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일반화학실험1 청사진의 광화학 예비보고서입니다.

    목차

    1. 실험목표
    2. 이론
    3.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본문내용

    실험목표

    1.Cyanotype process를 통해 청사진을 인쇄해 보며 빛, 특히 자외선에 의한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경험해본다. 또한, 사진 필름 대신에 두꺼운 종이를 잘라 여러 가지
    형태의 stencil 이미지를 만들고, 감광 처리한 종이 위에 stencil을 올려놓고 자외선을 쪼여 주어 그 이미지를 인쇄한다.

    2.시중에서 팔고 있는 선크림(sunscreen)이 자외선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차단하는지 cyanotype process의 광화학 반응을 통해 검증해 본다.
    3.선크림의 용기에 적힌 SPF 값에 따라 선크림의 자외선 차단 효과가 어떻게 다른지 평가해 본다

    이론

    (1)자외선 (ultraviolet, UV)
    자외선은 전자기파 스펙트렘에서 보라색 띠에 인접한 사람에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 영역이다. 자외선은 10에서 400나노미터의 파장 영역을 가진다. 자외선의 파장은 가시광선보다 짧고, X선 보다는 길고 햇볕에서 나온다. 파장이 긴 자외선은 원자를 이온화 하기에는 에너지가 부족하지만 물질들이 화학 반응을 일으키게 하여 빛을 내거나 형광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생물체를 가열 시킬 뿐 아니라 체내
    분자의 상호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검버섯, 주근깨, 일광화상 모두 자외선에 과 노출된 영향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지구의 대기가 태양으로부터 오는 자외선을 막아주지 않는다면 땅 위의 생물들은 자외선에 심각한 피해를 입을 것이다. 파장대가 121nm보다 작아 에너지가 더 높은 파장대의 자외선은 공기중의 공기를 이온화 시켜버려서 땅에 닿기 전에 공기에 흡수된다. 자외선은 인간을 포함한 대부분의 척추동물이 비타민D를 합성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반화학실험2 화학반응속도-시계반응 예비보고서입니다.

    목차

    1. 실험목표
    2. 이론
    3.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본문내용

    실험목표
    1. Landolt iodine 시계반응(clcock reaction)의 종료 시점에서 반응 용액의 갑작스러운 색 변화를 통해서 반응속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반응차수를 결정한다.
    2. In (rate) vs In[IO3-]0 의 그래프의 기울기로부터 반응차수, n을 구한다.

    이론
    1. 반응속도
    화학반응에서는 반응물이 생성물로 변하는 속도를 반응 속도라고 한다. 반응 속도는 일정한 시간 동안 생성물이 증가한 양 또는 반응물이 감소한 양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일정한 시간 동안 생성물의 농도가 증가한 정도, 반응물의 농도가 감소한 정도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반응 속도는 반응물의 농도에 따라 값이 변한다. 속도 법칙은 반응 속도의 반응물 농도 의존도를 보여준다. 반응식 a A + b B → c C + d D 에서 반응속도는 rate = k [A]m [B]n으로 나타낼 수 있다.

    2. 반응차수
    반응 속도식에서 반응 물질의 농도가 반응 속도에 기여하는 정도를 숫자로 나타낸 것이다. 위의 반응속도 식(rate = k [A]m [B]n)에서 항의 지수 m, n 이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값인데 이를 반응 차수 라고 한다. A에 대해서는 m차 반응이며 전체반응은 (m+n)차 반응이다. 반응차수에 따라서 반응이 여러 개로 구분되는데 0차반응, 1차반응, 2차반응으로 나뉜다.

