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정신간호학실습 의사소통 보고서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의사소통 분석 일지

    상 황 : 이**(F/46)님은 최근에 결혼을 약속했던 남자친구가 다른 애인이 생겨 헤어지게 되어지게 된 뒤 MDD 진단을 받고 어제 입원을 한 뒤 입원 다음날 간호학생과 만나게 되었다.

    상호작용
    간호학생
    1. 저는 학생간호사 ***입니다. 환자분의 증상을 파악해서 알맞은 중재를 해드리기 위해 면담을 하려고 합니다. 면담은 약 7분 동안 진행될 예정입니다.
    2. 여기서 나누는 대화는 모두 비밀을 보장해드립니다. 하지만 자살과 같은 이야기는 저 혼자의 힘으로 도와드리기 어려워, 다른 의료진의 힘을 빌릴 수 있습니다.

    이론적 근거 및 분석
    정보제공(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함)

    간호학생
    1. 대화를 시작하기에 앞서, 호칭을 정하면 좋을 거 같아요. 혹시 원하시거나 생각나시는 호칭이 있으실까요?
    3. 네, 그럼 **님이라고 불러도 될까요?

    출처 : 해피캠퍼스

  • A+받은 정신간호학실습 CASE 양극성 장애_간호과정 2개

    목차

    1. 이 Case를 하는 목적
    2. 질환(양극성 장애)에 대한 문헌고찰
    3. 질환에 대한 치료
    4. 간호진단
    5. 간호과정
    6. 최종 평가
    7.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및 병태생리
    : 기분장애의 일종이다. 대표적인 감정적 장애 질환 중 하나로, 질병 특성상 기분이 비정상적으로 고양되는 것과 관련된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는 조증과 우울증이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되어 나타난다.
    (1) 생물학적 원인
    1) 유전학적 원인 : 유전자 연구 결과, 양극성 장애Ⅰ와 염색체 5, 11번, X 염색체와 연관되어 있다. 하지만, 유전자에 의해서만 질환의 발병이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환경 등과 같은 매우 다양한 요인들이 관련하고 이들이 서로 복잡한 방식으로 질환의 발현에 기여한다.
    2) 신경생물학적 원인 : 변연계의 생체 아민 신경전달물질 시스템의 기능장애로 수면이나 식욕, 각성, 성기능, 내분비 기능, 그리고 공포나 분노와 같은 감정 상태 조절에 영향을 미친다.
    3) 신경해부학 : CT 결과, 소뇌, 기저핵, 측두엽의 이상, MRI 소견에서 제3뇌실의 확장과 피질하 백질 및 측뇌실이 과도하게 확대, 뇌기능 영상검사에서 전 변연계의 변화소견, PET, SPECT 시 전두엽 기능저하와 측두엽에서의 이상.
    4) 신경내분비계 작용 :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 축의 과활성이 보고되었다.
    5) 일주기리듬 : 질환 자체가 가진 주기성 때문에 일주기리듬의 조절 이상이 조울증의 발생이나 임상양상과 관련성을 보일 것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6) 약물과 신체질환 : 다양한 약물과 신체질환으로도 조울증을 유발한다.
    (2) 정신사회적 원인
    1) 정신역동적 측면 : 프로이드는 조증이 우울장애와 핵심적 갈등은 동일하지만, 에너지가 외부로 방출된 것이라고 생각, 즉, 무의식적 대상의 상실로 인한 분노와 책망의 에너지가 외부로 방출된 것이라고 설명하다.
    2) 인지적 측면 : 부적응적 인지 패턴이 우울증을 야기, 즉 단극성 우울증에서와 같이 양극성 우울증 환자의 경우에도 자기 자신과 세상에 대한 부정적 관점을 갖게 된다.
    3) 환경적 스트레스 측면 : 처음 발병하기 직전에 스트레스를 야기하는 생활사건을 더 많이 경험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간호학실습 SP 시뮬레이션 디브리핑 보고서

    목차

    없음

    본문내용

    언어적, 비언어적 행위
    (비언어적 행위는 괄호 안에 작성)

    간호학생
    1. 안녕하세요. 이**님, 학생간호사 ***입니다. 어제 입원했다고 들었습니다. 어젯밤에 잠은 푹 주무셨나요?
    3. 혹시 어떤 것 때문에 잠을 푹 못 주무셨을까요?
    5. (끄덕이며) 아~ 생각이 많으셨구나. 생각이 많으면 진짜 잠 푹 자기 쉽지 않죠. 어 저같은 경우도 잡생각이 많으면 잠을 못 잘 때가 좀 잦아요.
    저희 병원에 활발한 활동 있는 프로그램이 많은데. 저는 활발한 행동할 때 도움이 되더라고요. 그래서 권해드리고 싶은데 생각해보시고 관심 있으시면 얘기해 주세요.

    대상자
    2. 아니요.
    4. 생각이 많아서 잠을 잘 못 잤어요.
    6. 네.

