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부산대 어드벤처디자인] 10장 flip-flop 및 shift registor 예비보고서

    목차

    1. 실험목적
    2. 예비 Report
    3. 실험 순서 및 절차

    본문내용

    1. 실험목적

    실제로 Flipflop을 Gate로써 구성하여 그 동작 원리를 설명하고 Flipflop를 이용하여 Shift Register 을 구성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1) NAND Gate를 사용하여 S-R Flipflop을 만든다.
    (2) SR Flipflop을 사용하여 6비트 Shift Register를 만든다

    2. 예비 Report

    2.1 RS, D, JK 및 T 플립플롭에 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그리고 여기표(excitation table)를 작성하라

    플립플롭이란 출력이 0과 1인 안정된 상태를 가지며 두 개의 출력은 반드시 보수여야 한다.

    1) R-S 플립플롭
    S=1, R=1의 입력신호는 금지되어있다. S는 set(신호를 1로 셋)의 의미를 가지고 R은 reset (신호를 0으로 리셋)의 의미를 지닌다. S와 R이 모두 비활성화 상태의 경우 다음 상태는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 블록 다이어그램과 여기표는 다음과 같다

    그림1. R-S 플립플롭

    2) D 플립플롭
    D 플립플롭은 입력신호가 그대로 출력이 된다. 보통 데이터의 지연을 위해 사용하기 때 문에 딜레이 플립플롭이라고도 한다. 블록 다이어그램과 여기표는 다음과 같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간호, 아동간호학 태아의 주수별 발달 도표정리

    목차

    없음

    본문내용

    ~ 4주

    길이/ 체중/기타
    근골격계
    내분비계
    순환기계
    위장관계
    호흡기계
    비뇨기계
    신경계
    감각기관
    생식기계
    ·0.4-0.5 cm
    ·0.4 g
    ·C모양, 몸굴곡
    ·팔, 다리 시초
    ·머리 전체1/3차지,앞으로 돌출

    ·모든 체절
    나타남
    thyroxine합성
    (4주)
    부신피질형성(6주)
    ·심장 생성, 박동시작 (이중으로 된 방 보임)
    ·대동맥궁, 큰 정맥 완성
    ·위:중간
    (방추형)
    ·간 기능시작
    ·식도(짧음)
    ·내장

    ·초기 폐의시초
    ·원시 수뇨관의 시초
    ·수정후 18일에 외배엽에서발생
    ·중뇌: 굴곡
    ·후뇌: X
    ·경부: 굴곡
    ·신경홈:닫혀짐
    ·척추 형성
    ·원시적
    눈, 귀, 코

    출처 : 해피캠퍼스

  • [부산대 어드벤처디자인] 8장 multiplexer, decoder 및 encoder 예비보고서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3. 예비 Report
    4. 실험 순서 및 절차

    본문내용

    1. 실험목적

    MUX/DEMUX 와 Encoder/Decoder의 구조와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응용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실험의 목적이다
    (1) 4 to 1 MUX와 1 to 4 DEMUX의 회로를 구성하고 동작을 이해한다
    (2) 3 to 8 MUX와 8 to 3 DEMUX의 회로를 구성하고 동작을 이해한다

    2. 실험 이론

    일반적으로 멀티플렉서는 여러 개의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값을 출력에 연결해주는 회로 소자이며 디멀티플렉서는 머리 플렉서의 반대 기능으로 하나의 입력상태를 여러 개의 출력 중에 서 선택된 출력으로 전달하는 회로소자이다.

    1개의 멀티플렉서는 2 개의 데이터 입력 ( 0 − 2−1 ) , 력 값을 출력에 내보내는 회로 소자이다. n개의 제어 입력 ( 0 − −1 ) 및 1개의 데이터 출력 Y을 가진다. 제어 입력의 값에 따라 데이터 입력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어지고 그 입력 값을 출력에 내보내는 회로 소자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비곗덩어리-모파상-

