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부산대 응용전기전자실험2] 사이리스터 예비보고서

    목차

    1. 실험목적
    2. 관련이론

    본문내용

    1. 실험목적
    – Thyristor 의 동작원리에 대해 이해한다
    2. 관련이론
    1) 사이리스터의 구조
    사이리스터는 p-n-p-n 접합의 4 층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소자이다.
    반도체 소자의 일종으로 반도체 스위치로 취급한다.
    다이오드와 형태가 비슷하지만 다이오드보다 핀 하나가 더 있으며, 그 핀으로 인해 정방향 뿐만 아니라 역방향으로도 전류가 흐르게 만들면서 교류를 생산할 수 있다.
    역저지 사이리스터. 역도통 사이리스터, 트라이악(TRIAC)의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SCR(Silcon Controlled Rectifier Thyristor)라고 하는 3 단자 사이리스터를 말한다.
    그림 1. 사이리스터의 구조
    2) 사이리스터의 동작원리 (SCR)
    사이리스터는 제어단자(G, Gate)로부터 음극(K)에 전류를 흘리는 것으로,
    양극(A,Anode)과 음극(K,Cathode) 사이를 도통시킬 수 있는 3 단자의 단방향 반도체 소자이다
    P 형 반도체로부터 게이트의 단자를 꺼내고 있는 것을 P 게이트, N 형 반도체로부터 게이트단자를 꺼내고 있는 것을 N 게이트라고 한다.
    게이트에 일정한 전류를 통과시키면 양극과 음극간이 도통(turn on)한다.
    도통을 정지 (Turn off)하기 위해서는, 양극과 음극간의 전류를 일정치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이 때, 도통시키기 위해 게이트로 흘려야 할 최소전류를 래칭전류, 도통(Turn On)된 이후에 On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전류를 유지전류라고 부른다.
    도통되었다는 것은, 전기회로의 모든 성분이 연속적으로 양호한 접촉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의미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학습이론 총정리<행동주의 학습이론,인지주의 학습이론,구성주의 학습이론,사회인지이론,계획된 행위이론>

    목차

    Ⅰ. 행동주의 학습이론 (Behavioral learning theory)
    Ⅱ. 인지주의 학습이론 (Cognitive learning theory)
    Ⅲ. 구성주의 학습이론 (Constructivism learning theory)
    Ⅳ. 사회인지이론 (Social cognitive theory, SCT)
    Ⅴ. 계획된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본문내용

    Ⅰ. 행동주의 학습이론 (Behavioral learning theory)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기계적 인간관에서 출발한 이론으로, 학습은 자극-반응의 결합을 통한 행동의 변화라고 정의하였다. 왓슨, 손다익, 스키너 등이 대표적인 학자들로, 이는 연결주의(connectionism), 자극-반응이론 (stimulus -response theory) 으로도 불린다. 즉, 자극 + 반응= 학습으로, ‘자극-반응간의 연합’으로 학습은 이루어지며, 자극은 사물, 소리, 감촉 등 환경에서 학습자에게 제시되는 모든 것이며, 반응은 자극에 의한 행동이다.

    1. 파블로프(Pavlov,1849-1936)의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

    조건화 이전
    고기(무조건자극)를 제시하면 침을 흘리는 무조건반응을 보임. 종소리(중립자극)를 들려줘도 반응 없음,
    조건화 형성
    종소리와 고기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반복
    조건화 이후
    종소리(조건자극)만 들려줘도 침(조건반응)을 흘림, 종소리는 더 이상 중립자극이 아니다,
    고기-침 사이에는 무조건적인 관계성이 존재하며, 종소리-침 사이에는 조건화 형성된다.
    배고픈 개에게 고기를 줄 때, 동시에 종소리를 제시하는 실험을 하였다.

    시간의 원리
    조건자극을 무조건자극보다 먼저 제시해야 (5초이내) 가장 효과적으로 조건형성된다.
    강도의 원리
    무조건자극은 조건자극보다 강하거나 동일해야한다.
    일관성의 원리
    조건자극은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적으로 작용해야 한다.
    계속성의 원리
    자극-반응결합의 반복이 많을수록 조건화 성립이 잘된다.

