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aci 케이스스터디 진단2개 과정2개

    목차

    1. 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2) 입원관련정보
    3) 신체사정

    2. 검사
    1) 일반검사
    2) 특수검사

    3. 투약

    4. 간호일지

    5. 타과의뢰

    6. 처치처방

    7. 간호진단

    본문내용

    5. 타과의뢰
    2월 8일 – VDRL : weakly reactive.
    과거에 VDRL reactive로 벤자 마이신 3번 주사 후 negative.
    = 이미 예전에 치료 받았었으므로 일단 observation.
    2월 13일 – 어제부터 cough, sputum 심해지고 금일 dyspnea 호소, SPO₂ 88~91% check됨.
    = x-ray 촬영, 움카민 추가처방, 코데날 시럽 유지
    2월 20일 – 본원에서 시행한 lab상 TSH 5.2137→5.8569, Free T₄1.24 check 되어 further evaluation 및 proper management 위해 진료 의뢰
    = 원인검사 위해 Anti-Tg, Anti-TM, Thyroid sono 시행
    = 2월 27일 : chronic thyroiditis with subclinical hypothyroidism, medication 필요치 않으며 6개월 뒤 TFT 시행.
    3월 13일 – U/A (NCT)상 turbid하였으며, WBC (many) 관찰되어 진료 원함.
    = 로맥사신 2T 7day. 7일 뒤 u/A, GS, cytology
    3월 20일 – u-cytology :negative, u-G/s : positive, WBC many
    = UTI 의심된다며 po same(로맥사신) 3D 처방. urine cytology kidney bladder sono 처방.
    3월 23일 – po same(로맥사신) 7D 처방.
    3월 30일 – po same(로맥사신) 14D 처방.

    출처 : 해피캠퍼스

  • 급성위장염 응급실 케이스 스터디

    목차

    1. 문헌고찰
    1) 원인 및 병태생리
    2) 증상
    3) 진단방법
    4) 감별진단을 요하는 질환
    5) 치료
    6) 간호
    7) 합병증 및 예후

    2. 일반적 사항

    3. 임상진단 검사

    4. 투약

    5. 처치 및 치료, 간호

    6. 추후 처치방안

    7. 응급환자 문제 해결 과정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 원인 및 병태생리
    급성 위장염은 갑자기 일어나는 위벽, 특히 위점막의 염증으로 바이러스. 박테리아 또는 기생충 등이 원인이 되며, 2세 미만 영아에게 잘 일어나며, 그 이후에도 재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주로 경구감염을 통해서 일어나며, 감염력이 매우 강하여 곧 주위에 퍼지며, 감염 후 2-3일쯤 지나서 증세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러한 감염으로 인해 상피세포에 손상을 주게 되고 상피세포와 관련 효소계의 재생으로 회복된다. 질병은 이러한 재생이 일어나는 동안에도 계속 된다. (48~96시간) 세균은 장 점막에 작용해서 내독소 생산, 점막 침범과 파괴, 장 천공을 초래한다.

    <원인>
    1) 감염성 원인
    ▪ 세균성 : Salmonella, Shigella, yersinia, enterocolitica
    ▪ Virus성 : Rotavirus, enterovirus, adenovirus
    2) 비감염성 원인
    ▪ 특정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 우유, 밀, 단백질 등
    ▪ 음식에 대한 직접적인 위장관 자극
    3) 원인균의 전파경로
    ① 대변-경구 통로로 전염
    ② 사람과 사람의 접촉을 통해 전염
    ▪ Shigella, Giardia, Campylobacter 는 직접접촉에 의해 전염됨

    출처 : 해피캠퍼스

  • 혈액검사 결과(의미)

    목차

    1. 일반 혈액검사 종류 및 의미
    2. 생화학검사 종류 및 의미
    3. 면연혈청검사 종류 및 의미
    4. 요검사 종류 및 의미

    본문내용

    1. 일반혈액검사
    ⇨ 검사과정 (CBC, PT/APTT)
    : 정맥천자를 하여 항응고제(EDTA)가 함유된 튜브에 약 2cc 정도의 혈액을 뽑아야 한다.(PT/APTT 는 bottle의 선까지 혈액을 뽑아서.) 혈액 채취후 이 혈액이 담긴 튜브를 8자로 여러 번 흔들어서 혈액이 항응고제와 적당하게 섞이도록 한다. 그런 다음 혈액을 임상검사실로 보낸다.