    3. 속도상수
    반응속도와 반응물 농도 사이의 비례상수이다. 화학반응의 속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낸다. 반응물의 농도를 이용해 속도법칙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속도상수가 사용된다. 반응물의 농도를 [A], [B], [C], .. 이면 반응속도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반응속도 식이 k[A]nA[B]nB[C]nc로 표현된다. 그리고 이때 반응차수 말고 상수 k를 속도상수라고 한다. 속도상수는 온도와 활성화 에너지 이외의 요인으로는 바뀌지 않는다. 아레니우스에 따르면 활성화에너지(Ea), 빈도인자(A), 기체상수(R), 절대온도(T)를 고려했을 때 반응속도상수는 K=Ae-Ea/RT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반화학실험2 화학반응속도-식용색소와 표백제의 반응

    목차

    1. 실험목표
    2. 이론
    3.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본문내용

    실험목표

    -식용색소 청색 1호와 가정용 표백제에 포함된 NaOCl 사이의 반응속도를 다룬다.

    -Beer 법칙에 따라 흡광도를 측정하여 식용색소와 가정용 표백제의 NaOCl 사이의 반응 속도를 알아본다.

    이론
    1.화학반응 속도론
    반응속도론이라고도 한다. 말 그대로 화학 반응 속도에 대한 학분 분야이며 다른 실험 조건이 어떻게 화학 반응의 속도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 연구하며 반응 메커니즘을 통해서 생성물의 생산량에 대해 연구한다. 현재에는 양자역학, 통계 역학 등 이론 및 각종 분석 기구 등의 실험 기술에 따라서 내용을 확대하며 반응 계 물질의 분자 구조, 물성, 반응속도의 관계 등을 연구 하고 있다.

    2.반응차수
    반응속도와 반응물질 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반응속도식에서 반응물질 농도항의 지수를 의미한다. 쉽게 말하면 화학식 A+B->c+d 라는 식이 있을 때 반응물인 a와b는 농도가 작아지는 속도이고 이는 반응물의 농도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반응속도는 k[A]ax[B]b로 나타낼 수가 있다. 이때 [A]는 몰 농도이고 각 항의 지수는 반응차수이다. 반응 차수는 실험에서 결정된다. 위와 같은 식의 경우 물질 A에 대해서는 a차 반응이고 물질 B에 대해서는 b차 반응이며, 전체 반응은 (a+b)차 반응이다.

    3. 속도상수
    속도상수는 반응속도와 반응물 농도 사이의 비례상수이다. 화학반응의 속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반응물의 농도를 이용해서 반응의 속도를 구하는 속도법칙을 유도할 수가 있는데 이 식에서 속도 상수가 이용된다. 위의 (2)반응차수 에서 설명한 식 중에서 k가 속도 상수이다. 일반적으로 온도에 의존하는 반응 상수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PFT 폐활량검사 폐기능검사 요약 문헌고찰(정의, 적응증, 시술 전 간호, 검사방법, 검사결과, 주의사항, 측정결과, 부작용, 후유증)

    목차

    1. 정의
    2. 적응증
    3. 시술 전 간호
    4. 검사/시술/수술 방법
    5. 검사결과
    6. 주의사항
    7. 추가
    8. 결과
    9. 부작용/후유증

    본문내용

    1. 정의
    산소를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호흡과정의 기능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폐에서 가스교환과정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2. 적응증
    간질성 폐질환, 폐기종, 천식, 만성폐쇄성 폐질환 등 폐질환의 여부나 경중 정도를 판단하고, 폐질환 환자들의 치료반응과 방향, 예후를 관찰한다. 수술 전 마취가 가능한지 폐 기능을 평가하거나 수술 후 호흡기와 관련해 합병증의 위험은 없는지 판단한다. 혹은 직업 혹은 노출 환경과 폐기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도 검사를 시행한다.
    흉통, 감기, 폐렴, 기관지염 등 호흡기 감염이 있는 경우에는 증상이 없어진 후, 수술 4주 정도 후 시행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치료 레포트(보고서) 과제물 (상담이론과실제)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프로이트
    1. 프로이트
    2. 정신 분석 치료의 역사
    2-1. 심리적 외상론의 시기 (1886~1896년)
    2-2. 추동 심리학의 시기 (1896~1923년)
    2-3. 자아 심리학의 시기 (1923~1939년)
    2-4. 프로이트 사후의 시기 (1939년-현재)
    3. 정신분석 치료의 주요 개념과 이론
    3-1. 정신분석의 기본 가설
    3-2. 추동
    3-3. 심리성적 발달 단계
    3-4. 지형학적 모델
    3-5. 삼원 구조 이론
    3-6 꿈
    3-7. 실수와 재치
    3-8. 방어 기제

