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보건소] 방문간호 대상자 사례연구(고혈압, 당뇨, 관절염, 독거노인)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6개), 간호과정(1개 불안정한 혈당 수치의 위험 – 진짜 자세하게 다룸, 빌런짓했는데 이걸로 A+ 받음)

    목차

    Ⅰ. 대상자의 간호문제
    Ⅱ. 우선순위에 따른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Ⅲ. 간호과정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간호과정 – 질환 및 생활습관과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 수치의 위험

    정의
    :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혈당 수준의 변화 위험성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 당뇨 진단(2016년)
    – 혈당 198
    – 규칙적인 식사를 하지 않음 / 주 3회 1시간 걷기
    – 153cn / 58kg / BMI 24.78(과체중)
    – 72세

    장기목표
    1. 보건지소와 연계하여 대상자의 눈높이에 맞는 지역사회 기반의 당뇨 자가관리 교육을 시행한다.
    1. 대상자는 불안정한 혈당 수치로 인한 위험 및 예방법을 3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1. 대상자는 교육 전 7일간 자가혈당측정을 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개인의 생활습관에 따른 혈당변화 요인을 파악하게 함으로써 생활습관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1. 대상자는 올바른 식사요법이 무엇인지 알고 식사요법에 대한 자신감을 얻는다.
    1. 대상자는 지속적인 추구관리를 통해 당뇨병 관리를 적극적으로 한다.

    간호계획
    환경 사회 가족 내 방해요인 또는 변화가 불량한 건강행위와 관련이 있는지 사정한다.
    건강유지와 관련된 대상자의 구체적인 질문을 확인한다.
    건강 상태 변화를 반영한 증상을 보고하지 않은 대상자의 동기를 확인한다.
    지시 또는 프로그램의 불이행에 대해 대상자와 상의하고 실패한 이유를 확인한다.
    대상자의 문화적 신념과 성격이 건강습관에 어느 정도 기여했는지 알아낸다.
    경제적 문제가 건강행위 유지에 방해가 되는지 사정한다.
    대상자의 스트레스 경험과 그들의 건강습관과 관련된 방해요인을 평가한다.
    대상자의 옹호자로서 역할한다.

    이론적 근거
    이러한 변화는 촉발요소이거나 일반적인 상태의 조기 감소를 나타낸다.
    대상자는 건강교육 요구를 가질 수 있다 이런 요구는 대상자를 변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대상자는 증상의 중요성을 축소하거나 무엇이 발견될지 두려워 할 수 있다. 언어적 장벽과 낮은 의료접근성이 일반적인 이유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고등학교 교양 교과 논리학 평가 기준안 예시

    목차

    없음

    본문내용

    가. 교육과정 성취기준․평가준거 성취기준․평가기준
    (1) 논증의 분석과 유형
    교육과정 성취기준
    [12논리01-01]
    생각함에 있어서 추론 또는 논증이 갖는 중요성을 이해한다.

    평가기준

    생각하는 과정에서 추론이나 논증이 하는 역할을 사례를 들어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생각함에 있어 추론 또는 논증이 활용되는 사례를 지적할 수 있다.

    추론 또는 논증이 생각하는 일의 한 부분임을 알고 있다.

    [12논리01-02]
    쟁점이 되는 주장을 결론으로 놓고, 근거를 전제로 삼아 논증을 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또한 이를 통해 논증인 것과 논증이 아닌 것의 차이를 이해한다.

    [평가준거 성취기준 ①]쟁점이 되는 주장을 결론으로 놓고, 근거를 전제로 삼아 논증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논증인 것과 논증이 아닌 것의 차이를 이해한다.


    쟁점이 되는 주장을 결론으로 놓고, 적합한 근거를 전제로 삼아 논증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논증인 것과 논증이 아닌 것을 구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쟁점이 되는 주장을 결론으로 놓고, 근거를 전제로 삼아 논증을 구성할 수 있음을 알고 주어진 자료에서 결론과 근거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논증인 것과 논증이 아닌 것을 분류할 수 있다.

    쟁점이 되는 주장을 결론으로 놓고, 근거를 전제로 삼아 논증을 구성할 수 있음을 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논증인 것과 논증이 아닌 글의 종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12논리01-03]
    연역 논증과 귀납 논증이 어떻게 구분되는지 이해한다.