    2, 손다익(Throndike,1874-1949)의 시행착오이론

    효과의법칙
    (결과의법칙)
    학습의 과정/결과 만족 → 자극-반응의 결합 강화 ⇒ 만족의 법칙
    학습의 과정/결과 불만족 → 자극-반응의 결합 약화 ⇒ 불만족의 법칙
    연습의법칙
    자극-반응의 결합의 연습의 횟수가 많을수록 결합이 강화된다.
    준비성의법칙
    학습태도의 준비가 되어있을 때, 준비되어 있지 않을 때보다 능률적으로 활동하여 만족감이 증가

    출처 : 해피캠퍼스

  • [부산대 응용전기전자실험2] MOSFET 예비보고서

    목차

    1. 실험목적
    2. 관련이론
    3. 실험내용

    본문내용

    1. 실험목적
    – MOSFET buck chopper 의 원리를 이해한다
    – MOSFET boost chopper 의 원리를 이해한다
    2. 관련이론
    DC/DC 컨버터란 ?
    직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장치의 명칭이다.
    1) MOSFET buck chopper
    DC/DC 컨버터의 종류로 입력 전압에 대해 출력 전압을 낮춰서 사용하기 위한 회로로서 강압형
    컨버터, step – down 컨버터 라고도 불린다
    < 동작원리 >
    그림 1. Buck converter 에서 스위칭 소자가 on/off 될 때 전류의 흐름 스위칭 소자가 ON 상태일 때는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LC 회로에 의하여 고주파 부분은 GND 로빠져나가고 저주파 부분만 통과하게 된다.
    스위칭 소자가 OFF 상태일 때는 LC 회로에 의해 전류가 더디게 감소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부산대 응용전기전자실험2] 변압기 예비보고서

    목차

    1. 실험목적
    2. 관련이론
    3. 실험내용

    본문내용

    1. 실험목적
    – 변압기의 전압비, 전류비를 이해한다
    – 변압기의 여자전류, 전압전류 용량 및 단락전류를 파악한다
    2. 관련이론
    . 변압기
    변압기는 전기분야에 사용되는 여러 장비 중 가장 널리 쓰이는 장비 중 하나이다. 변압기는 크기에 있어서 트랜지스터라디오에 쓰이는 소형부터 중형 전력 공급 장치에 쓰이는 대형까지 극종류가 다양하다. 그러나 모든 변압기는 동일한 특성을 갖추고 있다.
    그림 1.
    그림과 같이 철심에 권선 n1 과 n2 를 감고 1 차에 전류를 흘리면 1 차 권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1 차 측 철심에 자속이 발생하고 이 자속은 철심을 통해 2 차 권선을 쇄교한다.
    2 차 권선의 내부에 있는 철심에서는 1 차 권선에 의한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자속이 발생하고 이 자속에 의해 2 차 권선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전류가 흐른다.
    이 때 유도기전력은 코일의 감은 수에 비례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부산대 응용전기전자실험2] 전력계통 예비보고서

