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cortex M3의 내부 구성도를 그리시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서론
    Cortex-M3 프로세서는 ARM Cortex-M 프로세서 제품군의 32비트 RISC 마이크로컨트롤러 코어로,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이 레포트에서는 Cortex-M3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도를 분석하고, 주요 구성 요소의 기능과 특징을 설명합니다. 또한, Cortex-M3 프로세서의 장점과 단점을 살펴보고, 다양한 응용 분야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합니다.

    본론
    1. Cortex-M3 프로세서 아키텍처
    Cortex-M3 프로세서는 하버드 구조를 기반으로 하며, 명령어와 데이터 메모리가 분리되어 있습니다. 3단 파이프라인 구조를 채택하여 명령어를 빠르게 처리하며, Thumb-2 명령어 세트를 사용하여 코드 밀도를 높입니다. 또한, 2개의 동작 모드(Thread 모드 및 Handler 모드)를 지원하여 인터럽트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합니다.

    2. 주요 구성 요소
    • 프로세서 코어: 명령어 디코딩, 실행, 레지스터 파일 등을 담당합니다.
    • 메모리 시스템: 명령어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캐시 메모리 등을 포함합니다.
    • 버스 시스템: 프로세서 코어와 메모리 시스템, 주변 장치를 연결합니다.
    • 인터럽트 제어기: 인터럽트 발생 시 처리를 담당합니다.
    • 디버그 모듈: 프로세서 디버깅을 위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3. Cortex-M3 프로세서의 장점
    • 높은 성능: 32비트 RISC 아키텍처, 3단 파이프라인 구조, Thumb-2 명령어 세트 지원
    • 낮은 전력 소모: 최적화된 설계 및 저전력 동작 모드 지원
    • 작은 칩 크기: 효율적인 메모리 구조 및 저전력 설계
    • 다양한 주변 장치 지원: 풍부한 I/O 인터페이스 및 주변 장치

    출처 : 해피캠퍼스

  • 뇌졸중 간호과정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

    목차

    1. 사정
    2. 간호진단
    3. 기대되는 결과
    4. 계획

    본문내용

    O data
    ① 진단명: Acute basilar artery infarction
    ② 시술명: IA thrombectomy → fail
    ③ V/S(BP, PR, RR, BT), SpO2
    – ER 내원 시 (11/1)
    11 AM) 135/82mmHg, 110회/분, 20회/분, 37.7℃, 99%
    2 PM) 167/131mmHg, 132회/분, 28회/분, 37.9℃, 98%
    – IA thrombectomy 시행 후 (STU 전동, 11/1~2)
    6 PM) 160/100mmHg, 155회/분, 20회/분, 40.5℃, 100%
    10 PM) 156/95mmHg, 179회/분, 20회/분, 39.8℃, 99%
    2 AM) 150/80mmHg, 178회/분, 16회/분, 39.5℃, 100%
    6 AM) 147/70mmHg, 117회/분, 19회/분, 40.3℃, 98%
    8 AM) 144/75mmHg, 168회/분, 27/분, 40℃, 98%

    출처 : 해피캠퍼스

  • 뷰티풀 인사이드 MSE사정

    목차

    없음

    본문내용

    정신상태검진은 대상자의 심리적 상태에 대해 수집된 자료와 자료수집 시 대상자에 대한 간호사의 관찰과 인상을 합친 것으로, 관찰된 행동은 객관적이고 비판단적인 방법으로 기술하는 것으로 대상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평가이다. 정신상태 검진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은 정기적인 간호사정을 통해 수집이 되며 이 정보들은 간호사의 평가로 원활하게 통합되어야 한다. 정신상태 검진 내용에는 외모, 언어, 운동활동, 면담 동안의 상호 작용, 기분, 정동, 지각, 사고내용, 사고과정, 의식수준, 기억, 집중과 계산능력의 수준, 정보와 지능, 판단, 병식이 있다.

