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휴넷연결회계 과제

    목차

    (1) 유의적인 영향력과 지배력의 차이점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2) 취득 이후 2년 경과시점의 연결에서 작성하여야 할 재무제표(주석제외) 및 연결절차 5단계(선행절차 제외)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3) 관계기업이 당기순손실을 보고한 경우, 투자기업의 관계기업투자 장부금액과 투자기업의 순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4) 20×1년 초에 A기업은 B기업의 의결권이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60%를 현금 400,000원 을 지급하고 취득하고 지배력을 확보하였다. 주식 취득일 현재 B기업의 순자산 장부금액은 500,000원이며, 순자산의 공정가치는 540,000원이다. B기업의 순자산장부금액과 순자산공 정가치의 차액은 모두 건물에서 발생하였다. 건물은 잔존내용연수 5년 잔존가치 없이 정액법 으로 감가상각한다. 별도(개별) 재무제표 20X1년말 A기업의 건물 장부금액은 200,000원이 고, B기업의 건물 장부금액은 60,000원이다. 20X1년말 연결재무상태표 건물의 장부금액은 얼 마인가?

    본문내용

    유의적인 영향력이란, 피투자자의 재무정책과 영업정책에 관한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능 력을 의미하며, 지분율 기준과 실질 영향력 기준에 따라 판단 가능하다. 지분율 기준으로는, 기업이 직접 또는 간접(종속기업을 통해)으로 피투자자에 대한 의결권을 20% 이상을 소유하 고 있는 경우, 유의적인 영향력을 보유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단, 이때 유의적인 영향력 이 없다는 사실을 명백히 제시할 수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 또한 유의적 영향력 보유를 평가 할 때, 현재 행사할 수 있는 잠재적 의결권의 존재와 영향을 고려해야한다. 실질영향력 기준으로는..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9

    목차

    1. 목적

    2. 준비물 및 유의사항

    3. 설계실습 계획서
    3.1 Series-Shunt 피드백 회로 설계
    3.2 Series-Series 피드백 회로 설계

    본문내용

    1. 목적
    피드백을 이용한 증폭기의 동작을 이해한다. 입력이 전압이고 출력도 전압인 Series-Shunt 구조의 피드백 증폭기와 입력이 전압이고 출력은 전류인 Series-Series 구조의 피드백 증폭기를 설계하고 실험한다.

    2. 준비물 및 유의사항

    Function generator: 1대
    Oscilloscope(2 channel): 1대
    DC power supply(2 channel): 1대
    DMM : 1대
    Mosfet-IRF5305(P-Channel): 1개
    Op Amp – UA741CP: 1개
    LED : BL-B4531 : 1개
    저항(1kΩ) : 4개
    저항(100Ω) : 2개
    가변저항(10kΩ) : 1개

    3. 설계실습 계획서
    3.1 Series-Shunt 피드백 회로 설계

    (A) 그림 1 회로를 simulation하기 위한 PSPICE schematic을 그린다. 전원 전압원은 12V로 고정하고 입력저항 및 부하저항을 1kΩ, 피드백 저항은 V_o/V_s =2가 되도록 R_1, R_2값을 설정하고, Simulation Profile에서 Analysis type을 DC Sweep으로 설정하고서 입력 전압원의 값을 0V에서 +6V까지 0.1V의 증분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부하저항 양단의 출력전압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주는 입출력 transfer characteristic curve를 그려라.
    V_o/V_s = 2를 만족하기 위해서 A_F = V_o/V_s ≅ 1/β = (R_1+R_2)/R_2 = 2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식을 만족하려면 R_1=R_2가 되어야 한다. 우리는 이것을 각각 1kΩ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6

    목차

    1. 목적

    2. 준비물 및 유의사항

    3. 설계실습 계획서
    3.1 Emitter 저항을 삽입한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
    3.2 설계한 Amplifier의 측정 및 특성 분석

    본문내용

    1. 목적
    R_sig= 50Ω, R_L=5kΩ, V_CC=12V인 경우, β=100인 NPN BJT를 사용하여 R_in이 kΩ이고 amplifier gain(V_o/V_in)이 -100V/V이며 emitter 저항 사용한 Common Amplifier를 설계, 구현, 측정, 평가한다.

