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노인간호학실습 위궤양 케이스(+간호과정 2개포함)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위의 구조와 특성

    Ⅱ. 본 론
    1. 개인력
    2. 치료와 간호
    3. 간호진단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위장 점막이 흡연, 스트레스, 약제, H.pylori의 감염, 악성종양 등에 의해 손상되어 점막층보다 깊이 패이면서 점막근층 이상으로 손상이 진행된 상태를 위궤양(gastric ulcer)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성인의 대부분이 가벼운 위염(gastritis)이나 위궤양 등의 소화기계의 질병을 앓고 있다고 한다. 65세 이상의 노인에게서 발병한 소화성 궤양(peptic ulcer)은 치유 속도가 젊은 연령대에 비해 느리고, 출혈과 천공, 위 출구 폐색 등의 합병증 발생 확률이 높다. 또한 소화성 궤양 중 위궤양의 경우 50-70세 고령에서 호발한다.
    실습부서인 내시경실에는 endoscopy와 colonscopy를 시행한다. 이에 직접 내시경으로 진단하는 것을 관찰한 위궤양 질환을 case로 선정하였다. 이에 가상으로 임상에서 우선순위가 되어야 할 간호 문제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간호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 위해 위궤양 case를 선정하여 조사 및 연구를 하게 되었다.

    2. 위의 구조와 특성
    1) 위의 구조
    위(stomach)는 소화관의 일부분으로 식도(esophagus)와 샘창자(duodenu m)를 이어주는 속이 빈 주머니이다. 좌 상복부(LUQ)에 위치하며 위의 가장 윗 부분은 횡격막(diaphragm) 아래에, 위 의 뒤쪽에는 췌장(pancreas)이 자리 잡 고 있다. 위는 해부학적으로 들문(cardi a), 위바닥(fundus of stomach), 위몸통 (body of stomach), 날문관(pyloric can al), 날문부분(pyloric region of stomach)으로 나뉜다. 들문은 식도조임근(esophageal sphincter)과 바로 맞닿아 있다. 위바닥은 왼쪽으로 누었을 때 위의 가장 아래에 해당하는 부위로 식도를 지나온 음식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공간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심근경색증] 간호과정 _ 급성통증, 자발적 환기장애 (A+ 보장)

    목차

    1.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2. 심장조직관류 감소와 관련된 자발적 환기장애

    본문내용

    사례 1. 심근경색증환자의 간호과정
    60세 고**씨는 5년 전 고혈압과 고지혈증 진단을 받고 약을 복용 해왔으며 금일 입원하기 3시간 전부터 가슴을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반복적으로 지속되었는데 휴식을 취해도 나아지지 않고 길게는 약 10분 정도 지속되어 응급실 경유하여 심장내과 병동으로 입원하게 되었다. 환자는 “가슴이 쥐어짜는 것처럼 아파요”라며 찡그린 얼굴로 옆으로 웅크리고 누워있었고,
    통증은 10점 척도에서 8이고 가슴에서 턱으로 전이된다고 한다. 심장 모니터에 빈맥과 심실조기수축이 보이고, 심음은 불규칙적인 것을 제외하면 정상이고, 폐음은 기저부가 약간 저하되었다. 신체검진상 얼굴이 창백하고 피부는 차가우면서 식은땀이 흐르고, 통증으로 가슴을 잡고 있다. 혈압 140/78, 맥박 110회, 호흡 26회, 체온 36.8℃, 비강캐뉼라를 통해 산소 2리터를 주입중이고 산소포화도는 96%이며 morphine 20mg IV이 1일 4회 투여됨

    간호진단
    1.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2. 심장조직관류 감소와 관련된 자발적 환기장애

    사정
    주관적 자료
    “가슴이 쥐어짜는 것처럼 아파요”
    “3시간 전부터 가슴이 답답하고 호흡이 가빠졌어요”
    “통증이 반복적으로 지속되었는데 휴식을 취해도 나아지지 않고 길게는 약 10분 정도 지속되었어요”
    “아이고 나죽네..”
    “통증이 가슴에서 턱으로 왔어요”

    객관적 자료
    -고혈압과 고지혈증을 진단받고 약을 복용 중이다.
    -NRS 수치가 8점이다.
    -V/S bp: 140/78 p:110회 r:26회 t:36.8
    -대상자의 얼굴이 창백하고 차가우며 식은땀이 흐르는 것을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통증을 호소하며 가슴을 잡고 있다.

