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목차

    없음

    본문내용

    혁거세의 탄생설화는 삼국사기』신라본기와 삼국유사 기이편에 실려 있는데요 혁거세가 탄생하기 전부터 조선(朝鮮)의 유민들이 산곡 사이에 살면서 6촌 이루었습다.
    중 돌산(突山) 고허촌(高墟村)의 촌장이었던 소벌공(蘇伐公)이 양산(楊山)의 나정(蘿井) 옆에서 말이 울고 있는 것을 보고 가까이 가보니 말은 사라지고 큰 알이 하나 있었는데요 알에서 태어난 갓난아이가 혁서세입니다.
    혁서세의 탄생과 관련하여 삼국사기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을 하였습니다.
    시조의 성은 박(朴)이고 이름은 혁거세(赫居世)이다.
     전한 효선제(孝宣帝)註 004 오봉(五鳳) 원년(B.C. 57) 갑자년(甲子年)註  4월 병진일(丙辰日)註 007 일설에는 정월 15일註 008이라고도 한다.에 즉위하여 호칭을 거서간(居西干)이라고 하니, 이때 나이가 13세였다. 나라 이름은 서나벌(徐那伐)이라고 하였다.
    이에 앞서 조선(朝鮮)註 011의 유민이 산골짜기 사이에 나누어 살면서 6촌(六村)을 이루고 있었는데, 첫째는 알천(閼川) 양산촌(楊山村),註 012 둘째는 돌산(突山) 고허촌(高墟村),註 013 셋째는 취산(觜山) 진지촌(珍支村)註 014 혹은 간진촌(干珍村)이라고도 한다. 넷째는 무산(茂山) 대수촌(大樹村),註 015 다섯째는 금산(金山) 가리촌(加利村),註 016 여섯째는 명활산(明活山) 고야촌(高耶村)註 017으로, 이들이 바로 진한(辰韓)註 018의 6부註 019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삼한

    목차

    1. 삼한에 대한 기록
    2. 마한과 관련한 기록
    3. 진한과 관련한 기록
    4. 변한과 관련한 기록

    본문내용

    삼한은 삼국시대 이전 한반도 중남부지방에 형성되어 있었던 정치집단인 마한·진한·변한을 말합니다. 
    삼한 중에서 가장 규모가 컸던 나라는 마한인데요 마한은 경기·충청·전라도 지역에 위치를 하였습니다.
    진한과 변한은 경상도지역에 있었는데요 마한 보다는 규모가 적었고 마한의 지배를 받았다고 합니다.
    마한의 백제국이 백제로 발전을 하였고요 진한의 사로국이 신라로 발전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변한의 구야국(狗邪國)이 가야가 되었습니다. 

    ●삼한에 대한 기록
    삼한에 대해서 한치윤이 지은 해동역사에서는 한은 모두 78국이며, 백제(伯濟)는 그 가운데 한 나라이다. 큰 나라는 1만여 호이고, 작은 나라는 수천 호이며, 각각 산과 바다 사이에 자리 잡았다고 하였습니다.
    조선 후기 한치윤이 지은 해동역사에서는 삼한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을 하였습니다.
    한(韓)에는 세 종족이 있다. 《삼국지》에, “한은 대방(帶方)의 남쪽에 있다.” 하였다. 첫 번째는 마한(馬韓)이고 두 번째는 진한(辰韓)이고 세 번째는 변진(弁辰)이다. 마한은 서쪽에 있는데 54국(國)이며, 그 북쪽은 낙랑과 연접하였고 남쪽은 왜(倭)와 연접하였다.
    진한은 동쪽에 있는데 12국이며, 북쪽은 예(濊)ㆍ맥(貊)과 연접하였다. 변진은 진한의 남쪽에 있는데 역시 12국이며, 남쪽은 역시 왜와 연접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1920년대와 1930년대의 역사

    목차

    1. 1920년의 독립운동
    2. 조선어 연구회 설립
    3. 1923년 ‘어린이날’의 제정
    4. 1926년에 일어난 6 · 10 만세 운동
    5. 1927년의 역사
    6. 1929년의 역사
    7. 1930년대의 역사