    2. 준비물 및 유의사항

    Function Generator 1대
    Oscilloscope(2 channel) 1대
    DC power supply(2 channel) 1대
    DMM : 1대
    NPN TRANSISTOR
    2N3904 T)-92(Fairchild) 2개
    Resistor 100kΩ 5% 1/4W : 1개
    가변저항 50kΩ 1/4 W : 4개
    가번저항 1kΩ 1/4W : 4개

    3. 설계실습 계획서
    3.1 Emitter 저항을 삽입한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
    *모든 계산 결과는 반올림하여 유효숫자 세 자리까지만 사용한다.
    위 회로와 같이 Emitter 저항을 사용한 Common Emitter Amplifier에서 R_sig=50Ω, R_L=5kΩ, V_CC=12V인 경우, β=100인 NPN BJT를 사용하여 R_in이 kΩ 단위이고 amplifier gain(V_o/V_in)이 -100V/V인 증폭기를 설계하려고 한다.

    (A) Early Effect를 무시하고 이론부의 Overall Voltage Gain에 대한 식으로부터 출발하여 부하저항 R_L에 최대전력이 전달되도록 R_C를 결정해라.

    Common Emitter Amp의 Overall Voltage Gain G_v = V_o/V_sig = – R_in/(R_in+R_sig ) g_m (r_o ||R_C || R_L)으로 쓸 수 있다. 문제 조건에서 Early Effect를 무시한다 했으므로, r_o= 0 이고 G_V = (-R_in)/(R_in+R_sig ) g_m (R_C// R_L)으로 다시 쓸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8

    목차

    1. 목적

    2. 준비물 및 유의사항

    3. 설계실습 계획서
    1) 단일 Current Mirror 설계
    2) Cascade Current Mirror 설계

    본문내용

    1. 목적
    N-type mosfet을 이용하여 특정 reference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단일 current mirror와 cascode mirror를 설계 및 측정하여, current mirror를 이요한 전류원의 전기적 특성을 이해한다.

    2. 준비물 및 유의사항
    DC power supply(2 channel) 1대
    DMM : 1대
    Oscilloscope(2 channel) 1대
    40cm 잭-집게 연결선(빨강) : 4개
    40cm 잭-집게 연결선(검정) : 4개
    Breadboard : 1개
    점퍼 와이어 키트 : 1개
    Mosfet : 2N7000 : 4개
    저항(1kΩ, 1/2W) : 4개
    가변저항(1kΩ, 10kΩ, 1/2W) : 2개

    3. 설계실습 계획서
    *모든 계산결과는 반올림하여 유효숫자 세 자리까지만 사용한다.
    그림 1의 회로와 같이 Current Source에서 M_1, M_2로는 2N7000(Fairchild)을 이용하여 V_CC = V_DD = 10V 인 경우, I_REF = 10mA인 전류원을 설계한다.
    (A) 2N7000의 data sheet로부터 1/2k_n'(W/L) 값을 구하리. 사용한 수식 및 수치를 자세히 적어서 제출한다. (Gate Threshold Voltage와 On-stage drain current 이용)

    출처 : 해피캠퍼스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3

    목차

    1. 목적
    2. 준비물 및 유의사항
    3. 설계실습 계획서

    본문내용

    1. 목적
    정파정류회로를 사용하여 교류전원으로부터 직류전압을 얻는 기본적인 직류전압 공급기 (DC power Supply)를 설계, 구현, 측정, 평가한다.

    2. 준비물 및 유의사항
    • Function Generator: 1대
    • Oscilloscope(2channel): 1대
    • DC Power Supply(2channel): 1대
    • 1:1 저용량 변압기 (1:1 변압기가 없으면 저용량 변압기 2개, 양쪽 집게 프로브 4개): 1대
    • DMM: 1대
    • Resistor 5kΩ, 20kΩ, 5%, 1/2W: 1개
    • Capacitor: 0.1 μF: 1개
    • Diode: 1N914 또는 KDS160: 4개
    • 점퍼선: 다수
    • Bread Board: 1개