    진단: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장기 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에 NRS 통증 수치를 0점이라고 표현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대장암] 간호과정 _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A+ 보장)

    목차

    1. 간호과정
    2. 약물요법

    본문내용

    사정
    주관적 자료
    -“아파요”
    -“골반 쪽 건들지 말아요.”
    -“스스로 자세를 바꿀 수가 없어요”

    객관적 자료
    – 대상자는 수술 후 PCA를 적용하고 있다.
    – V/S bp143/87 p:84 r:20 t:37.8
    – 대상자는 찡그린 표정을 하고 있다.
    – 대상자는 RLQ 통증을 호소한다.
    – 대상자는 POD#0이다
    – 대상자는 NRS 7점 (쑤시는 듯한 통증)

    진단: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계획
    장기 목표 – 대상자는 수술 후 7일 이내에 NRS 3점이하를 유지한다.
    단기 목표
    – 대상자는 교육 직후 통증 완화 이완 요법에 대해 1가지 이상 이야기할 수 있다.
    – 대상자의 활력 징후가 수술 후 1일 이내에 정상수치로 유지된다.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NRS 사정시 4점 이하의 점수를 말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반화학실험 화학반응과 한계반응물 예비보고서

    목차

    1. 실험목표
    2. 이론
    3. 기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본문내용

    실험목표
    -금속과 염산의 반응에서 반응물과 생성물 사이의 양적 관계를 측정해 보며 금속이 염산과 반응 할 때 발생하는 수소 기체의 부피가 금속의 질량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측정할 수 있다.
    -측정한 값에 따라 반응물과 생성물 사이의 양적 관계를 관찰하고 이 관계가 화학반응식의 양론계수과 일치하는지 비교 할 수 있다.
    -금속와 염산과의 반응에서 어느 반응물이 한계반응물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론
    1) 화학양론
    화학반응에서 반응물의 질량과 생성물의 질량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존재하는데 이를 양적 관계라 하며 이러한 관계를 화학양론이라 한다. 화학양론은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기존의 원자가 없어지거나 새로운 원자가 생겨나지 않고, 각각의 원자의 양은 전체 반응 시간 동안 보존된다는 사실에 근거를 두는 이론이다. 일정성분비의 법칙, 질량보존의 법칙, 배수비례의 법칙이 화학양론과 관련된 법칙들이다. 화학반응은 반응계 내에서 분자가 반응에 따라 결정되는 재조합 같은 반응이기에 반응에 관여한 분자나 원자들의 양은 비례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바탕으로 화학반응의 양적 관계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수소와 산소의 반응으로 물을 생성하는 반응이 있다.
    이 반응식은 2 H2 + O2 → 2 H2O 이다. 따라서 수소가 2g 반응하면 산소는 16g 반응하고 물이 18g 생성될 것이다. 이때의 질량비는 수소 : 산소 : 물 = 1:8:9 인데 이러한 질량비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몇g 이던 간에 일정한 비례 관계이다.

    2) 질량비와 화학양론
    원자량은 각 원소의 원자들의 상대적인 질량비이다. 분자량은 한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들의 원자량의 총합이다. H2 분자의 분자량이 2이고 O2 분자의 분자량이 32라는 것은 두 물질이 반응 할 때 두 물질의 질량들 사이의 비는 2:32 > 1:16 이다. 물의 생성 반응식으로 돌아가면 질량비가 2 x 2: 1 x 32 : 2 x 18= 1:8:9 가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반화학실험 기체의 몰질량 예비보고서

    목차

    1. 실험목표
    2. 이론
    3. 실험 전 예비보고서 질문
    4. 기구 및 시약
    5. 실험방법

    본문내용

    실험목표
    일정한 온도와 압력 하에서 이산화탄소 기체의 부피와 질량을 측정하여 이산화탄소의 몰질량을 결정한다.

