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조직구조(프로젝트조직, 매트릭스조직, 팀조직)

    목차

    (1) 프로젝트조직
    (2) 매트릭스조직
    (3) 팀조직
    (4) 네트워크조직
    (5) 공동관리조직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프로젝트조직

    프로젝트조직은 업무의 할당과 업적의 평가가 프로젝트관리자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프로젝트조직에 있어서 프로젝트관리자는 매트릭스조직의 프로젝트관리자에 비해서 의사결정권한이 더 많이 주어져 있으며 프로젝트 부문 내에서 종업원들의 의사소통이 더 원활하며 공식적인 권한의 폭도 넓은 편이다.

    (2) 매트릭스(Matrix)조직

    행렬조직이라고도 한다. 전통적 기능조직과 프로젝트 조직을 결합하여 구성원은 각자 기능부서에 속한 동시에 프로젝트조직에도 속하도록 구성한다.
    두 개 이상의 권한 계통이 중첩되는 이중 권한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능부서 상사와 프로젝트관리자 양쪽에 보고하고 지휘 관리를 받도록 하는 구조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기획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기획(Planning)이란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 결정하는 과정이다. 기획은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의 사건들에 대한 경로를 통제하려는 의식적인 시도로서, 예견, 체계적 사고, 조사, 그리고 가치 선호를 통해 대안들을 선택하는 의사결정’이다.
    사회복지 기획은 휴먼서비스와 관련해서 미래에 어떤 일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결정하는 과정이다.
    전략적 기획은 조직의 내 ㆍ 외부 환경 변화에 대처하는 목표를 세우고 달성하기 위한 미래의 행동 계획을 합리적으로 결정해가는 과정이다. 전략적 기획은 기관의 사명과 가치, 자원 할당을 통해 기관이 추구해 나갈 전략적인 방향 설정이다. 계획은 구체적인 사업에 대한 의사결정, 기획의 결과로 결정된 행동의 정적 개념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 의학용어

    목차

    없음

    본문내용

    abdominal circumference A.C 복위, 복부둘레
    abduction 외전
    abnormal 비정상의
    above elbow/below elbow AE/BE 팔꿈치 위/팔꿈치 아래
    above knee/below knee AK/BK 무릎 위/무릎 아래
    absolute bed rest ABR 절대 침상안정
    acute glomerulonephritis AGN 급성 사구체신염
    acute infectious disease AID 급성 감염성 질환
    acute renal failure ARF 급성 신부전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급성 호흡부전증
    acute respiratory failure ARF 급성 호흡부전
    acute subdural hematoma ASDH 급성 경막하 혈종
    advanced gastric cancer AGC 진행성 위암
    advanced pancreatitis ADP 진행성 췌장염
    after skin test AST 피부반응검사후
    agnosia 인지불능
    akinesia 운동불능
    alveolar part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 PACO2 폐포내 이산화탄소 분압
    ambulation Amb 운동, 이상
    aneurysm Am. 동맥류
    angiography Angi 혈관조영술
    antacid 제산제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전방십자인대
    anterior – posterial A.P 전후의
    aphasia 실어증
    arrest 정지
    arterial blood gases analysis ABGA 동맥혈 가스 분석
    arterial line A-line 동맥선

    출처 : 해피캠퍼스

  • [소뇌경색] 간호과정 CASE STUDY (A+보장)

    목차

    Ⅰ. 간호력
    Ⅱ. 문헌고찰
    Ⅲ. 간호과정

    본문내용

    정의
    소뇌경색(Cerebellar infarction)은 소뇌동맥에서 차단이 일어나게 되면서 뇌의 소뇌반구에 영향을 미친다. 혈류가 현저히 떨어지고 뇌의 한 부분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는 상태이다. 전체 뇌경색의 1.5~4.2%를 차지하며 비교적 드물다.

    병태생리
    소뇌경색은 소뇌동맥의 손상으로 인한 뇌조직의 허혈현상으로 뇌기능이 손상되는 것이다. 소뇌는 전체 뇌 용적의 10% 정도를 차지하는 중추신경계의 일부로 대뇌의 뒤쪽 아랫부분에 위치하며 무게는 150g 정도이다. 소뇌는 직접 자발적 운동을 일으키지는 않으나 뇌의 다른 부분이나 척수로부터 외부에 대한 감각정보를 받아 이를 처리, 구성, 통합하여 운동기능을 조절한다. 소뇌의 운동조절 기능은 조화롭고 정밀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소뇌가 손상되면 자발적 운동 자체가 불가능하지는 않으나 정교하고 세밀한 운동을 하는 것은 어렵다.

