더십 행동이론

    리더십 행동이론은 1940년대 행동과학자들에 의하여 나타나기 시작한 이론으로, 경험이나 검증이 힘든 성향이론에 대한 비판으로 등장하였다.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는 리더의 행동과 비효과적인 리더의 행동을 비교하면 두 리더십이 구별된다는 이론이다.
    효과적인 리더들의 행동은 효과적이지 않은 리더들과는 다른 무엇이 분명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토대로 하여 비슷한 유형의 행동들을 몇 개의 범주로 묶어 리더십 유형으로 개념화하고, 어떤 유형의 리더십이 보다 더 효과적인지를 찾아보려고 했다.
    이런 내용의 연구는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연구, 미시간 대학의 연구, 관리격자 연구이론이 대표적이다.

    1)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연구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연구(Ohio State Studies)는 지도자의 행동서술질문지(leader behavior description)를 작성하여 여기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지도자 행동의 두 가지 유형이 발견되었는데, 하나는 구조주도행동(initiating structure behavior)과 다른 하나는 배려행동의 유형(consideration behavior)이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기획의 과정과 평가에 대해 설명하고 이것이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목차

    I. 기획의 과정

    II. 기획의 평가
    1) 평가의 목표설정
    2) 평가범위의 설정
    3) 프로그램의 내용 파악
    4) 평가설계
    5) 자료수집
    6) 분석 및 해석
    7) 평가보고서의 작성 및 제출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I. 기획의 과정과 중요성

    사회복지조직의 기획은 어떤 것이며 기획 과정이 갖는 특성은 또한 무엇인가? 그리고 사회복지조직의 기획을 설명할 수 있는 그 이론적 배경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질문들은 사회복지기획 과정을 논의할 때 제일 먼저 제기되는 의문들이다.
    그것은 사회복지조직의 기획 과정이 복잡하고 동태적인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며 또한 몇 단계의 연속 과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복잡한 사회복지조직의 기획 과정들에 대해 네 명의 학자마다 아래의 표와 같이 여러 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표] 기획 과정의 단계 분류

    칸(Kahn)은 사회복지조직의 기획 과정을 기획의 선동, 탐색, 기획과제의 정의, 정책형성, 프로그램화, 평가 및 환류의 6단계로 구분하였다. 스키드모어(Skidmore)는 기획 과정을 목표설정, 정보수집, 대안모색, 평가, 최종대안, 실행계획의 수립, 평가로 구분하였다. 프리먼과 셔우드(Freeman & Shewood)는 기획개발 과정을 기획, 프로그램개발과 평가, 평가라는 3단계로 구분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의사결정 개념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의사결정 모형 유형 및 장단점을 분석하시오

    목차

    1. 합리모형
    2. 만족모형
    3. 점증모형
    4. 공공선택모형
    5. 혼합모형
    6. 쓰레기모형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사결정모형은 개인의 의사결정 과정을 정부의 의사결정에 유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의사결정모형은 기획의사 의사결정모형을 공공정책 분야에 수정하거나 변경 ㆍ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의사결정모형은 초기에 개인적 차원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다가 점차 집단적 차원의 의사결정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 의사결정의 모형은 의사결정권자의 완전한 합리성을 가정하는 합리모형에서부터 합리성을 부인하는 쓰레기모형에 이르기까지 그 중간 영역에 많은 이론들이 있다. 의사결정모형으로 지금까지 여러 가지 모형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합리모형, 만족모형, 점증모형, 공공선택모형, 혼합모형, 쓰레기모형 등 여섯 가지 모형이 있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모형이 의사결정의 실제 상황을 모두 완벽하게 설명해 주지는 않는다. 각각의 상황과 보는 시각에 따라 설명력이 달라진다. 본 자료에서는 의사결정이론모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합리모형

    합리모형(rational model)은 의사결정권자가 이성과 조직의 합리성, 완전한 정보 환경성에 근거하여 결정하고 행동한다는 의사결정 과정이다. 즉 인간이 합리적 사고방식을 따르는 경제적인 인간이라는 전제 하에 기획의사 결정자가 고도의 합리성을 기반으로 문제를 분석하여 가장 합리적인 최선의 대안을 찾아낼 수 있다고 본다. 합리전인 대안을 찾기 위한 구체적인 그 전제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가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