    본문내용

     1920년의 독립운동
    1920년에는 독립군 연합 부대가 봉오동 전투에서 승리하였고요 봉오동 전투에서 승리한 후 김좌진장군이 이끄는 독립군이 청산리 대첩에서 승리를 하였습니다.
    봉오동 전투는 1920년 6월에 독립군 연합 부대가 중국 지린 성의 봉오동 계곡에서 일본군과 싸워 크게 승리한 전투인데요 봉오동 전투 당시 일본군은 수백 명이 죽거나 다치는 등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봉오동 전투의 승리로 기세가 오른 독립군은 이후 벌어진 청산리 대첩에서도 일본군에게 크게 이기면서 승리를 이어갔습니다.
    청산리 대첩은 1920년 10월에 김좌진의 북로 군정서와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등 독립군 연합 부대가 두만강 상류에 있는 청산리 일대에서 일본군과 싸워 크게 이긴 전투입니다.
    청산리 대첩의 승리 이후 일본군은 대대적인 보복을 감행하면서 간도참변을 일으키게 됩니다.

     조선어 연구회 설립
    조선어 연구회는 1921년 12월일에 우리말과 글의 연구를 목적으로 조직이 되었습니다.
    조선어 연구회는 이후 조선어 학회로 이름이 바뀌었는데요 우리말 연구 발표회와 강연회 등을 갖고 한글의 우수성을 알렸습니다.
    조선어 연구회는 1927년 2월부터는 기관지인 한글을 발간하기도 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로렌 슬레이터의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독후감

    목차

    1. 서론: 인간 심리의 실험적 접근
    2. 자유 의지와 행동의 조건화
    3. 복종과 권위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4. 군중 심리와 개인의 정체성
    5. 20세기 심리학 실험의 영향과 현대적 의미
    6. 결론: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이해

    본문내용

    저는 로렌 슬레이터의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를 읽으며, 심리학 실험이 인간 심리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깊이 느꼈습니다. 이 책은 20세기에 진행된 중요한 심리학 실험들을 통해 인간 행동과 생각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들을 탐구합니다. 로렌 슬레이터의 접근 방식은 단순히 실험들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각 실험이 인간의 자유 의지, 복종, 군중 심리 등의 핵심 주제들을 어떻게 탐색하는지에 초점을 맞춥니다. 심리학 실험의 중요성은 이 책에서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실험들은 이론적인 가설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여 검증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때로는 예상치 못한 결과를 통해 새로운 심리학적 이해를 가능하게 합니다. 슬레이터는 이러한 실험들이 어떻게 심리학적 지식의 발전에 기여했는지를 설명하며, 독자들에게 인간 행동과 마음의 심오한 층을 탐색하는 여정을 안내합니다. 로렌 슬레이터의 접근 방식은 각각의 실험을 단순한 과학적 사실로 다루기보다는, 그것들이 우리에게 제시하는 근본적인 질문과 의미에 초점을 맞춥니다. 그녀는 실험들이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하고, 때로는 논란의 여지를 남기는 방식으로 인간 심리의 다양한 측면을 탐구했음을 밝힙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실험적 심리학이 어떻게 인간의 복잡한 심리적 현상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게 됩니다.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의 서론은 심리학 실험의 역사적 배경과 그 실험들이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한 탐색으로 시작됩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뮤지컬영화감상과 이해 영웅 레포트

    목차

    1. 영화정보
    2. 제작배경
    3. 등장 인물 소개
    4. 줄거리
    5. OST목록
    6. 감상 포인트
    7. 영화 부연설명
    8. 감상문
    9. 인상 깊은 장면

