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지역사회간호학 보고서- 국내외보건의료정책 변화

    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국내 산업보건의료정책
    2. 국외 산업보건의료정책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으로 병원의 건강검진센터 실습을 하였다.
    내가 실습했던 10층에는 일반신검실, 특수검진실, 건강증진팀, 종합건강진단센터가 있었다. 첫날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특수건강검진 설명과 항목에 대해 들었다. 일반적으로 보는 종합건강검진, 국가건강검진이 아니고, 아버지가 중공업 현장직을 하시기에 더 관심있게 보고 배웠다. 수검자들 중 특수건강검진을 하려는 수검자들을 꽤 많이 보았다. 특수건강검진은 특정의 유해한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통상적인 정기건강진단 이외에 특별 항목에 대한 진단을 말한다. 유해한 업무에 종사하는 경우에는 유해업무에 의해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건강장해의 조기발견을 위해서 특별 항목에 대한 건강진단을 추가로 받는 검진이다. 특수건강진단을 받아야 할 유해업무 사업장에는 소음발생 장소의 업무, 분진작업, 중금속업무, 유기용제 업무, 특정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업무, 유해광선, 강력한 진동이 발생하는 업무(인쇄사업장, 자동차공업사, 도금염색사업장, 건설현장 등)이 있다.

    <중 략>

    (마) 2018~2022년 5개년 전략계획
    ① 안전하고 건강한 근무환경의 조성
    : 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 프로그램의 집행 강화를 위해 안전보건 수칙을 준수하지 않는 고용주들에 대한 처벌 강화. 고의적이고 반복적인 산안법 위한 혹은 범죄이력이 있는 고용주들에 대한 강력한 억제전략 시행, 악덕 사업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안전보건 감시 강화 등을 제시 (박선영.2020)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 과제- 입원아동,가족의 의사소통 과 감염관리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입원 아동, 가족과의 의사소통
    1) 의사소통의 주요 요소
    2) 의사소통의 저해 요인
    3)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4) 효과적인 의사소통
    (1) 경청
    (2) 감정이입
    (3) 신뢰 형성
    (4) 존중
    (5) 피드백 제공
    (6) 침묵의 사용

    2. 아동 감염관리
    1) 병원감염
    2) 예방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기출문제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는 간호학 토론시간을 통하여 000(F/10) 환아와 보호자를 만나게 되었는데, 입원이 처음이라서 불안해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에 우리는 입원 아동, 가족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환자의 심적인 안정을 돕고 더 나아가 많은 질병을 가진 환자가 모인 병원에 입원함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감염관리 간호에 대해 알아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어 이 과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중 략>

    1) 의사소통의 주요 요소
    (1) 송신자 : 의사소통을 하는 이유와 목적을 지닌 개인이나 집단, 수신자가 반응하도록 메시지를 생성하는 역할. 즉, 말하는 사람
    (2) 메시지 : 송신자가 만든 언어적, 비언어적 자긍으로 의도, 생각, 감정 등이 들어있으며, 이로 인해 수신자가 반응
    (3) 의사소통 경로 : 메시지가 전달되는 수단 -시각적(관찰, 지각 등), 청각적(언어 등),
    운동 감각적(접촉) 경로 등
    (4) 수신자 : 송신자가 보낸 메시지를 수용하는 개인이나 집단. 즉, 듣는 사람
    (5) 피드백 : 수신자로부터 메시지에 관한 정보가 송신자에게 돌아오는 것. 즉, 반응

    간호사는 자신의 전달내용을 환아와 보호자가 이해하도록 의사소통하여야 하며, 대상자의 전달내용을 듣고 중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자신의 지식, 생각, 감정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능력과 상대방의 메시지에 정확하게 반응하는 능력은 분명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파킨슨병 케이스(A+)

    목차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임상적 특성
    4) 진단 및 검사
    5) 치료

    2. 간호사정
    1) 개인력
    2) 대상자의 병력
    3) 치료와 간호
    4) 대상자 사정 도구

    3. 간호과정
    1) 간호진단 우선순위
    2)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 정의
    파킨슨병은 치매 다음으로 흔한 대표적인 퇴행성 뇌 질환이다. 우리 뇌 속의 여러 가지 신경 전달 물질 중에서 운동에 꼭 필요한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있다. 파킨슨병은 중뇌에 위치한 흑색질이라는 뇌의 특정부위에서 이러한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원인 모르게 서서히 소실되어 가는 질환이다.

