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성인간호 척수손상 간호과정 (신체기동성 장애)

    목차

    1. 사정
    2. 간호진단
    3. 기대되는 결과
    4. 계획
    5. 수행

    본문내용

    S-Data
    ① “팔, 다리가 내 마음대로 움직이지 않아 얼마나 불편하고 속상한지 몰라.”
    ② “사업을 하는 중이라 얼른 퇴원을 해야 하는데 손가락 하나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니 언제쯤 퇴원을 할 수 있을련지…”
    ③ 재활치료 후 피로를 호소함

    O-Data
    ① 진단명: SCI (C3-6)
    ② HD: 53, POD: 52
    ③ GCS: 4점/5점/3점
    ④ modified MRC grade
    upper Lt/Rt: 3/3
    lower Lt/Rt: 2/2
    ⑤ 하루 2번 재활치료 시행 중
    (경피 전기 신경 자극, mattress mobilization)
    ⑥ 이동 시 보조자가 밀어주는 휠체어로 거동함
    ⑦ neck brace 착용 중
    ⑦ 24H 간병인 상주 중

    간호진단
    부동으로 나타나는 4지 마비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 자살의 위험, 수면양상의 장애 간호진단 및 간호계획

    목차

    1. 간호진단
    2. 간호계획

    본문내용

    주관적 자료
    “머리가 잘 안돌아가고 의욕이 없어요.”
    “그냥 혼자 있을께요. 꼭 말을 해야 하는 건 아니잖아요. 다른 건 신경 쓰지 않고 싶어요”

    객관적 자료
    -2018년 초 강박증상이 심해졌고 이로 인해 무기력하고 식욕이 없고 우울증상 보였음.
    -2022년 1월 중순부터 자살사고 관찰됨.
    -부인이 환자가 약에만 의존한다고 비난하고 구박하기도 함
    -죽고 싶다는 생각은 많이 없어졌지만 석면 가루가 입으로 들어간다는 생각을 멈출 수 없다고 하고 계속 손으로 입을 가리는 행동과 손을 자주 씻는 모습을 보임.
    -혼자 시간을 보내려고 하는 모습이 관찰됨.
    -활동요법에 전혀 참가하지 않음.
    -약물치료: clomipramine 100mg, paroxetine 6mg, olanzapine10mg, alprazolam0.25mg
    -Dx: Panic disorde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출처 : 해피캠퍼스

  • CBL 간호관리학 보고서

    목차

    1. 사례
    2. 의사결정과정 적용
    3. 의사결정 유형의 제시
    4. 느낀점

    본문내용

    1. 사례
    ****병원 실습 시 있었던 일이다. 암 센터이며 간호간병통하서비스 병동이다. 병동은 암센터여서 항암치료를 하기 위해 월요일과 금요일이 입∙퇴원 환자가 많았다. 그런데 금요일에 한 연차 있는 간호사가 갑자기 부친상으로 당일 연락을 받고 갑작스럽게 출근한지 2시간도 안되어서 퇴근을 하고 내려갔다. 이렇게 한 간호사가 빠지게 되면서 금요일의 퇴원이 많은 날에 적은 인원으로 다른 간호사들은 바쁘게 업무를 수행 했지만 각자 맡은 업무를 제시간안에 못하게 되며 퇴원도 밀리게 되는 정신없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를 본 수간호사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2. 의사결정 과정 적용
    ➀문제 인식
    현재 한 간호사가 개인일로 빠지게 되어 퇴원이 많은 날 적은 인원으로 업무를 수행을 해야 해서 정신없고 예민한 상황과 퇴원이 밀리는 문제에 대해 심각성을 수간호사가 인지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강박장애 대상자 간호진단, 간호계획

    목차

    1. 간호진단
    2. 간호계획

    본문내용

    주관적 자료
    -“술을 나쁘다고 생각 한 적은 없어요. 주위에서 그렇다고 하니까 그런 줄 아는 거지. 그렇다고 안마셔야 되겠다는 생각은 안들었어요”
    -“술의 안 좋은 점…솔직히 모르겠어요“

    객관적 자료
    -술 문제에 대해 축소하여 말하려 함
    -술마시는 것에 대해서 언제든지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특별한 문제가 없다고 생각함
    -Dx: Alchol dependence

    진단명: 알코올 문제에 대한 부적절한 병식과 관련된 비효과적 부정

    영역(범주)
    영역9. 대처/스트레스 내성

    주관적 자료
    “스트레스 받으니까 먹죠?
    술만큼 좋은 게 어딨어요?”