    Ⅲ. 정신분석치료
    1. 기본가정
    2. 치료과정
    2-1. 치료 목표
    2-2. 치료자의 기능과 역할
    2-3. 내담자가 겪는 경험
    2-4.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
    3. 치료기법과 절차
    3-1. 해석
    3-2. 자유연상
    3-3. 꿈의 분석
    3-4. 저항의 해석
    3-5. 전이의 해석
    4. 정신분석치료 치료의 실제
    4-1. 치료의 초기
    4-2. 치료의 중기
    4-3. 치료의 종결기
    5. 정신분석치료의 평가

    Ⅳ. 분석 치료를 활용한 프로그램 소개
    1. 음악 치료란
    2. 음악 치료 대상자
    3. 정신분석적 음악치료의 과정 및 원리
    4. 치료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
    5. 음악 치료 프로그램 (성악 즉흥연주)
    6. 음악 치료 프로그램을 발표자들이 직접 경험해본 소감.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정신분석 이론(psychoanalytic theory)은 20세기 서구 문명의 지적 충격이라고 할 수 있는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에 의해 최초로 개발된 성격 발달이론이다.

    정신분석 이론이란 인간의 정신세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무의식에 초점을 두어 무의식적인 성적 · 공격적 충동에 의해 발생하는 갈등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한 이론이다. 프로이트 이론의 특징은 인간의 성격 발달에서 성적 욕망을 강조하고 있다. 정신분석 이론에서는 개인의 행동, 감정, 생각 등이 우연히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적 성적 · 공격적 충동에 의한 것이라고 여기며, 결정론적 관점에 바탕을 둔다.
    따라서, 상담자는 내담자의 현재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 과거 경험, 특히 무의식적으로 내재된 성적 · 공격적 충동에 대해 이해하고, 클라이언트가 이런 경험과 충동에 대해 통찰력을 가지고 인식하도록 현재의 문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정신분석 이론에서는 현 문제에 대한 치료적 처방을 제공하기보다는 클라이언트의 통찰력 혹은 문제 인식능력과 이해력을 향상하는 데 그 초점을 두고 있다. 정신분석 이론은 프로이트의 학설을 말하며, 그의 이름을 따라 ‘프로이트주의(Freudism)’라고도 부른다.

    그의 학설은 ‘자유연상법(free association)’을 사용한 신경증 치료 기술로서, 또 인간 심리의 해명으로서 성립하였다. 프로이트의 자유연상법은 꿈 또는 말, 글의 차이 등의 현상을 포착해서 그때 마음속에 떠오르는 현상을 계속해서 서술하는 것을 말하며, 의식되지 않고 심리 깊숙한 곳에 감추어져 억압된 심리 활동을 읽어내고, 거기에 기초하여 신경증의 치료법을 세우는 것을 말한다. 그는 이러한 방식을 ‘정신분석(psychoanalysis)’이라고 명명했다. 이러한 프로이트의 이론은 현대에서 아들러, 융 등에게 수용되어 변용되었으며, 사회사의 해석에도 적용되고 있는데, 이들을 가리켜 흔히 신프로이트학파라고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반화학실험2 어는점 내림에 의한 분자량 결정

    목차

    1. 실험목표
    2. 이론
    3.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본문내용

    실험목표
    1.총괄성질의 하나인 어는점 내림을 이용하여 물질의 분자량을 결정 할 수 있다.
    2.용질은 분자성이므로 i=1인 점을 알고 있는 용매의 몰랄 어는점 내림 상수(Kf)를 사용하여 미지시료(용질)가 용해된 용액의 어는점 내림 을 측정해 식 (1b)에 의해 용액의 몰랄농도를 결정하고 이를 통해 용액에 용해된 용질의 분자량을 결정 할 수 있다.

