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논리모델의 개념과 특성을 설명하고, 논리모델을 이용한 프로그램의 평가에 대해 논하고, 이를 적용한 사례를 기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사회복지행정에서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과 성과 측정은 정책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자원을 최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핵심적인 요소다. 이를 위해 논리모델은 프로그램의 목표와 운영 과정, 그리고 예상되는 성과를 논리적 구조로 표현하는 데 도움을 주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논리모델은 프로그램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시각화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명확한 논리 구조를 통해 목표와 중간 결과물 간의 인과 관계를 파악할 수 있어, 프로그램의 설계와 실행에 있어 투명성을 제공한다. 이는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과 리더십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론에서는 사회복지행정에서 논리모델의 필요성과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논리모델을 적용한 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이를 통해 향후 사회복지분야에서 논리모델의 보다 효과적인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논리모델의 개념과 특성

    1) 논리모델의 개념
    논리모델은 프로그램이나 정책의 목표, 활동, 산출물, 결과물, 그리고 그로 인한 장기적인 변화 등을 논리적인 구조로 표현한 것이다. 이는 프로그램의 설계와 실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요소들 간의 인과 관계를 명확하게 정의하여 시각화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논리모델은 각 요소 간의 논리적인 연결을 통해 프로그램의 이해도를 높이고, 효과적인 평가와 개선에 도움을 준다.

    2) 논리모델의 특성

    – 논리적 일관성: 논리모델은 목표, 활동, 산출물, 결과물, 장기적인 변화 등이 서로 논리적으로 일관성 있게 연결되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기독교가 한국사회와 문화에 끼친 영향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국의 기독교 역사는 복잡하고 다양한 변화를 겪어왔습니다. 16세기 이전에도 기독교가 소개되었지만, 본격적으로 뿌리를 내리게 된 것은 19세기 후반, 미국과 유럽의 선교사들이 한국에 입성하면서였다. 초기에는 한국의 전통적인 종교와의 충돌이 있었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기독교는 한국 사회에 깊이 뿌리내리게 되었다.
    기독교가 한국 사회 속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기독교는 교육, 의료, 사회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선교사들의 노력과 기독교의 가르침은 한국 사회에 안정성과 희망을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 현재까지도 많은 한국인들은 기독교를 자신의 정체성과 가치관의 일부로 여기며 신앙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기독교는 한국문화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기독교의 도입으로 한국 예술, 문학, 음악 등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에서 기독교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기독교의 윤리와 가치관은 한국 사회의 행동양식에 영향을 미치면서,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론에서는 한국문화와 기독교 간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다양한 측면에서의 조망을 통해 한국은 어떻게 기독교의 영향을 받아왔으며, 이를 통해 어떤 변화와 발전을 이루어나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이라는 독특한 문화적 공간에서 종교와 문화가 어떻게 교차되고 상호작용하며 발전해왔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Cell counting and seeding on plate for downstream experiment A+레포트

    목차

    1. Title
    2. Date
    3. Name
    4. Purpose
    5. Materials
    6. Methods
    7. Results
    8. Discussions
    9. Project
    10. Reference

    본문내용

    1. Title
    Cell counting and seeding on plate for downstream experiment

    2. Date

    3. Name

    4. Purpose
    Hemocytometer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실험에 필요로 하는 적정량의 세포 수를 계산할 수 있다.

    5. Materials
    MCF-7 Cells (cultured in T25 flask), DPBS, 0.05% Trypsin-EDTA solution, Media (RPMI1640, FBS, P/S), alcohol lamp, pipette aid, serological pipette, incubator, conical tube, centrifuge, micropipette, tip, rack, beaker, 1.5㎖ ep-tube, trypan blue solution, hemocytometer, 35㎜ dish, 70% ethanol, tissue, clean bench, 광학현미경, 계수기

    6. Methods
    ① 4℃에서 냉장보관 중이던 media를 37℃ water bath에서 충분히 pre-warmed.
    ② Clean bench에 넣기 전, pre-warmed media 및 필요한 실험기구들을 70% 에탄올로 소독한다. (Cell이 들어있는 flask는 에탄올로 소독하지 않고 clean bench로 옮겨준다.)
    ③ 세포주를 배양 중인 flask 내부의 media를 pipette aid를 이용해 aspiration & discard.
    ④ DPBS washing: DPBS 3㎖을 flask에 조심히 분주하고 좌우로 gently washing 해준 후, DPBS를 다시 aspiration & discard.

