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생1 약대 세특 / 약물전달시스템과 인슐린 경구제제

    목차

    1. 탐구 동기
    2. 약물 전달 시스템 DDS
    3. 인슐린 주사의 문제점
    4. 체내 주사형 경구제제
    5. 체내 주사형 경구제제의 개선해야 할 부분
    6. 탐구 후 느낀 점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탐구 동기
    저번 생명과학 시간에 당뇨병에 쓰이는 인슐린 주사에 대해 조사한 후 많은 당뇨병 환자들이 인슐린 주사에 대한 거부감을 가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후에 인슐린 알약을 개발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이번 탐구활동을 하면서 찾아보니 인슐린 알약에 대한 많은 연구들을 알게 되었고. 이외에도 현재 출시되지는 않았지만 여러가지 인슐린 투여방법을 개발 중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이렇게 약물을 투여하는 방식을 ‘약물전달시스템(DDS)’이라고 하는데, 이에 대한 조사도 해보고 싶었다. 따라서 최근 연구된 인슐린 투여 방식에 대해 알아보기로 했다.

    Ⅱ. 약물 전달 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
    약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효능을 극대화해 필요한 양의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 약제학이다. 그 중에서도 약물 전달 시스템 기술이란 제제, 도구를 사용하여 원하는 신체부위에 약물을 전달하거나 적절한 시간에 약물을 방출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약물의 혈중농도를 적절히 유지해 최대의 치료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이를 사용해 의약품의 약효 및 안정성, 시간 연장, 부작용 최소화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의약기술이다. 약물 전달 시스템은 투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패치제, 나노 캡슐제, 서방형 정제, 주사제 등과 같이 약물 전달을 위한 투여 제형을 설계하는 분야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사회문제론)사회문제의 상대성에 대한 교재 1장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현재 우리 사회에서 과거에는 사회문제로 인식되지 않다가 새롭게 사회문제로 부각된 것의 사례를 찾아보고 어떤 배경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사회문제로 부각되었는지 분석해 보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낙태의 정의
    2) 낙태의 원인
    3) 낙태의 인식

    3. 결론

    4. 참고자료

    본문내용

    낙태, 세상 가장 슬프고 두려운 단어. 낙태란 여성이 원치 않는 임신을 했을 때 배 속의 있는 태아를 없애는 것을 말한다. 다른 말로는 인공 임신 중절 수술이라고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53년 형법이 제정되면서 낙태죄가 규정됐다. 또한 우리 형법에서는 낙태를 금지하고 있으며 예외적으로 1973년 모자보건법이 제정되면서 예외로 인공임신중절수술의 허용한계를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낙태 관련 규정의 궁극적인 목표로는 낙태를 예방하고 태아의 생명을 보호하는 것에 있다. 따라 태아의 낙태와 관련된 문제와 출산과 생명보호 문제는 단순하게 여성의 선택의 문제와 개인적 문제로만 다룰 수 없는 국가의 생명보호 정책과 관련해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원칙적으로 낙태를 허용하고 있지 있다. 현실에서 발생하는 낙태의 대부분이 불법임에도 불구하고 낙태율이 매우 높고 암암리에 낙태수술이 이루어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러한 낙태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몇 차례 낙태와 관련된 규정을 개정하고자 논의가 있었다. 하지만 낙태에 관한 명확한 결론보단 여전히 논의 과정에 머무르고 있다.
    현재까지도 낙태에 대해 ‘합법인가, 불법인가’하는 논쟁의 불씨는 꺼지지 않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 독후감

    목차

    1. 서론
    2. 마이클 샌델과 그의 철학적 배경
    3. 책의 주요 내용 요약
    4. 철학적 이론과 현실 세계의 접점
    5. 책을 통해 배운 점
    6. 개인적인 반응 및 느낀 점
    7. 책의 강점과 약점 분석
    8. 결론

