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국제경영 다국적기업의 해외진출 사례를 조사하고 해당 기업의 성공 또는 실패 요인을 나열하시오. 그리고 향후 해당 기업이 취해야 할 국제경영전략을 제시하시오.

    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IV .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현대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기업의 국제경영은 전례 없는 중요성을 갖고 있습니다. 이제는 단순한 국내 시장에서의 경쟁만이 아니라, 다양한 국가 및 지역에서 경쟁해야 하는 시대에 우리는 다국적기업의 해외진출이라는 전략적인 이슈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국제진출은 기업의 성장과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핵심적인 수단으로 부각되어 있습니다. 이 서론에서는 다국적기업의 국제진출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며, 성공적인 국제경영을 위한 전략적인 고려사항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전통적으로 기업은 국제진출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수익성을 극대화하며,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데 주력해왔습니다. 특히 최근의 글로벌 경제는 기존의 경계와 장벽을 허물며 국제적인 경쟁의 풍경을 크게 변화시켰습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성장을 위해 국제적인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국제경영)다국적기업 정의와 사례

    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IV .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21세기의 글로벌 경제는 다양한 국가 및 지역 간의 경계가 더 이상 강력한 장벽으로 작용하지 않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은 국제시장에서의 새로운 기회와 동시에 다양한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다국적기업은 이러한 글로벌 경제의 환경 속에서 새로운 경쟁 규칙에 부응하고, 국제적인 시각에서 비즈니스를 전개하는 중요한 주체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다국적기업이란, 두 개 이상의 국가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기업을 지칭합니다. 이들은 지역 간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과 실행력을 동원하고 있습니다. 다국적기업은 그들만의 독특한 경영 방식과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존재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논의에서는 다국적기업의 개념과 중요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이들이 어떻게 국제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는지에 대한 사례를 통해 분석해 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다국적기업이 어떻게 글로벌 경제의 흐름과 함께 성장하고 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것입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전주 도시재생 사업-첫 마중길

    목차

    Ⅰ. 배경
    Ⅱ. 현황
    Ⅲ. 분석 및 대안제시
    Ⅳ. 인터뷰
    Ⅴ. 자신의 생각

    본문내용

    Ⅰ. 배경
    전라북도 전주시의 위치한 전주역 앞에 위치한 ‘첫 마중길’은 전주시 우아동의 전주역~해금장 사거리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첫 마중길 사업은 2015년에 준비했고 2017년 12월 사업을 진행하였다. 사업비는 총 60억을 확보 하였고 8차선을 6차선으로 줄여 도로의 중심에
    가로숲길을 만들었다.
    첫 마중길로 인한 관람객의 만족도와 전주 시민의 문화예술의 향유를 위한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현황
    전주의 첫 마중길은 도로 다이어트를 통해 도로의 라인이나 폭을 줄이고 조정하여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을 추구하여 복잡성을 줄여 교통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전주를 기차나 고속버스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오는 관광객들에게 도착 하여 바로 볼 수 있는 첫 마중길을 보게끔 하여 전주시의 생태도시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첫 마중길은 전주역세권의 발전을 위한 도시재생사업으로 역세권 중심으로 청년 일자리 창업 등을 중심으로 시너지효과를 늘려가고 있다. AR,VR 제작 지원센터가 들어왔으며 콘텐츠 제작을 위한 장비와 시설 등을 지원하고 있고 또한 디지털 분야 일자리를 위한 디지털 배움터에서는 IT사업분야 청년 인력 양성과 스타트업 발굴 등에 힘쓰고 있다. 그리고 대학생들을
    위한 ‘청년창업주택 80호’를 지어 대학생이나 청년들에게 지원할 계획이다. 안정적인 주거를

    제공하여 전주 역세권의 활성화가 되기 위한 초석을 다지고 있으며 역세권에 주거와 일자리를
    제공하여 청년 중심의 역세권을 만들고자 노력한다.
    그리고 올해 2023년에는 전주역 앞에 생활 숙박시설 ‘시그니처 전주’를 지어서 전주의 새로운 랜드마크를 만들며 역세권 발전에 더욱 힘을 가하였다. ‘시그니처 전주’는 원래 나이트클럽 건물을 허물고 지하 1층 지상 16층 규모로 1층~6층은 근린생활시설로 구성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말아톤 감상문

