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Ⅰ. 사정 자료
1. 일반정보
2. 병력
3. 질병기술
4. 임상검사
5. 영상의학 검사 및 조직검사
6. 약물
Ⅱ. 간호과정
1. ~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2. ~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3. ~와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증상(Chief Complaints)
입원시 주증상 : “항암하러 왔어요”
현재 주증상: “항암하러 왔어요”
◉현병력(Present illness) :
– 2021.12.27.에 EP를 처음 시작(EP #1)하고, 2022.01.27.에 EP #2 시행, 그리고 2022.02.28.에 EP #3을 위해 입원함
– 입원 후 치료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수용적으로 잘 받아들이시는 모습을 보이시고 사례환자 선정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대답을 하심
◉과거병력(Past History) :
– 2018.04. 하지정맥류 수술함
– 2020.02. 오른쪽엽에 비소세포폐암, COPD 진단 후 RLLobectomy 시행함
– 2020.03.17.~ 04.23. RLL area adj. RTx 시행함
– 2021.12. F/U상 pulmonary meta 소견, Wedge resection of LLL VATS 시행함 (at SMC)
→ SqCC Dx 이후 추가치료 없이 경과 관찰함
.
.
.
2. 간호과정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골수억제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복합적 요인(약물 투여로 인한 피로와 빈혈, 이뇨제 투여로 인한 빈번한 화장실 이용, 보호자 부재, 환자와 연결된 장치)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미흡한 식이 섭취와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
#간호진단1: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골수억제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주관적 자료]
– “항암제 때문인진 모르겠는데 좀 피곤하네” (3/1)
[객관적 자료]
– Etoposide(EPS)와 Cisplatin에 의한 화학요법에 방사선요법을 병용하여 시행하는 동시항암방사선요법(CCRT)를 진행 중임 (2021.12.27. ~)
– 진단혈액검사 결과 (2/28)
․ PDW 수치(8.1)가 정상범위(54~62%)보다 ▼
․ P-LCR 수치(9.3)가 정상범위(13-43%) 보다 ▼
․ Hb 수치(12.5)가 정상범위 (13.2~17.3g/dL)보다 ▼
․ Hct 수치(36.3)가 정상범위 (39~50%)보다 ▼
․ MPV 수치(8.0)가 정상범위(9.2~12.1 fL)보다 ▼
⇛ 골수의 조혈기능의 이상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