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정신간호학 실습 – 낮병동 프로그램 계획서

    목차

    없음

    본문내용

    목적
    – 야외활동을 통해 기분을 쾌적하게 환기시킨다.
    – 팀워크와 협동심을 향상시키고, 성취감과 자신감을 얻는다.

    도입
    ▶ 도입(5분)
    – 진행자 및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 옆 사람과 서로 인사한다.
    – 팀을 나눈다: 당일 참여 인원에 따라 3팀(팀당 5~6명)으로 나눔.
    ex) <팀>
    ① 회원 2명, SN 1명, PK 1명, 자원봉사자 1명 (총 5명)
    ② 회원 3명, SN 2명, 자원봉사자 1명 (총 6명)
    ③ 회원 2명, SN 2명, PK 1명, 자원봉사자 1명 (총 6명)
    – 함께 팀이름과 구호를 만든 후, 팀을 소개한다.
    – 활동에 대한 기대를 상기시킨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간호학 실습 – 의사소통 보고서

    목차

    없음

    본문내용

    언어적 의사소통
    학생-안녕하세요. 저는 이번 일주일간 실습을 나온 간호대학 실습생 000입니다.
    대상자-(고개를 끄덕임)
    비언어적 의사소통
    대상자와 눈을 맞춘다. 미소 지으며 밝은 목소리로 말한다.

    언어적 의사소통
    학생-점심 식사는 맛있게 하셨나요?
    대상-내 당뇨식 먹는다. 맛 없다.
    비언어적 의사소통
    대상자와 눈을 맞춘다.
    분석 및 평가 (이론적 근거)
    <말문을 열게 하기>
    가벼운 인사말로 대화를 유도하여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도록 격려한다.

    언어적 의사소통
    학생-당뇨가 있으신가요?
    대상-아버지가 당뇨가 있으셨는데 나도 당뇨라더라. 집에 있으면 조절이 안 돼서 입원했다.
    비언어적 의사소통
    고개를 옆으로 돌린다.
    분석 및 평가 (이론적 근거)
    <경청하기>
    몸짓을 통해 대상자의 대답에 집중하고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표현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간호학 실습 -의사소통 보고

    목차

    없음

    본문내용

    언어적 의사소통
    학생-00님 안녕하세요. 저 다시 왔어요. 뭐하고 계셨어요?
    대상-아 저 그냥 탁구 치는 거 구경 중이었어요.
    비언어적 의사소통-대상자와 눈을 맞춘다. 미소 지으며 밝은 목소리로 말한다.
    분석 및 평가 (이론적 근거)
    <말문을 열게 하기>
    가벼운 인사말로 대화를 유도하여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도록 격려한다.

    언어적 의사소통
    학생-방금 보니까 간호사 선생님께 간식 받으시던데, 무슨 간식 신청하셨나요?
    대상-저 눈을 감자랑 포카리스웨트요.
    비언어적 의사소통-대상자와 눈을 맞춘다,
    분석 및 평가 (이론적 근거)
    <관찰한 바를 말하기>
    대상자에게 관심을 보이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언어적 의사소통
    학생-안그래도 아침에 약 드시는 거 보니까 한 알씩 나눠서 드시던데, 생수에 약을 드시면 잘 안 넘어가는 것 같으신가요?

    출처 : 해피캠퍼스

  • 가족복지에 대한 개념과 정의, 필요성을 정리하여 작성하고, 자신이 생각하는 가족복지는 무엇인지 서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족복지에 대한 개념과 정의
    2. 가족복지의 필요성
    1) 가족과 사회관계에 대한 시각의 변화
    2) 가족에 대한 개입의 관점 변화
    3) 다양한 가족형태의 등장과 욕구의 다양화
    4) 사회문제 해결단위로서 가족의 유용성

    Ⅲ. 결론
    1. 자신이 생각하는 가족복지란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족이라는 단어를 생각하면 관련 용어로 가정, 세대, 가문, 가구, 집안 등을 떠올릴 수 있다. 그중 가족은 혈연, 결혼, 입양 등을 기반으로 한 관계가 공동체적 상호 유대와 정서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가족이란 부부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되어 있는 기본적인 사회집단이며 그 가족만의 고유한 문화, 양육과 사회화 등을 통하여 아이의 인격형성이 이루어지며 인간의 발달의 근원적인 집단이며 그 가족 안에서 인간의 사회화와 사회 발전에 많은 영향을 끼쳐왔다고 할 수 있다. 가족의 문제도 이곳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과거에는 문제를 가진 개인을 개인 자체에 대한 문제로 인식을 하였고 그 개인이 소속되어 있는 가족에 대한 관심은 미흡하였다. 그러나 개인의 생활기반은 가족이므로 대상자를 포함한 가족 전체의 생활조건 전반에 초점을 두면서 가족복지에 대한 관점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가족복지는 가족 전체를 지향하는 것이라고 할 때 가족 구성원 한 사람의 문제라고 하더라도 가족 전체의 과제로 보고 사회적 차원에서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족복지에 대한 개념과 정의와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자신이 생각하는 가족복지는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간호학 사례보고서 – 조현병