    종류
    소뇌에 분포된 혈관은 크게 세 가지로 상소뇌동맥(superior cerebellar artery, SCA), 전하소뇌동맥(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ICA) 및 후하소뇌동맥(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PICA)이 있다. 이들은 모두 뇌간의 특정 부위에 혈액 공급을 한 후 각각 그 이름에 따라 소뇌의 특정 부위에 대한 혈액 공급을 담당한다.

    상소뇌동맥경색에서는 상소뇌동맥의 침범 부위에 따라 증상의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전형적 상소뇌동맥 증후군(classic SCA syndrome)은 드물게 나타나는데 이는 상소뇌동맥의 뇌간부분이 막혔을 때이며 동측 겨냥장애, 동측 운동 장애, 동측 Horner씨 증후군, 반대측 통증과 온도 감각의 손실, 반대측 활차신경마비를 보인다. 문측 기저동맥 증후군(rostral basilar artery syndrome)은 문측 기저동맥이 막혔을 때로, 상소뇌동맥경색의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출처 : 해피캠퍼스

  • 감염, 급성통증 간호과정

    목차

    없음

    본문내용

    주호소(chief complaints) :
    주관적 자료
    “열이 나는 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 liver abscess 진단 받고 PCD insertion 시행함.
    · Pig tail catheter drain 유지중임.
    · 22.04.26 체온 38.1℃

    간호진단(1 순위): 카테터 삽입부위 배액관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목표(장기/단기)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의 징후나 증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로 정상 체온을 유지한다.

    간호계획(중재)
    [관찰]
    1. 대상자의 체온을 모니터한다.
    2. 드레싱 부위의 발적, 열감, 부종, 통증 증가를 사정한다.
    3. 튜브와 배액관의 안정성을 사정한다.
    4. 배액의 양, 양상을 관찰한다.
    [치료]
    1. 환자에게 접촉하기 전, 후에 손을 씻는다.
    2. 대상자에게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3. 드레싱 교환, 상처부위 관리, 튜브 배액관을 조작하거나 다룰 때에는 무균술을 사용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세계사를 바꾼 전염병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인상깊은 부분
    어느 요리사가 만든 음식을 매개로 총 22명의 손님이 감염병에 걸렸다. 해당 요리사는 보건 당국 검사를 수차례 거부했으나 끝내 무증상 감염자임이 밝혀졌다. 당국은 그를 격리 조치했다. 그러나 격리에서 풀려난 요리사는 감염 상태로 시내 조산원에 취직해 일하다 다시 적발됐다.
    다행히 이 요리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슈퍼 전파자’가 아니다. 메리 맬런(Mary Mallon)은 1907년 미국에서 확인된 첫 장티푸스 무증상 보균자였다. 당시 의학계 통설은 모든 장티푸스 환자가 구토·설사 등의 임상 증상을 보인다는 것이었으나 뉴욕주 보건 당국은 역학조사로 메리의 장티푸스 감염 사실을 확인해 3년간 병원 격리 시설에 감금했다. 그는 요리사로 일하지 않겠다고 서약하고 풀려난 후 별다른 기술이 없던 터라 가명으로 다시 조산원 요리사로 일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실습, 시나리오, 내과계중환자실 실습] 주진단 폐렴(pneumonia), 부진단 급성 약물중독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간호과정 2개(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 흡인의 위험)