    본문내용

    내가 처음으로 관람한 뮤지컬은 2019 년 공연한 신흥무관학교였다. 그 이후 뮤지컬에 관심이 생겼고 영웅이라는 뮤지컬을 관람하게 되었다. 신흥무관학교와 영웅은 우리의 역사를 담아낸 작품으로, 작품들을 감상하며 일반적인 뮤지컬 장르 등 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과는 다른 감정을 느꼈다. 우리의 아픈 역사를 함께한 작품인 만큼 연출진과 배우들의 연기에 대한 진심과 노력이 엿보이는 작품들이었으며 작품을 감상함에 있어 좀 더 곧은 마음가짐으로 감상하게 되었다.
    뮤지컬을 영화화한 작품에서 또한 그랬다. 영화의 장면 중 인상깊은 장면 두부분을 소개하자면, 첫번쨰로는 영화의 오프닝 부분이다. 단지동맹이라는 음악과 함께 독립군들이 등장하고 자신의 약지손가락을 잘라내고 피로 태극기에 대한 독립이라 쓰는 장면이다. 이 장면은 뮤지컬에서는 느끼지 못한 감정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었다.
    사실상 뮤지컬에서는 무대와 객석사이의 거리가 멀기에 아무리 사실적으로 표현한다고 해도 잘 와 닿지 않는 부분이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연출자의 촬영기법에 따라 더욱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손가락을 잘라내는 장면을 가리지 않고 직접적으로 드러내 약간의 거부감도 들었으나, 당시의 독립군들의 간절한 마음이 더욱 와 닿는 것 같았다.
    노래 ‘단지동맹’의 가사 중 <우리의 함성이 잠자는 숲을 깨우듯 어두운 이 세상 깨우리 잊지 말자 오늘>이라는 가사가 있다. 정성화 배우의 웅장한 가창력이 더해져 독립군들의 의지가 더 크게 느껴졌고, 어두운 세상이라 표현한 가사가 그 시절의 참혹한 상황을 더욱 잘 묘사한 것 같았다.
    인상깊은 장면 중 두번째 부분은 안중근과 독립군들의 재판 장면이었다. 이 장면은 작품 ’영웅’ 중 가장 인기있고 유명한 곡인 ‘누가 죄인인가’를 안중근과 독립군들이 부르며 일본과 이토 히로부미의 죄를 고발하는 부분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키치너의 윤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5가지 원칙에 대해 설명하고 그 중에서 자신이 생각하기에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윤리적 의사결정원칙은 무엇인지 밝히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상세히 설명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키치너의 윤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5가지 원칙
    1) 자율성 존중
    2) 선의
    3) 비유해성
    4) 공정성
    5) 충실성

    2. 키치너의 윤리적 의사결정 원칙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원칙
    1)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윤리적 의사결정 원칙
    2) 선택한 원칙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윤리적 의사결정 원칙인 이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담이란 삶의 과정에서 어려움을 느껴 도움을 필요한 사람(내담자)과 도움을 주고자 하는 마음 및 적절한 지식과 기술을 갖춘 사람(상담자)이 서로 만나 내담자가 가진 문제를 해결하거나 내담자의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전문적 개입과정을 의미한다. 이런 상담은 내담자의 내면세계의 총체적인 질적인 변화를 촉진함으로써 내담자가 직면한 자신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나아가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제반 조력활동이다. 이런 상담는 상담이란 도움이 필요한 내담자와 도움을 주고자 하는 마음 및 적절한 지식과 기술을 갖춘 상담자가 대면적 관계에서 수용적·구조화된 관계를 형성하고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다. 사회학자인 키치너는 상담자가 윤리적인 상담을 지속하기 위하여 윤리적 의사결정인 5가지 원칙을 준수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모성간호학 자간전증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및 과정 3개)

    목차

    1. 상황
    2. 환자정보
    3. 입원후 경과
    4. 간호과정

    본문내용

    ① 상황
    23Y 유OO 님은 22년 9월경에 결혼한 남편과 동거하고 있다가 임신 30주에 본병원 자간전증 진단 후 진통 및 분만의 감시를 하기 위해 23년 09월 07일에 입원함. 현재 단백뇨 +4, 핍뇨, 얼굴 및 손가락 부종, 두통, 메스꺼움, 구토, 피로, 시각적 변화(시야 혼란), 가슴 압박감의 증상을 호소함. 임신 36주이며, 분만은 23년 10월 05일로 예정되어 있음. 자연 수정으로 임신 2회 경험이 있으며 첫 아이는 조산아로 출생 후 사망함. 이로 인한 회음부 정중방향 절개 흔적과 얼굴이 굳어 있거나 찡그린 표정 보이는 등의 불안 양상 보임. 입원 당시 체온 37.2℃ 맥박 115회/min 호흡 22회/min 혈압 170/110mmHg 측정됨. 160cm 98kg로 현재까지 몸무게 변화 없이 과체중 상태임. 외조부와 모의 고혈압 가족력이 있음. PLT 수치 감소, Creatinine, BUN, AST, Triglycerids, Creatinine clearance 수치 상승으로 대상자의 간 혈류 감소로 인한 결과를 볼 수 있음. 신장 기능 저하됨. HELLP 증후군 의심됨.