    목차

    없음

    본문내용

    ※프로이센 -프랑스 전쟁 (1870년 7월 19일 ~ 1871년 5월 10일)
    지금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지만 아주 오랜 옛날 프랑스는 프로이센(=프러시아)과의 전쟁에서 패하고 퇴각을 하는 일이 있었다. 프랑스인들의 삶은 피폐해졌고 삶의 터전을 활보하는 프로이센 군인들로 인해 공포에 떠는 하루하루를 보내야 했다. 그 공포로 인해 사람들은 예민해지고 까칠해졌을 것이다. 프랑스의 루앙이라는 곳에서 프로이센 군인들은 프랑스 국민들에게 돈을 요구했다가 린치 (lynch)를 당하거나 목숨을 잃기도 했다. 점령한 자들의 횡포와 점령당한 자들의 저항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모양새였다. 그것은 이 지역 시민들이 프로이센 군인들의 잔인함을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루앙을 떠나 디에프로 가서 장사를 해 볼 생각으로 마차를 마련해 길을 나서기로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부산대 어드벤처디자인] 1장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이해, 디지털입출력 예비보고서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3. 예비 Report
    4. 실험 순서 및 절차

    본문내용

    1. 실험목적
    마이크로컨트롤러의 구성과 동작 방식에 대하여 알아본다.
    Arduino IDE를 이용해 Arduino Mega2560 보드를 조작하고 디지털 입,출력을 제어하며 시리얼 모니터를 이용해 보드와 통신하는 방법을 실습한다

    2. 실험 이론
    마이크로컨트롤러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입·출력 모듈을 하나의 집적회로에 내장해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라 할 수 있다. 칩 하나만으로 기본적인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시스템의 안정성 및 비용 효율성이 높으며, 주로 기기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아두이노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장착한 시스템을 위한 오픈소스 컴퓨팅/소프트웨어 개발환경을 말하며 UNO, Mega2560 등 다양한 기능과 성능을 가진 아두이노 보드들이 존재한다. 아두이노는 센서, 스위치 등으로부터 입력 값을 받아들여 LED, 모터 등 다양한 장치의 출력을 제어하여 이를 통해 환경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들을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 근골격계<골격견인, 고관절 슬관절 치환술>

    목차

    Ⅰ. 골격 견인 환자 간호
    Ⅱ. 고관절 슬관절 치환술 후 간호

    본문내용

    Ⅰ. 골격 견인 환자 간호
    1. 견인의 개념과 목적
    견인(Traction)은 환부를 고정시키거나 골절을 치료하기 위해 신체에 무게장치, 환부에 당기는 힘을 주는 방법이다. 근육경련 예방, 관절고정, 골절 및 변위예방, 관절상태 치료에 적용된다. 견인장치는 크게 피부견인과 뼈대견인으로 나뉜다. 골격견인은 수술을 통하여 못, 철사 등을 뼈에 삽입하는 것이다.
    견인의 목적은 골절의 정복으로서 뼈가 일직선이 되도록하는 역할, 불구의 교정과 예방 역할을 한다. 근육경련을 제거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며, 환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척추의 압박요인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2. 견인의 종류
    2.1 피부견인
    피부견인은 피부에 부착성 테이프나 추를 연결하여 직접 견인력을 작용하는 것으로, 주로 응급으로 시행하는 견인이다. 골절의 경우 수술하기전 부종예방, 골절편 고정을 위해 일시적으로 적용하거나 관절 경축 예방을 위해 사용된다. 3-4주사이 단기간 적용하고, 가벼운 무게(2-4kg)를 사용한다. 피부, 피하조직 근막, 근육간 근막을 통해 뼈에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견인력이 커지면 피부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피부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중 략>

    Ⅱ. 고관절 슬관절 치환술 후 간호
    1. 고관절 치환술 (엉덩관절 인공관절치환술 Hip joint arthroplasty)
    인공관절 치환술은 관절은 관절와, 골두를 모두 절제하고 인공재료로 만든 관절로 치환하는 수술을 말한다. 이는 고관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고관절 치환술은 고관절 반 인공관절 치환술과 고관절 전 인공관절 치환술로 나뉜다. 고관절 반 인공관절 치환술(hip bipolar hemiarthroplasty)은 관골구를 제외한 대퇴골두에 보철기를 삽입하는 방법이다. 관절 전 인공관절 치환술(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THA)는 인공삽입물을 이용해 관골구는 비구컵, 대퇴골은 대퇴부 보철로 교체하는 수술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위관영양, TPN, 위십이지장궤양, 위절제술후 간호

    목차

    Ⅰ. 위관영양 절차, 주의사항, 관련간호
    Ⅱ. TPN 환자 간호: TPN 종류, 주입라인 관리, 환자간호, 주의사항
    Ⅲ. 위십이지장궤양 약물요법
    Ⅳ. 위절제술 후 간호
    Ⅴ. 장루 간호