    검사명 – WBC
    의미 – 백혈구수는 전혈 1㎣당 백혈구의 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검사목적
    – CBC의 일부분으로 선별검사시
    – 염증이나 감염과정 의심시
    – 백혈병, 자가면역질환, 알러지 의심시
    – 스트레스, 영양부족, 감염이나 종양치료에 대한 반응 관찰시
    정상범위 4000 ~ 10,000 /㎕
    비고
    ➡ 증가(>10,000㎕)
    : 감염, 조직파괴, 악성종양, 혈액질환, 대사질환, Allergy, 약물, Steress, 생리적
    ➡ 감소(<4,000㎕) : 감염, 악성종양, 혈액질환, 면역부전, 대사부전, 약물 검사명 - RBC 의미 - 적혈구수는 1㎣당 적혈구의 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심근염 케이스스터디 진단3개 과정3개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2. 본론
    1) 사례연구
    2) 간호진단

    3. 결론

    4. 출처

    본문내용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는 심근경색은 많이 들어봤어도 심근염은 자세히 알지 못할것이다. 심근경색이 큰 비중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심근염 또한 남녀 불문 하고 많이 걸리는 질환이며 55세 이상의 사람들에게 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써 심근염이 걸린후에 합병증으로 더욱 위험에 놓일수 있게 된다.
    우리가 실습하고 있는 전북대학교 병원 43병동 흉부외과․순환기 내과에서는 심장, 몸의 순환에 질병이 있는 환자들이 주를 이루며 그 중 우리가 예방하고 알아두어야 할 심근염을 알아보고, 실습하는 동안 간호학생으로서 우리가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간호를 알아보고자 본 사례를 조사해 보았다.

    ◆ 문헌고찰
    1) 정의
    심장의 벽을 이루는 근육에 생기는 염증.
    원발성 심근증의 일종으로서 심근의 염증이 주요 병변인 심질환의 충칭이다. 오래전부터 류마티즈열로 인해 발생하는 심근염이 유명하다. 또한 사르코이드증이나 아밀로이드증도 심근염의 원인중 하나이다. 신부전때의 심근의 요독증침윤, 교감신경만달에서의 카테콜아민 이상분비에의한 심근장애도 심근염에 포함된다. 처음에는 감기 같은 증세가 나타나지만 며칠이 지나면 이상한 탈력감이나 흉통을 보이기 시작한다.

    2) 생리 및 병리, 증상, 치료법
    –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성 죽종이 혈관벽에서 덜어져 나와 관상동맥을 폐쇄시키면 관상혈류가 감소되어 심근허혈을 일으키고, 장기간 지속되면 심근은 괴사한다. 혈관 경색이 발생되면 부정맥이 일어나고, 부정맥으로 인해 심박출량 감소, 관상혈류 감소로 인한 심근의 급성허혈이 나타난다. 심근의 급성허혈은 펌프기능부전을 일으켜 심박출량 감소가 더 심해지므로 심근괴사는 더 촉진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기흉 케이스스터디 진단3개 과정3개

    목차

    1. 서론

    2.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우선순위별 간호진단
    4)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3. 결론
    1) 사례요약

    4. 참고문헌

    본문내용

    (Pneumo-공기 thorax-가슴)
    흔히 알고 있는 늑막염이라는 병명이 있다. 이 늑막염을 다른 병명으로 부르면 수흉 이라고 한다. 즉, 늑막강 안에 어떤 원인이나 물이 고이면 수흉인 것이다.
    수흉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된다.
    세균, 바이러스,원충 등과 같이 감염에 의하거나 양성종양, 악성종양 등의 신생물에 의하거나 또는 면역이상 등 그 원인은 엄청 많다.
    그중에 결핵성 늑막염이라 함은 결핵균이라는 세균의 감염에 의하여 생긴 수흉을 이라하고, 농흉은 흉막강 안에 고름이 생긴 것이며, 혈흉은 흉막강 안에 피가 고인 병인 것이다.
    따라서 기흉은 늑막강 내에 공기가 들어 있는 상태를 얘기한다.
    즉, 기흉, 수흉, 농흉, 혈흉 등은 늑막강 내에 존재하는 물질에 따라 붙여진 병명이다.

    *늑막강(pleural space) : 폐를 둘러싸고 있는 늑막(폐측 늑막, visceral pleura)과 가슴벽 안쪽을 둘러싸고 있는 늑막(벽측 늑막, parietal pleura) 사이에 형성된 잠재적 공간이다.

    기흉은 흉막강 내에 공기나 기체가 축척되는 것으로 인하여 폐는 허탈 상태가 된다.
    공기가 들어올 수 있는 가슴의 개방 창상이나 폐의 표면에 폐포성 기종의 파열 및 심한 기침으로 인하여 발생하며 아무런 원인 없이 자연적으로 발생 할 수 있다.
    분류하자면 외사성기흉과 자연기흉으로 있는데 자연기흉에는 폐결핵과 폐렴 등에 의한 증후성 및 임상적으로는 나타나지 않는 특발성이 있다. 기흉이 갑자기 생기면 심한 통증과 숨이 차고 호흡곤란을 일으키며 보통안정을 취하면 자연치유 되지만 인공적으로 흉막강 내의 공기를 배출한다든지 때로는 외과적인 개흉술도 필요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심부전 케이스스터디