    목차

    1. 실험목적
    2. 관련이론
    3. 실험내용

    본문내용

    1. 실험목적
    – 3 상 전원의 상회전 순서를 정한다
    –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의 (+) 또는 (-) 표시의 의미를 이해한다
    – 부하의 종류에 따라서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의 변화를 이해한다.
    2. 관련이론
    . 상회전 순서
    3 상 전원의 상회전 순서란 각 상전압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시간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회전 순서를 미리 아는 것은, 다른 선로와 연결할 경우 또는 대형 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알아야하는 경우에서는 대단히 중요하다. 또한 상회전 순서는 시퀀스 릴레이 또는 무효전력계와 같은 3 상 측정계기에도 중요하다.
    그림 1.
    상회전 순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그림 1 과 같이 2 개의 저항과 1 개의 커패시터를 Y 결선 하여 이를 3 상 전원에 연결한다.
    저항 양단의 전아은 일정하지 않으므로 상회전 순서는 높은 전압 -> 낮은 전압 -> 커패시터 순서로
    된다.
    그림 2. 3 상 콘센트 결선
    그림 2 와 같이 3 개의 3 상 콘센트 P, Q, R 이 같은 회로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회로의 상회전 순서는 A -> B -> C 이며, 각 콘센트의 상회전 순서도 1 -> 2 -> 3 이다.
    그러나 콘센트 P 의 터미널 1 은 A 상에 연결되어 있지만 콘센트 R 의 1 번 터미널은 B 상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터미널을 공동으로 사용하면 단락 사고가 일어날 것이다.
    즉, 상회전 순서가 바르게 설정되어 있어도 같은 표시의 터미널을 공동으로 연결할 수 없다.
    그러므로 가장 확실한 방법은 각 콘센트에서 같은 표시의 터미널을 같은 상에 연결되도록 결선하여야 하며, 이를 확인하는 방법은 같은 표시의 터미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해서 0 이면 결선이 이상적으로 되어있음을 나타낸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부산대 응용전기전자실험2] 동기전동기 예비보고서

    목차

    1. 실험목적
    2. 관련이론
    3. 실험내용

    본문내용

    1. 실험목적
    (1) 동기전동기 1
    – 3 상 동기전동기의 구조
    – 3 상 동기전동기의 시동특성
    (2) 동기전동기 2
    – 동기전동기의 가변 인덕턴스 또는 콘덴서로의 역할
    – 동기전동기의 직류 전류 대 교류 전류 특성곡선
    2. 관련이론
    . 동기전동기 원리
    동기전동기는 고정자 3 상 권선에 3 상 교류를 흘려주면 회전자가 회전한다.
    회전자 측은 3 상 유도전동기와 같은 구조이다. 다만, 회전자는 직류 전원으로 여자된 자극이다
    고정자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 회전자계가 동기 속도에 도달했을 때 회전자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기동토크를 가하면 회전자는 동기 속도로 운전한다고 한다. 유도전동기의 회전자계가 발생하는 원리와 같다.
    그림 1. 동기 전동기의 회전 자기장동기전동기는 기동토크가 0 이다. 회전자계가 시계방향으로 동기 속도와 같이 회전해도 회전자에 주는 토크는 반회전 할 때마다 같은 크기로 반대 방향이 되기 때문에 평균 토크는 0 이 되기 때문에 회전자는 회전하지 못한다.

    (1) 무부하인 경우
    회전자가 정지하고 있을 때 고정자 권선에 발생한 회전 자기장이 시계방향의 동기속도로 매우 빠르게 회전하면, 정지해 있는 회전자엔 강한 관성이 작용한다.
    그래서 시계방향의 토크와 반시계 방향의 토크가 작용하므로 회전자에 주어지는 평균 토크는 0 이 되어 회전하지 못하고 계속 정지하게 된다.
    그런데 그림 2 의 두 번째 그림처럼 회전자를 미리 회전 자기장과 같은 방향으로 동기 속도로 회전시켜 놓으면 공극의 자속 분포가 균등하고, 회전 자기장의 N 극과 회전자의 S 극, 회전 자기장의 S 극과 회전자의 N 극이 흡인력으로 서로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기전동기는 회전자가 회전 자기장과 같은 속도로 회전하고 있을 때일정 방향의 토크가 발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부산대 응용전기전자실험2] 유도전동기 예비보고서