    3. 설계실습 계획서
    (A) 설계: 아래 그림 6-1에서 5kΩ의 부하 (R_L)에 걸리는 직류전압의 최대치 (V_p)가 4.4V이며, ripple (V_r)이 0.9V 이하가 되도록 교류 입력전원의 크기를 결정하고 C의 크기를 설계한다. 이때 diode의 저항은 0.7kΩ으로 가정한다. 이론부와 교과서 (Sedra)를 참조한다. 설계에 사용된 수식, 과정을 상세히 기술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1(분반1등)

    목차

    1) 3.1 센서 측정 및 등가회로

    2) 3.2 Op amp를 사용한 Amplifier 설계
    (1) 3.2.1 Inverting Amplifier 설계와 시뮬레이션
    (2) 3.2.2 Inverting Amplifier 측정
    (3) 3.2.3 Non-Inverting Amplifier 설계
    (4) 3.2.4 두 Amplifier의 비교
    (5) 3.2.5 Summing Amplifier

    본문내용

    출력신호가 주파수 2 kHz의 정현파인 어떤 센서의 출력전압을 오실로스코프 (입력 임피던스 = 1 MΩ)로 직접 측정하였더니 peak to peak 전압이 200㎷이었고 센서의 부하로 10 kΩ 저항을 연결한 후 10 kΩ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역시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하였더니 peak to peak 전압이 100mV이었다.
    (A) 센서의 Thevenin 등가회로를 구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센서의 Thevenin 등가회로를 PSPICE로 그려서 제출한다.

    센서의 출력 전압을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하였을 때 200mV(peak to peak)가 측정되었다. V_th(=Vampl)의 크기는 100mV으로, peak to peak 값은 100mV*2= 200mV가 된다.

    10kΩ의 부하 저항에 흐르는 전압을 측정해보니 100mV(peak to peak)가 측정되었다. 오실로스코프의 입력 임피던스 값은 부하 저항에 비해 매우 큰 값이고, 전류는 모두 부하 저항 쪽으로 흐르게 될 것이다. 우리는 전압 분배 법칙에 의해 계산을 해보면 100mV = 10k/(10k+Rth)*200mV 의 수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계산된 R_th 값은 10kΩ이 된다. 이를 이용하여 Thevenin 등가회로를 Pspi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그리면 위와 같다.
    (B) 센서의 Thevenin 등가회로를 Function generator와 저항으로 구현하려 할 때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을 얼마로 설정해야 하는가? Function generator의 출력 저항은 50Ω이며 전면에 표시되는 출력전압은 50Ω의 부하가 연결되었을 때 이 부하에 걸리는 전압을 의미한다.

    센서의 저항은 10kΩ을 가지고 있다. Function generator의 출력 전압은 센서에 걸리는 전압과 분배 식을 사용하여 V * 10k/(10k+50) = 200mV, V = 201mV(Vpp)이라고 구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2

    목차

    1. 목적

    2. 준비물 및 유의사항

    3. 설계실습 계획서
    3.1 Offset Voltage, Slew Rate
    3.2 Integrator

    본문내용

    1. 목적
    OP Amp의 offset 전압과 slew rate를 측정하는 회로, 적분기를 설계, 구현, 측정, 평가한다

    2. 준비물 및 유의사항
    • Function Generator: 1대
    • Oscilloscope(2channel): 1대
    • DC Power Supply(2channel): 1대
    • Op Amp(LM741CN): 3대
    • DMM: 1대
    • Resistor 51Ω, 100Ω, 1kΩ, 10kΩ, 100kΩ,1MΩ, 5%, 1/2 W: 2개
    • Variable Resistor(가변저항) 20kΩ, 1/2 W: 2개
    • 점퍼선: 다수
    • 스위치: 1개
    • Bread Board:1개

    3. 설계실습 계획서
    3.1 Offset Voltage, Slew Rate
    3.1.1 Offset Voltage 개념
    아래의 그림 4.1과 같이 두 입력단자를 모두 접지시키면 입력 단자 간의 전위차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상적인 OP-Amp를 가정할 경우 출력 전압은 0 V가 된다. 그러나 실제 OP-Amp의 경우에는 OP-Amp 내부에 그림 4.2와 같이 Offset voltage가 존재하므로 출력전압은 0 V가 아니며 그 출력전압을 Open loop gain으로 나누면 Offset voltage를 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런 방법을 사용할 수 없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기술한다.