    연역 논증과 귀납 논증의 정의를 바탕으로 두 논증의 차이점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연역 논증과 귀납 논증의 정의가 다름을 이해하고 두 논증의 차이점을 찾아 두 논증을 구분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응급간호, 성인간호]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1개 낙상의 위험, 낙상위험성 – 낙상교육안 있음)

    목차

    Ⅰ. 문헌고찰
    Ⅱ.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및 결과 해석
    Ⅲ. 대상자의 약물치료 현황
    Ⅳ. 우선순위에 따른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Ⅴ. 간호과정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의
    뇌조직은 평상시에도 많은 양의 혈류를 공급받고 있다. 그런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뇌혈관에 폐색(혈관 등을 이루는 관이 박히는 경우)이 발생하여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뇌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뇌혈류 감소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뇌조직의 괴사(조직이나 세포의 일부가 죽는 것)가 시작된다. 뇌조직이 괴사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 이를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이라고 한다.
    반면 뇌혈류 감소에 의해 뇌기능에 이상이 생겼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충분한 뇌혈류가 다시 공급되어 뇌조직의 괴사 없이 뇌기능이 회복되었을 때를 일과성 허혈성 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이라 부른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경색과 일과성 허혈성 발작을 모두 일컫는 용어이다.

    2. 원인
    동맥경화증에 의해 병든 혈관에서 주로 발생하는 혈전(핏덩어리)은 심장에서 뇌로 가는 내경동맥이나 뇌혈관 중 어떤 곳에서든 발생할 수 있다. 혈전이 혈관을 막거나 혹은 처음 형성된 부위에서 떨어져 나가 다른 혈관을 막는 것을 색전이라고 한다. 혈전이 심장이나 굵은 뇌동맥 등에서 떨어져 나와 말단부 뇌혈관을 막아서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말단부 혈관이 아주 좁아진 경우 허혈성 뇌졸중이 생길 수 있다.
    다른 원인으로는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나이(고령), 유전적 요인,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 흡연과 음주, 비만 및 운동부족, 과로와 스트레스, 약물(경구용 피임약) 등이 있다.

    3. 증상
    1) 반신불수 : 대뇌의 운동부위에서 시작하여 팔, 다리 및 안면으로 내려가는 운동신경은대뇌를 내려가다가 연수에서 교차하기 때문에 한쪽 뇌혈관에 병변이 생겨 혈액공급이 중단되거나 출혈이 발생하면 그 반대쪽의 팔, 다리 및 안면의 하부에 갑자기 마비가 발생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학 전공책 시나리오 참고] 팔로네징후 팔로사징 팔로사징후 Tetralogy of Fallot(TOF)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간호과정(1개 – 비효과적 호흡양상)

    목차

    Ⅰ. 문헌고찰
    Ⅱ. 자료수집
    Ⅲ.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및 결과 해석
    Ⅳ. 대표적 약물
    Ⅴ. 우선순위에 따른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Ⅴ. 간호과정 – 폐혈류 감소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부록 1. 교육 책자 구성 및 내용
    부록 2. 무산소 발작 교육 책자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정의
    심실 중격을 이루고 있는 두꺼운 근육이 폐동맥부위로 옮겨가면서 심실 중격 결손을 만들고 폐동맥협착을 초래하는 병을 말한다. 이 결과로 대동맥이 우심실 쪽으로 약간 옮겨오게 되고 우심실은 높은 압력으로 인해 비대해지며 나타나는 4가지 소견으로 인해 4징으로 불린다.
    따라서 우심실유출로 협착, 대동맥 우전위, 심실중격결손증, 우심실비대가 4징을 이루고 우심실의 혈류는 정상적인 경우 폐동맥으로 흘러가야 하나 우심실 유출로 협착이 있어서 잘 나가지 못하고 심실중격결손을 통해 대동맥으로 바로 흘러가게 된다.