    출처 : 해피캠퍼스

  • Subculture A+레포트입니다.

    목차

    1. Title
    2. Date
    3. Name
    4. Purpose
    5. Materials
    6. Methods
    7. Results
    8. Discussions
    9. Project
    10. Reference

    본문내용

    1. Title
    Subculture(계대배양)

    2. Date

    3. Name

    4. Purpose
    세포는 분열을 위해 새로운 공간을 필요로 하지만, 배양접시(flask)의 한정된 공간에서는 세포증식이 제한될 수 있다. 계대배양(subculture)을 통해 세포증식에 필요한 적절한 공간을 제공해야 함을 이해한다.

    5. Materials
    Cells (cultured in T25 flask, 60㎜ dish), DPBS, Media (RPMI1640, FBS, P/S), 0.05% Trypsin-EDTA solution, cell scraper, alcohol lamp, micropipette, tip, rack, beaker, T25 flask, 60㎜ dish, 1.5㎖ ep-tube, 70% ethanol, tissue, incubator, centrifuge, clean bench

    6. Methods
    ① 4℃에서 냉장보관 중이던 media를 37℃ water bath에서 충분히 pre-warmed.
    ② Clean bench에 넣기 전, pre-warmed media 및 필요한 실험기구들을 70% 에탄올로 소독한다. (Cell이 들어있는 flask, dish는 에탄올로 소독하지 않고 clean bench로 옮겨준다.)
    ③ 세포주를 배양 중인 배양접시 내부의 media를 micropipette으로 aspiration & discard.
    * Tube에 소분된 DPBS, media는 사용 전후로 뚜껑 주변, 뚜껑 내부,tube 입구를 화염멸균하고 사용하며, ep-tube에 소분된 Trypsin-EDTA의 경우 화염멸균을 생략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6차산업에서 사회복지역할모색에 관한 연구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연구의 배경
    – 6차산업의 배경이 되는 중요한 사례 및 사건
    – 농업관련 사회상황의 변화
    – 6차산업관련 사회지표
    – 6차산업정책의 도입과정 및 관련법
    2) 연구의 필요성
    – 6차산업의 선행 연구 소개 및 한계
    – 6차산업과 농촌복지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내용제시
    – 일본의 6차산업검토를 통한 우리나라의 6차산업의 방향모색
    – 연구의 의의
    3) 문헌고찰
    – 이론적 고찰
    – 실증적 연구결과제시
    – 문헌고찰 결과와 한계

    Ⅲ. 연구결과에 대한 토론, 함의

    * 참고문헌

    본문내용

    농촌에 거주하는 자로써 최근 들어 영세화되고 고령화 되가는 농촌을 바라보며 선국농업국가의 모습을 떠올렸고 우리나라 국민의 먹거리를 책임질 1차산업의 주역인 농촌의 역알한 모습을 보고 많은 고민을 했다. 더군다나 졂은 층이 사라진지 오래된 농촌은 고령화된 노동력과 이러질 차세대의 수요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현실을 바라보며 점점 쇠퇴의 길로 접어드는 것을 보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밀려오는 시장개방과 더불어 우리의 농업과 농촌은 그 입지가 더욱 좁아지고 새로운 방안을 모색해야하는 절박한 현실에 놓인 것 과연 대한민국의 국민은 얼마나 알고 있을까? 그렇다면 우리는 새로운 방법과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우리의 농업을 지키는 일도 있지만 농촌에 거주하는 고령인구와 낙후된 환경을 개선하고 그들도 도시민들과 같은 문화와 복지를 누려야 하는 권리가 주어야 한다. 그러기위해선 경제적인 안정과 지원을 뒷받침함으로 농촌의 삶의 질 향상과 경제적인 수준을 높일 수 획기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조사한 결과 새정부가 출범하면서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추진하고 있는 6차산업을 발견하게 되었으며 6차산업이 진정으로 우리의 농촌복지를 위해 어떤 방향으로 추진되고 보완해야 하는지 사회복지와 연관해 생각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는 농촌의 경쟁력을 키우고 새로운 소득원과 고부가가치를 통해 농촌복지의 향상을 이루고 도시와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보자.

