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실험조리-첨가물에 따른 여러 채소의 색과 질감의 변화

    목차

    1. 실험재료 및 기구
    2. 실험 방법
    3. 실험조건별 실험결과
    4. 실험고찰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험재료 및 기구
    -재료: 적양배추 80g, 당근 80g, 양파 80g, 시금치 80g, 2%식염수 800mL,
    식초용액 800mL, 중조수 800mL

    -도구: 500mL 비커 4개, 100mL 비커 16개, 냄비 4개, pH paper, 전자저울, 일반 조리기구

    실험 방법
    (1) 시료를 다듬고 씻은 후 물기를 제거하고 길이 3cm에 두께 3mm 정도의
    크기로 썬다.
    (2) 비커에 물, 2%식염수, 2% 식초용액, 1% 중조수를 각각 200mL씩 넣는다.
    (3) 각 조리수의 pH를 측정한다.
    (4) 조리수가 끓으면 시료 20g을 넣고 2분 동안 가열한다.
    (5) 가열이 끝난 후 건더기는 흰 접시에 담고, 조리수는 비커에 담아 색과 질감의 변화를 비교한다.

    안토시안-적양배추
    적자색을 띠며 조리과정에서 매우 불안정하며 수용성 색소로 물에 우러난다. 산에는 안정하여 선명한 붉은색을 띤다. 중성에서는 자색을 띠며,
    알칼리와 반응 시 녹색, 청색을 띤다. pH에 의해 변색이 가역적이다. 즉 색 변화가 자유롭다. 알칼리에서 산 첨가 시 다시 적색으로 변한다.
    또한 주석, 철과 같은 금속과 반응 시 청회색 또는 적갈색으로 변한다.
    안토시안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서 산을 첨가하여 조리하거나 뚜껑을 덮은 상태로 조리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실험조리-달리한 마요네즈의 품질비교

    목차

    1. 실험재료 및 기구
    2. 실험 방법
    3. 실험조건별 실험결과
    4. 실험고찰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험목적
    -마요네즈를 만들 때 기름과 식초의 비율을 달리한 마요네즈의 품질을 비교해본다.

    실험재료 및 기구
    -재료: 난황 4개, 식용유 4컵, 식초 6큰술, 소금 1작은술, 겨자 1작은술, 흰후춧가루 약간
    -도구: 볼 4개, 계량컵, 계량스푼, 거품기(또는 핸드믹서) 4개, 일반 조리기구

    실험 방법
    재료준비
    A : 난황 1개, 식용유 ½컵(100ml), 식초 1큰술, 소금 ¼작은술, 겨자 ¼
    작은술, 흰 후춧가루 약간
    B : 난황 1개, 식용유 1컵(200ml), 식초 1큰술, 소금 ¼작은술, 겨자 ¼작은술, 흰후춧가루 약간
    C : 난황 1개, 식용유 1 ½컵(300ml), 식초 2큰술, 소금 ¼작은술, 겨자 ¼작은술, 흰 후춧가루 약간
    D : 난황 1개, 식용유 1컵(200ml), 식초 2큰술, 소금 ¼작은술, 겨자 ¼ 작은술, 흰 후춧가루 약간

    출처 : 해피캠퍼스

  • A+ 폐암 CASE STUDY

    목차

    Ⅰ. 문헌고찰
    1. 구조와 특성
    2. 병태생리
    3. 원인 및 위험요인
    4. 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Ⅱ. 사례보고서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구조와 특성
    폐는 흉곽 양측에 위치하며 좌우 한 쌍으로 되어 있으며 각각 늑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폐의 위쪽 끝은 폐첨부, 아래쪽 넓은 부분은 기저부라고 하며 기저부는 횡격막에 닿아 있고, 폐첨부는 쇄골 위 1~3cm까지 올라가 있다. 폐는 선홍색을 띄며, 심장, 혈관, 식도 등으로 인해 패이거나 눌린 자국을 볼 수 있다. 오른쪽 폐는 3엽 10분절, 왼쪽 폐는 2엽 8분절로 구분한다. 각 폐분절은 기능적으로 독립되어 있어 폐질환 시 이환된 부분만 제거할 수 있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폐암(lung cancer)은 폐에 생긴 악성 종양을 말한다. 암세포가 폐를 구성하는 조직에서 발생한 원발성 폐암(primary lung cancer)과 다른 기관에서 생겨나 혈관이나 림프관을 타고 폐로 이동되어 증식하는 전이성 폐암(metastatic lung cancer)으로 나눌 수 있다.