    <중 략>

    객관적 자료
    – Dx : Preterm, LBW, AGA / CHD(TOF)
    – skin color : cyanosis
    – Echocardiogram report : DORV with VSD(7.3mm) overriding aorta(50%), severe PA(1.77mm, 2m/s), no definite PDA, small multiple MAPCA
    – Heart : GⅡ systolic murmur, Lt, 2nd ICS
    – Lung : retraction, tachycardia, tachypnea, dyspnea/clear without rale
    – HR(172, tachycardia), RR(70, tachypnea), SpO2(82%)
    – 울고 난 후 무산소 발작 일으킴
    폐혈류 감소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학]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RDS) 간호진단(7개)이랑 간호과정(1개)만!(앞에 환자 파악 및 분석없음!! 비효과적 호흡양상)

    목차

    1. 간호사례
    2. 우선순위에 따른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간호사례
    1) 병력 : 재태기간 30주, 910g으로 제왕절개술로 태어난 여자 환아로 분만 직후 첫 울음이 없어 흡인으로 자극을 주었고 그르렁거리는 호흡을 하여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후 Chest X-ray를 촬영하였다. 출생 직후 활력징후는 불안정하였고, 호흡이 분당 60회 이상이었으며 전체적인 외관이 매우 약하였다. 흉부 청진 상 거친 소리(coarse lung sound)가 들렸고, 흉부 함몰(retraction)이 있었으며, 손발에 청색증(cyanosis)이 있었다.
    2) 산모 나이 / 병력 : 33세 / 임신고혈압
    3) 출생 시 환아 신체 계측 : 키 : 36cm / 몸무게 : 910g / 두위 : 26.5cm / 흉위 : 20.5cm / 복위 : 18.0cm
    4) 신체 사정 : activity : poor / cry : weak / Chest X-ray : RDS

    <중 략>

    간호진단-폐의 미성숙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정의-적절한 환기가 되지 않는 흡기와 호기 상태

    출처 : 해피캠퍼스

  • 고등학교 교양 교과 철학 평가 기준안 예시

    목차

    본문내용

    이 학생은 ‘고등학생이면서 청소년인 나’의 일상적인 삶으로서 하루, 일주일의 일과를 돌아보며 자신의 삶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공부가 진짜 공부가 아닐 수 있으며, 진짜 공부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철학적 문제에 도달하고 있다. 또한 학교와 가정에서 자신의 위치와 역할을 깊이 생각해 보고, 사람들과의 관계와 별개로 오직 자신만의 무엇인가가 있다는 깨달음에 접근하고 있다. 음악이라는 자신의 관심과 흥미가 진짜 ‘나’와 연관될 수 있다는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특징을 찾아서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점도 평가 준거 성취기준에 부합한다. 하지만 타인과 구별되는 점이 미흡하다는 면에서 아쉬움이 있다.
    이러한 결과 학생의 포트폴리오 작성과 발표는 ‘중’으로 평가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 실습, 성인간호 임상실습] 양쪽성 원발성 무릎관절증(Primary gonarthrosis, bilateral)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간호진단 3개(급성 통증, 말초신경 혈관 기능 이상의 위험, 수면 박탈) 교수님 피드백 받음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사정
    Ⅲ.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및 결과 해석
    Ⅳ. 대상자의 약물치료 현황
    Ⅴ. 대상자의 기타 치료(식이, 운동, 특수치료 등) 현황 계획
    Ⅵ. 대상자의 간호문제
    Ⅶ. 우선순위에 따른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Ⅷ. 간호과정
    Ⅷ-1. 수술부위와 관련된 급성 통증
    Ⅷ-2. 부동 및 석고붕대로 인한 기계적 압박과 관련된 말초신경 혈관 기능 이상의 위험
    Ⅷ-3. 신체적 불편감(만성통증 및 급성통증)과 관련된 수면 박탈

    참고 문헌

    본문내용

    I. 문헌고찰
    1. 정의
    관절염(arthritis)은 관절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이다. 관절염의 가장 일반적인 종류는 뼈관절염(osteoar­ thritis), 류마티스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통풍성 관절염 (gouty arthritis) 등이다. 골관절염과 류마티스관절염은 남성보다 여성이 2배 이상 많이 발생한다. 류마티스관절염은 관절뿐 아니라 뼈와 근육에도 염증을 일으킨다.
    뼈관절염(osteoarthritis, OA)은 일명 퇴행성관절질환(degenerative joint disease, DJD),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이라고 하며, 관절염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고 국소적인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만성 질환이다. 주로 체중부하관절에 발생하는데, 40세 이상 인구에서 70%, 65세 이상 인구에서 80% 정도에서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속발성 뼈관절염은 관절구조의 선천적 결함, 심한 외상이나 감염질환 및 대사 장애 등으로 발생한다. 뼈관절염은 임상적 소견, 나이, 병력, 신체검진과 방사선 소견으로 진단한다.

