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A+, 교수님 원픽, 당뇨병, DM 문헌고찰

    목차

    1. 췌장의 구조와 기능

    2. 당뇨병(Diabetes Mellitus, DM)
    1)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유형
    5) 증상
    6) 진단검사
    7) 치료 및 간호
    8) 합병증
    9) 간호진단

    본문내용

    췌장의 구조와 기능
    췌장은 좌상복부 중에 위(Stomach)의 뒤쪽, 복부 후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모두 분포되어 있다. 또한 췌장은 내분비샘과 외분비샘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외분비샘은 위장관계의 기능을 내분비샘은 주로 세 가지 호르몬을 분비한다. 췌장의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은 3종류의 호르몬을 분비하는 α, β, δ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췌장의 내분비 성분은 중요한 호르몬을 생성하고 혈류로 직접 방출하는 랑게르한스섬으로 구성된다. β세포에서 생성, 저장, 분비되는 인슐린은 혈당을 낮추고 α세포에서 생산 및 저장, 분비되는 글루카곤은 혈당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당뇨병(Diabetes mellitus, DM)
    1. 정의
    당뇨병이란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된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병이다.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은 소변으로 당이 넘쳐나지 않게 혈당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는데 이러한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기능장애가 있으면 혈당이 상승한다. 지속적으로 혈당이 상승한 상태를 당뇨병이라 한다.

    2. 병태생리
    인슐린 절대적 부족 : 하루 인슐린의 양이 실제적으로 부족한 경우
    인슐린 상대적 부족 : 인슐린 절대 분비량은 정상이나 인슐린의 기능장애가 있는 경우

    <인슐린 부족>
    간은 고혈당증, 고지혈증과 함께 케톤 생산
    -세포 에너지원이 부족하면 간은 계속 포도당을 생산하여 혈류로 보내 고혈당을 가중시킴.

    골격근은 포도당과 아미노산 흡수 저하
    -근육세포는 에너지원으로 당을 사용하고 부족한 경우 단백질을 분해하는데 인슐린이 부족한 경우 근세포의 아미노산 흡수와 단백질 합성에 장애 초래.
    -단백질 이화, 아미노산이 근육에서 간으로 이동하여 당질 신생과정에 이용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본어 원서 이해 6과 본문 해석 및 후리가나

    목차

    본문내용

    大学(だいがく)で勉強(べんきょう)する、学問(がくもん)する究極(きゅうきょく)のねらいは、非常(ひじょう)に広(ひろ)い意味(いみ)で、一貫(いっかん)した立場(たちば)、ものの考(かんが)え方(かた)によって、あなたの周辺(しゅうへん)に生起(せいき)するさまざまなできごとの意味(いみ)を、統一的(とういつてき)にとらえる、そのとらえ方(かた)の練習(れんしゅう)にあります。小(しょう)は、あなたの家庭(かてい)に起(お)こってくる事件(じけん)から、大(だい)は、国内(こくない)および国外(こくがい)の各地(かくち)で起(お)こってくる事件(じけん)の意味(いみ)を、単(たん)にばらばらにではなく、時代(じだい)の動(うご)きとともに、統一的(とういつてき)に理解(りかい)していく。そういう練習(れんしゅう)をするところが、大学(だいがく)の学問(がくもん)のいちばん大切(たいせつ)な点(てん)ではないか。
    대학교에서 공부하는, 학문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아주 넓은 의미로, 일관된 입장, 만물의 사고방식에 따라, 당신 주변에 발생하는 여러 사건의 의미를, 통일적으로 받아들이는, 그 취급하는 방법의 연습에 있습니다. 작게는, 당신의 가정에서 일어나는 사건부터, 크게는, 국내 및 국외 각지에서 일어나는 사건의 의미를, 단순히 제각각이(따로따로가) 아닌, 시대의 움직임과 함께, 통일적으로 이해해 간다. 그러한 연습을 하는 곳이, 대학교 학문의 가장 중요한 점은 아닐까.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본어 원서 이해 4과 본문 해석 및 후리가나

