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법번역식 교수법의 특성과 관련 언어학 이론
2. 청화식 교수법의 특성과 관련 언어학 이론
3. 의사소통식 접근법의 특성과 관련 언어학 이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980년대에 의사소통교수법이 도입되기 시작하면서 의사소통 기능 및 담화에서의 기능을 문법교육에도 도입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에 다라 의사소통 기능과 문법을 상호 연계해 문법 교수에 활용코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현장에서의 문법교육을 살펴보면 ‘-어요, -니까, 이/가, -어서’ 등과 같은 언어 형식이 문법교수의 요목이 되는, 즉 문법항목을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문법교육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어교육의 경우 문법 교수를 문법항목의 교수와 동일시하는 경향이 짙다.
이와 같이 문법을 항목화해 교수하게 된 주요 원인은, 한국어 문법이 실현된 언어적 형식을 항목화하고 그를 청각구두교수법에서의 문형연습 방식으로 교수해 온 과거의 전통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