    이론
    1)몰
    몰은 화학적 양(chemical amount)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탄소가 12g 이고 그 탄소에 들어 있는 원자의 수, 다른 말로는 아보가드로수 6.02 × 1023와 동일한 기본 구성 입자(원자 등등)를 포함 하는 물질의 양을 말한다. 몰은 쉽게 말하면 우리가 평소에 쓰는 단위를 예시로 이해할 수 있다. 우리가 연필 12자루를 한 다스라고 하고 달걀 30개를 1판이라고 하는 것처럼 몰은 물질의 양을 세는 단위인 것이다. 몰을 사용하는 이유는 실제로 원자 또는 분자들 몇개의 질량을 측정하는 경우 또는 시료에 들어있는 원자나 분자 개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 하기에 단위를 지정하여 측정하기 위해서이다.
    같은 논리로 동일한 수의 분자를 포함하는 두 시료의 질량비를 측정함으로써 시료 내의 분자의 수에 대한 정보 또한 알아낼 수 있다. 이때 기준이 되는 위 문장의 ‘동일한 수’가 아보가드로 수 이다. 물질의 기본 구성 입자가 아보가드로 수만큼 있을 때의 질량이 1몰의 질량을 나타나며, 이를 곧 몰 질량이라고 한다.
    물질의 몰 질량은 그 물질의 원자량, 분자량에 g을 붙인 값으로 명시된다.

    2) 아보가드로 수
    아보가드로 수는 입자수를 몰 질량과 관계 짓는 비례 상수이며 기호는 NA 또는 L이다. SI 단위로 나타내면, 아보가드로 상수는 정확히 6.02214076×1023 mol−1의 값을 가진다. 무차원 수인 6.02214076×1023을 아보가드로 수라고 한다.
    몰 질량의 SI 단위인 몰(mole)은 그동안 ‘탄소-12 12 g 속에 들어있는 원자의 몰 질량’ 으로 정의되었다. 하지만 2019년 몰의 기준이 탄소-12가 아닌 아보가드로 상수 NA = 6.022… × 1023 mol−1로 재정의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대장암] 간호과정 _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A+ 보장)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기초자료
    성명: 이OO 성별/연령: M/44
    입원방법/경로: 외래/도보
    입원날짜: 23.11.04
    주 진단명: cancer, rectosigmoid colon
    주 증상: Hematochezia, abd. pain, diarrhea, 잔변감(4개월 전부터)
    abd. pain(1개월 전부터)
    키/체중: 172.4cm/64.8kg
    혈액형: AB+
    특이사항: 231104 입원 시부터 NPO. 복부 불편감 없음. 최근 1개월 간 체중 3kg 감소.

    2) 과거력
    조부, 모 위암
    음주, 흡연, HTN, DM 무

    3) 주관적 자료 수집
    거동 및 생활 장애 무, 보호자-아내
    직업만족도 매우 높음(교사)
    규칙적 운동 유

    #1.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주관적 자료
    “아파요.”
    “골반 쪽 건들지 말아요.”
    “아, 아”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반화학실험 화학반응과 에너지 예비보고서

    목차

    1. 실험목표
    2. 이론
    3. 기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본문내용

    실험목표
    – 몇 가지 고체 화합물을 물 또는 식초와 반응시키며 각 반응이 흡열반응인지 발열 반응인지 관찰한다.
    – 정량적으로 열량계를 사용하여 고체의 CaCl2 또는 NH4NO3이 물에 용해될 때 발생 또는 흡수되는 열량, 즉 용해열을 정확히 측정해 본다.

    이론
    1. 화학결합
    화학결합이란 광물을 구성하는 원자들이 하나의 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게 해주는 원자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나 결합을 말한다. 원자 들의 상호작용 양상에 따라 강한 결합과 약한 결합으로 나눌 수 있다. 결합 방식에 따라서 원자간 결합은 크게 이온결합 ,공유결합, 금속 결합으로 구분한다.

