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ssessment
2. 수술실 사례보고서
1) 수술 전 간호
2) 질병에 대한 고찰
3) 수술 과정
3. 신체 검진
4. 약물
5. 대상자 사례 기술 & 간호진단
6. 간호진단
7, 간호진단
8. 간호진단
9. 간호진단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 수술실 사례보고서]
1. 진단명 및 수술명: Malignant neoplasm of ascending colon, Right hemicolectomy
2. 수술전 간호:
· 장에 대변이 축적되지 않도록 수술 1~2일 전부터 구강으로 수분만 섭취한다.
· 장을 비우고, 수술부위의 대변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사약, 관장, 좌약 등을 제공한다.
· 수술 전후 24시간 동안 장내 세균을 감소시키고 감염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투여한다.
· 수분-전해질 불균형은 수술 전에 교정한다.
· 빈혈이 있으면 철분이나 혈액을 투여한다.
· 영양결핍은 수술 후 합병증의 원인이 되므로 수술 전 영양상태를 사정하고, 필요시 완전정맥영양을 공급한다.
· 위장관의 기본생리와 수술이 정상생리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관리 방법은 무엇인지 교육한다.
· 수술에 대한 잘못된 생각을 바르게 이해시킨다.
· 대상자와 가족의 수술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킨다.
3. 질병에 대한 고찰:
① 정의
대장암이란 대장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암으로, 발생위치에 따라 결장암, 직장암으로 분류된다. Malignant neoplasm of ascending colon은 ascending colon(상행결장)의 점막에 발생한 악성 종양을 뜻하며, 결장암에 해당한다.
② 발생현황
2019년 암등록통계를 살펴보면 대장암은 279,717명으로 암유병률 4위로, 전체 암유병자의 13%를 차지하였다.
③ 병태생리
대장암의 95% 정도를 선암종이 차지하는데, 선암종의 85%는 선종성용종에서 시작된 것이다, 선종성용종은 염색체 5번의 돌연변이 결과로 생기며, 가장 흔하게 대장암으로 발전하는 전암성 조직으로, 관상, 융모상, 관상융모상의 3종류가 있다.
이중 관상선종성용종이 가장 흔하며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는데 크기는 1~5 cm 정도이며 큰 폴립일수록 악성조직으로 변이되기 쉽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