    이론
    (1)비휘발성
    휘발성의 반대말이다. 즉 고체, 혹은 액체가 기화되어 기체가 되는 확률이 적은 물질을 말한다. 비휘발성 물질의 예로는 액체에서는 실리콘오일 등이 있다. 고체는 대부분이 비휘발성 물질이다. 비휘발성과 휘발성의 차이는 분자의 결합력이 결정하는데 극성이 있고 분자량이 클 경우 분자의 힘이 강해 증발이 어렵다.

    (2)용질
    용매에 용해되어져서 용액을 만드는 물질이다. 소금물에서 용질은 소금을 의미한다. 액체와 액체가 섞일 때에는 양이 많은 쪽을 용매로 취급하고 양이 적은 쪽을 용질로 취급한다. 극성이 큰 용질은 극성 용매에 잘 용해되며, 극성이 작은 용질은 극성이 적은 용매에 잘 용해된다.

    (3)용매
    용질을 용해시켜 용액을 만드는 물질이다. 용매는 대부분 액체를 사용하며 액체와 액체가 혼합된 경우 양이 더 많은 액체를 용매로 취급한다. 극성이 큰 용매는 극성이 큰 용질을 녹이며 극성이 작은 용매는 극성이 작은 용질을 녹인다.
    (4)끓는점
    액체상태에서 물질의 온도가 높아지면 끓는 현상이 일어나 기체상태로 변하는 과정이 일어나는데 이를 끓음 이라고 한다. 주어진 압력에서 끓음현상이 일어나는 온도를 끓는점이라고 한다. 액체인 물이 끓어 기체인 수증기로 변하는 것이 대표적인 끓음 현상이다. 1기압에서 물의 끓는점은 100도이며 절대온도로는 373K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반화학실험2 구강청결제에 들어있는 식용색소 농도 결정

    목차

    1. 실험목표
    2. 이론
    3.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본문내용

    실험목표

    -여러 가지 색의 식용색소 용액들의 흡수 스펙트럼을 얻고, 이로부터 색을 띤 용액이 흡수하는 빛의 색(파장)이 용액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볼 수 있다.

    – 흡광도 vs 농도의 표준곡선을 얻고, 이를 통해 구강청결제에 들어 있는 식용색소의 양을 결정한다.

    이론
    1.백색광
    백색광은 흰색의 밝은 빛을 의미한다. 파장성분이 가시광선의 파장 범위인 400~700nm 범위에 퍼져 있다. 대표적으로 햇빛이 있다. 태양광처럼 각 파장의 광선이 혼합되어 있으며 가시광선의 전역에 걸친 연속 스펙트럼에 의해 실현되는 빛이다. 프리즘을 통해 백색광을 분산시키는 실험을 할 경우 다양한 색의 빛이 나온다.

    2.투과도
    물질층을 빛이 통과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물질층에 대한 입사광의 세기를 I1, 이것을 통과하고 나온 빛의 세기를 I2라고 하면 T=I2/I1 라는 식을 통해 투과도를 알 수 있다. 투과도율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위의 수식의 값에 x100을 해주면 된다.

    3.흡광도
    어떤 물질에 빛을 쪼였을 때 투과율의 음의 상용로그 값으로 정의된다. 흡광도 A= -log(T) = -log(I/I0) (이때 처음 빛의 세기를 I0라 하고 물질을 지나고 빛의 일부가 흡수된 뒤 투과된 빛의 세기를 I 라고 한다.)흡광도는 용액의 농도에 선형적으로 비례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단색광을 쪼여서 용액의 농도를 측정할 때 이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투과 율이 높으면 음의 상용로그 값은 투과율이 낮을 때에 비해 더욱 작은 값이 도출된다. 빛이 시료에 세게 흡수되면 투과율은 낮아지게 되는데 이때 투과율에 로그를 취하면 시료의 농도에 비례하는 값이 산출된다.