    목차

    본문내용

    停留所(ていりゅうじょ)に立(た)って、線路(せんろ)のふちに咲(さ)いているタンポポを眺(なが)めていると、少年(しょうねん)の頃(ころ)がしのばれてくるのでした。ことにゆうぐれは、豆電灯(まめでんとう)がぼっちりともったようなタンポポ。タンポポを眺(なが)めてから電車(でんしゃ)に乗(の)ると、どこか遠(とお)いところへつれていかれるようなおもいにとらわれるのです。
    정류장에 서서, 선로의 가장자리에 피어 있는 민들레를 바라보고 있으면, 소년 시절이 그리워지는 것이었습니다. 특히 해질녘은, 콩 전등(소형 전등)이 달랑 켜진 듯한 민들레. 민들레를 바라보고 나서 전차에 오르니, 어딘가 먼 곳에 데려가지는 것 같은 생각에 사로잡히게 되는 것입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본어 원서 이해 5과 본문 해석 및 후리가나

    목차

    본문내용

    わたしは、町(まち)を歩(ある)いていて古文屋(ふるふんや)があると、必(かなら)ずのぞいてみる。古本屋(ふるほんや)の店(みせ)の造(つく)りはどこも同(おな)じで、あまり広(ひろ)くもない門口(かどぐち)の中央(ちゅうおう)を本(ほん)だなでしきり、入(い)り口(ぐち)が二(ふた)つになっている。人(ひと)ひとり立(た)つといっぱいの通路(つうろ)の両側(りょうがわ)に、天井(てんじょう)までぎっしり本(ほん)が詰(つ)まっている。奥(おく)のほうには、並(なら)べ切(き)れない本(ほん)が山(やま)のように積(つ)み上(あ)げてある。
    나는, 길을 걸으면서 헌책방이 있으면, 반드시 들여다본다. 헌책방의 가게 구조는 어디도 같아서, 그다지 넓지도 않은 문간 중앙을 책장으로 나누고, 입구가 둘로 되어 있다. 사람 한 명이 서면 가득 찬 통로 양쪽으로, 천장까지 가득 책이 채워져 있다. 안쪽에는, 나란하게 늘어놓을 수 없는 책이 산처럼 쌓아 올려져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 스터디 – CCU CSICU 심장계중환자실 (STEMI 심근경색) 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6개

    목차

    Ⅰ. 임상자료 수집(Gathering Clinical Data)
    Ⅱ. 비정상 자료 목록(abnormal data list)
    Ⅲ. 환자문제의 초안 (관련 자료 묶음)
    Ⅳ. 간호진단 목록(Nursing Diagnosis list) 확정
    V. 개념도(Concept Care Maps)
    VI. 간호계획, 수행, 평가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입원 사유
    # GERD
    # r/o STEMI

    Known prev illness인 분으로,
    23.10.07 오후 1시경부터 epigastric pain (따갑고 타는듯한 느낌) 있어 ER 방문함. (23.10.07 P4:29경)
    환자 말하길 GERD 있을 때 증상과 비슷하다 함. P2:30경 미란타 1포, GERD약 1봉지 먹었고 통증 호전 양상 보임.

    대상자는 10/7일자 epigastric pain을 호소하며 ER에 내원했으며, CAG&PCI 시행 도중 VT, BP drop 발생하며 ECMO insertion 시행 후 CCU에 adm했다. 주진단명은 STEMI이다.  NSVT가 간헐적으로 발생하며, lab상 심근경색 지표의 상승, chest ap 상 cardiomegaly, sono 상 EF 30% 추정, ECG의 abnormal한 결과가 나타난다.  또한, 현재 heparization으로 인한 apTT 증가, ECMO insertion, IV, A-line, Foley 등 침습적 장치가 다량 적용되어 출혈 위험성이 높다.  LA IV site에 pain과 swelling을 호소하며 phlebitis 소견을 보인다.  현재 ABR, Both leg 억제대 적용 중이며 stage 1의 욕창이 충분히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 또한, GERD 진단을 받았으나 지속적으로 흡연, 음주 생활을 하였다는 점에서 건강관리에 대한 경각심이 부족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심장 시술을 받았기에 앞으로의 관리 또한 중요하다 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지 걱정하며 불안을 호소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A+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 스터디 – MICU 내과계 중환자실 (폐렴, 간질성폐질환 )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3개