    목차

    없음

    본문내용

    여러 장애 유형 중에서 자폐성 장애인을 주인공으로 하는 영화의 성공은 우리가 주목할 만하다. 한국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더 높은 시청률을 보이고 자폐성 장애인의 성장과정이 가지고 있는 공감, 소통의 힘, 그로 인한 장애 인식 개선과 사회적 영향력을 증명한다. 특히 자폐성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인식 개선을 이끌어낸 최초의 한국 영화라는 저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영화 “말아톤”은 2005년에 자폐가 있는 배형진씨의 이야기를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한국 영화이다. 실존 인물을 밀착 관찰하면서 그의 가족과의 인터뷰 등을 통해 자폐성 장애인의 삶과 현실을 더 섬세하게 재현하고 있는 동시에, 극적인 전개와 결말을 ㅌㅇ해 관객에게 깊은 몰입과 공감을 일으킨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미셸 루트번스타인의 생각의 탄생 독후감

    목차

    1. 서론: 창조성의 다양한 얼굴들
    2. 발상의 기술: 역사적 천재들의 13가지 사고 방식
    3. 관찰과 형상화: 창조적 사고의 출발점
    4. 추상과 패턴 인식: 복잡한 생각의 단순화
    5. 창조적 사고의 다른 측면: 융합과 전환
    6. 천재들의 생각하는 법: 교육과 개인의 발전
    7. 결론: 현대 사회와 창조적 사고

    본문내용

    서론: 창조성의 다양한 얼굴들
    ‘생각의 탄생’을 읽으며, 저는 창조성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깊이 사유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이 책은 역사 속에서 뛰어난 창조성을 발휘한 인물들의 생각과 발상법을 탐구함으로써, 창조적 사고의 본질을 탐색합니다. 책을 읽는 내내, 저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아인슈타인, 파블로 피카소 같은 인물들이 단순히 자신의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천재가 아니라, 그들만의 독특한 사고 방식을 가진 인물들임을 깨달았습니다. 이 책은 이러한 천재들의 사고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창조성이 어떻게 혁신적인 작업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특히, 저는 이 책을 통해 창조적 사고가 신비한 재능이 아니라, 관찰, 형상화, 추상화 등과 같은 구체적인 사고 과정과 연습에서 비롯될 수 있음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각 인물들의 특별한 생각하는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자신의 창조성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책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다양한 분야의 천재들이 공유하는 창조적 사고의 공통점입니다. 서로 다른 분야에서 활동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모두 유사한 사고 방식을 사용했다는 사실은 창조성이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누구나 익히고 발전시킬 수 있는 보편적인 능력임을 강조합니다.

    발상의 기술: 역사적 천재들의 13가지 사고 방식
    ‘생각의 탄생’에서 소개된 역사적 천재들의 13가지 사고 방식을 읽으며, 저는 창조적 발상의 기술이 얼마나 다양하고 독특할 수 있는지 깨닫게 되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조선시대 역사