    ② 환자정보
    ⑴ 환자 개인 정보
    이름: 유OO 나이: 23 직업: 무직 교육 정도: 고등학교 졸업 종교: 무교
    흡연 여부: 비흡연 결혼 기간: 1년 (22년 9월경) 가족 형태: 남편

    입원일: 23.09.07 마지막 월경일: 22.12.30 분만 예정일: 23.10.05 임신 주수: 36

    입원 당시 건강 정보
    키/몸무게: 160cm 98kg
    체온 37.2℃ 맥박 115회/min 호흡 22회/min 혈압 170/110mmHg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응급실 폐렴 케이스 A+자료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목차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및 위험소인
    3. 병태 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진단 방법
    6. 치료
    7. 간호

    Ⅲ. 응급실 사례연구
    1. 내원 동기
    2. 환자 사정
    3. 응급실 진단명
    4. 치료 및 처치
    5. 환자 경과
    6. 증상 및 치료내용 분석
    7. 간호과정 적용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질병의 정의
    :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이다.
    COPD에서 흔히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생기는 중증의 호흡기 감염증이다.

    2. 원인 및 위험 소인
    : 폐렴의 원인으로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이 있다. 드물게는 화학 물질이나 구토물 같은 물질을 흡입함으로써 폐에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요즘은 효과적인 항생제 덕분에 폐렴의 많은 경우가 완치가 되고 있다. 하지만 폐렴 원인균의 항생제 내성도 점차 더 강해지고 있어 폐렴은 옛날보다 더 치료하기 어려워졌다.
    3. 병태 생리
    : 폐의 분절 또는 폐엽에서 경화가 발생하는 대엽성 폐렴이나 기관지 주위에 널리 반점이 퍼지는 기관지 폐렴으로 진행될 수 있다. 염증은 간질강과 폐포, 세기관지에서 발생한다.(병원체가 기도점막을 침입하고 폐포에서 번식하면서 시작된다.) 액체가 폐포를 채우면 세균은 식균작용을 피할 수 있으며, 세균을 쉽게 다른 폐포로 이동하게 만들어 감염을 확산시킨다. (병원체가 혈관으로 들어가면 패혈증이 되고, 감염이 흉막강으로 확장되면 농흉이 발생한다.) 염증성 섬유소와 부종은 폐를 경직시켜 폐 신장성과 폐활량을 감소시킨다. 표면활성제의 생산 감소로 폐 신장성이 더욱 감소하여 무기폐에 이르게 된다. 폐의 환기부족으로 저산소혈증이 유발되며, 저산소혈증과 대사요구의 증가로 빈맥과 빈호흡, 울혈성심부전증, 쇼크, 부정맥 등이 나타난다.

    4. 증상 및 징후
    : 폐렴이 생기면 기침, 가래, 호흡 곤란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가래 색깔이 노랗거나 탁하게 변하는 경우가 많다. 발열, 오한이 동반되는 경우도 흔하다. 하지만 경미한 폐렴의 경우에는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피로감, 두통, 설사와 같은 비특이적인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5. 진단 방법
    : 1) 흉부 X-선 촬영 : 폐 음영이 뿌옇게 보임
    – 박테리아성 감염으로 인한 백혈구 증가
    – 폐렴은 흉부 X-선 검사에서 폐분절, 폐엽, 한쪽 허파 또는 허파의 밀도 증가를 보인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폐암 케이스 스터디 A+자료입니다.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2개)

    목차

    Ⅰ.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및 위험소인
    3. 병태 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진단 방법
    6. 치료
    7. 간호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의학적 치료 및 간호중재 내용
    3. 간호과정 적용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폐암이란 폐에 비정상적인 암세포가 무절제하게 증식하여 종괴(덩어리)를 형성하고 인체에 해를 미치는 것을 말한다. 폐암은 폐에 국한되어 발견되기도 한다. 하지만 폐암은 진행되면 반대쪽 폐뿐만 아니라 임파선이나 혈액을 통하여 뼈, 간, 부신, 신장, 뇌, 척수 등 온몸으로 전이될 수 있다.