    본문내용

    저는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책을 선택한 이유가 명확합니다. 오랜 기간 동안 ‘정의’라는 개념이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정의에 대한 사전 인식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있어서 모호하고, 때로는 상충되는 개념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저 역시 정의가 공리주의, 자유주의, 공동체주의와 같은 다양한 철학적 관점에 따라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마이클 샌델이라는 저자의 명성도 제 선택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하버드 대학교에서의 그의 강의는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며, 그의 철학적 통찰력과 논리적 설명 방식에 대한 호평이 높았습니다. 이 책을 통해 제가 기대한 것은 복잡하고 어려운 철학적 개념을 보다 쉽고 명확하게 이해하고, 현대 사회에서 정의가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더 깊은 통찰을 얻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 정의의 개념은 매우 중요하며, 종종 뉴스나 일상 대화에서도 등장합니다. 저는 이 책을 통해 정의에 대한 제 사전 인식을 넘어서 새로운 관점을 얻고, 사회적 이슈에 대해 보다 성숙하고 고도화된 의견을 형성할 수 있기를 기대했습니다. 이러한 기대감은 책을 펼치는 순간부터 점점 더 커져만 갔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영화 기생충 분석-앵글의 미학_스토리텔링의 이해 과제

    목차

    1. 들어가며
    2. 영화 <기생충> 속 계급 표현
    3. <기생충> 속 앵글의 미학
    3.1. 앵글의 의미와 효과
    3.2. 앵글에 따라 보는 <기생충>
    4. 나가며

    본문내용

    영화는 기택 가족의 반지하 집을 보여주며 시작한다. 곰팡이 핀 벽지와 낡은 창틀, 걸려 있는 양말들, 창 밖의 풍경은 그 분위기를 잘 보여준다. 이 때, 카메라는 위에서부터 내려가며 기택(송강호)의 집의 특유의 꿉꿉한 느낌을 천천히 보여준다. 꼭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가는 ‘하강’의 이미지를 보여주면서 기택 가족이 앞으로 이어질 내용에서 계속 ‘하강’할 듯한 느낌을 준다. 그리고는 기우(최우식)가 비춰지고, 기정(박소담), 충숙(장혜진), 기택의 모습이 보인다. 기택 가족은 반지하에 있는 매우 좁은 집에 살고 있기 때문에 카메라는 떨어져 있는 가족 한 명 한 명을 따라 움직여야만 집 안에 있는 모두를 담을 수 있다.
    기택의 가족은 안정적인 일자리가 없기 때문에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피자박스를 접는 일을 했다. 기택 가족이 피자박스를 접을 때, 소독차가 지나가는데 그들의 반지하 집에 가스가 들어온다. 이를 카메라는 ‘부감’이라는 기법을 사용하여 보여준다. 이에 우리는 영화를 보고 있는 관객에서 나아가 영화 속 인물들을 지켜보고 있는 관찰자가 된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봉준호 감독은 이러한 기법을 통해 인물들에게서 느껴지는 고독함을 부각시키고자 한 것이다. 그것도 매우 높은 각도에서 반지하 집에 관심 없어 보이는 소독차, 그리고 사람들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그들은 처량하다.
    기우는 과외 자리를 소개해준 친구에게서 산수경석을 선물 받는다. 위에 첨부한 사진은 산수경석을 바라보는 기우의 모습이다. 한 눈에 보기에도 아래에서, 그것도 아주 아래에서 이 장면을 담아냈다. 마치 내가 돌이 되어 기우를 마주한 듯한 느낌을 준다. 만약 산수경석을 바라보는 기우를 전체적으로 한 장면에 담았다면, 별다른 깊이감을 느끼지 못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앙각으로 이를 표현하여 우리는 왠지 모를 긴장감을 느끼게 된다. 이어질 이야기에서 ‘산수경석’은 어떠한 역할을 할까, 기우는 산수경석을 바라보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를 생각하게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잘못된 성 태도와 올바른 성교육 방향 – 글쓰기 기말 보고서

    목차

    1. 서론 – 올바른 성 태도와 성교육의 필요성

    2.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 태도 인터뷰
    2.1. 인터뷰 결과
    2.2. 인터뷰 분석

    3. 잘못된 성 태도 사례
    3.1. 포르노에서 비롯된 청소년들의 성범죄
    3.2. 데이트 폭력
    3.3. 권력형 성범죄

    4. 다른 나라 성교육 사례
    4.1. 스웨덴의 성교육
    4.2. 호주의 성교육

    5. 우리나라 성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5.1 우리나라 성교육의 문제점
    5.2 우리나라 성교육의 개선 방향