    출처 : 해피캠퍼스

  • Changing cell culture media (Refreshing the media) A+레포트

    목차

    1. Title
    2. Date
    3. Name
    4. Purpose
    5. Materials
    6. Methods
    7. Results
    8. Discussions
    9. Project
    10. Reference

    본문내용

    1. Title
    Changing cell culture media (Refreshing the media)

    2. Date

    3. Name

    4. Purpose
    계속해서 배양이 필요한 세포는 적절한 영양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며, 적절한 pH를 유지시켜 주어야 함을 이해한다. 또한 배지를 교체하는 방법을 익힌다.

    5. Materials
    Tamoxifen resistant MCF-7 cell (cultured in T25 flask), DPBS, Media (RPMI1640, FBS, P/S), alcohol lamp, micropipette, tip, rack, beaker, 70% ethanol, tissue, clean bench

    6. Methods
    ① 4℃에서 냉장보관 중이던 media를 37℃ water bath에서 충분히 pre-warmed.

    출처 : 해피캠퍼스

  • Thawing Cryopreserved cell A+레포트

    목차

    1. Title
    2. Date
    3. Name
    4. Purpose
    5. Materials
    6. Methods
    7. Results
    8. Discussions
    9. Project
    10. Reference

    본문내용

    1. Title
    Thawing Cryopreserved cell

    2. Date

    3. Name

    4. Purpose
    세포 기반의 생물 실험은 동결보존 되어있는 cell stock을 녹여 배양을 통해 세포를 준비하는 것에서 시작됨을 이해한다. 본 과정의 정교하고 빠른 technique이 곧 세포의 survival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이해한다.

    5. Materials
    Complete growth medium (RPMI1640, 10% FBS, 1% Penicillin & streptomycin), Cryovial containing frozen cells, warm water (water bath 대용), centrifuge, 1.5㎖ ep-tube, micropipette, tip, rack, beaker, 70% 에탄올, tissue, alcohol lamp, tissue-culture treated flask (T25 flask ; 25cm2), clean bench

    출처 : 해피캠퍼스

  • 가출청소년 지원정책에 대한 고찰 -가출팸을 중심으로

    목차

    1. 연구의 배경
    1) 중요한 사례 및 사건
    2) 사회 상황의 변화에 따른 청소년 가출요인
    3) 청소년 가출 관련 사회지표의 변화
    4) 가출청소년을 위한 정책, 서비스, 개입방법

    2. 연구의 필요성
    1) 선행 관련연구에 대한 개괄적 소개
    2) 주요문제
    3) 연구범위 및 의의

    3. 문헌고찰
    1) 가출청소년정책을 위한 가출팸 고찰

    4. 문헌고찰결과

    5. 연구결과에 대한 토론 및 함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중요한 사례 및 사건

    ·청소년 범죄 부추기는 ‘가출 카페’…단속 쉽지 않아[JTBC] 2014년11월15일(토) 오후 8:42
    가출 카페에서 만난 10대들이 성매매를 해오다경찰에적발되기도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인터넷에선 이런 가출 카페가 수십 곳이나 성행합니다. 공짜로 재워주겠다면서 가출을 조장하거나…

    ·차량 훔치고 학원 턴 가출 청소년 구속[뉴시스] 2014년11월15일(토) 오후 6:18【인천=뉴시스】함상환 기자 = 인천 부평경찰서는 15일 가출한 뒤 차량을 훔치고 아파트 단지 상가 학원 등에 침입해 현금을 훔친 A(17)군을 절도 혐의로 구속했다. 경찰에 따르면 A군은 지난 7월 29…

    ·’지체장애여성 성폭행 등’ 혐의 가출 청소년 징역형[CBS노컷] 2014년11월13일(목) 오후 5:09청소년이어서 관련 법에 따라 신상정보 공개나 고지 명령은 선고하지 않는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 A군 등은 가출한 뒤 지난 4월~7월까지 서울과 인천 등지를 다니며 술 취한 행인을 폭행하…

    ·가출 청소년 유인 성폭행 40대 ‘징역 4년'[CBS노컷] 2014년11월10일(월) 오후 2:27[전남CBS 최창민 기자] 10대 가출 청소년을 재워주겠다며 데려가 원룸과 모텔에서 성폭행한 40대 남성에게 징역 4년이 선고됐다. 광주지법 순천지…