    2) 원인 및 병태생리
    파킨슨병은 중뇌 흑색질에 존재하는 도파민 분비 신경세포의 소실이 원인이다. 뇌에는 광범위하게 도파민을 이용하는 신경세포가 있으며, 이것들은 운동 조절과 관련된 선조체, 생각과 관련된 전두엽, 감정 등과 관련된 변연계, 호르몬과 관련된 뇌하수체 등에 존재하고 있다. 흑색질에서 만들어진 도파민은 선조체에 작용하여 신체의 운동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흑색질의 도파민 세포가 소실되면 몸의 움직임이 느려지고 운동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중 략>

    → Monocyte는 말초 혈액 내 백혈구 중 2~8%를 차지하며 수치 저하 시 세균감염, 바이러스 감염, 골수장애, 악성빈혈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RBC 수치 저하 시 산소결핍이 되기 때문에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 Hb는 적혈구의 산소운반 능력을 파악할 수 있는 검사로 수치 저하 시 과다출혈로 인한 적혈구 파괴, 신장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Hct는 빈혈, 다혈증, 탈수, 혈액질환을 확인하기 위해 하는 검사로 수치 저하 시 호흡곤란, 무기력, 쇠약, 면역력 저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PLT 수치 상승은 감염이나 혈액질환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 과제-아동의 생리적기능, 영양상태의 사정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아동의 생리적 기능의 사정
    1) 일반적인 개념
    (1) 맥박
    (2) 혈압
    (3) 체온
    (4) 호흡

    2. 영양상태의 사정
    1) 한국인 영양섭취기준(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1) 평균필요량(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EAR)
    (2) 권장섭취량(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RDA)
    (3) 충분섭취량(adequate intake, AI)
    (4) 상한섭취량(tolerable upper intake level, UL)
    2) 식이력

    Ⅲ. 결론

    Ⅳ. 기출문제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는 간호학에서 환아 000(10세/여)님이 입원절차를 밟는 중 활력징후를 측정할 때 나이나 신체적 상태에 따른 기준범위가 다르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이에 따른 간호문제를 찾고 간호사로서 해야 할 일을 토의해보았다. 하지만 아동의 신체적 성장발달에 대한 사정을 하는 것에 대한 한계가 있어 어려움을 겪어 우리는 생리적 기능의 사정과 영양 상태에 사정에 따른 간호에 대해 알아야 할 필요성을 느껴 이 과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Ⅱ. 본론
    1. 아동의 생리적 기능의 사정
    1) 일반적인 개념
    • 정의: 활력징후는 인간의 체온(Body temperature:BT), 맥박(pulse rate:PR), 호흡(respirat ion:RR), 혈압(blood pressure:BP)을 의미하며, 신체내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온 육체적 활동 질병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함.
    • 필요성: 활력징후는 평소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 주기 때문에 활력징후가 변화함은 생리적 기능의 변화로 치료나 중재가 필요함을 암시함.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 과제-아동의 신체적 발달 사정-신체검진1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피부
    1) 사정
    2. 모발
    1) 사정
    3. 손톱과 발톱
    1) 사정
    4. 머리
    1) 사정
    5. 림프절
    1) 사정
    6. 눈
    1) 사정
    7. 귀
    1) 사정
    8. 구강과 인후
    1)구강
    2)인후