    객관적 자료
    -2020년 11월 지방간 진단 받고 퇴원 3주 정도 지나 친구와의 만남에서 술을 다시 마시기 시작함
    -이후 점차 양을 늘었고, 최근에는 매일 소주 2병 마심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간호학 레포트 (정신질환자의 범죄와 인권)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과제 후 소감
    5. 참고문헌 목록

    본문내용

    최근 정신질환자들의 범죄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표적인 예로 조현병을 앓고 있던 안인득 씨가 경남 진주 한 아파트에 불을 지르고, 대피하는 주민들을 향해 무차별적으로 흉기를 휘둘러 20명의 사상자를 냈던 진주 아파트 방화 살인사건과 경북 칠곡의 한 정신병원에서 알코올중독과 조현병으로 입원한 환자가 잔소리가 심하다는 이유로 같은 병실에 입원해있던 환자에게 둔기를 휘둘러 살해한 칠곡 정신병원 살인사건, 경남 창원에서 10대 조현병 환자가 위층에 거주하던 할머니를 흉기로 찔러 살해한 사건 등이 있다. 이처럼 정신질환자들의 강력범죄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국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으며, 정신질환자 관리의 부재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언론 보도의 영향으로 정신질환자들의 범죄가 점점 이슈화되면서 정신질환자의 범죄사례를 확대해석하고 이들을 잠재적 범죄자로 낙인 찍음으로써 또 다른 차별을 나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상황

    출처 : 해피캠퍼스

  • 문화정치학의영토들_16강_식민주의

    목차

    1. 들어가며
    2. 제국과 식민주의의 근대 사회
    3. 오리엔탈리즘
    4. 문화와 제국 지배
    5. 가면의 제국주의, 검은 피부 하얀 가면
    6. 전통의 굴레 VS 식민의 굴레
    7. 탈식민주의와 저항의 문화
    8. 나오며

    본문내용

    0. 들어가며
    식민지 시대 일본으로 이주하여 해방 이후에도 계속 일본에서 거주하며 활동하는 사람들을 재일(在日) 조선인이라 부른다. 일본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일본으로도 조국으로도 온전히 소속될 수 없는 처지에 평생 불안 속에서 살아간다.
    디아스포라는 ‘이산(離散)’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이자 팔레스타인 땅을 떠나 세계 각지에 거주하는 이산 유대인과 그 공동체를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오늘날에는 다양한 이산 경험을 의미하는 좀 더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근대의 시작은 제국주의의 식민지 쟁탈전으로 이산자들이 생겨났으며 이주당한 땅에서도 그들은 이방인 취급을 받는다는 점에서 디아스포라는 아픔을 공유한다.
    노예제도가 존재한 그리스에서는 시민 광장 아고라에 들어갈 수 있는 사람은 집과 농장, 가족을 소유한 남자여야 했다. 주인과 노예의 불평등한 관계와 근대 제국주의 압박에 따른 이산의 피해는 지금도 끊이질 않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문화정치학의영토들_15강_휴머니즘

    목차

    1. 휴머니즘의 신화
    2. 휴머니즘과 자연
    3. 휴머니즘과 인간 : 누가 인간인가?
    4. 휴머니즘의 황혼

    본문내용

    근대는 신의 자리를 대신해 인간이 차지한 시대로 ‘휴머니즘의 시대’다. ‘인간’이 모든 것의 척도가 된 시대로 휴머니즘이란 모든 것을 인간이 척도의 평가이고 인간을 중심으로 사고하며 인간을 위해서 이용하려는 태도, 인간을 위해서 행해진 것은 모든 것이 정당화되는 사고방식을 의미한다. 즉, 인간을 위해 모든 것이 존재하므로 인간을 위해 이용할 수 있도록 인간의 손 안에 장악하는 것이란 의미를 함축한다.
    휴머니즘의 가장 소박한 형태는 이 세상은 인간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며 모든 자연은 인간이 사용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만물을 정복하는 정복자, 지배자가 인간의 지위이고 인간은 신의 위임에 따라 세상에 대한 처분권을 가지며 세상을 자신의 의지에 따라 다스리고 자신을 위해 이용할 근거가 있다는 것이다. 창세기의 신화는 인간이 만들어낸 신화이므로 휴머니즘이 만들어낸 신화는 휴머니즘의 신화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정신간호학] 남자가 사랑할 때 'when a man loves a woman' 영화 줄거리/분석/감상문