    4.흡수 스펙트럼
    각각의 원자는 특정한 에너지 준위들의 분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정한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다. 원자를 통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관찰하면 특정파장이 비어 있는 것이 관찰되는데 이런 분포를 흡수 스펙트럼이라고 한다. 백색광을 분석하기 위해 물질의 희석용액이나 증기를 통과시킨다. 후에 분광기로 관찰하면 백색광의 연속 스펙트럼 사이에 검은 선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 발달 이론 총정리

    목차

    1. 심리성적발달
    1) 구강기(Oral stage, 출생~18개월)
    2) 항문기(Anal stage, 18개월~3세)
    3) 남근기(Phallic stage, 3~6세)
    4) 잠복기(Latent stage, 6~12세)
    5) 생식기(Genital stage, 12세 이상)

    2. 심리사회적 발달
    1) 신뢰감 대 불신감(출생~1세)
    2) 자율감 대 수치심(1~3세)
    3) 솔선감 대 죄책감(3~6세)
    4) 근면성 대 열등감(6~12세)
    5) 정체감 대 역할 혼란(12~18세)

    3. 인지발달
    1) 감각운동기(Sensorimotor period, 출생~2세)
    2) 전조작기(Preperational period, 2~7세)
    3)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period, 7~11세)
    4)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eriod, 11~15세)

    4. 언어발달
    1) 생득론적 입장의 이론
    2) 학습 경험론적 입장의 이론
    3) 상호 절충론적 입장의 이론

    5. 도덕발달
    1) 전인습적 도덕기(Preconventional level)
    2) 인습적 도덕기(Conventional level)
    3) 후인습적 도덕기(Postconventional level)

    6. 영적발달

    본문내용

    Freud는 초기에는 정신구조를 의식, 전의식, 무의식의 세계로 설명하였고 이후 성격 요소로서 원본능(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라는 역동적 개념을 도입하였다. 역동적 체계는 인간의 정신을 유동적인 에너지 체계로 정의하는 것이다. 성격의 세 가지 구성요소는 원본능, 자아 그리고 초자아가 발달하여 점차적으로 심리성적 발달의 5단계로 통합된다.
    Freud는 인간의 본능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성이며, 아동기 동안에 신체의 특정 부위가 새로운 쾌락이 근원이 되고 발달함에 따라 쾌락의 근원이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점차 옮겨가면서 새로운 심리성적 발달단계를 가져온다고 주장하였다. 각 발달 단계는 아동이 추구하는 쾌락을 만족시켜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으며, 만일 쾌락의 추구가 빈번히 좌절되면 다음 발달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고 그 시기에 고착된다고 하였다.
    ●구강기(Oral stage, 출생~18개월)
    영아의 관심은 입, 혀, 입술 등 구강에 집중되어 있어 빨고, 물고, 씹고 소리 내는 구강 활동에서 가장 큰 만족감을 얻는다.
    구강기에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구강의 만족과 쾌감에 지나치게 집착하거나 몰두하게 되고 다음 발달 단계로 이행하지 못하며, 이 시기에 고착되어 버린다. 이 고착 현상은 손가락 빨기, 손톱 깨물기, 수다 떨기, 과식, 과음, 흡연, 신랄한 비평 등 구강기 성격으로 나타난다.
    ●항문기(Anal stage, 18개월~3세)
    유아는 일차적 성감대가 구강기에서 항문 주위로 옮겨지고 장운동과 항문조임근이 발달함에 따라 배설물을 참는 것과 배설하는 데서 기쁨을 느낀다. 이 시기에는 배변훈련을 통해 자신의 본능적인 충동인 배변에 대한 통제가 요구되는 것으로써 처음으로 사회적 요구에 직면하게 된다.
    배변훈련이 지나치게 엄격할 경우 고착 현상이 나타나 항문기 성격으로 진전된다. 근육수축의 쾌감에 고착되면 청결이나 질서에 대한 강박적 욕구, 수전노와 같은 인색함..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 지역사회간호학 지역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뉴만 건강관리체계이론을 이용한 간호과정(시나리오 포함)_ 부적당한 건강관리 행위