    목차

    1. 실험목적
    2. 관련이론
    3. 실험내용

    본문내용

    1. 실험목적
    3 상 농형 유도전동기의 구조
    시동 특성, 무부하 특성, 전부하 특성
    2. 관련이론
    . 유도전동기
    전기기기에는 직류기와 교류기가 있다. 직류기는 DC 를 다루고, 교류기는 AC 를 다룬다
    이 때, 유도기는 교류기에 해당한다. 유도기는 고정자, 회전자 그리고 공극으로 구성되어있다.
    고정자는 구조가 동일하지만, 회전자의 구조에 따라 농형과 권선형으로 나뉜다
    고정자가 만드는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자에 유도 전류가 발생해 미끄러짐에 대응한 회전 토
    크가 발생한다.
    입력되는 교류 전원의 종류에 따라 단상과 3 상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는 3 상 유도기를 많이
    사용한다
    동기전동기는 고정자 3 상 권선에 3 상 교류를 흘려주면 회전자가 회전한다.
    회전자 측은 3 상 유도전동기와 같은 구조이다. 다만, 회전자는 직류 전원으로 여자된 자극이다
    유도전동기 : 단상 전동기 / 3 상 전동기 (농형, 권선형)
    유도기의 원리
    ✓ 패러데이 법칙

    출처 : 해피캠퍼스

  • 수혈간호-수혈과정, 수혈부작용

    목차

    1. 공혈자 사정
    2. 수혈 과정
    3. 수혈 부작용과 합병증
    4. 수혈에 의한 질환
    5. 수혈 주의사항

    본문내용

    1. 공혈자 사정>
    (1) 주관적 자료
    – 공혈자는 건강상태가 좋아야 한다.
    <부적격 요인>
    ① 콩팥질환, 호흡계 질환, 간질환, 출혈성질환, 뇌전증 등의 병력
    ② 3주 전 전염성 질환에 노출되었거나 최근 감염질환에 노출된 경우
    ③ 천식을 포함한 알레르기
    ⇒ ①~③ 수혈자에게 전파될 위험이 있다.
    ④ 바이러스 간염 또는 간염 환자와 접촉하거나 6개월 이내에 혈액투석을 받은 경우
    ⇒ 공혈자가 간염바이러스 보균자일 수 있으므로 수혈자에게 전파될 위험이 있다.
    ⑤ 약물중독자
    ⇒ 약물중독자는 간염 보유율이 높아 수혈자에게 전파될 위험이 있다.
    ⑥ 매독, 말라리아 환자, 지난 3년 동안 항말라리아제를 복용한 경우
    ⇒ 수혈자에게 전파될 위험이 있다.
    ⑦ 최근 예방접종을 실시한 경우(2개월 내에 홍역 예방접종이나 1년 내에 광견병 예방접종, 2주 내에 희석 생백신 접종)
    ⇒ 살아있는 균이 수혈자에게 전파될 위험이 있다.
    ⑧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환자이거나 HIV에 노출된 위험이 있는 경우
    ⇒ 수혈자에게 전파될 위험이 있다.
    ⑨ 6개월 내에 혈청알부민이나 면역글로불린, 기타 다른 혈액성분을 수혈받거나 주사맞은 경우
    ⇒ 공혈자의 건강문제가 수혈자에게 전파될 위험이 있다.
    ⑩ 항응고제, 항생제, 항경련제, 항파킨슨제, 강심제, 호르몬,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치료