    2. 발열반응, 흡열반응
    열을 방출하는 화학 반응을 일컫는다. 대표적으로 원자핵 반응, 연소, 중화 반응,등이 있다. 모든 물질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물질에 따라 가지고 있는 에너지는 차이가 있는데 물질들이 반응이 일어날 때 에너지가 방출되기도 하고 흡수되기도 한다. 그 중 발열 반응은 반응한 물질들의 에너지가 생성된 물질들의 에너지보다 크다. 에너지의 차이에 해당하는 에너지가 외부로 방출되는 반응이다.
    흡열반응은 상대적으로 반응물질의 에너지가 작고 생성물질의 에너지가 클 때 일어나는 반응이다. 반응이 일어나려면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해야 한다. 발열반응의 역반응이다.
    3. 열량
    열량은 물체가 주거나 받는 열의 양을 의미한다. 에너지의 양이라고도 한다. 물체에 열을 가하면 온도가 올라간다. 이때 열량이 가해진 열의 양인데 열량의 단위는 보통 칼로리이다. 칼로리는 1g 의 물을 1℃의 온도를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이다.
    4. 비열
    비열은 가해진 열량과 온도 변화의 비이다. 물질 1g의 온도를 1K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이라고도 말한다. 표준 단위는 J/g・K 이다.
    5. 열평형
    열은 전도, 대류, 복사에 의해서 이동한다. 뜨거운 물체와 차가운 물체가 접촉을 하면 열이 뜨거운 물체에서 차가운 물체로 이동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지역사회간호학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시나리오 포함/ 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2개 (신체 기동성 장애, 비효율적 건강관리)

    목차

    1. 시나리오
    2. 가족사정
    3. 간호진단 (4개), 우선순위 설정
    4. 1순위 간호과정
    5. 2순위 간호과정
    6. 참고문헌

    본문내용

    Case Study
    대상자는 43세 김xx님으로 부인과 2015년에 교통사고로 사별하였고, 자식은 없어 혼자 살고 있다. 부모님은 대상자가 초등학생 때 이혼하였고, 아버지와는 초등학생 때 의절하였으며 어머니는 도박과 음주에 빠져 지속적으로 대상자에게 지속적으로 금전적인 요구를 한다. 어머니로 인한 스트레스와 부인과 교통사고에서 혼자 살아남았다는 죄책감과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다.

    대상자는 7년 전 교통사고를 당해 왼쪽 둔부와 대퇴부에 수술을 받았다. 하지만 경제적인 문제로 조기 퇴원을 하였고 재활치료 또한 하지 않아 움직일 때마다 통증을 느낀다고 말했다. 하지만 경제적으로 부족하여 공사현장에서 5년 정도 일용직으로 일하고 있다. 일하기 위해 몸을 움직일 때마다 통증을 느끼고 있으나 돌봄을 제공해줄 가족도 없고 경제적인 여유도 없어 삶을 살아가는 데에 있어 외로움과 회의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대상자는 건설현장 기숙사에서 약 10명의 사람과 10평 정도 되는 공간에서 생활한다. 기숙사는 청소 및 환기가 잘되지 않고 건물이 노후화되어있다. 복층 형식으로 되어있어 매번 계단을 올라가는 과정에서 통증과 불편함을 겪는다.

    대상자는 흡연을 20년 동안 하였다. 건설현장에서 일하며 질이 나쁜 대기로 인하여 항상 가래와 기침을 하지만 금연의 필요성을 자각하지 못한다.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동료들로 인하여 간접흡연 횟수가 매우 잦으며 함께 음주를 일주일에 5회 이상 한다. 부모와 아내에 대한 스트레스와 죄책감으로 음주를 하지 않은 상태로는 숙면하기 힘든 상태라고 말하였다. 2017년에 건강검진을 통하여 간 수치 검사를 하였고, AST 수치 100으로 알코올성 지방간을 진단받았지만 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며 호전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 어머니가 고혈압이 있어 병원을 방문하여 약을 처방받아 꾸준히 복용하였으나 아내와 사별한 이후로 약을 먹지 않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반화학실험 침전반응과 이온의 검출 예비보고서입니다.

    목차

    1. 실험목표
    2. 이론
    3.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본문내용

    실험목표
    -침전반응을 이용하여 특정 이온을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어떤 이온들이 서로 반응할 때 침전이 생기는지 알아본다.

    이론
    1.이온성 화합물
    이온성 화합물은 정전기력에 의해 서로 반대되는 전하를 가진 이온들이 이온 결합을 통해 순차적인 배열로 구성된 화합물을 말한다. 화합물은 일정한 비율로 전기적인 중성을 나타낸다.
    예시로 NaCl등이 있다.