    목차

    1. 서론
    1) 연구의 의의와 목적

    2. 문헌고찰
    1) 병태생리
    2) 원인
    3) 심부전증의 분류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3. 본론
    1) 간호력
    2) 검사
    3) 투약

    4. 결론

    5. 참고문헌 & 출처

    본문내용

    1. 연구의 의의와 목적
    심부전은 인체가 휴식이나 운동할 때 필요한 대사요구를 충족시킬 만큼 심장이 충분한 혈액을 펌프해 내지 못하는 상태이고, 심장의 펌프 능력부전은 혈량이 정상인데도 심장질환이나 심장구조의 이상으로 혈액을 펌프해내지 못해 발생한다. 심장질환이 없는 경우에도 혈량이 급격히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발생 할 수 있는데 심부전은 그 자체가 질병은 아니며, 심장의 부적절한 수축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심부전의 원인이 무엇이든 간에 심박출량(cardiac output)이 저하되어 폐정맥과 전신정맥은 울혈되고 신체조직은 산소가 부족하게 되는데 이때에 정맥계의 울혈을 초래한다고 하여 울혈성 심부전증이라 한다.
    현재 심부전의 조기 진단 기술의 발달과 인구의 고령 등으로 심부전 환자가 증가하여 심부전의 예방 및 치료에 많은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50세 이상 인구의 약 1%가 심부전 환자이며, 80세 이상 노령층의 약 10% 정도가 심부전 환자이며, 정상 심장 기능을 가진 사람이라도 고혈압, 당뇨, 비만이 동시에 있는 경우 향후 3년 이내에 약 30%에서 심부전으로 진행하는 확률이 높다고 한다. 따라서 환자를 엄격히 관리하고 적절히 치료 간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모든 심장 질환은 그 원인을 치료하지 않으면 장기간에 걸쳐 펌프기능장애로 인한 심부전이 초래될 수 있다. 이렇게 중요한 심장의 문제이니만큼 나는 이번 사례연구 중 울혈성심부전에 관한 증상, 원인 및 간호수행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공부하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blood culture(혈액배양검사) 및 소변검사(UA)

    목차

    1. 혈액배양검사(Blood Culture)
    2. 소변 배양 검사(U/A Culture)

    본문내용

    혈액배양검사(Blood Culture)
    환자가 새로운 발열이 생겼을 때 24시간이내 반드시 시행해야하는 검사
    단, 항생제의 투약전에 시행하는 것이 더 효율적임

    정의와 목적
    -혈액 내의 미생물을 배양하여 혈액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
    ex) 원인 불명의 열이 갑작스럽게 날 때
    오한, 백혈구수 상승 등 패혈증 징후 등을 가지고 있는 경우
    -환자에게 감염을 일으킨 원인균을 없애기 위해 아무 항생제나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정확한 항생제를 투여하여 환자를 치료하기 위함.
    -혈액 중에 세균 또는 진균이 있는지를 알아내어 균혈증 또는 패혈증의 원인균, 그 원인균에 감수성인 치료제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

    준비물
    일반: 드레싱 세트 2ea, 구멍포, 20cc syr 2개, 23G needle 2ea, 알콜볼, 헥시딘용액볼, 토니켓, 멸균거즈, 멸균장갑, culture bottle 부위 당 2개(호기성, 혐기성)

    적용순서
    1. 채혈부위 혈관 선정
    2. 토니켓을 묶고 멸균장갑 착용
    3. 피부소독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기록지 작성 방법 및 레포트

    목차

    1. 본원 간호 기록지
    2. 간호기록의 정의
    3. 간호기록의 목적
    4. 간호기록의 중요성
    5. 간호기록의 원칙
    6. 간호기록의 내용
    7. 간호기록의 작성 방법 및 주의사항

    본문내용

    1. 본원 ER 간호기록지
    a. Arriced to ER by ( )
    –>본원 응급실 내원 시, 누구와 같이 혹은 혼자 내원하였는지, 내원 경로(자차, 119, EMS 등) 구체적으로 기록하기

    b. Mental state
    –>Alert(정상적인 상태로 시간, 장소 사람에 대한 모든 지남력이 있음)
    Drowsy(졸음이 오는 상태로 자극의 강도를 증가시켜야 반응을 함.)
    Stupor(혼미상태로 계속적이고 강한 자극에만 반응을 함.)
    Semicoma(반혼수상태로 자발적인 근육움직임 없이 고통스러운 자극을 주었을 때만 반응하나 구토반사 각만반사는 있는 경우)
    Coma(혼수상태로 모든 자극에 반응은 없으며 자극에 지연된 반사 반응이 단편적으로 나타남.)