    Ⅲ. 결론

    Ⅳ. 기출문제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는 간호학 에서 000환아는 소아과 외래 진료 후 소아 당뇨가 의심되어 자세한 검사를 받기 위해 입원을 결정하였다. 우리는 000 환아의 신체검진을 체크하면서 신체부위마다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고 그에 맞는 간호를 해주려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 아동의 신체적 발달 사정을 알고 신체검진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자 이 주제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피부
    1) 사정출생시 또는 출생 1주 이내에 발생하며 얼굴, 등, 두피에 잘 발생. 그러나 자연적으로 없어짐
    (1) 시진
    ① 피부색 : 아동의 피부사정 시 피부색을 관찰하는데, 특히 코 끝, 외이, 입술, 손과 발 등 에 황달이나 청색증이 나타나는지 주의 깊게 사정한다.
    ② 피부병소병소 : 형질전이에 의해 형태가 변화된 세포의 집합.
    : 병소의 색깔과 크기, 삼출물 삼출물 : 삼출하여 주위의 조직 속으로 스며 나간 혈액의 액체 성분과 세포 성분.
    , 병소의 위치, 분포 등을 사정한다. 예) 딸기혈관종

    [표1. 피부의 대표적 질병]

    질병
    특징
    딸기혈관종
    출생시 또는 출생 1주 이내에 발생하며 얼굴, 등, 두피에 잘 발생. 그러나 자연적으로 없어짐
    hematoma(=혈종)
    피하혈종
    장기나 조직 속에 몇 mℓ 이상이 출혈하여 한 곳에 혈액이 괸 상태.
    멍, 붓기, 통증이 생김

    [그림1. 딸기혈관종] [그림2. 피하혈종]

    (2) 촉진
    ① 탄력성 또는 긴장도 : 아동의 적절한 영양상태나 수화 정도를 평가하는 척도로 엄지와 검지로 아동의 피부를 팽팽히 잡아당겼다가 빨리 놓아 평가한다.

    [표2. 피부 탄력성과 긴장도의 측정부위 및 검진 결과]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 과제- 아동의 신체적 성장발달2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아동의 신체사정
    1) 아동의 신체사정을 위한 일반적 지침
    (1) 신체 사정 장소와 사전 준비
    (2) 아동의 협조 유도 전략
    (3) 그 외의 주의사항

    2. 신체검진
    1) 가슴
    2) 심장
    3) 복부
    4) 생식기
    5) 등과 척추
    6) 사지
    7) 신경학적 사정

    Ⅲ. 결론

    Ⅳ. 국시문제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간호학 Part에서 10세 소아 당뇨 환자인 000환자는 최근 2주 동안 식사량이 늘어나고, 체중이 2~3kg 감소가 있었으며, 소변을 하루에 8번 보아 소아 당뇨가 의심되어 입원하였다.
    이러한 간호 문제에 대해 살펴보는 과정에서 성인과 달리 검사와 치료에 차이를 보이는 아동의 신체 사정 방법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다. 우리는 가슴, 심장, 복부, 생식기, 항문, 사지 그리고 신경적 사정 등 각 부위별 신체 검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아동이 최적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Ⅱ. 본론
    1. 아동의 신체사정
    건강과 질병에 대한 증상 및 징후, 아동의 발달과정 및 건강증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아동의 건강관리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1) 아동의 신체 사정을 위한 일반적 지침
    (1) 신체 사정 장소와 사전 준비
    – 따뜻하고 조용한 방 분위기를 조성한다.
    – 자연광에서 실시한다.
    – 차게 느끼지 않도록 방안 온도를 상온으로 유지시키거나 따뜻하게 만든다.

    (2) 아동의 협조 유도 전략
    – 낯선 환경과 사람, 기구에 익숙해질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다.
    – 친숙한 사람을 곁에 있게 한다.
    – 모든 절차를 설명해 주고, 방해요인이나 자극요인을 최소화한다.
    – *종이인형기법(Paper-doll technique): 아동이 신체 사정을 받는 동안 자신의 신체 부위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좋은 접근법, 놀이나 오락, 장난감의 사용은 아동에게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아동의 협조를 유도하는데 매우 효과적
    종이인형 기법을 사용한다.
    – 혼자 앉을 수 없는 영아나 어린 아동의 경우 안정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부모나 보호자의 무릎에 앉아 검진을 받도록 한다.
    – 아동과 부모의 눈맞춤을 격려한다.
    – 학령기 후기 아동이나 청소년은 가족이나 보호자가 없는 장소에서 신체 사정을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 과제- 아동의 신체적 건강 상태 사정(건강력, 성장측정)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건강력
    1.1.1. 인적사항
    1.1.2. 주호소
    1.1.3. 현병력
    1.1.4. 과거력
    1.1.5. 식이력
    1.1.6. 가족병력
    1.1.7. 신체 계통별 문진
    1.1.8. 심리사회력