    목차

    1. 시나리오 작성
    2. 간호과정

    본문내용

    * 경주동국대학교병원 내과계중환자실

    김OO 님은 평소 술과 담배 안하던 72세 남성으로, 8/2 12시부터 흉통 및 복부의 날카로운 양상의 통증 호소하며 구토 증상 있어 금일 20시 경 priority 1-1 집중적 치료 및 감시에 의하여 본원 ER통해 MICU에 입원하였다. 특정 식품 및 제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위험은 없다.
    신장은 173cm, 체중 75kg으로 BMI 25.06으로 과체중에 속하며 복부 팽만있으며 단단하게 촉진된다. 내원 당시 체온 36.5℃, 맥박 84회, 호흡 22회, BP 70/50mmHg이었다. 하늘하늘한 피부에 군데군데 양 팔다리 검붉은색 양상의 ecchymosis 보인다. both arm 및 leg에 deep wound 있어 foam dressing 적용 중이다.
    의식은 drowsy한 상태며 통증에 대한 반응은 있으나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며 지남력(사람, 장소, 시간) 없어 보호자(아들) 통해 초기간호정보를 조사하였다. 본원에서 pleural effusion 진단 받고 7/12~7/28 기간 동안 입원한 적 있으며, 약 3~4년 전 큰마디병원에서 허리협착증 및 전립선비대증을 진단받았다. pleural effusion, 허리협착증, 전립선비대증 self PO 있음.
    주진단명은 pneumonia, 부진단명은 급성약물중독, pericardial effusion, shock.
    MICU 이송 후, 부르는 소리에 눈 살짝 뜨며 쳐다보나 묻는 질문에 대답 못하고 어수선한 모습을 보인다. 헛구역질 및 트름 지속적으로 하며 토가 묻은 상의에서 페인트 냄새가 심하게 나 NGND insertion 도중 white한 양상으로 20cc vomiting하였다, 토물에서 페인트 냄새 강하게 나 L-tube 크린조 1L irrigation 시행 후 NGND 시작하였다. NGND white 양상 900cc 배액하여 Heuk powder 50g 3회 분복하여 feeding하기로 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장중첩증 케이스 스터디

    목차

    Ⅰ. 간호 사례 연구
    1. 간호사정
    2. 임상검사
    3. 기타 진단적 검사
    4. 투약

    Ⅱ. 간호 진단

    Ⅲ. 간호 계획

    Ⅳ. 간호수행 및 평가

    Ⅴ. 발달 및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대상자의 성장발달
    2. 문헌고찰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 해부학적 위치
    ■ 소장 Small Intestine
    ① 정의 및 위치
    위의 유문에서 시작하여 회맹판막에 이르는 음식의 소화와 관련된 기관으로 복강 가운데의 아랫부분에 위치한다. 소장의 실제 길이는 대장의 3배이지만, 큰창자보다 굵기가 작아 소장이라고 지칭한다. 소장은 장간막에 매달려 뱃속에서 구불구불 포개져 있다.
    ② 기능
    십이지장, 공장, 회장으로 구성되며, 위의 유문부에서 시작하여 공장과 연결된다. 십이지장 점막은 유미즙과 소화효소로부터 십이지장 벽을 보호하기 위해 호르몬과 점액을 분비한다. 장액을 분비하고 위에서 온 미즙과 담즙, 췌장액이 혼합된다. 또한 음식물의 소화를 완성하고, 주로 공장에서 흡수된다. 소장액은 십이지장에서 분비되며 약 알칼리성을 나타낸다.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소장운동을 억제하고 통증을 전달하거나 부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장의 긴장력과 운동성을 증가시킨다.

    ■ 대장 Large Intestine
    ① 정의 및 위치
    식물성 섬유의 소화와 수분을 흡수하여 대변을 만드는 곳으로 소장부터 항문까지를 말하며 복강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명장, 결장, 직장으로 나뉜다. 장기로 작은창자부터 항문관까지를 말하며 복강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화기계 장기이다.
    ② 기능
    식물성 섬유의 소화와 확산에 의해 수분을 흡수하여 대변을 만들어 배출을 완료한다. 또한 요소 전해질을 흡수 하고 Vit.B군과 K를 합성한다. 점액을 분비하여 대장벽을 보호하고 대변을 응집한다. 대장의 수축작용인 팽기현상에 의해 유미즙이 장벽에 접촉하고 흡수된다.

    1) 정의
    장의 일부분이 탈출해서 다른 장기 안으로 들어가거나 포개어 넣어질 때 장중첩증(창자겹침증, intussusception)이 발생한다. 영아기 동안 일어나는 장폐색이 가장 많은 원인 중 하나이며, 2,000명의 영아와 아동 중 1명이 발생하고, 약 65%가 1세 미만의 아동에게 일어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소세포폐암(SCLC) CASE STUDY 간호과정 3개

    목차

    Ⅰ. 사정 자료
    1. 일반정보
    2. 병력
    3. 질병기술
    4. 임상검사
    5. 영상의학 검사 및 조직검사
    6. 약물

    Ⅱ. 간호과정
    1. ~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2. ~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3. ~와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증상(Chief Complaints)
    입원시 주증상 : “항암하러 왔어요”
    현재 주증상: “항암하러 왔어요”