    목차

    없음

    본문내용

    ●조선왕조의 개창
    고려가 쇠퇴를 하는 가운데 신흥무인세력인 이성계는 신진사대부 세력과 손을 잡고 1392년에 조성왕조를 개창하게 됩니다.
    신흥무인세력인 이성계는 정도전과 권근등의 신진사대부들과 연합하여 역성혁명을 일으켜 새로운 조선왕조를 열게 됩니다.
    개화기에 나온 역사서인 국조사에서는 조선왕조의 개창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을 하였습니다.
    개국 기원 임신 원년(壬申元年, 1392) 가을 7월 17일1) 병신(丙申)에 태조(太祖)가 송경(松京, 개성)의 수창궁(壽昌宮)에서 즉위하시고, 국호를 조선(朝鮮)이라고 하셨다. 그 당시 고려의 정치가 문란하여 민심이 떠났는데 태조의 공과 덕이 이미 융성하여 백성의 마음이 모두 [태조에게로] 향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종(太宗, 이방원)이 남은(南誾), 조인옥(趙仁沃), 조준(趙浚), 정도전(鄭道傳), 조박(趙璞) 등 52명과 함께 모의하여 [태조를 왕으로] 추대하기로 하였다. 배극렴(裵克廉)2) 등이 사람들을 이끌고 국보(國寶)를 받든 후 잠저(潛邸)3)로 찾아가 한 목소리로 [태조에게] 왕위에 오르실 것을 권하였다. 태조께서는 극구 거절하셨으나 사람들이 그 곁을 지키며 물러가지 않자 부득이 즉위하셨다.
    종묘(宗廟)와 사직(社稷)의 제도, 과거(科擧) 제도, 관혼상제(冠婚喪祭)의 예(禮), 수령을 선발하고 절의(節義)를 지킨 사람들을 포상하는 일을 차례로 거행하셨다. 경기에 과전(科田)을 설치하여 사대부(士大夫)를 우대하셨고, 주군(州郡)에 군전(軍田)을 설치하여 군대를 양성하셨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중국의 마지막 전통왕조인 청나라

    목차

    없음

    본문내용

    여진족인 누르하치는 1616년 만주에 있던 부족들을 통일하고 여진족 아구타가 세웠던 금나라를 잇는다는 뜻에서 후금을 세웠습니다.
    부족을 통일하고 후금을 세운 누르하치가 사망하자 아들 홍타이지는 나라의 이름을 청으로 바꾸고 태종이 되게 됩니다.

    ●후금의 중국 정복
    후금은 홍타이지 시대에 나라의 이름을 청으로 바꿉니다.
    1636년 국호를 대청으로 바꾼 태종 다음에 즉위한 순치제때 이르러 청의 팔기군이 1644년 산해관을 넘어 이자성을 격파한 뒤 명나라의 수도였던 베이징을 점령함으로써 중국을 지배하게 됩니다.
    순치제가 베이징을 점령한 후에 베이징은 중국의 중심도시로 자리를 잡게 됩니다.

    ●청의 전성기를 이룩한 강희황제
    청의 전성기를 이룩한 인물은 강희황제 입니다
    청나라의 제4대 황제인 강희제는 베이징을 점령한 순치제가 사망하자 8세의 나이로 즉위하였습니다
    이후 강희제는 15세 때부터 친정을 시작하였습니다.
    청나라의 제4대 황제인 강희제는 오삼계·상가희·경계무의 세 번왕이 일으킨 반란인 삼번(三番)의 난을 진압하였고요 명나라 부흥을 도모했던 정성공 세력을 진압함으로써 진정한 중국 통일을 이룩하였습니다.
    강희제는 북쪽으로도 영토를 확장하였는데요 러시아 세력을 헤이룽장에서 몰아내고 최초의 국제조약인 네르친스크 조약을 체결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유교국가인 조선

    목차

    없음

    본문내용

    조선은 도읍을 개경에서 한양으로 옮기고 토지소유와 통치제도를 대대적으로 개혁하고 국가 통치의 틀을 마련했다. 양반을 중심으로 한 정치·사회 제도가 공고해졌고, 신유학인 성리학이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자리 잡았다.
    조선은 농업을 기반으로 한 경제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세종시기에 조선의 국경은 압록강과 두만강으로 확장되었고, 한글인 훈민정음이 발달하여 독립국가로서의 위상이 강화되었다.
    16세기 이후에는 농촌에 기반을 둔 세력(사림파)이 중앙정치에 진출하여 기존 정치세력(훈구파)과 대결하게 되었다. 당시 정치권력을 장악한 파벌들은 지역, 종파, 교리에 따라 서로 대결했다.
    조선은 중국 명나라와 우호관계를 맺고 여진족, 일본과도 교류하였다. 그러나 16세기 말 일본은 조선에 침략하여 임진왜란을 일으켰고 17세기에는 강대해진 여진족의 침략이 있었다.