    2. 아동의 신체사정
    2.1.1. 아동과 부모의 준비
    2.1.2. 성장 측정

    Ⅲ. 결론

    Ⅳ. 기출문제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는 Part1에서 10살이 된 소아당뇨 여 환아인 000 대상자를 만나게 되었다. 우리는 입원한 000의 신체사정을 하고 간호를 적용해야 하는 상황에서, 더 나아가 입원아동을 위한 기본간호를 하기 위해 아동의 신체적 성장 상태 중 신장, 체중, 머리둘레, 가슴둘레의 건강력과 성장측정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되어 이 과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Ⅱ. 본론
    1. 건강력
    ⦁정의 : 아동과 가족의 인적사항을 비롯하여 신체적 병력, 가족력, 심리사회적 정보 등 을 조사하여 아동을 간호하는 기초정보를 얻고, 치료 및 간호에 대한 계획을 세울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것
    ⦁직접적 방법:간호사가 정보제공자와 직접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간접적 방법 : 정보제공자가 질문지에 답하게 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1) 인적사항 : 이름, 성별, 주소, 생년월일, 나이, 전화번호, 정보제공자 등을 기록
    2) 주호소(chief complain)
    (1) 정의 : 아동이 병원을 찾게 된 주된 이유
    (2) 방법 : 개방형 질문을 통해 주호소를 파악

    출처 : 해피캠퍼스

  • 김혜남의 <생각이 너무 많은 어른들을 위한 심리학>, 생각이 너무 많은 중년들을 위한 위로

    목차

    1. 책 및 지은이 소개
    2. 독후감
    가. 심리학 에세이
    나. 생각이 많은 현대인들
    다. 감정 조절하기
    라. 우리를 힘들게 만드는 문제들
    마. 나의 경험
    바. 나이 들기

    본문내용

    가. 심리학 에세이

    이 책은 삶속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심리에 대해 에세이 형식으로 쓴 글이다. 내용은 누구라도 한번쯤은 겪었음직한 이야기들이라 모두가 친근하게 책을 펼칠 수 있을 것 같다. 저자는 오랜 정신과치료 과정에서는 적용한 임상학적 방법을 차분하게 풀어내고 있다.

    심리학책이라면 자못 딱딱하기가 쉽지만 이 책은 그런 것까지 고려하고 있다. 그것이 바로 연륜일 것이다. 저자는 머리글에서 마흔 초반의 나이에 자신이 의사임에도 불구하고 파킨슨병을 앓고 있다고 고백했다. 우리가 잘 아는 권투선수 무하마드 알리가 앓았던 그 병이다.

    그런데도 저자는 병을 친구삼아 긍정적으로 살고 있는 모양이다. 아마도 직업의 정신과 의사이니 우리들보다 무척 정신력이 강한 모양이다. 파킨슨병은 불치의 병이지만 예순을 넘긴 지금까지 달고 있으면서도 일상을 헤쳐 나가고 있다.