    <중 략>

    Ⅴ. 대상자의 기타 치료(식이, 운동, 특수치료 등) 현황 계획

    ∎ 식이
    대상자의 History 상 DM 있어 DM 식이 권유하였으나 refuse하였다. 추후 DM 조절 안될 시 DM 식이를 먹을 수 있음을 교육하였다. 2022/5/17 다음날 있을 op 준비 위해 NPO 유지 교육함. 2022/5/18, NPO 유지하며 씨제이플라스마솔루션에이주 1000ml 18G line IV start. op 후 6시간 NPO 유지 교육함.

    ∎ 운동
    2022년 5월 18일 both TLRA 후 foley, H-V 유지하며 침상안정 중이고 아직 op site pain 심해 DVT만 적용 중이다.

    ∎ 특수치료
    대상자의 diagnosis, S/P TKRA both로 cold pack, TENS/ICT, Pneumatic Compression, Complex Exercise(C.P.M) PT를 5/17부터 받고 있다. op 이후 TP hold.

    출처 : 해피캠퍼스

  • 만1세 3월~2월 관찰일지 및 1,2학기 발달평가 (일상생활,놀이활동)

    목차

    1. 만1세반 1학기 관찰일지
    1) 일상생활
    2) 놀이활동
    3) 놀이활동
    4) 일상생활
    5) 놀이활동
    6) 놀이활동
    7) 1학기 총평

    2. 만1세반 2학기 관찰일지
    1) 일상생활
    2) 놀이활동
    3) 놀이활동
    4) 일상생활
    5) 놀이활동
    6) 놀이활동
    7) 2학기 총평

    본문내용

    일상생활
    칫솔을 세면대에 내려놓은 뒤 물컵을 잡으며 “내가 내가”라고 말한다. 물이 나오는 버튼을 두 손으로 누르지만 물이 나오지 않는다. 선생님이 버튼을 눌러주자 흐르는 물을 컵에 받는다. 물컵을 입에 가져다 댄 뒤 물을 마신다.선생님이 “퉤 해볼까요?”라고 말하자 세면대에 고개를 숙인 채 입에 있는 물을 뱉는다.

    놀이활동
    친구들이 솜방망이로 흙을 일이키자 먼지가 날리니까 “애들아!”하더니 먼지가 날리지 않는 쪽으로 이동하였다. 나뭇가지로 그림그리기 활동을 하다가 손에 흙이 묻으니까 “묻었어. 묻었어.”하면서 닦아달라고 우는 소리를 한다

    놀이활동
    실외활동중 원 앞에서 비눗방울을 하며 놀이 한다. 교사가 비눗방울을 보자 앞에 다가와서 비눗방울이 날아가는 모습을 보며 잡으려고 손을 뻗는다. 비눗방울이 난간 쪽에 걸려 붙어있는 모습을 보며 OO는 손을 뻗어 터뜨리려고 한다.

    일상생활
    오전간식으로 나온 배와 감을 식판에 담아주자 OO가 포크로 배와 사과를 찍어 먹는다. 한입 베어 문 배를 보고 OO가 “선생님 이건 미끄럼틀이야, 이건 자동차 모양이고 ”라고 말하며 배와 감을 베어 문 모습을 보고 떠오르는 모양의 이름을 말하며 먹는다.

    놀이활동
    아이클레이를 색깔을 섞고는 교사에게 OO가 선샌님 이게 뭐예요하고 묻는다. OO에게 색깔을 알려주자 아이클레이를 길게 밀어 조금씩 떼서 애벌레 활동지에 붙인다.

    놀이활동
    또래가 다가와 OO의 마스크를 잡아당기자 입을 막고 운다. 교사가 다가가자 안기며 울음을 그친다. 마스크를 씌워주고 병원놀이를 하다가 다시 마스크를 벗긴 또래가 다가와 마스크를 벗기려고 하자 놀잇감을 들고 교사에게 달려온다. “OO야. 친구가 마스크 벗기려고 하면 ‘하지마’ 하고 큰 소리로 얘기해” 라고 말하자 작은 소리로 “하지마” 라고 말한다. 마스크를 벗긴 또래에게 교사가 안 된다고 이야기하는 것을 보고 그 또래의 머리를 쓰다듬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간호학실습_CPD CSEC(아두골반불균형 제왕절개)