    조선 초기에는 유교를 국가의 교리로 정립하고 민생의 안정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집권세력 내에서는 왕권을 강화하려는 세력과 이에 반대하는 세력 사이에 갈등이 나타났다. 왕위계승을 둘러싸고 왕자들 사이에서도 갈등이 일어났다(왕자의 난).
    태조의 다섯째 아들 이방원은 두 차례에 걸쳐 군사를 동원하여 반대세력을 몰아내고 왕위를 차지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목차

    없음

    본문내용

    혁거세의 탄생설화는 삼국사기』신라본기와 삼국유사 기이편에 실려 있는데요 혁거세가 탄생하기 전부터 조선(朝鮮)의 유민들이 산곡 사이에 살면서 6촌 이루었습다.
    중 돌산(突山) 고허촌(高墟村)의 촌장이었던 소벌공(蘇伐公)이 양산(楊山)의 나정(蘿井) 옆에서 말이 울고 있는 것을 보고 가까이 가보니 말은 사라지고 큰 알이 하나 있었는데요 알에서 태어난 갓난아이가 혁서세입니다.
    혁서세의 탄생과 관련하여 삼국사기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을 하였습니다.
    시조의 성은 박(朴)이고 이름은 혁거세(赫居世)이다.
     전한 효선제(孝宣帝)註 004 오봉(五鳳) 원년(B.C. 57) 갑자년(甲子年)註  4월 병진일(丙辰日)註 007 일설에는 정월 15일註 008이라고도 한다.에 즉위하여 호칭을 거서간(居西干)이라고 하니, 이때 나이가 13세였다. 나라 이름은 서나벌(徐那伐)이라고 하였다.
    이에 앞서 조선(朝鮮)註 011의 유민이 산골짜기 사이에 나누어 살면서 6촌(六村)을 이루고 있었는데, 첫째는 알천(閼川) 양산촌(楊山村),註 012 둘째는 돌산(突山) 고허촌(高墟村),註 013 셋째는 취산(觜山) 진지촌(珍支村)註 014 혹은 간진촌(干珍村)이라고도 한다. 넷째는 무산(茂山) 대수촌(大樹村),註 015 다섯째는 금산(金山) 가리촌(加利村),註 016 여섯째는 명활산(明活山) 고야촌(高耶村)註 017으로, 이들이 바로 진한(辰韓)註 018의 6부註 019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삼한

    목차

    1. 삼한에 대한 기록
    2. 마한과 관련한 기록
    3. 진한과 관련한 기록
    4. 변한과 관련한 기록

    본문내용

    삼한은 삼국시대 이전 한반도 중남부지방에 형성되어 있었던 정치집단인 마한·진한·변한을 말합니다. 
    삼한 중에서 가장 규모가 컸던 나라는 마한인데요 마한은 경기·충청·전라도 지역에 위치를 하였습니다.
    진한과 변한은 경상도지역에 있었는데요 마한 보다는 규모가 적었고 마한의 지배를 받았다고 합니다.
    마한의 백제국이 백제로 발전을 하였고요 진한의 사로국이 신라로 발전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변한의 구야국(狗邪國)이 가야가 되었습니다. 

    ●삼한에 대한 기록
    삼한에 대해서 한치윤이 지은 해동역사에서는 한은 모두 78국이며, 백제(伯濟)는 그 가운데 한 나라이다. 큰 나라는 1만여 호이고, 작은 나라는 수천 호이며, 각각 산과 바다 사이에 자리 잡았다고 하였습니다.
    조선 후기 한치윤이 지은 해동역사에서는 삼한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을 하였습니다.
    한(韓)에는 세 종족이 있다. 《삼국지》에, “한은 대방(帶方)의 남쪽에 있다.” 하였다. 첫 번째는 마한(馬韓)이고 두 번째는 진한(辰韓)이고 세 번째는 변진(弁辰)이다. 마한은 서쪽에 있는데 54국(國)이며, 그 북쪽은 낙랑과 연접하였고 남쪽은 왜(倭)와 연접하였다.
    진한은 동쪽에 있는데 12국이며, 북쪽은 예(濊)ㆍ맥(貊)과 연접하였다. 변진은 진한의 남쪽에 있는데 역시 12국이며, 남쪽은 역시 왜와 연접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