    그러면서도 주부로서 살림을 하고 아이들을 키우고, 대학에서는 강의도 하고, 치료도 해왔다. 그러니 책 내용 어디에서도 저자가 환자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오히려 심리적으로 힘들어하는 세상 사람들을 부드러운 손길로 다독여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장중첩증 케이스, intussusception CASE, 아동간호학, 간호진단6개, 간호과정2개

    목차

    없음

    본문내용

    < 간호사정 요약 >
    상기환자 장**님 22개월 남아로 체중 13.3kg, 키 72cm로 측정됨.
    내원 당일 오후 8시에 갑자기 복통 호소를 함.
    현재까지 5번 주기적으로 아팠고, 1~2분 아프고 15~30분 정도는 괜찮았음.
    아플 때는 엄마에게 안겨서 숨이 가쁘게 배잡고 끙끙거려서 괜찮을 때는 잘 놀고 복통을 전혀 호소하지 않음.
    Barium Reduction, small bowel&colon VSR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IC valve(회맹판)에서 장중첩증 의심됨.
    abdomen X-ray 상 장폐색이 진행되고 있음.
    현재 Dextrose 5%, Na, K (1000ml)와 Denogan 1g(propeacetamol), Ibususpen sur. 20mg/ml(Ibuprofen), Setopen susp. (acetaminophen 32mg/ml) 투약 중임.

    <중 략>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진단에 대한 이론적 근거>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조직손상으로 인해 경험하는 감각적 또는 정서적 불편감이 갑자기 또는 서서히, 경증에서 중증 강도로 지속하거나 예측되는 통증이 6개월 미만 동안 지속되는 상태를 말한다.
    장중첩증의 주요 증상으로 주기적인 복통이 나타난다. 몇 시간 이내 지속적이면서 심한 통증으로 진행되며 구토를 동반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노인간호학 CASE STUDY_ traumatic intracranial hemorrhage_hemiplegia 뇌졸중 편마비 (간호진단 3개, 과정 2개 신체 기동성 장애, 만성 혼돈, 가족 기능 장애) A+ 보장, 간호과정 꼼꼼함 교수님 피드백 후 최종 제출안

    목차

    1. 노인 포괄 평가 개요 (노인포괄평가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CGA), 건강사정
    2. MMSE-KC
    3. 한국어판 노인 우울척도(GDS-K)
    4. 시력, 청력, Timed Get Up & Go Test
    5. ADL( Activities o f Daily Living)
    6. 수정판 바델 지수의 일반적인 사용지침
    7. 영양평가
    8. 낙상위험도 평가 도구 : Morse Fall Scale
    9. 간호진단
    1) 두정엽 손상으로 인한 신체 기동성 장애
    2) 전두엽 손상으로 인한 만성 혼돈
    3) 가족 역할 변화와 관련된 가족 기능 장애
    10. 간호과정 (2순위까지)

    본문내용

    주증상: Lt. hemiplegia
    입원동기: 상기환자 AF, DM, HT 이력있으며 2020.6.23 발생한 보행자 TA로 T-SDH, Rt. F-T-P, T-SAH, DAI 진단하에 **대학교병원에서 craniectomy & EVD 시행함. 본원 입원중 seizure로 PNUYH ER 내원 하였으며 시행한 검사상 R/O BLL aspiration pn., EEG에서는 별무소견. 본원에 R/O aspiration pn.에 대한 care 및 적극적인 치료 후 상기증상관련 적극적인 한방치료 위해 외래통해 입원함.
    진단명 : traumatic intracranial hemorrhage
    수술명 : craniectomy

    <중 략>

    의미있는 자료
    S:
    – “왼쪽 팔다리를 움직이기 힘들어요.”
    – “혼자서 걷거나 휠체어에 앉기는 버거워요.”
    – “움직이는게 힘들어서 재활운동에 대한 의지가 없어요.”

    O:
    – Dx: traumatic intracranial hemorrhage
    – 왼쪽 편마비가 있으며 자의적인 움직임이 없음
    – 자가기립 및 보행 불가능
    – Motor Grade: Rt. Grade 3 / Lt. Grade 0
    – MMT U/E prox. 3/1 dist. 3/1 L/E prox. 3/2- dist 3/2-
    – 휠체어에 앉아있을 때 왼쪽으로 몸이 기우는 모습이 관찰됨
    – 보호자 지지 하에 돌아눕기, 좌위 전환, 좌위 유지 가능함
    – ADL 14점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