    목차

    1. 시나리오

    2. 기본구조 사정(생리적 특성, 심리적 특성, 사회문화적 특성, 발달적 특성, 영적 특성)

    3. 스트레스원 사정(체계 내 요인, 체계 간 요인, 체계 외 요인)

    4. 정상방어선, 저항선, 유연방어선 확인

    5. 간호진단
    1) 일차 예방
    2) 이차 예방
    3) 삼차 예방

    본문내용

    시나리오의 대상자는 이**이다. 대상자는 대학교에 입학하면서 2020년도에 **시에 원룸을 구하여 혼자 살게 되었다. 원룸은 환풍 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 환기가 잘 안 되는 곳이었고, 내부는 매우 습기가 차 있었고 곰팡이 냄새가 났다. 전체적인 시설 노후로 인하여 벽지와 화장실, 에어컨 내부 등에 곰팡이가 잔뜩 있는 상황이었다.

    원룸 밖에는 쓰레기가 방치되어있어 악취가 매우 심했다. 주거지 근처에는 술집 등 유흥시설이 있어 한밤중까지 소음공해가 매우 심하였다. 악취와 소음으로 인하여 제대로 수면을 취하지 못하여 늘 수면 부족 상태로 지냈다. 유흥시설에 소음으로 인해 주의하라고 경고하였지만 그대로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영화 <어거스트 러쉬>를 통한 성장 발달 이론 분석

    목차

    없음

    본문내용

    대상: 영화 어거스트 러쉬에 등장하는 학령기에 해당하는 에번
    -간단한 배경 설명:
    에번은 태어나자마자 부모의 의지와 별개로 보육원에 입양되게 된다. 하지만 에번은 부모를 찾기 위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재능인 음악을 통해 계속하여 연주하고 부모중 엄마는 자신의 아이가 살아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아이를 찾아 나선다. 에번은 다양한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해 주 양육자가 없는 상황에서도 일생의 성장과 발달의 과업들을 이뤄 나간다.

    <심리성적 발달>
    Freud는 초기에는 정신구조를 의식, 전의식, 무의식의 세계로 설명하였고 이후 성격요소로서 원본능(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가 발달이 진행되는 동안 끊임없이 유동하는 역동적 체계로 설명하였다.
    Freud는 성본능이 성격발달에 중요하다고 간주하였다. 그래서 어떤 관능적인 즐거움을 충족하기 위한 성적 에너지를 리비도(libido)라고 하여 타고난 역동과 이성적 통제 기능 간의 대립적 갈등으로 인간의 성격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리비도가 심하게 억압되거나 좌절되면 그 신체 부위의 고착이 생기거나 퇴행이 생길 수도 있다. Freud는 성적 에너지인 리비도가 집중적으로 표출되고 만족을 얻는 신체 부위의 변화에 따라 심리성적 단계를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생식기의 5가지로 구분하였다.

    구강기 (oral stage, 출생~18개월)
    영아의 관심은 입, 혀 입술 등 구강에 집중되어 있어 빨고, 물고, 씹고, 소리 내는 구강 활동을 통해 쾌락을 추구하게 된다. 영아는 영양섭취뿐 아니라 즐거움과 안위를 경험하기 위하여 빨고 싶어 한다.
    충분한 구강 만족을 얻지 못하면 욕구불만이 생기고 구강기에 고착되어 전 생애를 통하여 구강의 만족과 쾌감이 지나치게 집착하거나 몰두하여 다음 단계로 이행하지 못하고 그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계속 노력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