    2. 원인 및 위험소인
    폐암은 만성적 자극 또는 염증 유발물질의 흡입에 반복 노출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주요 위험요인은 흡연으로, 폐암 사망의 85%가 흡연에 기인한다. 폐암의 위험은 흡연기간(년), 1일 흡연량, 흡입의 깊이, 타르와 니코틴 함량에 의해 결정되며, 흡연에 대한 직접적인 노출과 관련이 있다. 파이프나 시가와 같이 필터가 없는 담배의 흡연은 위험을 가중시킨다. 폐암 빈도는 금연 시 감소하며, 특히 중년 이전에 금연하면 담배에 의한 폐암발생 위험이 90% 이상 감소한다. 특히 자동차, 식당, 사무실과 같이 폐쇄된 환경의 간접흡연도 폐암의 유발인자로 추정하고 있다.
    폐암의 다른 위험요소로는 석면, 베릴륨, 크로뮴, 석탄추출물, 코발트, 산화철, 머스터드 가스, 석유추출물, 방사선, 타르, 니켈, 우라늄 등에 대한 만성적 노출이 있다. 벤조피렌과 탄화수소를 포함한 대기 중 또는 산업장의 오염이 폐암 발생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세포분열의 조절에 관여하는 비타민 A섭취 부족이 폐암 발생과 상관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아직까지 예방, 치료효과에 대한 근거는 없다.
    유전적 소인도 암의 유발요인이다. 폐암 대상자의 가족에서 폐암이 발생할 비교위험도는 1.3~5.3배 정도로 유전적 소인이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COPD와 결핵 같은 호흡기질환도 폐암 발생의 위험성이 있다.

    3. 병태 생리
    모든 원발성 폐암의 90% 이상이 기관지 상피조직에서 발생하며, 조직학적 분루에 따라 소세포암(small cell lung cancer, SCLC), 상피세포암, 선암, 대세포암으로 분류한다. 마지막 3가지 평태를 비소세포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이라고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난소암 케이스스터디 A+ 자료입니다. 간호진단 2개 자료

    목차

    Ⅰ.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3. 증상
    4. 치료
    5. 간호

    Ⅱ. 대상자 자료수집
    1. 간호력
    2. 신체검진
    3. 치료계획과 치료방법
    4. 수술 전 준비
    5. 수술 후 간호기록지

    Ⅲ. 간호진단 목록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여성 생식과 호르몬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난소에서 발생하는 암이다.
    난소암의 90% 이상이 난소 표면의 상피 세포에서 발생하는 상피성 난소암이며 우리 주변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암은 상피성 난소암이다.

    2) 원인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연구를 통해 몇가지 위험인자들이 난소암 발생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소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들이 비정상적으로 분화되고, 분화속도가 조절되지 않아 암세포가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난소를 구성하는 세포는 그 기능에 따라 무척 다양하여 이러한 비정상적인 분화를 이루는 세포의 종류 또한 다양하므로 난소암의 경우 병리조직학적 분류가 여러 가지 양상으로 확인되고 있다. 여러 가지 세포 중 난소의 표면을 이루고 있는 세포에서 발생된 난소암을 상피성 난소암이라 하고, 상피성 난소암이 전체 난소암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난자를 분비하는 세포에서 발생되는 암, 간질세포에서 발생된 암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1. 배란 및 생식력
    -배란과 같은 난소피질 표면 상피의 손상을 유발하는 현상들이 발생되는 경우 상피성 난소암 발생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신 여성, 낮은 출산력, 미산부 등이 위험 요인으로 생각되며, 수유부와 임신 횟수가 많을수록, 경구 피임약을 장기간 복용할수록, 초경이 늦을수록, 폐경이 빠를수록 배란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다. 이는 난소암 발생의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견되는 것으로 이런 인자들은 일정 기간 동안 무배란 상태를 동반하는데 이러한 기간이 난소암에 대한 보호기간으로 작용하여 기간이 길수록 상피성 난소암의 발생 위험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2. 과거 병력
    유방암이나 대장암을 진단 받은 여성의 경우 난소암 발생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임신을 위해 배란유도제 등을 투여 받은 경우에도 발생위험이 다소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 일부 연구결과에서는 폐경 이후 여성호르몬의 사용에 대한 관련성을 보고하기도 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