    ·동네조폭과 손잡은가출청소년·일진들 무더기 검거[머니투데이] 2014년11월03일(월) 오후 1:45가출청소년, 지역 학교 일진 등이 폭력서클을 만들어 서클 내 가출여학생을 강간하고 일반인, 학생을 가리지 않고 폭행과 금품갈취를 일삼은 한모씨(43)를 비롯해 피의자 102명이 무더기로 입건됐다. 폭력서클 유형…

    출처 : 해피캠퍼스

  •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비교 관찰 A+ 레포트

    목차

    1. Title
    2. Date
    3. Name
    4. Purpose
    5. Materials
    6. Methods
    7. Results
    8. Discussions
    9. Project
    10. Reference

    본문내용

    1. Title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비교 관찰

    2. Date

    3. Name

    4. Purpose
    동물세포로는 구강 상피세포, 식물세포로는 양파 표피세포와 잎의 공변세포를 비교 관찰한다. 이를 통해 동물과 식물세포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모든 생물체의 생명현상이 일어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인 세포의 구조를 이해한다.

    5. Materials
    광학현미경, slide glass, cover glass, micropipette, tip, 면도날, 핀셋, 여과지, 투명매니큐어, 테이프, 증류수, 70% 에탄올, 면봉, 양파, 식물 잎, methylene blue, aceto-orcein

    6. Methods
    <구강 상피세포의 관찰>
    ① 면봉으로 입 안의 뺨 부분을 가볍게 긁어낸다.
    ② 긁어낸 시료를 slide glass에 문지른다.
    ③ 약 2~3분간 방치 후 70% 에탄올을 떨어뜨려 3분간 고정시킨다.
    ④ 고정 후 cover glass를 덮고 여분의 에탄올을 여과지로 닦아낸 다음 cover glass 한쪽 면 에 증류수를 떨어뜨려 여과지로 세척한다.
    ⑤ 다시 cover glass 한쪽 면에 methylene blue 용액 1~2방울(약 50~100㎕) 떨어뜨린 후 반대편에서 여과지로 빨아들인다.
    ⑥ 약 3분 정도 염색시킨 후,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양파 표피세포의 관찰>
    ① 양파를 면도날로 #자 모양으로 자른 후 핀셋으로 표피세포층을 벗겨낸다.
    ② Slide glass 위에 시료를 올리고 증류수를 한 방울 떨어뜨린 후 cover glass를 덮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미등록이주 아동기의 경험 탐구- 사례를 중심으로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의 문제
    1.4. 연구의 제한점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2.1. 이론적 배경
    2.1.1. 에릭슨의 심리사회적발달 이론
    2.1.2. 적응기제
    2.1.3. 이주민
    2.1.4. 미등록 이주아동
    2.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방법
    3.1. 위버만의 객관적 해석학
    3.2. 슛제의 이야기식 인터뷰
    3.3. 생애사 연구
    3.4. 연구과정
    3.4.1. 참여자 선정
    3.4.2. 자료수집
    3.5. 자료분석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본문내용

    1.1. 연구의 필요성

    현재 우리 사회는 국제결혼,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 새터민의 증가로 다문화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이재분 외, 2009, 재인용) 2012년 268천명에서 2020년 351천명으로 향후 8년간 31.3%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행정안전부, 2012)
    이처럼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면서 다문화 가정의 결혼해체문제도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통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2010년을 기준으로 이혼한 다문화 가족 중 10.8%가 이혼당시 미성년자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국적 이주아동 또한 3천명(연합뉴스, 2014)이라고 얘기하고 있다.
    또한, 근래의 신문에서는 한국인 아버지와의 이혼 및 사망과 더불어 베트남 어머니의 가출 등으로 다섯 살 어린이가 무국적자가 되면서 의료보험 등 정부의 기초적인 지원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경향신문, 2014)거나, 파이는 한국에서 태어났으나 부모가 불법체류외국인이라 주민등록번호 13자리를 부여받지 못한 국적이 없으며 태어나지도 않은 투명인간이다.(주간경향, 2014)라는 기사가 연일 뜨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이주아동에 대한 출생등록제도가 없다. 또한 속인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외국인이 자녀를 낳았어도 아동이 한국 국적을 취득하는 것이 금지돼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이주아동들이 태어나자마자 유령의 불법체류자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주아동들은 성장하면서 사회적으로 스스로도 이해할 수 없는 배제에 놓이게 되고, 정체성의 혼란을 겪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등록 이주아동들은 한국사회안에서 적응하고 성인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연구자는 이주아동들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느낀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