    목차

    1. 문헌고찰 – 조현병 (schizophrenia)
    1) 정의
    2) 원인
    3) 주요 증상
    4) 치료
    5) 약물

    2. 지역사회 사정
    1) 지역의 특성
    2) 지역사회 자원

    본문내용

    A. 문헌고찰 – 조현병 (schizophrenia)

    1) 정의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와해된 행동, 정서적 둔마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고,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으로, 일부 환자의 경우 예후가 좋지 않고 만성적인 경과를 보인다. 10대 후반에서 20대의 나이에 발병하기 시작하며 100명 중 1명이 걸리는 흔한 질환으로 모든 계층의 사람이 걸릴 수 있다. 남녀의 발병 빈도는 비슷하다.

    2) 원인
    현재 조현병의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조현병은 뇌에 이상이 생겨서 발생하는 생물학적 질환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다른 고혈압, 당뇨병 등의 만성 질환들과 마찬가지로 조현병의 원인을 한가지로 설명하기는 어려우며, 생물학적인 원인 및 유전적인 원인, 스트레스 등 심리학적 원인들 또한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① 유전적 원인
    : 유전전달방식에는 아직 정설이 없지만 단일유전자가 아닌 다유전자 요인에 의한 유전성을 추정하고 있으며, 일란성 쌍둥이가 조현병일 때 다른 한쪽이 조현병일 확률이 이란성 쌍둥이의 경우보다 4배 정도 높다.

    ② 신경생화학적 원인
    : dopamime, serotonine, glutamate, GABA, Norepinephrine 등 신경 전달물질의 상호작용 불균형이 원인이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각 질환 별 Chest X-ray(흉부 x선 검사) 결과 판독

    목차

    1. Pneumonia (Lobal)
    1) Right upper lobe pneumonia
    2) Right middle lobe pneumonia
    3) Right lower lobe pneumonia
    4) Left upper lobe pneumonia
    5) Left lower lobe pneumonia

    2. Pulmonary edema (Diffuse)
    1) from Heart failure
    2) from Respiratory failure

    3. TB (Multifocal)

    본문내용

    1. Pneumonia (Lobal)
    Aspiration(사례)
    Mucociliary clearance disorder(점막 청소 장애)
    Bacteremia(균혈증)
    Bacteria(박테리아, 세균)
    비전형적 폐렴 – fungi(곰팡이), virus(바이러스), mycoplasma(마이코플라스마), chlamydia(클라미디아)

    2. Pulmonary edema (Diffuse).
    Congestive heart failure(울혈성 심부전)
    Cirrhosis or poor liver function(간경변 또는 간 기능 저하)
    Pulmonary embolism(폐색전증)
    Complications from open heart surgery(개방성 심장 수술로 인한 합병증)
    Pneumonia(폐렴)
    Kidney disease(신장질환)
    Autoimmune disease(자가면역질환)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간호학(조현병, 우울장애) 간호과정 –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목차

    없음

    본문내용

    [진단명]
    – Schizophrenia 조현병 (2019.10.24.)
    – Depressive disorder 우울장애 (2020.01.15)

    [현병력]
    – 현재 주 3회(월,수,목) 00병원 낮병동 프로그램 참여 중임.
    – 환자는 현재 집에서 유튜브, 컴퓨터, TV 등을 하고 지내며, 만나는 친구는 없다고 함.
    – 낮병동 회원들과 대화 나누는 모습 관찰되지 않음.
    – 대화 시 눈맞춤이 없음.
    – 낮병동 프로그램 도중 종종 불안감, 우울감 호소하며, 집중하지 못하고 힘들어하는 모습 관찰됨.