    시점: 방에 불을 켜는 아내에게 “불을 꺼, 끄란 말이야” ~정신병원에 잡혀 들어가기 까지

    (1) 외모 appearance
    : 나이에 맞는 외모로 보이고 옷은 단정하게 입었으나 수염을 다듬지 않고 다크서클이이 있으며 약간 위축된 자세와 얼굴표정이 불안한 표정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질환보고서 뇌졸중, 뇌기저동맥 경색(basilar artery infarction)

    목차

    1. 대상자 질환의 정의 및 원인, 병태생리
    2. 대상자의 질환 관련 증상 및 징후
    3. 대상자에게 시행할 수 있는 또는 시행된 진단적 검사 목록 및 결과
    4. 대상자에게 시행할 수 있는 또는 시행된 내과적, 외과적 치료 (약물요법 포함)
    5. 합병증 관리 및 예후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상자의 질환 고찰 (basilar artery infarction)
    뇌졸중 > 허혈성 뇌졸중 > 뇌경색 + 허혈성 발작 > 뇌기저동맥 경색 (basilar arte

    1. 대상자 질환의 정의 및 원인, 병태생리
    ① 정의
    뇌 조직은 평상시에도 많은 양의 혈류를 공급받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뇌혈관에 폐색이 발생하여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뇌 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뇌혈류 감소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뇌 조직의 괴사가 시작된다. 뇌 조직이 괴사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 이를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이라고 한다.
    반면 뇌 혈류 감소에 의해 뇌 기능에 이상이 생겼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충분한 뇌 혈류가 다시 공급되어 뇌 조직의 괴사 없이 뇌 기능이 회복되었을 때를 일과성 허혈성 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이라고 부른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경색과 일과성 허혈성 발작을 모두 통틀어서 일컫는 용어이다.

    ② 원인
    허혈성 뇌졸중은 발생하는 기전에 따라 대혈관 질환에 의한 뇌경색, 색전증에 의한 뇌경색, 심인성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in cardiogenic embolism), 소혈관 질환에 의한 뇌경색, 열공 뇌경색(lacunar infarction), 기타 드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뇌경색으로 분류

    출처 : 해피캠퍼스

  • 결장암 간호과정 (급성통증)

    목차

    1. 사정
    2. 간호진단
    3. 기대되는 결과
    4. 계획

    본문내용

    S data
    ① “이거(PCA) 말고는 다른 진통제는 없어요? 속이
    너무 메스꺼워요”
    ② “진통제 또 놔주시면 안 돼요?”
    ③ “너무 아파서 잠도 안 와요. 진통제 더 안 되면
    수면제라도 처방이 안 되나요?”

    O data
    ① 진단명: sigmoid colon cancer
    ② 수술명: Laparoscopic anterior resection
    of sigmoid colon
    ③ HD#10, POD#2
    ④ Lt PCA keep c clamping state (d/t nausea)
    ⑤ tridol 100mg/2ml IV inj
    ⑥ (PRN) pethidine 50mcg/1ml IV inj
    ⑦ NRS: 3~5점
    – OP 전: 3점
    – OP 후(2PM): 5점
    (3PM): 5점
    (5PM): 5점
    (7PM): 4점
    (9PM): 4점
    ⑧ 통증 부위: 수술 부위(whole abdominal)

    출처 : 해피캠퍼스

  • 질환보고서 (결장암)

    목차

    1. 대상자 질환의 병태 생리
    2. 대상자의 질환 관련 증상 및 징후
    3. 대상자에게 시행할 수 있는 또는 시행된 진단적 검사 목록 및 결과
    4. 대상자에게 시행할 수 있는 또는 시행된 내과적, 외과적 치료
    5. 합병증 관리 및 간호 중재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상자 briefing 관련 자료
    ∙ 대상자 성별: F
    ∙ 대상자 나이: 48
    ∙ 의학적 진단명: sigmoid colon cancer
    ∙ 입원 경위: 2020년도 경부터 간혹 복통 있어 건강검진 colono 상 AV 30cm, R/O colon cancer c partia
    obstruction로 큰 병원 권유받아 본원 GI OPD로 study 위해 adm
    ∙ 현 주 호소: abdominal pain