    6. 결론 – 이상적인 성

    본문내용

    사람은 같은 상황에서도 서로 다른 생각을 하기 마련이다. 이를 우리는 ‘동상이몽(同床異夢)’이라고 하는데, 성관계에 있어 이 ‘동상이몽’은 성범죄로 이어지기도 한다. 가령 강간 사건들을 살펴보았을 때, 당사자들 중 한 명이 합의된 성관계였기 때문에 강간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처럼 말이다. 국가건강정보포탈에서는 ‘성폭력(sexual violence)’을 성을 매개로 상대방이 원하지 않는 신체적, 언어적, 정신적인 폭력이라고 정의한다. 하지만 여기서 ‘원하지 않는’, 즉 동의하지 않은 상황을 단편적으로 바라보았을 때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싫다고 하지 않았다고 해서, 적극적으로 저항하지 않았다고 해서 이것이 성관계에 대한 동의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를 보다 다각적으로 바라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성범죄를 초래하는 잘못된 성 태도는 성인지적 관점에서 사실상 무지를 넘어 ‘낙제 수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며 사람들이 올바르고 건전한 성 태도를 지니고 있는지 조사하고 연구할 것이다. 나아가 이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는 잘못된 성 태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성교육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다른 나라의 성교육과 비교해보며 우리나라 성교육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나아가야할 방향이 무엇인지 재고해볼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잘못된 ‘성’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성교육의 역할을 바로잡는 것에 목표를 둔다. 궁극적으로는 올바른 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성 건강을 증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함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주희의 중용 독후감

    목차

    1. 서론
    2. 책의 주요 내용 요약
    3. 「중용」의 핵심 사상 분석
    4. 현대 사회와의 연결성
    5. 개인적인 반성과 깨달음
    6. 결론

    본문내용

    저는 고대 중국의 철학과 그 깊이 있는 사상에 매력을 느껴왔습니다. 이러한 관심은 저를 주희의 「중용」으로 이끌었습니다. 책을 처음 접했을 때, 유학과 성리학의 복잡한 이론을 어떻게 쉽게 풀어낼지에 대한 궁금증이 있었습니다. 주희는 중국 성리학의 대표적인 인물로, 그의 철학적 사상은 당시 뿐만 아니라 후대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저술은 유학의 본질을 탐구하고, 인간의 도덕적 발전을 위한 실천적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배경을 갖고 책을 읽기 시작했을 때, 저는 어떻게 하면 그의 사상을 현대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기대감을 가졌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돈키호테 소논문 [돈 키호테 속에 녹아든 실존주의적 모습-하이데거의 시선을 중심으로]

    목차

    1. 들어가며

    2. 명명, 자신만의 세계를 향한 첫 도약
    2.1. 하이데거의 의미화
    2.2 돈키호테의 명명

    3. 새로운 존재, 방랑기사를 향한 기투
    3.1. 하이데거의 피투적 투기
    3.2. 돈키호테의 모험

    4. 나가며

    5. 참고자료

    본문내용

    미겔 데 세르반테스(Miguel de Cervantes Saavedra)가 쓴 『기발한 시골 양반 라 만차의 돈 끼호떼(Don Quijote)』는 문학 역사상 가장 위대한 소설로 널리 알려져 있다. 주인공 돈키호테는 이룰 수 없는 꿈일지라도 끝없이 꿈을 꾸는, 기사도에 흠뻑 빠진 인물이다. ‘방랑기사’라는 자신의 새로운 존재를 향하여 모험을 하며 자신이 그려낸 삶을 살아간다.

    본고에서는 20세기에 등장한 실존주의에서 강조하는 ‘개인의 자유책임과 주관성’이 17세기의 『돈 끼호떼(Don Quijote)』에서는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실존주의의 대표적인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1889~1976)의 철학적 사유와 함께 살피고자 한다. 그 둘의 사상이 완벽하게 일치한다고 볼 수는 없지만, 하이데거가 다루었던 ‘세계(die Welt)’, 그리고 그 세계를 향한 ‘기투(Entwurf)’와 관련하여 유사점을 찾아볼 것이다. 따라서 본고를 통해 하이데거의 시선에서 돈키호테를 바라보며, 돈키호테의 새로운 세계 구성의 의의가 무엇인지를 발견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 독후감

    목차

    1. 서론
    2. 책의 주요 내용 요약
    3. 소유의 삶에 대한 분석
    4. 존재의 삶에 대한 분석
    5. 에리히 프롬의 사상과 현대 사회의 적용
    6. 개인적인 반성과 깨달음
    7. 결론

