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직무 특성화 이론의 이해
1) 기술 다양성
2) 업무 정체성
3) 업무중요도
4) 자율성
5) 피드백
2. 동기유발 장도를 계산하는 MPS 수식
1) 스킬 다양성
2) 작업 완전성
3) 작업 중요성
4) 자율성
5) 피드백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직무특성화이론은 미국의 심리학자 하크만과 올드햄(Hackman & Oldham)이 개발한 동기부여 이론으로서 조직 구성원들의 업무 수행 능력 및 성과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그들은 ‘개인차’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인간 행동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즉, 개인차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 중에서 서로 다른 부분들을 말한다. 이러한 차이는 교육수준, 경험, 성격 등 다양한 중요원인으로부터 발생되었다고 볼수 있는데,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차이를 이해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 과제에서는 이러한 하크만과 올드햄의 직무 특성화 이론 및 동기유발 정도를 계산하는 MPS 수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직무 특성화 이론의 이해
직무 특성화 이론은 조직심리학 분야에서 일반화된 이론 중의 하나인데, 이 이론은 직무가 개인의 동기와 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직무 특성은 개인이 자기 일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동기를 느끼는지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핵심 직무 특성을 주장하였다.
1) 기술 다양성
기술 다양성은 개인이 수행하는 일의 다양한 기술과 활동의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기술 다양성이 높은 직무는 단조로운 업무보다 더욱 흥미로워 보일 수 있다. 이는 같은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대신에, 여러 가지 기술과 활동을 포함하고 있는 업무를 의미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