    2. 병태생리
    1) 암의 종류
    암세포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비소세포암과 소세포암으로 구분한다. 비소세포암은 조기에 진단하여 수술로 완치를 할 수 있지만 소세포암은 수술로 절제하기 어려울 정도로 진행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성장이 빨라 전이를 잘하지만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에는 잘 반응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수술실, 회복실 실습 사례보고서

    목차

    수술간호 사례보고서
    1) 수술 전, 대상자 준비상황
    2) 대상자의 진단명
    – 정의
    – 원인
    – 증상
    – 진단검사
    – 위암의 치료
    – 합병증
    3) 대상자의 수술명
    – 정의 및 적응증
    – 기구 및 장비
    – 절차 및 간호
    4) 대상자의 수술 중 간호 활동
    5) 마취 중 간호
    – 회복실 기록지
    – 마취 회복상태 (PACU score)
    – 마취에 사용되는 약물들

    본문내용

    2) 대상자의 진단명에 대하여 학습하시오.

    1. 정의
    위에 생기는 악성 종양에는 위 점막상피에서 생기는 위선암과 점막하층에서 생기는 악성림프종, 근육육종, 간질성 종양 등이 있으나, 대개 위암이라 하면 위선암을 일컫는다. 위선암은 위장 점막 조직에서 발생한 세포가 선암성 변화를 보이면서 종괴(종양 덩어리)를 만들거나 악성 궤양을 만드는 암으로, 위의 가장 안쪽을 싸고 있는 점막에서 발생하여 혹의 형태로 커지면서 주로 위벽을 관통하고, 위 주위의 림프절로 옮겨가서 성장한다.

    – 조기 위암
    조기 위암은 림프절로의 전이 유무에 관계없이 암 세포가 점막 또는 점막하층에 국한된 경우를 말한다. 진행 위암에 비해 위벽 침습이 깊지 않고 림프절의 전이도 적기 때문에 적절히 치료할 경우 90% 정도에서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

    <중 략>

    <간호>
    1. 수술 전 간호
    ① 환자가 Room에 들어오기 전
    ․ 수술실을 깨끗이 청소하고 정리한다.
    ․ 수술에 필요한 기계 및 장비를 점검한다.
    ․ 수술 기구와 재료를 준비한다.

    ② 환자가 Room에 들어 온 후
    ․ 환자를 따뜻하게 맞아 인사하고 확인한다.
    ․ 환자를 수술 침대로 옮기는 것을 돕고 낙상에 주의하도록 한다.
    ․ 환자의 이름과 수술부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TIME OUT)
    ․ 환자의 불편사항이나 궁금증, 요구사항을 알아보고 해결해 준다.
    ․ 시트를 덮어 환자의 안위를 도모한다.
    ․ 환자가 가지고 온 물품을 확인한다.
    ․ Computer에 환자의 수술 시작을 입력한다.
    ․ 수술 상을 편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 뇌졸중 간호과정 (낙상의 위험)

    목차

    1. 사정
    2. 간호진단
    3. 기대되는 결과
    4. 계획

    본문내용

    O data
    ① 진단명: Acute basilar artery infarction
    ② Mental: Stupor, (11/2 7AM~ : Semicoma)
    ③ no eye opening to pain
    ④ no motor obey (both arm: no response to pain, both leg: response to pain)
    ⑤ ER 내원 당시 Morse scale: 82점 (낙상 고위험군)