    본문내용

    Ⅰ. 위관영양 절차, 주의사항, 관련간호
    1. 위관영양 정의 및 목적
    위관영양이란, 위장관이 정상적으로 기능해 소화와 흡수가 가능하지만, 구강으로 음식물 섭취가 불가능한 대상자에게 적절한 영양분과 수분을 공급하여, 균형있는 영양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2. 종류 및 절차
    위관영양의 종류는 크게 영양공급기간에 따라 단기간 영양과 장기간 영양으로 나눌 수 있다.
    1) 단기간 영양 (Naso-gastric)
    단기간 (6주 이내)영양공급은 주로 비위관 또는 비장관의 경로가 이용된다. 비위관은 비강에서 위까지 삽입된다. Naso-gastric이 단기간 영양에 해당된다.

    1.1) 방법 및 절차
    ①손씻기 후, 비위관, 윤활제, 영양액(영양액의 날짜와 용량 확인),영양백, 주사기, 테이프를 준비한다.
    ②대상자 확인후, 대상자에게 삽입과정을 설명하며, 튜브 삽입이 용이하도록 입으로 숨쉬며 삼키도록 교육한다. 시행 중 구역질과 목부위에 불편감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③코에서 귓볼을 지나 검상돌기까지 길이를 측정하여 튜브에 표시한다.
    ④삽입시, 구토가 있을 경우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목을 뒤로 젖인 채 좌위를 취하도록 한다. 튜브에 윤활제를 바르고 비강과 비인두 뒤쪽을 통해 구인두 안쪽으로 부드럽게 삽입한다.
    ⑤인두를 지날 때, 고개를 약간 앞으로 숙이게 한다. (기도가 좁아지고 식도가 넓어져 삽입하기 용이함) 이후 삼키면서 튜브가 식도로 들어가게 한다.
    ⑥튜브의 위치를 확인한 후, 고정한다.
    <튜브 삽입 위치 확인방법>
    -위 내용물을 흡인하여 소화액 확인한다. (흡인된 액체가 맑고, 황갈색, 녹색인 경우 위장에 서 나온 것으로 추정)
    -복부 청진 :5~10ml의 공기를 주사기를 통해 주입하면서 복부청진한다. (‘쉬익’소리가 들리면 위장관에 있는 것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케이스<AF, IHD, MCA infarction-비효과적 뇌조직 관류 위험성, 심장조직 관류 감소 위험성, 의사소통장애>

    목차

    Ⅰ. 사전학습 —————————————————————————– P 1
    1. 심전도
    2. AF
    3. IHD
    4. MCA infarction

    Ⅱ. 시나리오 연구 ————————————————————————- P 10
    #1 뇌압상승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 위험성
    #2 불규칙한 심장수축과 관련된 심장조직 관류 감소 위험성
    #3 뇌손상과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장애

    Ⅲ. 간호과정 —————————————————————————– P 13

    Ⅳ. 관련논문 요약정리 ——————————————————————— P 15

    Ⅴ. 추가학습 —————————————————————————– P 1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심전도
    팔, 다리, 가슴에 전극을 부착하여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파형으로 나타낸 검사로, 심장근육의 전도를 평가에 가장 효율적이다. X축은 시간경과, Y축은 전압을 의미하며 X축, Y축 각각 1mm가 0.04초, 0.1V를 뜻한다. 심박동수, 리듬, 심장전도, 심방과 심실비대, 심외막 염증, 심근 손상등을 알 수 있다.

    파형
    심근 활동상태
    소요시간 (초)
    의미
    P파
    ·동방결절에서 나온 전기적 충격이 심방으로 퍼쳐 심방탈분극이 일어난 상태
    0.05-0.12

    PR 간격
    ·P파의 시작-QRS파 시작
    ·동방결절에서 나온 자극이 심방자극 후 방 실결절 거쳐 심실수축 직전에 있음
    ·심방탈분극 시작-심실탈분극 직전
    0.12-0.20
    ·0.20초 초과: 방실결절 장애
    ·0.12초 미만: 심상수축 자극이 심 방 하부나 방실결절에서 시작의미

    QRS파
    ·심실탈분극, 방실결절에 도달한 충격이 심실로 전달, 좌우심실벽과 심실사이막을 흥분시켜 심실 수축한 상태
    0.06-0.12
    0.12초 초과: His속 한쪽 가지 하단.심실수축자극이 심실 내에서 시작
    T파
    ·심실재분극. 심실수축 후 회복기 나타냄
    0.10-0.25