    c. V/S
    –>vital sign으로 사람이 살아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혈압, 맥박, 호흡, 체온이 있다.

    d. C.C
    –>chief complaint으로 주 호소 증상을 말한다. 즉, 개선하고 싶은 부위와 상태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오른쪽, 왼쪽, 앞, 뒤 어느 쪽인지, 어느 부분이 아픈 건지, laceration wound이면 몇 cm인지 사진과 함께 기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천식(asthma) 컨퍼런스

    목차

    1.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 및 검사
    5.치료
    6.비약물 치료와 예후
    7.예방방법

    본문내용

    천식(asthma)의 정의

    폐로 연결되는 통로인 ‘기관지’의 질환으로, 특정한 원인 유발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기관지의 염증에 의해 기관지가 심하게 좁아져 기침, 천명 (숨 쉴 때 쌕쌕거리는 소리),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즉 알레르기 염증에 의해 기관지가 반복적으로 좁아지는 만성 호흡기 질환이다. 기관지의 염증으로 기관지 점막이 부어오르고 기관지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면서 점액이 분비되고 기관지가 막혀 숨이 차게 된다. 이것이 반복되면 섬유화 및 기도 개형이 발생하면서 영구적인 폐 기능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다.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5% 정도가 천식을 앓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전 세계적으로 천식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원인

    식을 일으키거나 증상을 악화시키는 인자는 ‘원인 인자’와 ‘악화 인자’로 나눌 수 있다. 천식 환자는 자신의 천식 유발 인자가 무엇인지 알고, 그 자극 인자를 제거하거나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1. 원인 인자

    1) 집먼지진드기

    천식의 가​장 흔한 원인 물질은 집먼지진드기이다. 집먼지진드기는 섭씨 25도, 습도 80% 정도의 습하고 따뜻하며, 먼지가 많은 곳에서 가장 잘 번식한다. 사람의 피부에서 떨어진 비듬을 먹고 살며 침대 매트리스, 카펫, 천으로 된 소파, 옷, 이부자리 등에 많이 있다.

    2) 꽃가루

    꽃가루에 의해 나타나는 천식은 원인 꽃가루가 날리는 계절에만 증상이 나타나거나 악화 된다. 건조하고 바람이 부는 날이면 대기 중에 꽃가루가 증가하므로 증세도 이에 따라 변동된다. 원인 꽃가루가 날리는 때는 외출을 삼가거나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것이 좋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수술실(OR) 신장이식 (renal transplantation) Case study

    목차

    Ⅰ. 대상자 선정 및 문헌고찰
    1. 대상자의 일반적인 정보
    2. 질환명에 대한 문헌고찰

    Ⅱ. 수술준비
    1. 마취종류
    2. 마취과 처방약물
    3. 수술체위 및 피부소독부위

    Ⅲ 수술 참관
    1. 수술절차

    본문내용

    ⓵ 연구의 필요성
    만성 신부전 환자에게 혈액 투석 치료는 신장 기능을 어느 정도 대신할 수는 있지만, 정상 신장이 담당하는 여러 가지 호르몬의 합성과 대사 기능을 완전하게 대치하지는 못한다. 특히 조혈 호르몬의 부족에 의한 빈혈과 부갑상선 호르몬의 과다분비로 인한 골다공증의 진행 등, 각종 비정상적인 신체반응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복막투석도 세심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며, 관리를 잘 해주지 않으면 복막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 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신장이식은 신장의 주요 기능을 거의 완벽하게 대체하여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말기 신부전의 궁극적인 치료방법이라 할 수 있다. 말기 신부전 환자가 신장 이식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수술 후에도 지속적인 면역억제제를 투여하고 감염의 예방 및 조기발견, 혈압의 조절, 거부반응과 식이요법 등 세심한 추후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신장이식 환자에게 이식의 성공을 좌우하는 변수로 자가간호이행의 중요성이 높이 평가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신장이식환자의 간호중재를 정확하게 공부하여 임상에서 실상에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이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⓶ 만성신부전의 정의
    만성 신장질환은 신기능 이상과 점진적인 사구체여과율의 감소를 동반한 다양한 병태생리학적 변화를 나타내는 질환이다. 여러 가지 신장 질환, 예를 들면 만성 사구체 신염, 당뇨병성 신증, 고혈압성 신경화증 등과 같은 질환으로 인하여 신장이 정상적으로 가지고 있는 배설, 조절, 대사 및 내분비적 기능이 전체적으로 저하되거나 이상이 초래된 상태를 말한다. 원인이 되는 신장 질환의 종류에 관계없이 만성적으로 신기능 장애가 진행되어 사구체 여과율이 50%이하로 감소하면, 대부분의 경우 계속적으로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하게 되며, 궁극적으로 말기신부전증에 도달하게 된다. 즉, 신부전이란 정상적인 신장 기능인 노폐물 여과와..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