    간호진단
    인지기능의 저하와 관련된 낙상의 위험
    (낙상을 일으킬 수 있는 민감성이 증가되어 신체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고 건강을 위협할 만큼 취약한 상태)

    기대되는 결과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단기목표>
    ① 보호자는 1일 이내 side rail을 항상 올리고 있는다.
    ② 3일 이내 대상자의 낙상 위험도 사정도구(Morse scale) 점수가 10점 이하로 감소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오마하 체계 보고서

    목차

    1. 병동
    1) 문제분류체계
    2) 중재체계
    3) 성과에 대한 문제등급 척도 (초기 사정 시)
    4) 성과에 대한 문제등급 척도 (중재 마무리 시)

    2. 대상자
    1) 문제분류체계
    2) 중재체계
    3) 성과에 대한 문제등급 척도 (초기 사정 시)
    4) 성과에 대한 문제등급 척도 (중재 마무리 시)

    본문내용

    Cushing’s Syndrome 진단 및 tumor removal of pituitary gland 수술 후 통증 호소하는 47세의 여성 류OO님
    류OO님은 슬하에 자녀는 없으며 남편과 단 둘이 00시 00구에 거주중인 47세의 여성이다. 키 156cm에 몸무게 60kg, 음주력 월 4회 2병 25년, 흡연력 하루 0.3갑 25년이며 학력 고졸, 직업은 주부이다. 종교는 무교이며 기혼, 경제적 지원은 불필요한 상태이다.
    현재 00병원 내분비내과 입원 중이며 Cushing’s Syndrome, unspecified 진단받은 상태이다.
    환자는 “관절이 붓지는 않지만 열감이 느껴져요.”, “어깨쪽 근육이 아픈 느낌이고 손목이랑 손가락 쪽 뼈마디가 아파요”, “아침에 일어나면 손마디가 뻗뻗해 잘 굽혀지지 않고 힘이 안 들어가서 냉장고 문도 열기 힘들어요.”, “종일 통증이 있는데 밤에 특히 화끈거려서 잠을 못 자겠어요.”, “나이도 젊은데 여기저기 아픈 곳도 많고.. 자그만한 일도 하기 힘들어서 조금 속상해요..”라며 통증으로 일상생활을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신경병증이 추정 진단되었고, 그 중 류마티스 관절염이 의심되어 류마티스 내과 검사 시행했으나 이상 소견 없어 신경외과(NS), 신경과(NE), 내분비내과(EI), 재활치료학과(RM), OS(정형외과), RH(류마티스 내과) 협진 및 추가 검사 중이다.
    2016년경 점진적인 체중 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moon face(달덩이 얼굴), Buffalo hump(버섯 증후군 : 목 뒤쪽 아랫부분이 혹이 생긴 것처럼 돌출되는 현상), hoarseness(쉰 목소리) 등 쿠싱증후군 증상이 저명해졌고 00내과에서 00병원 내분비내과로 전원 후 약물 치료를 받았다.
    그 뒤로 평소 신경학적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상부 위장관 출혈(UGI bleeding) CASE STUDY

    목차

    Ⅰ. 문헌고찰
    1. 구조와 특성
    2. 병태생리
    3. 원인
    4. 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Ⅱ. 사례보고서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구조와 특성
    십이지장(duodenum)과 공장(jejunum)의 경계 부위에 연결된 트라이츠 인대 (Treitz ligament : 십이지장과 공장을 잇는 부위를 잡아주고 있는 근육)보다 위쪽 위장관을 상부위장관이라 말한다. 즉, 식도부터 위, 십이지장까지를 말하며 이 부위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모두 일컬어 상부 위장관 출혈이라고 한다. …

    식도(esophagus)
    – 정의 : 인두에서 위까지 이르는 길이 약 25cm 정도 되는 소화기관. 식도는 다른 기관에 비해 곧으며, 연동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위로 내려보내고 위, 아래에 조임근이 있어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해준다.