    대상자의 질환 고찰
    1. 대상자 질환의 병태 생리
    결장암은 대부분 선암으로, 식습관이 서구화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발생률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결장암은 어느 연령에서나 호발할 수 있으나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가장 호발하고, 남성과 여성의 발생률은 비슷하다.
    대부분의 결장암은 선종성 용종에서 시작하여 악성이 됨에 따라 장 내에서 크기가 커지고 장벽을 침윤하여 림프계나 순환계로 퍼지기 시작한다. 용종이 악성화되는 것은 크기, 조직학적 형태, 이형성의 정도와 관련이 있는데, 용종이 악성으로 변이되기까지 약 5~12년이 걸린다.
    결장 종양은 주로 간으로 침범하는데, 그 이유는 결장 종양으로부터의 정맥혈류가 문맥으로 흐르기 때문이다. 악성 종양은 위장에서부터 횡행결장까지 인접해 있는 기관에 직접 침범함으로써, 간으로는 림프와 혈액을 통해서, 복강 내로는 암세포가 직접 퍼지거나 이식되어 침범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간호과정-급성통증

    목차

    1. 간호진단
    2. 간호계획
    3. 간호중재 및 평가

    본문내용

    1) 사례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 요약
    나아: 30세, 이름: 최 **씨
    임신: 38주 4일
    GTPAL: 3-1-1-0-1
    상태: 규칙적 자궁수축 3분에 1번 증상 호소, 진통제 투여를 요구, 자궁 수축이 올때마다 고통스러워 하며 얼굴을 찡그리고 있다. 무통분만 시술이 아플것이라는 두려움에 떨고 있음
    복부 검진: 정상. 골반 검진: 병소 없고 깨끗함, hb: 11.0 , 전해질 검사 및 간 기능 검사: 정상
    경부 개대: 약 4cm, 양수 색깔: 정상
    혈압: 100/60mmHg, 맥박: 78회/분, 호흡수: 16회/분, 체온: 37.5℃

    2) 사례대상자의 간호과정 적용
    1)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
    ⦁“너무 아파요“
    ⦁“진통제를 투여해주세요“

    객관적 자료
    ⦁규칙적 자궁수축으로 3분에 1번 증상을 호소함
    ⦁자궁수축이 올 때마다 고통스러워하며 얼굴을 찡그림
    ⦁경부 개대: 4cm, 양수 정상

    진단명: 자궁 수축과 관련된 급성 통증

    범주: 12.안위

    2) 간호계획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분만 종료 시까지 통증이 감소하였다고 표현한다.
    단기목표
    ①교육 후 대상자는 통증완화 방법을 3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다.
    ②교육 후 대상자는 통증을 느낄 때 올바른 호흡법으로 통증을 조절한다.
    ③진통제 투여 후 30분 내에 NRS가 4점 이하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James의 자기에 대하여 설명하고, 현재의 자신의 자기 표상을 관찰하여 객체적 자기를 기술한 후, 자신이 일상에서 가장 자주 인지하는 자기와 그것이 주는 의미는 무엇인지 제시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제임스의 자기 이론
    2. 현재 자신의 자기 표상 관찰
    3. 객체적 자기의 기술
    4. 일상에서 인지하는 자기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인간의 자아에 대한 이해는 심리학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 중 하나입니다. ‘나’라는 개념은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자신과 외부 세계와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본 리포트는 제임스의 자기 이론을 중심으로 현재 필자의 자기 표상을 관찰하고, 객체적 자기를 상세히 기술하며, 일상생활 속에서 가장 자주 인지되는 자기의 모습과 그것이 개인에게 주는 의미를 탐구해보고자 합니다.

    제임스는 자기를 ‘순수한 나’와 ‘경험적 나’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구분은 개인이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자신의 경험과 관계 속에서 어떤 의미를 발견하는지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됩니다. 현대 사회에서 개인은 다양한 역할과 상황 속에 놓이면서 자신의 자기 표상을 지속적으로 재구성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과정 속에서 자기 인식의 변화가 일어나며, 궁극적으로 자아 정체성의 발달에 영향을 미칩니다.