    목차

    Ⅰ. 임상자료 수집(Gathering Clinical Data)
    Ⅱ. 비정상 자료 목록(abnormal data list)
    Ⅲ. 환자문제의 초안 (관련 자료 묶음)
    Ⅳ. 간호진단 목록(Nursing Diagnosis list) 확정
    V. 개념도(Concept Care Maps)
    VI. 간호계획, 수행, 평가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 대상자는 pneumonia, Hemoptysis, Lt. pneumothorax, ILD, Bronchiectasis, Tb의 Hx 가 있다. 그리고 ABGA 상 CO2 retention이 나타나는 것, tachypnea, coughing, sputum을 호소하고 있으며, ventilator care도 받는 등 호흡기계 간호가 최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EKG 상 A. fib, PR 130~140회, edema 등이 나타나는 등 심장계의 간호 또한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 외에도 bed sore (stage 1~3) 와 관련한 피부계 간호, Foley cath. 및 Rt. jugular C-line 등과 같은 침습적 시술로 인한 감염관리 또한 필요하다.

    <중 략>

     간호가 필요한 이유:
    대상자는 pneumonia, Hemoptysis, Lt. pneumothorax, ILD, Bronchiectasis, A. fib, transient thrombocytopenia, Lt. popliteal artery acute embolic acclusion, Tbc 의 Hx가 있으며, 23.02.14부터 desaturation으로 ICU 입실 ➪ 23.02.15 2~3시경 의식저하, BP 40/30 확인되어 septic shock으로 본원으로 전원되어 MICU에서 ventilator care를 받고 있으므로 호흡기계 간호가 필요하다. 또한 bed sore (stage 1~3), Foley cath. 및 Rt. jugular C-line 과 같은 침습적 시술로 인해 감염의 위험성도 존재한다.

     의학적 진단/ 외과적 처치
    : 1) Interstitial Lung Disease
    2) Pneumonia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환자사례고찰 보고서 (만성콩팥병 CRF 케이스)

    목차

    ● 만성 콩팥병 환자의 사례
    ● 환자 사례에 대한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고찰
    ● 출처

    본문내용

    ● 만성 콩팥병 환자의 사례
    – 30대 초반 여성 이OO씨의 직업은 유튜버로 콩팥을 이식 받아 살아가고 있는 콩팥병 환자이다. 2016년 이OO씨는 아버지에게 오른쪽 아래에 콩팥 하나를 이식 받았다. “콩팥을 이식하기 직전에 수치가 굉장히 높았을 때 부정맥이 생겼습니다. 왜냐하면 콩팥이 피를 깨끗하게 걸러내야 되는데 그 역할을 하지 못하잖아요. 발목이랑 다리가 어마어마하게 부었어요.”라고 호소했다. 콩팥이 좋지 않다는 것을 듣고 나서 “왜 내가 아프지? 왜 하필 나일까?”하며 1년동안 정신적으로 굉장히 힘들었다고 했다. 이식받은 후엔 이식한 신장이 제 기능을 하도록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는데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으로 체중이 20kg정도 증가하여 꾸준한 체중관리 중에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학 윤리 보고서

    목차

    1) 윤리적 갈등 및 문제 상황
    2) 본 상황 해결을 위한 이론적 고찰
    3) 본 상황에 대한 간호학적 판단
    4) 출처

    본문내용

    1) 윤리적 갈등 및 문제 상황
    임상현장에서 사고능력, 의사소통이 발달된 학령기 아동이 자신의 치료와 관련한 알 권리가 박탈된 상황을 관찰할 수 있었다. 아동의 경우 치료계획이나 투약하는 약물에 대한 정보를 보통 보호자에게만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아동은 이해수준과 지식 정도가 부족하고 어리기 때문에 아동을 위한 의사결정은 보통 법적 대리인이 결정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정작 치료 대상자인 아동에겐 자신이 어떤 치료 및 검사를 받는지에 대한 설명이 충분하게 제공되지 않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었다.
    주증상으로 발열 및 기침, 가래를 호소하는 BPN을 진단받은 8살 환아가 입원하였다. V/S을 측정하기 위해 병실에 들어갔을 때 환아는 BP 측정기를 만져보며 신기해하면서 사용목적과 작동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해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며 약물 치료 전이나 식후 약을 전달할 때 어떤 약인지 살펴보는 모습도 관찰할 수 있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양들의 침묵 영화감상문