    – 위치 : 좌측 주기관지의 뒤쪽에서 약간 왼쪽에 위치하여 있으며 제 6 경추 높이에서 인두와 연결되고 제 11뼈 흉추 높이에서 위와 연결된다.

    – 구조 : 식도벽은 점막, 점막하층, 근육층, 외막으로 이루어져 있고, 식도의 1/3정도는 가로무늬근이며 아래쪽 2/3는 민무늬근으로 이루어져 있다. …

    – 기능 : 식도는 인두로 들어온 음식물을 연동운동을 통해 위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

    출처 : 해피캠퍼스

  • 가족여가활동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건강한 가족여가계획에 대하여 제시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족여가활동의 개념
    2. 가족여가활동의 중요성
    3. 가족여가계획 제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 5일제가 실시된 지 20여 년이 지난 듯싶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주말에 국내로 국외로 여행을 떠나는 일도 많아졌다. 이는 인간의 고유한 특성에 기인한 듯싶다. 인간은 삶을 영위해 나가기 위해 저마다 자신의 역할에 따르는 일을 하고 나서 자유롭게 쉬는 시간을 갖게 되며 또한 일을 통해 만족을 얻고 성취감을 맛보게 된다. 자신의 개인적 성격에 근거한 것으로 조직이나 주어진 환경과의 상호작용 등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에 있어 일반적으로 일을 마친 후에 스스로 재충전하고 나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간으로써 일하지 않는 시간 즉, 여가의 시간을 갖는다. 현대 사회에서 여가의 시간을 사람들은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고 자신을 위해 추구하는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스토리텔링의 의미도 지닐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SOC(software on chip) 조사하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1) SOC의 개념과 역사
    2) SOC의 주요 구성 요소
    3) SOC의 설계 및 제조 과정
    4) 국내 SOC 시장 동향
    5) SOC의 미래 전망
    6) SOC의 종류
    7) SOC 설계 도구
    8) SOC 제조 공정
    9) SOC 시장 동향
    10) 국내 SOC 기업 현황

    3. 결론

    4. 출처

    본문내용

    서론
    SOC(System on Chip)은 하나의 칩에 컴퓨터 시스템의 대부분 또는 모든 구성 요소를 통합하는 반도체입니다. CPU, GPU, 메모리,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블록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어 있어 크기가 작고 전력 소비가 적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사물 인터넷(IoT) 기기 등 모바일 및 임베디드 시장의 성장과 함께 SOC 기술 또한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에서는 SOC의 개념과 역사, 주요 구성 요소, 설계 및 제조 과정, 국내 SOC 시장 동향, 그리고 미래 전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본론
    1. SOC의 개념과 역사
    SOC는 1980년대에 처음 등장했습니다. 당시에는 단순한 기능을 가진 SOC만 존재했지만, 기술 발전과 함께 점점 더 복잡하고 고성능의 SOC가 개발되었습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스마트폰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은 SOC 시장의 성장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난소암 case -급성통증

    목차

    1. 진단적 검사결과
    2. 약물치료 및 간호 현황
    3. 간호사정 및 진단
    4. 간호계획
    5. 간호중재 및 평가

    본문내용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수술부위가 찌르듯이 아파요 ”
    “ 배가 너무 아파요 “

    객관적 자료
    -진단: ovarian cancer
    -IV PCA 적용중
    -통증 호소함
    →NRS: 7, 부위: op.site, 빈도: 지속적, 양상: 쑤심
    -11/20일 14시 수술 시행
    (주) Total abdominal hysterectomy(복식전자궁절제술)
    (부)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양측자궁관난소절제술)
    -수술 후 v/s: 140/80-98-22-37.0
    -약물: Pethidine HCL 25mg, Tarasyn 30mg

    진단적 간호
    1. 매 듀티마다 V/S을 측정하였다.
    2. 매 듀티마다 NRS점수를 측정하였다.

    치료적 간호
    1. 의사의 처방받은 약물을 투여하였다.

    교육적 간호
    1. 감염증상이 발생할 시 의료진에게 알릴 것을 교육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