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건강문제에 대한 분석적 접근
4. 간호과정
5. 간호교육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매독
1) 정의
매독은 주로 성 접촉, 개방된 상처나 감염된 혈액을 통해 전파되는 감염질환으로, 감염된 산모로부터 태아에게 전파될 수도 있다. 즉, 밀접한 접촉, 태반, 성관계를 통해 전파된다. 선천성 매독은 모체의 태반으로부터 감염된 것이며, 후천성 매독은 성접촉을 통해 감염된 것이다.
2) 원인
원인균은 spirocheta균인 Treponema pallidum (트레포네마 필리듐균)이며, 인체 밖에서 12시간 이상 생존하지 못하며, 비누나 물에 의해 죽으며, 잠복기는 10~90일이다. 선천성 매독은 모체의 태반으로부터 감염, 후천성 매독은 성 접촉이나 개방된 상처나 감염된 혈액을 통한 전파이다. 아동시기 후천성 매독 감염은 대부분 성적학대를 의심할 수 있다.
3) 분류별 증상 및 특징
선천성 매독
-태반을 통해 모체의 매독균이 전파
-태반은 임신 18~20주 이전에 방어막 역할. 그 이후에는 균이 전파되어 유산이나 사산의 원인이 된다.
-매독 임부에게 태어난 신생아는 선천성 매독아 확률이 높음(40%)
-선천성 매독아는 무증상이거나 생후 3개월이내에 증상이 나타남.
-증상은 비염, 반점구진성 발진, 간비장 종대이며 간, 신질환, 피부질환, 광범위한 염증이 동반되기도 함
-방사선검사에서 골연골염, 골막염, 대퇴나 장골에서 골간 변화가 보임
-질환이 진행되어 후기에는 뼈, 치아, 눈 등에서 증상 발현
치아에 흠이 생기고, 8-10세에 청각상실이 나타남
후천성 매독
1기 매독:경성하감
-잠복기는 10-90일정도, 발병후 2-6주 후 자연적으로 소실
-구강, 턱, 외음, 항문에 통증없는 궤양이 생기는 것이 특징
주위 림프절이 증대, 두통, 전신권태가 나타남
-여성보다 남성에게 흔히 발생하며, 스피로헤타의 침입을 쉽게 받는 외음부에 나타난다.
-노출 3-4주 후까지 병소가 나타나지 않고, 가장자리가 검붉게 부풀거나 궤양이 생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