    목차

    본문내용

    양들의 침묵이라는 영화를 보았다. 줄거리를 살짝 적자면, 스털링은 FBI 훈련생이다. 그러다 국장의 임무를 맡게 되었다. 한니발 렉터 박사를 찾아가 인터뷰를 해서 연쇄살인범인 버팔로 빌의 단서를 얻어 오는 것이다. 렉터 박사가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그녀에게 기회를 주기로 하였다. 그 기회는 옛날 렉터 박사의 환자 였던, 미스 모펫에 대해 찾는 것이다. 모펫의 이름으로 되어있는 창고를 조사하고 나서 다시 렉터를 만나게 된다. 렉터는 만날 때 마다 스털링에게 어린 시절에 대해 묻곤 했다. 그러면서 스털링의 트라우마에 대해서도 알게 된다. 어린시절을 말할 때 마다 증거를 하나씩 더 말해 주곤 하였다. 스털링이 렉터 박사와 얘기를 하며, 빌에게 한 발 더 다가간 사이 빌은 상의원의 딸 캐서린을 납치하게 된다. 상의원은 렉터 박사를 다른 감옥으로 옮겨주고 증거인 빌의 신상을 요구한다. 국장과 다른 박사에게 알려준 빌의 정보는 가짜 정보 였지만, 스털링에게만 진짜 단서를 알려주었다. 결국, 스털링은 빌의 거주처를 알아내서 범인을 잡고 캐서린을 구하게 되면서 이 영화는 끝이 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지역사회 건강사정 및 분석(마산보건소와 창원보건소를 중심으)

    목차

    1) 보건소 개요
    2) 마산 보건소 관할 지역사회 사정
    3) 마산보건소 각 분야별 사업과 관련법
    4)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5) 지역사회 사정자료 요약 및 분석(비교: 창원보건소)

    본문내용

    <지리적으로 가까운 마산보건소와 창원보건소의 조직체계와 업무를 비교>
    – 마산보건소는 보건행정과, 건강관리과 2개의 과로 구성되어 있는데 창원보건소는 보건정책과 건강관리과, 건강증진과 3과로 구성되어 있다.
    – 마산보건소의 ‘검진’업무에서 창원보건소에서는 없는 외국인 근로자 및 소외계층 검진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외국인 근로자 및 소외계층 검진 업무가 마산보건소에만 있는 이유를 분석하면, 마산회원구에 ‘마산자유무역지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창원보다 외국인근로자의 비율이 높다고 생각한다.
    – 마산보건소의 보건사업에는 창원보건소에는 없는 ‘사전연명의료 작성등록’ 사업을 하고 있다.
    – 이러한 사전연명의료 작성등록이 마산보건소에만 있는 이유를 분석하면, 마산회원구와 마산합포구 고연령층 비율이 창원보다 높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 실제로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에서 2022년 기준 남성(30.7%)보다 여성(69.3%)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많이 작성했다.

    <중 략>

    ① 스트레스 인지율
    전국통계(2021년)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20.8%로 나왔으며 마산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26.2%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전국통계와 비교하여 마산에서의 스트레스 인지율이 높은 이유를 분석하면 문화시설의 수와 다양성이 대표적인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면적당 밀집되는 인구가 많을수록 스트레스에 더 많이 노출되기 쉽다. 우리나라는 수도권에 모든 인구가 밀집되어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 어딜가도 사람이 가득한 환경에서는 여유를 느끼기 어렵다. 그렇다면 대도시로 갈수록 스트레스 인지율이 더 높아야 하나 오히려 마산의 스트레스 인지율이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문화시설의 수가 부족하기 때문에 마산의 스트레스 인지율이 높게 나타났다고 판단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