    출처 : 해피캠퍼스

  • [부산대 응용전기전자실험2] 직류전동기 예비보고서

    목차

    1. 실험목적
    2. 관련이론
    3. 실험내용

    본문내용

    1. 실험목적
    (1) 직류 분권 전동기
    – 직류 분권 전동기의 토크와 속도에 관한 실습
    – 직류 분권 전동기의 효율 계산
    (2) 직류 직권 전동기
    – 직류 직권 전동기의 토크와 속도에 관한 실습
    – 직류 직권 전동기의 효율 계산
    2. 관련이론
    . 직류 전동기의 유형
    세 가지 기본적인 유형의 직류전동기가 있다 (직권 전동기, 분권 전동기, 복권 전동기)
    그들은 그들의 계자와 전기 코일이 연결되는 곳으로서 대부분 구분한다
    (1) 직류 직권전동기
    그림 1. 직권 전동기
    직권전동기에서, 비교적 굵은 전선으로 몇 번 감김으로 이루어져 있는 계자 권선은 전기자 권선과 직렬로 연결된다. 그림 1 에서는 직권전동기의 그림과 개략도 그림 모두를 보여준다. 계자 권선을 통해 흐르는 같은 전류는 또한 전기자 권선을 통해 흐른다. 전류에서 증가는 계자와 전기자 모두의 자기력을 강하게 한다.. 권선에 낮은 저항 때문에, 직권 전동기는 시동에서 큰
    전류를 흐르도록 할 수 있다. 계자와 전기자 권선 모두를 거쳐 지나가고 있는 이 시동전류는
    직권전동기의 주요한 장점인, 고기동 회전력을 만들어낸다.
    직권 전동기의 속도는 부하에 종속관계의 것이다. 부하에 어떤 변화는 속도에서 상당한 변화를
    수반하여 일어난다. 직권전동기는 그것이 경부하(light load)를 갖고 있을 때 고속으로서 그리고
    중부하(heavy load)로 저속에서 돌아갈 것이다. 만약 부하가 완전히 제거된다면, 전동기는 전기자가 산산조각으로 흩어질 고속으로서 작동하게 된다. 만약 고기동 회전력이 중부하 조건에서 필요로 했다면, 직권 전동기는 수많은 실용성을 갖는다. 직권 전동기는 가끔 엔진시동기로 그리고 착륙장치, 카울플랩(cowl flap), 그리고 날개플랩(wing flap)을 올리고 내리기 위해
    항공기에서 사용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자궁근종] 간호과정 CASE STUDY (A+ 보장)

    목차

    Ⅰ. 문헌고찰
    1. 자궁근종 (Myoma of the uterus) & 자궁 선근증 ( adenomyosis)
    2. TLH : 복강경하 전자궁 절제술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3. 일산차병원 TLH SET
    4. TLH Procedure

    Ⅱ. 수술실 간호사례
    1. 간호력
    2. 검사결과
    3. 수술명&수술과정
    4. 투여약물
    5.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궁근종 【myoma of the uterus】

    1. 정의
    자궁근종은 주로 30-40대 여성에서 흔히 발생하며, 35세 이상 여성 4명 가운데 1명꼴로 발생한다. 발생원인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임신 중이거나 피임약을 복용중일 때는 근종이 빨리 자라고 폐경기 이후에는 근종이 거의 발생하지 않거나 크기가 줄어든다.
    자궁근종은 자궁벽의 근육조직에서 생기는 혹(근종)으로서 주로 자궁체부에서 잘 생기며 크기는 땅콩 알만한 크기부터 축구공만 한 크기까지 있다.

    2. 발생빈도와 원인
    초경을 하지 않은 여아나 폐경이 된 여성의 경우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 근종이 있다 하더라도 폐경이 되면 그 크기가 줄어든다.
    임신을 할 수 있는 연령에서는 약 50%의 여성이 자궁 근종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자궁 근종을 가지고 있는 여성 중에서 약 40%정도가 불편한 증상을 나타낸다.
    질병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혹을 자라게 한다고 한다. 그래서 여성 호르몬이 생기지 않는 폐경기가 되면 대부분의 근종은 더 이상 커지 않는다. 만약 폐경기에도 근종이 계속 자란다면 악성 종양을 의심해야 한다. 자궁 근종에서 악성 암이 발생할 확률은 0.5% 미만이다.

    3. 자궁 근종의 종류
    자궁의 경부에는 5~10% 발생하고 체부에 대부분이 발생하는데 경부의 근종은 광인대의 두엽 사이에 그리고 여러 자궁의 인대들 사이에 발생하며 체부의 경우에는 점막하층, 간질(근층내)층 및 장막하층에 발생한다.

    ① 점막하근종
    자궁내막 바로 아래에 발생하며 자궁근종의 5%에 해당한다. 작은 크기로도 출혈의 원인이 되기 쉽다. 표면을 덮고 있는 막은 얇고 위축되어 있고 궤양성이다.
    ② 근층내 근종
    자궁근층에 잘 발생되지만 점막 또는 장막에 밀집되어 있지는 않다. 크기가 크고 복합성일 경우에는 자궁이 현저하게 팽창되며 결절의 윤곽이 뚜렷하고 견고해 진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