    ◉현병력(Present illness) :
    – 2021.12.27.에 EP를 처음 시작(EP #1)하고, 2022.01.27.에 EP #2 시행, 그리고 2022.02.28.에 EP #3을 위해 입원함
    – 입원 후 치료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수용적으로 잘 받아들이시는 모습을 보이시고 사례환자 선정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대답을 하심

    ◉과거병력(Past History) :
    – 2018.04. 하지정맥류 수술함
    – 2020.02. 오른쪽엽에 비소세포폐암, COPD 진단 후 RLLobectomy 시행함
    – 2020.03.17.~ 04.23. RLL area adj. RTx 시행함
    – 2021.12. F/U상 pulmonary meta 소견, Wedge resection of LLL VATS 시행함 (at SMC)
    → SqCC Dx 이후 추가치료 없이 경과 관찰함
    .
    .
    .
    2. 간호과정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골수억제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복합적 요인(약물 투여로 인한 피로와 빈혈, 이뇨제 투여로 인한 빈번한 화장실 이용, 보호자 부재, 환자와 연결된 장치)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미흡한 식이 섭취와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

    #간호진단1: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골수억제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주관적 자료]
    – “항암제 때문인진 모르겠는데 좀 피곤하네” (3/1)

    [객관적 자료]
    – Etoposide(EPS)와 Cisplatin에 의한 화학요법에 방사선요법을 병용하여 시행하는 동시항암방사선요법(CCRT)를 진행 중임 (2021.12.27. ~)
    – 진단혈액검사 결과 (2/28)
    ․ PDW 수치(8.1)가 정상범위(54~62%)보다 ▼
    ․ P-LCR 수치(9.3)가 정상범위(13-43%) 보다 ▼
    ․ Hb 수치(12.5)가 정상범위 (13.2~17.3g/dL)보다 ▼
    ․ Hct 수치(36.3)가 정상범위 (39~50%)보다 ▼
    ․ MPV 수치(8.0)가 정상범위(9.2~12.1 fL)보다 ▼
    ⇛ 골수의 조혈기능의 이상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 실습, 신생아] 뇌수막염(Meningitis)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간호과정 2개(고체온, 설사와 관련된 체액 부족의 위험)

    목차

    Ⅰ. 문헌고찰
    Ⅱ.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및 결과 해석
    Ⅲ. 대상자의 약물치료 현황
    Ⅳ. 대상자의 간호문제
    Ⅴ. 우선순위에 따른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Ⅵ. 간호과정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의
    뇌수막(meninx)이란 뇌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을 의미한다. 해부학적으로 뇌수막은 가장 깊은 곳에서 뇌를 감싸고 있는 연질막(pia mater), 연질막의 밖에서 뇌척수액공간을 포함하고 있는 거미막(arachnoid mater), 그리고 가장 두껍고 질기며 바깥쪽에서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있는 경질막(dura mater)으로 구성된다. 뇌수막은 척수로 연장되므로, 보다 정확하게는 뇌척수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뇌수막염은 일반적으로 거미막과 연질막 사이에 존재하는 거미막밑 공간(subarachnoid space, 거미막하공간)에 염증이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을 의미한다. 염증이 발생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거미막밑공간에 바이러스나 세균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수막염이지만, 특정 화학 물질에 의한 염증, 암세포의 뇌척수액공간으로의 파종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 등이 있을 수 있다. 보통 뇌수막염은 발열, 무기력, 정신 상태의 저하를 유발하지만, 이러한 증상은 소아에게서는 발견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뇌수막염의 가장 높은 발병률은 출생에서 2년 사이인데, 출생 직후와 생후 3~8개월에 가장 큰 위험이 있다. 감염에 대한 노출 증가와 출생 시 발생하는 근본적인 면역 체계 문제는 신생아의 뇌수막염 위험을 증가시킨다.

    2. 원인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의 주된 원인은 장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등)로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가 전체 원인의 85~95%를 차지한다. 엔테로바이러스 71형에 의한 뇌수막염은 특징적으로 수족구병을 동반하며, 에코바이러스에 의한 뇌수막염은 비특이적 발진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엔테로바이러스는 주로 늦봄에서 초가을(5월~9월) 사이에 유행하는데, 특히 뇌수막염은 초여름인 6월 말부터 급증해 7월에 최절정에 이른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