    [투약력]
    ① Abilify tab 1mg (aripiprazole ; 항정신성 약물)
    ② Pristiq ER tab 100mg (desvenlafaxine ; 우울증 치료제)
    ③ Indenol tab 10mg (propranolol ; 베타 차단제)
    ④ Parlodel tab 2.5mg (bromocriptine ; 항파킨슨제)
    ⑤ Benztropine tab 2mg (benztropine mesylate ; 항파킨슨제)

    [성격]
    – 내성적이며 소심하고, 온순한 성격

    [전반적인 외모, 태도, 행동]
    – 환자는 통통한 체격에 위생상태는 양호한 편이나, 대화시 눈을 맞추지 못하는 등 시선 접촉에 어려움이 많음
    – 질문에 대한 적절한 대답을 하지 못하고 대화의 흐름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종종 있음
    – 환자의 발화속도가 느리며 발화량이 적은 편임 (한 문장 정도로 짧게 대답함, 작은 목소리)

    출처 : 해피캠퍼스

  • 루카스 LUCAS 심폐소생술 흉부압박기계 사용 메뉴얼

    목차

    없음

    본문내용

    흉부압박시스템
    심폐소생술 중 가슴압박은 뇌와 심장에 지속적으로 혈류를 보내기 위한 요소로 강하고 빠르게 중단없이 시행되어야 한다. 심장의 관상동맥 관류압은 최소 20 mmHg 이상을 유지되어야 심박동 회복의 가능성이 있고 정상 뇌혈류량의 20 % 이상이 유지되어야 뇌손상을 막을수 있다. 사람이 손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구조자의 피로도가 증가되고 효율이 감소될수 있으며 심폐소생술 현장에서의 부족한 인력, 비좁거나 위험한 장소의 한계성 때문에 적절한 심폐소생술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 대한 심폐소생협회의 가슴압박 가이드 라인

    – 가슴압박위치와 자세: 가슴 중앙 복장뼈(흉골)의 아래쪽 1/2
    – 압박깊이: 약 5 cm
    – 압박속도: 분당 100~120 회
    – 가슴압박 후 이완: 압박시간과 이완시간의 비율= 1(50%):1(50%)
    – 가슴압박:인공호흡 비율=30:2
    – 가슴압박의 교대(2분 마다 교대)

    1. 용도
    루카스 흉부압박시스템은 자발적인 호흡과 맥박이 없고 의식이 없는 것으로 정의되는 급성 순환정지가 있는 성인환자에게 외부심장압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로 효과적인 수동심폐소생술이 불가능할 때 수동 심폐소생술의 보조장치로 사용하기 위한 것임.

    출처 : 해피캠퍼스

  • 질환고찰 – 양수과소증, 조기진통

    목차

    1. 양수과소증 (Oligohydramnios)
    1.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 및 검사
    5.치료
    6.경과 및 합병증
    7.간호중재

    2. 조기 진통 (preterm labor)
    1.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 및 검사
    5.치료
    6.경과 및 합병증
    7.간호중재

    본문내용

    양수과소증 (Oligohydramnios)
    1. 정의
    양수의 양이 300mL 이하로 비정상적으로 적은 상태를 말한다. 양수란 태아를 싸고 있는 액체로, 임신 중반 이후에는 주로 태아의 소변과 태아의 폐에서 분비된 체액으로 이루어진다. 양수는 외부의 충격에서 태아를 보호하고 태아와 탯줄이 눌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폐와 근골격계 및 위장관계의 정상적인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임신 시기에 따라 적절한 양수의 양이 유지되어야 하며, 임신 중반 이후 평균 양수량은 750mL이다.

    2. 원인
    양수과소증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 태아의 양측 신장이 형성 부전되어 소변을 충분히 만들지 못하는 경우
    – 양측 요로 폐색과 같은 선천성 기형이 있는 경우
    – 염색체 이상
    – 자궁 내 태아 발육 지연
    – 분만 지연 (분만 주수를 지난 과숙아)
    – 양수를 싸고 있는 양막의 결함으로 인해 양수가 밖으로 새는 경우

    출처 : 해피캠퍼스

  • 대퇴골절 간호과정 (신체기동성 장애)

    목차

    1. 사정
    2. 간호진단
    3. 기대되는 결과 (단기목표)
    4. 간호계획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5. 간호수행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6. 평가

    본문내용

    S-data
    “걷는 건 아직 꿈도 못 꾸죠.”
    “다리가 예전처럼 내 마음대로 안 움직여서 불편해요.”

    O-data
    * 53/M
    * 진단명 : Distal femur fracture, closed (대퇴 원위부 골절, 폐쇄 골절)
    * 입원 경위: 24월 19일 23시경 In car TA(Traffic Accident) 후 Distal femur fracture Dx, 4월 20일 OP위해 adm
    * OP
    – ORIF(Open Reduction Internal Fixation) (23.04.21)
    – Wound closure (23.05.02, POD 1)
    * Foley catheter keep
    * Lt. leg: E/B(elastic bandage), cylinder bongips keep
    * Lt. foot: abrasion gauze apply
    * Rt. leg: E/B(elastic bandage) & gipshoe keep
    * ice pack 적용 중
    * 이동 시 보조수단 : bed
    * 보호자의 도움 없이 식사, 움직임, 이동 힘들어함
    * 주호소 : Rt. leg pain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