    본문내용

    저는 현대 사회의 물질주의적 경향과 그에 따른 인간 내면의 갈등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심은 저를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라는 저서로 이끌었습니다. 처음 이 책을 접했을 때, 그 제목 자체가 제게 큰 호기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소유와 존재라는 두 개념은 우리 삶의 근본적인 부분을 대변하는 것 같았고, 이 책이 어떻게 이 두 가지를 다루고 있을지 매우 궁금했습니다. 책을 펼치기 전, 저는 먼저 저자에 대한 배경 지식을 얻고자 했습니다. 에리히 프롬은 독일 출신의 유대인으로, 정신분석학자이자 사회심리학자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저술들은 대체로 인간 심리와 사회 구조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고 있으며, 특히 인간의 자유와 관련된 주제들에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지식을 갖춘 후, 저는 이 책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첫 페이지를 넘겼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저궤도위성(LEO) 산업의 현재와 미래

    목차

    1. 지구 저궤도 위성 (Low Earth Orbit)

    2. 산업의 성장 배경

    3-1. 우주인터넷(저궤도 위성통신)
    3-2. Space X의 스타링크(StarLink)
    3-3. 아마존의 카이퍼(Kuiper)
    3-4. 원웹(One Web)

    4-1. 우주관광
    4-2. 우주관광

    5-1. 우주정거장의 현황
    5-2. 우주정거장의 미래

    6. 종합 및 시사점

    본문내용

    2. 산업의 성장 배경
    ● 비용절감에 따른 민간의 위성 시장 진입 본격화
    – 발사비용 : 15 Y 1,200만원/kg → ‘22 Y 180만원/kg (약 15%)
    – 원웹(OneWeb)은 컨베이어 시스템을 통한 위성제작
    ● 저궤도 이동통신의 폭넓은 서비스 가능 범위
    – 기존 지상 이동통신 대비 월등한 커버리지, 짧은 통신지연율
    – UAM(Urban Air Mobility)의 통신수단으로 유력
    – 항공기 인터넷 서비스 진출
    ● 하나의 단말로 지상 기지국과 위성 기지국 동시 접속 예상
    – 6G시대 이동통신이 위성통신과 결합 예상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실습 A+ 뇌졸중(뇌경색)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_간호과정 2개(자가간호결핍, 낙상위험성)

    목차

    1. 상기 진단에 대한 문헌고찰
    2. 케이스 대상자 질병에 관한 고찰 및 비교*
    3. 일상생활동작Activities of Daily Living(ADL)기능 사정
    4. 간호과정 양식

    본문내용

    ♦ 상기 진단에 대한 문헌고찰
    ① 원인
    뇌졸중의 주원인은 혈전으로, 그 중에서 가장 많은 원인은 고혈압, 가족력, 당뇨병, 심질환, 고지
    혈증 등이 있으며 비만, 좌식생활, 수면 무호흡증 등 또한 포함된다. 뇌졸중의 위험요인은 나이, 성, 인종, 유전과 같은 수정 불가능한 것과 질환들이나 생활습관 같은
    수정 가능한 것이 있다. 2009년 NINDS에서는 뇌졸중 위험을 증가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을 심
    장질환, 당뇨, 일과성 허혈증(TIA), 고혈압, 흡연으로 선정하였다. 만약 이중 2가지 이상의 위험
    요인이 동시 존재 한다면 뇌졸중이 발병할 확률은 증가한다. 뇌졸중은 55세 이상이 되면 위험성이 2배 증가하고, 2/3가 65세 이상에서 발생하며 남성이 여성
    보다 약간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 뇌졸중은 노인들이 쉬거나 자고 있을 때 자주 발생되며 수면 중 혈압이 낮아지면 이미 좁아진
    혈관에 관류하기가 어려워 허혈이 발생되는 것이다.

    <중 략>

    ③ 렌즈핵줄무늬체동맥(lenticulostriate a.) 폐색: basal ganglia 혈류공급 (lacunar infarction) – 순수 운동마비(pure motor hemiparesis) : m/c – 순수 감각 뇌졸중(pure sensory stroke) – 감각운동 뇌졸중(sensorimotor stroke) – 조화운동불능 편마비(ataxic hemiparesis) – 구음장애-서툰손증후군(dysarthria-clumsy hand syndrome)
    ∴ 대상자의 증상과 비교
    비록 대상자의 뇌 혈관 내에서 정확히 어떤 부분이 infarction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지 못하였으
    나, 현재 Lt. hemiplegia를 주 증상으로 호소하고 있고 운동과 감각기능이 거의 0에 가깝기 때문에
    MCA superior disvision이 폐쇄된 것으로 사료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