    그림 4-1 OP-Amp의 양 입력단자를 접지시킨 Open-Loop 회로

    실험에서 진행하는 741 Op amp의 datasheet를 보면 open loop gain 값은 typ 200이라고 하였다. 이는 매우 작은 입력 전압에 대해서도 공급전압 15V에 대해 매우 큰 값으로 saturation 영역에서 동작할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없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결과레포트] 크로마토그래피

    목차

    1. title

    2. date

    3. purpose

    4. reagent&apparatus

    5. theory
    1) 크로마토그래피
    2) polar surface area
    3) 시료 성분의 확인 Rf

    6. procedure
    1) 색소의 전개
    2) 화학 혼합물의 분리

    7. observation

    8. result
    1) 색소의 전개
    2) 화학 혼합물의 분리

    9. discussion
    1) 전개액의 비율을 바꾸면 결과가 어떻게 바뀔까 예상해보기
    2) 아래 세 물질의 극성도 차이의 원인 생각해보기
    3) TLC 전개 시 뚜껑을 닫아야 하는 이유

    본문내용

    1. title: 크로마토그래피
    2. date: 2023.05.02
    3. purpose
    크로마토그래피로 색소나 혼합물을 분리하는 실험을 한 다음, 이것을 통해서 크로마토그래피 작동 원리와 분자 극성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사용법이 간단한 크로마토그래피로 물질들을 쉽게 분리하기 위함이다.

    4.reagent&apparatus
    1L 비커, 이쑤시개, UV-램프, 70ml 바이알, 핀셋, 자, 크로마토그래피 종이, 연필, 장갑, TLC용 암막통, 얇은 알루미늄 박 크로마토그래피(흡착제:실리카젤)
    NaOH수용액, Yellow 5, Blue 1, Red 3 색소 및 혼합 색소, 에틸아세테이트/헥세인 혼합용매, 메톡시페놀, 1,4-다이메톡시벤젠, 4-메틸아니솔

    <중 략>

    5.theory
    -크로마토그래피
    혼합물이 용매를 따라 이동할 때, 각기 다른 분자가 서로 다른 세기로 흡착제와 상호 작용하고, 결과적으로 이동 속도에도 차이를 보이는 현상을 이용한 혼합물 분리 방법이다.
    가) 정지상, 이동상
    *정지상:관 속 또는 고체 판 위에 고정되어 있고, 용해되지 않아서 시료 성분을 머무르게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예)셀룰로스, 실리카젤 등)
    *이동상:시료를 이동시키는 기체, 액체상을 의미한다.

    나)크로마토그래피의 종류
    *판 크로마토그래피:PC, TLC
    *분리관 크로마토그래피:LC, GC, GPC

    다)종이 크로마토그래피(PC)
    *흡착제는 거름종이(셀룰로스)를 사용한다. 종이가 정지상의 역할을 하고, 전개액이 이동상의 역할을 하게 된다. 모세관을 이용하여 시료 용액을 거름종이의 한 쪽 끝에 찍은 다음, 그 거름종이를 적당한 전개액에 담가 두면 시료가 이동상과 함께 전개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개액이 시료 반점의 아래쪽에서 거름종이를 적시도록 해야 한다. 셀를로스는 –OH 작용기를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극성 화합물과 강한 상호작용을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결과레포트] 카페인 추출 실험

    목차

    1. title

    2. date

    3. purpose

    4. reagent&apparatus

    5. theory
    1) 추출
    2) 분배 계수
    3) 에멀션
    4) 염석 효과
    5) 카페인
    6) 분별 깔때기 사용법

    6. procedure

    7. observation

    8. result

    9. discussion
    1) 수득률의 차이가 크게 난 이유
    2) 홍차 잎에는 카페인 말고도 다양한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다. 실험에서는 어떤 방법으로 셀룰로스, 타닌, 사포닌, 단백질, 색소의 물질이 제거 되었는지 생각해보자.
    3) 포화 NaCl용액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수득률이 어떻게 될지 생각해보자.
    4) 실험에서 염화메틸렌 대신 에틸 아세테이트로 실험을 하게 된다면 어떤 차이가 나타날지 생각해보자.