    본 리포트는 제임스의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현재 필자의 자기 표상을 깊게 관찰하고자 합니다. 이를 토대로 필자의 내면세계와 외부 세계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해볼 것입니다. 특히 일상생활 속에서 가장 자주 인지되는 자기의 모습이 무엇인지, 그것이 필자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탐구함으로써 자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도모하고자 합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질환보고서 (SCI Spinal Cord Injury 척수손상)

    목차

    1. 대상자 질환의 병태 생리
    1) <척수 손상의 분류>
    2) <1차 손상과 2차 손상>
    3) <척수 쇼크와 신경학적 쇼크>

    2. 대상자의 질환 관련 증상 및 징후

    3. 대상자에게 시행할 수 있는 또는 시행된 진단적 검사 목록 및 결과

    4. 대상자에게 시행할 수 있는 또는 시행된 내과적, 외과적 치료
    1) <응급 처치>
    2) <후기 치료>

    5. 합병증 관리 및 간호 중재
    1) <합병증>
    2) <간호중재>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척수 손상의 가장 흔한 원인은 척주에 미치는 힘의 감속과 가속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척주의 움직임으로 초래되어 발생하는데 손상 기전, 골격과 신경학적 손상 수준, 손상의 완전성이나 정도에 따라서 분류된다.

    손상 기전은 과굴곡, 과신전, 굴곡-회전, 신전-회전, 압박이다. 그 중 굴곡-회전 손상은 척추를 안정시키는 인대 구조가 찢어지기 때문에 가장 불안정하며, 심한 신경학적 결손과 연관이 된다
    ① 과굴곡 손상
    과굴곡 손상은 갑작스러운 감속의 결과로 정면충돌할 때 발생한다. 머리와 목은 과다하게 앞으로 굴곡된 후 후방으로 과신전되며, 과굴곡은 인대파열, 추간판의 골절 또는 탈골을 초래한다. 척수 연결성이 파괴되므로 출혈, 부종, 괴사가 일어나며 호발부위는 특히 C5-6이다.

    ② 과신전 손상
    과신전 손상은 차 후미를 들이받히거나 낙상으로 턱이 심하게 맞는 것 같은 가속 손상으로 온다. 대부분 경수의 중간에서 하부까지 흔히 침범된다. 전종 인대가 파열되고 척추가 골절 및 아탈구되며 추간판이 파괴된다. 척수의 완전절단은 과신전 손상으로 올 수 있으며, 호발부위는 C4-5, T12~L1이다. 편타성 손상은 과신전 손상의 덜 심한 형태로 척추나 척수의 손상은 없고 연조직의 손상을 입는 것이다.

    ③ 압박 손상
    압박 손상은 심한 수직력에 의해 척추골이 부서지거나 파열된다. 경수와 흉요수에 흔하게 오며 다이빙 또는 추락사고 시 머리가 지면에 직접 닿아서 발생할 수 있다.

    ④ 회전 손상
    회전 손상은 머리나 목의 과격한 측면 굴절이나 비틀림에 의해서 발생한다. 탈골, 골절, 인대가 파열되는 것은 척수를 매우 불안정하게 할 수 있다. 연조직의 손상은 1차적 손상이다.

    ⑤ 관통 손상
    관통손상은 칼이나 총알이 척수에 직접 접촉하여 발생한다. 총상은 특히 속도 때문에 척수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칼로 인한 상처보다 더 많은 손상을 입게 된다. 좌상이나 열상 또는 압박에 의해 손상 받을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 실습 case 간호과정(수면양상장애)

    목차

    1. 간호진단
    2. 간호계획
    3. 간호중재 및 평가

    본문내용

    주관적 자료
    “요즘 자꾸 자다가 깨서 피곤하고 그래”
    “밤에 잠도 잘 안와서 약도 바꿔 달라고 의사선생님한테 이야기 했어”

    객관적 자료
    – 진단명 주) Bipolar 1 Disorder 부) schizophrenia
    – c.c: 환청, 수면부족
    – 수면양상: 자주 깸/시간: 하루 3~4시간/빈도: 불규칙적
    – 밤에 환청을 듣고 중얼거리는 모습 보임.
    – 낮잠을 자는 모습을 자주 관찰함.
    – 투여약물)
    ▷스리반정3mg/BID(아침1T, 저녁2T)
    ▷트라조돈50mg(저녁에 투여)
    – 낮 시간동안 피곤해하는 모습 관찰함.

    진단명: 환청과 관련된 수면양상 장애

    범주: 영역 4. 활동/휴식

    목표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수면장애에 도움되는 운동의 필요성에 대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일 이내 숙면을 취하는 방법을 교육받고 2가지 이상을 말할 수 있다.
    2. 대상자는 7일 이내 수면시간이 7시간 이상으로 늘어날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