    목차

    I. 서론

    Ⅱ. 본론
    1. 줄거리
    2. 문헌고찰
    3. 영화분석

    Ⅲ. 결론: 느낀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최근, 물질 남용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술은 가장 대중적이고 흔히 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개인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한 가족의 위기이자, 사회적인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 남자가 사랑할 때라는 영화는 1994년 개봉된 영화로, 무엇 하나 부족한 것 없어 보이는 단란한 가족 중 아내인 앨리스가 알코올 중독으로 인해 가정의 위기를 경험하고 이를 극복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알코올 중독 문제에 대해 깊이 있게 고찰한 영화를 감상하고 대상자 가족의 문제와 치유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알코올 중독 대상자를 만나게 될 때 간호사로서 어떠한 증상을 관찰하고 중재해 줄 수 있는지 생각해 보고자 이번 과제를 진행하게 되었다.

    Ⅱ 본론
    1. 줄거리
    평범한 여성 앨리스에겐 가정적이며 끔찍이 위해주는 남편과 사랑스러운 두 딸, 가정부를 둘 정도로 여유 있는 생활, 초등학교 상담교사라는 직업 등 남부러울 거 없이 삶을 살고 있다. 하지만 그녀는 그런 자기 삶의 무게를 감당할 수 없어 술을 마신다. 비행기 조종사인 남편이 집을 자주 비워 외로움을 느끼고, 직장과 가정에서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 문화정치학의영토들_14강_계몽주의

    목차

    1. 들어가며
    2. 이성에 대한 믿음 : 지식과 인식의 문제
    3. 진보의 역설 : 문명의 빛과 야만의 어둠
    4. 20세기의 계몽 : 푸코와 하버마스
    5. 나오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근대는 이성과 계몽의 시대이다. 모든 발명과 진보의 정점에는 18세기의 계몽주의가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계몽이란 신에 의지하는 신학적 세계관과 달리 인간 자신의 본성과 능력에 대한 자각, 이성적 능력에 의한 인류의 조화와 자기실현의 정신을 의미한다. 미신과 권위에서 해방된 인간 이성의 자율성 정당화 운동으로 인간의 이성이 곧 빛이라는 믿음에서 시작되었다. 근대의 기본 이념으로 계몽주의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이성에 대한 믿음, 둘째, 새로운 자연관, 셋째, 진보에 대한 믿음, 르네상스의 휴머니즘, 종교 개혁, 근대 합리주의 철학을 계승하여 중세의 질곡에서 인간을 해방시켰다. 하지만 ‘이성’이라는 새로운 종속을 의미하게 되었으며 이성은 스스로 신화가 되고 만다.

    2. 이성에 대한 믿음 : 지식과 인식의 문제
    르네상스의 시작으로 기독교적 일원론이 붕괴되고 18세기 서양인들은 이성의 빛이 인간의 삶을 밝히는 등불이라고 믿으며 인간 이성에 대한 능력을 확신하게 되었다. 계몽주의는 기독교 사회의 종교 역할을 과학이 대신할 수 있다고 믿으며 이성에 의해 검증될 수 없는 일체의 것을 우상이나 미신이라고 규정하며 비이성적인 원리에 대해서는 ‘비합리성’이라는 낙인을 찍어 배제하고 인간 중심의 세계관을 확립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문화정치학의영토들_13강. 섹슈얼리티

    목차

    1. 성의 정치학
    2. 섹스, 젠더, 그리고 섹슈얼리티
    3. 커밍아웃 : 미리 있다고 가정된 성적 소수자
    4. 이성애주의 : 근대 사회의 산물
    5. 글로벌 게이와 퀴어 정치학의 과제

    본문내용

    성이란 억제할 수 없는 무소불위의 본능과 쾌락의 원천을 의미한다. 사람에 따라 성은 공포와 증오, 혐오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성이라는 세계는 온갖 종류의 감정이 수시로 가면을 바꾸어 쓰고 나타나기 때문에 우리는 성이 “강렬한 감정들의 요체”라는 사실에 동의한다.
    성은 사회적‧역사적 가치체계에 따라 위계화되어 있어 성인의 성, 이성애적 성, 생식의 목적인 성만이 보편적이고 나머지는 모두 퇴폐적 또는 변태적이라는 신념이 퍼져 있다.
    기존 가치 체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성적 차별과 억압에 반대를 하면, 부딪히게 되는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해서, 예를 들면 근친상간, 난교, 수간 등을 옹호하는 사람이거나, 성정체성을 의심받을 수 있어 성에 대해 하나의 주장, 새로운 지식을 추가하는 일은 특별한 용기가 필요하다.
    성은 해방시켜야 할 에너지도, 통제되어야 할 에너지도 아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