    2.전해질
    전해질은 물과 같은 극성 용매에서 녹아서 이온을 형성한다. 그리고 형성된 이온의 영향으로 전기가 통하는 물질을 말한다. 용매가 녹은 전해질은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나눠서 용액 전체에 퍼진다. 이때 용액은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용액에 전압을 걸면 음극으로, 음이온은 양극으로 이동한다. 이온들의 영향으로 용액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3.침전반응
    침전은 액체 속에 존재하는 작은 고체 알갱이가 녹지 않고 바닥에 가라앉거나 그 침전물을 말한다.
    다른 종류의 이온 화합물 용액을 혼합하였을 때 용해도가 낮은 화합물이 생성되어 고체상의 침전이 발생하는 반응을 침전 반응이라고 한다.
    4.이온 검출/ 분리
    수용액 속에 이온을 확인 하는 것이다. 이온의 검출과 분리를 위해 두 용액이 혼합되면 불용성 물질이 만들어지게 되고 고체가 용액 내에서 만들어지면서 분리되는 반응인 침전 반응을 활용한다. 전해질 수용액에서는 전기분해를 통해 양이온과 음이온을 검출, 분리한다.

    예비보고서 질문
    1. 다음의 시약들의 물리, 화학적 성질과 안전 관련사항을 조사.

    calcium chloride (CaCl2)
    분자량은 110.98 g/mol 이다. 밀도는 2.15 g/cm3이고 끓는점은 1935도, 녹는점은 772도 이다. 무색의 고체이며 무취이다. 물과 에탄올에 용해되는 특징을 가지고 탄산칼슘과 염산 또는 수산화칼륨과 염화 암모늄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동액 및 응고제로 사용된다.
    안전 관련 사항은 가연성 물질과 가까이 하면 안된다. 타는 동안 열분해로 인해 유독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청소년의 게임 문화 조사 레포트 (보고서) – 청소년문화 A+ 자료

    목차

    I. 한국 게임문화의 힘
    1.게임문화에 대한 정의
    2.한국에서의 게임 문화
    3.게임의 장르
    4.청소년의 게임 문화
    5.게임에 대한 인식
    -긍정적인 인식
    -부정적인 인식

    II. 게임문화의 위험성
    1.중독성
    2.현실증강 게임, 메타버스
    3.현실과 가상 세계 사이에서의 청소년

    III. 건강한 게임문화의 방향성
    1.정리 및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I. 한국 게임문화의 힘

    1. 청소년의 정의
    청소년의 기준은 법마다 달라서 애매하다. 정의를 내리고 시작하자면, 우리는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과에서 설명한 청소년기본법 제1장 제3조(정의) 1항에 따르면 ‘“청소년”이란 9세 이상 24세 이하인 사람을 말한다. 다만, 다른 법률에서 청소년에 대한 적용을 다르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따로 정할 수 있다.’ 우리는 이 기준으로 청소년의 나이를 기준 잡으려고 한다.

    2. 한국에서의 게임 문화
    게임백서에서는 1972년 국내에 오락실이 처음 만들어졌다고 한다. 오락실과 게임 문화는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1990년대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으로 인해 PC게임이 빠르게 퍼져 나갔다. 특히 새로운 세기로 넘어가던 1990년대 말 인터넷의 확산으로 한국에서 게임은 획기적인 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당시 「스타크래프트」와 「리니지」란 게임이 엄청난 인기를 끌었는데, 두 게임 모두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이 중요한 특징이었다.

    2014년 4월 한국의 헌법재판소는 문화콘텐츠 산업의 장래에 큰 파장을 부를 수 있을 중대한 판결을 내렸다. 여성가족부가 마련한 ‘청소년 게임 셧다운제’가 합헌이라는 결정이었다. “인터넷게임의 제공자는 16세 미만의 청소년에게 오전 0시부터 오전 6시까지 인터넷게임을 제공하여서는 아니 된다”라고 규정한 이 법은 청소년의 여가권이나 문화 향유권, 일반적 행동 자유권, 게임 사업자의 표현의 자유, 가족의 자율성과 부모의 교육ㆍ양육권을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나아가 게임에 대한 등급제가 시행되고 있는 마당에 중복적인 규제가 도입된 점에 대해서도 다양한 우려가 쏟아졌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