    ST분절
    심실근육수축이 끝난 휴식 초기
    ST분절 하강: 불안정한 협심증
    ST분절 상승: 급성심근경색증, STEMI

    <12도 유도 심전도>
    다양한 각도에서 심근의 전지적 활동상태를 나타내며, 6개의 사지유도, 6개 흉부유도로 나뉨

    유도 Ⅰ,aVL,V5,V6: 좌심실측면
    유도 Ⅱ,Ⅲ,aVF: 좌심실 하부
    유도 V1,V2: 심실사이막부분
    유도 V3,V4:우심실과 좌심실 전면

    출처 : 해피캠퍼스

  • [부산대 응용전기전자실험2] 풍력 예비보고서

    목차

    풍력터빈

    A. 풍력 터빈 발전기의 전압 – 속도 특성
    1. 실험목적
    2. 관련이론
    3. 실험내용

    B. 풍력 터빈 발전기의 토크 – 전류 특성
    1. 실험목적
    2. 관련이론
    3. 실험내용

    본문내용

    풍력 터빈
    풍력 터빈은 바람의 기계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회전하는 장치이다.
    최근 다양한 풍력 터빈들이 전기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러한 터빈들은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축을 기준으로 하여 두가지 타입으로 분류된다
    – 수평축 풍력 터빈 (HAWT) : 회전하는 축이 지면 또는 바람이 부는 방향과 평행
    수직축 풍력 터빈 (VAWT) : 회전하는 축이 지면 또는 바람이 부는 방향과 수직
    1) 수평축 풍력 터빈 (HAWT)
    수평축 풍력 터빈은 수평축을 돌리는 2~3 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자로 구성되어있다.
    축은 기어 박스와 발전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발전기가 회전(기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킨다.
    수평축 풍력 터빈의 두 가지 유형을 보여준다 : 맞바람 (upwind)과 뒷바람(downwind)
    발전기에 의해 생산된 전력의 양은 주로 아래의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풍속 : 풍속이 빠를수록 더 높은 전기 출력이 만들어진다
    -회전자 블레이드의 지름과 모양 : 블레이드의 직경이 넓을수록, 회전자의 효율 계수가 커질수록 더 높은 전기 출력을 발생
    -타워의 높이 : 풍속은 높은 고도에서 증가한다. 그러므로 타워가 높을수록 더 강력한 바람을 가질 수 있고, 더 많은 전기 출력을 발생시킨다.
    맞바람 터빈(Upwind turbines)
    맞바람 터빈은 그림 1 (a)와 같이 바람을 맞이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바람은 타워와 부딪치기 전에 블레이드와 부딪친다.
    대부분의 현대적인 터빈은 이러한 구조를 갖는다. 맞바람 터빈의 주요 장점은 뒷바람 터빈보다 동작 시 더 부드럽고 더 많은 전기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부산대 응용전기전자실험2] 태양광 예비보고서

    목차

    1. 실험목적
    2. 관련이론
    3. 실험내용

    본문내용

    1. 실험목적
    – 온도에 따른 solar panel 의 성능변화에 대해 이해한다
    – 출력전압과 전류의 온도영향에 대해 이해한다
    – 출력전력의 온도영향에 대해 이해한다2. 관련이론
    . 태양광 전지, 모듈, 패널
    태양광(PV) 패널은 빛(광원)이 비추어졌을 때,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장치이다. 이 PV 패널의 기본 구성요소는 태양전지이다. PV 패널은 전압과 전류의 용량에 맞춰 연결된 수많은 태양전지
    로 구성되어 있다. 태양전지는 대부분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PN 접합이 기본형태이다
    그림 1. 태양전지의 구성과 간단한 회로
    태양전지의 pn 접합은 면적을 최대화할수록 빛의 흡수량이 많아지므로, 최대한 실리콘을 얇게 하여 면적을 최대화한다. pn 접합의 n-type 반도체 표면은 빛을 조사하면, 에너지를 생산하기 시작하며, 태양전지는 전류원이 된다. 태양전지에 부하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개방), 태양 전지가 생산하는 전류는 단순히 실리콘 다이오드의 pn 접합과 같이 태양전지의 내부에서 재순환한다
    그림 1 의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전류가 흐른다. 그러므로, 태양의 실제 개방 전압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