    목차

    1. 서론
    1) 간호사례 선정 이유
    2) 대상자 질환

    2. 문헌고찰
    1) 해부, 병리, 생리
    2) 원인
    3) 증상
    4) 진단적 검사
    5) 치료 및 간호

    3. 간호사례
    1) 간호력
    2) 신체검진
    3) 진단적 검사 및 기타자료, 투약
    4) 병의 경과(Progress of disease)
    5) 간호과정 적용

    4. 결론
    1) 간호사례 대상자에게 간호과정 적용하면서 느낀 점
    2)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소감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 간호사례 선정 이유
    우리나라 산모의 제왕절개 분만율은 OECD 회원국과 비교해 보았을 때 비교적 높다. 제왕절개분만은 산모에게는 감염과 이로 인한 사망, 전신적 기능저하, 골반 통증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고, 신생아에게는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및 모유수유 지연의 문제를 초래한다. 그렇기 때문에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전체 분만 중 제왕절개를 통한 분만이 15%를 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지만 한국은 여전히 15%를 훌쩍 넘는 제왕절개 분만율을 가지고 있다.

    <중 략>

    [교육적 중재]

    1. 진통제 투여 후 NRS 3점으로 통증이 중(moderate) 정도로 완화되어 적절한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교육을 시행했다. 대상자가 약간 과호흡이 있는 상태여서 천천히 심호흡하는 것을 지도하고, 전환요법을 시행했다. 심호흡을 직접 시범 보이며 따라하도록 했고 대상자는 잘 협조했다.
    ▷ 심호흡: 몸에 긴장을 풀고, 숨을 천천히 깊게 들이마시고, 숨을 천천히 내쉬면서 본인이 편안한 정도로 천천히 규칙적으로 깊게 호흡한다.
    ▷ 전환요법: 음악듣기, TV보기, 태어난 아기 보기 위해 신생아실 방문하기
    2. 기침, 심호흡 등 복부에 힘이 들어가는 행위 시에는 복부 긴장으로 통증이 증가할 수 있어 복부를 지지하도록 지도했다. 복부 지지 시 베개를 활용할 수 있으며, 제공된 복대를 사용하도록 설명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간호학실습_Endometrial polyp(자궁내막폴립)

    목차

    1. 서론
    1) 간호사례 선정 이유
    2) 대상자 질환

    2. 문헌고찰

    3. 간호사례
    1) 간호력
    2) 신체검진
    3) 진단적 검사 및 기타자료, 투약
    4) 병의 경과
    5) 간호과정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간호사례 선정 이유
    자궁내막 용종은 자궁내막의 어느 한 부분이 부분적으로 과도하게 돌출된 것을 말한다. 자궁내막 용종은 폐경 이전 여성의 약 6%가 걸리고 폐경 이후 여성의 약 12%에서 발견된다. 일반적으로 양성종양으로 분류되는데, 방치할 경우 악성으로 변하거나 자궁내막암이나 자궁경부암 등의 심각한 질환일 수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생소한 질환이라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 해당 요인이 있음에도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자궁내막 용종을 사례연구 주제로 선정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2. 대상자 질환
    이OO님은 2023.08.16. 배아픔, 어지러움, 생리 양 많아서 진료 본 결과, endometrial polyp으로 Hysteroscopic polypectomy 위해 2023년 9월 11일 본원 opd adm by walking, 당일 수술 후 퇴원 예정이다.

    Ⅱ. 문헌 고찰

    1) 정의
    자궁내막 용종은 자궁내막의 어느 한 부분이 부분적으로 과도하게 돌출된 것을 말한다. 용종은 대부분 하나뿐이지만, 전체 환자의 20%에서는 여러 개가 존재한다. 자궁 저부에 주로 발생한다.

    2) 원인
    자궁내막 용종은 나이가 들수록 많이 발생한다. 자궁근종이 있는 경우 발생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보고는 있지만, 정확한 발생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3) 병태생리
    자궁내막은 자궁 안쪽을 덮고 있는 점막 조직으로 임신을 할 때 수정란이 착상되고 임신이 되지 않으면 자궁 내막이 탈락하여 생리를 하게 된다. 일반적인 생리주기 동안 자궁 내막이 두꺼워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폴립의 경우 일반적인 경우보다 많이 증식하는 양상을 보인다.

    4) 증상 및 징후
    자궁내막 용종은 무증상인 경우가 많다. 경우에 따라 월경 중간에 부정기적인 하혈, 월경 불순, 월경통, 질 분비물 증가, 월경 과다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