    본문내용

    1. title: 카페인의 추출과 분리

    2. date: 2023.05.24.

    3. purpose: 화합물의 분리와 정제에 이용되는 추출물법을 이용하여 홍차 잎으로부터 카페인을 추출한 다음에, TLC를 이용하여 추출된 카페인일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화합물의 분리와 정제를 학습할 수 있다.

    4.reagent&apparatus
    테프론테이프, 홍차 티백 2개, 100ml 비커 2개, 뷰흐너 깔때기, 250ml 감압 플라스크, 감압기, 50ml 눈금실린더, 온도계, 100ml 분별 깔때기 마개, 가열 교반기, 저울, 약수저, 시약종이, 거름종이, 유리막대, UV램프, TLC판, 이쑤시개, 핀셋, 스탠드, 링, 클램프, 면장갑, 비닐장갑, 70ml 바이알

    <중 략>

    5.theory
    -추출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섞여 있는 혼합물 속, 특정한 물질을 선택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해서 성분을 분리해 내는 방법을 추출이라고 말한다. 간단하게는 용해도의 차이를 이용하거나 산,염기 혹은 킬레이트 생성등의 화학 반응을 이용할 수도 있다. 고체에서 추출하는 경우를 고-액 추출이나 침출이라고 하고, 액체에서 추출하는 경우를 액-액 추출이라고 한다.

    -분배 계수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용매에 어떤 물질을 용해시켜 평형에 도달했을 때, 이 물질은 두 용매에서 각각 다른 농도로 용해된다. 이 물질의 두 용매에 대한 농도 비는 녹은 물질의 양과, 두 용매 양과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이 현상을 분배 현상, 그 농도의 비를 분배 계수나 분배율이라고 일컫는다. 이것은 oil/water system에서 방부 작용, 천연물 추출 수용액에서 유기 용매로의 이행, 특히 약물의 생체 내로 흡수, 분포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이용된다.
    K=(용매 B에서의 용해도)/(용매 A에서의 용해도)
    K>1이면 A에서 B로 이동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결과레포트] 중화열의 측정 (화학)

    목차

    1. title
    2. purpose
    3. reagent&apparatus
    4. theory
    5. procedure
    6. observation
    7. result
    8. discussion

    본문내용

    1. title: 중화열의 측정

    2. date: 2023.05.30

    3. purpose: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용해서 엔탈피가 상태함수임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또한 엔탈피는 상태함수이기 때문에 물질의 상태 변화에 따라 엔탈피의 변화량, 즉 반응열은 변화의 경로에 관련이 없이 언제나 일정하다.

    4.reagent&apparatus
    노트북, 온도탐침, 보온병, 250ml비커, 100ml 눈금실린더, 자석젓개, 스티로폼, 가열교반기, 항온조

    5.theory
    -엔탈피
    엔탈피는 주어진 계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열역학적 양으로 쉽게 말하여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일컫는다. 즉, 계의 에너지의 양을 의미한다. 물질계의 내부 에너지가 U, 부피가 V, 압력이 P일 때, 그 상태의 엔탈피 H는 H=U+PV로 표시될 수 있다. 엔탈피는 상태함수이기 때문에 출발 물질과 최종 물질이 같은 경우에, 어떤 경로를 통해서 만들더라도 그 경로에 관여한 엔탈피 변화의 합은 같을 것이다. 이것을 헤스 법칙이라고 한다. 화학 반응에서는 일반적으로 반응열을 사용해서 나타내며, 이번 실험에서도 반응열을 비교하며 엔탈피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엔탈피의 변화는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열이 방출되거나 흡수되는 것은 반응물과 생성물의 차이 때문이다.

    -열용량
    어떤 물질의 온도를 1℃ 또는 1K 높이기 위해 필요한 열량으로, 열을 가하거나 빼앗을 때, 물체의 온도가 얼마나 쉽게 변하는지를 알려주는 값이 된다. 단위 질량에 대한 열용량은 비열이라고 말한다. 열용량의 단위는 J/℃ 또는 J/K를 사용한다. 어떤 물질에 가한 열의 양이 Q이고, 가열에 의한 온도 변화가 Δt라면, 이 물질의 열용량 C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