    평가 및 분석
    – 대상자는 어제 입원하였으므로 어제 병원에서의 환경은 괜찮은지 사정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받은 성인간호학실습 CASE 담낭암 GB Cancer_간호과정 2개

    목차

    1. 일반사항
    2. PBL
    3. 간호력
    4. 신체검사
    5. 진단검사
    6. 약물
    7. 간호진단, 간호과정
    8. Self Study
    9. 참고문헌

    본문내용

    #Section 2. PBL
    84세 남환 김OO은 고혈압 과거력 있고 GB cancer with biliary obstruction c liver metastasis, Rt. lung PTE, Lt. femoral DVT 진단받음. 5월 30일 복수 및 복통으로 인해 외래 통해 입원함. 5월 31일 복수 심하여 ascites tapping 두 차례 시행하였으나, 50mL 배액 된 후 더 이상 배액 되지 않음. 6/2~6/3까지 heparinization 시행함. 6월 2일 aPTT 29.9로 heparin fluid 2cc/hr로 증량함. 6월 3일 aPTT 41.0 나와 heparin 중단한 후 3시간 뒤, 정상수치 25.2로 돌아와 clexane 40mg SC함.
    2023년 6월 5일 (사정일)
    20:50 BT 38.0℃ 22:20 tylenol 투약함. 23:00 BT 39.0℃ 23:45 trisone 항생제 쓰기 위해 AST 한 결과, negative 나옴.
    2023년 6월 6일
    2:00 BT 38.4℃ 측정되어 ice pack 적용함. 5:00 BT 39℃ 14:00 39℃ 나와 acetphen 투약함. 17:00 37.6℃ 18:50 환자 보호자께서 “남편이 저녁식사 나온 것도 안 먹으려고 해요. 다음 날 아침에 복용할게요. 내일 아침만 금식 처리 해주세요.” 호소함. 아침 금식 처리 한 후, 환자와 보호자에게 식사 격려하도록 교육함. 20:00 BT 38.7℃, 섭취량 부족함. 환자 입맛 없다고 호소함. 20:30 acetphen 1g IV 투여함.
    2023년 6월 7일
    8:00 아침 식이량 확인함. (밥 1공기, 국 1공기, 찬 4종지), BT 38.9℃로 해열제 Acetphen 1g IVS로 투약함. 10:30 연명의료 자문팀이 연명의료계획 관련 환자와 상담함. 현재 환자의 의식상태 명료하며 심폐소생술이나 중환자실에 입실하여 기관내삽관이나 기관절개술, 인공호흡기 적용

    출처 : 해피캠퍼스

  • A받은 간호관리학실습 CASE_간호과정 1개

    목차

    없음

    본문내용

    간호진단: 미흡한 간호수행과 관련된 부적절한 질적 간호

    사정 날짜: 23.04.26~23.05.03
    평가날짜: 23.05.04

    객관적 근거
    -소독솜 개봉 시 날짜와 시간을 가끔 기입하지 않는 모습이 관찰됨
    -수액이나 알코올이 바닥에 떨어져도 닦지 않는 모습이 관찰됨
    -2022년 4분기 손위생 수행률 92.8%
    -2022년 전분기 욕창발생률 평균 4.51% (14/3103)
    -2022년 4분기 낙상발생률 1.61% (5/3103)
    -근접오류 일어남 ex) 같은 병실 타 환자에게 PO약 잘못 줌
    -때에 따라 환자 접촉 전 후로 손위생이 미흡함
    -약물 투약 전 환자 이중 확인 하지 않음
    -맨손으로 환자 드레싱 부위 만지는 것 관찰함
    -간호회의에서 투약오류, 정확한 환자 확인 미흡, 낙상 다발 지적 받음

    출처 : 해피캠퍼스

  • A+받은 아동간호학실습 CASE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 RDS_간호과정3개

    목차

    1. 질환 문헌고찰
    2. PBL
    3. 간호사정
    4. 임상검사
    5. 투약기록지
    6. 간호과정, 간호진단

    본문내용

    1. 정의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출생 직후 폐가 지속적으로 팽창하지 못하고 찌그러들어 출생 후 진행성 호흡부전이 생기는 병이다. 미숙아는 폐가 작고, 폐를 팽창하게 하는 물질인 폐 표면활성제의 생산과 분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 병이 발생할 위험성이 크다.

    2. 원인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미숙아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미숙아는 전신적으로 각 장기의 발달이 미숙하여 폐 발달도 미숙하기 때문이다.
    폐는 폐포라는 조그만 풍선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속으로 공기가 드나들면서 몸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고 몸속에서 만든 이산화탄소를 몸 밖으로 가스 교환하며 정상적인 몸의 호흡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미숙아는 폐가 아직 발달하지 않은 상태로 태어났기 때문에 폐포의 크기가 작다. 이 폐포가 공기로 차고 찌그러지지 않도록 하는 물질인 폐 표면활성제라는 것이 있어야만 풍선이 잘 늘어나서 폐포의 모양을 유지하고 호흡할 공간이 생긴다. 미숙아는 아직 폐 표면활성제를 충분히 만들어 내지 못하여 풍선인 폐포가 자꾸 찌그러지고 호흡할 공간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호흡 곤란이 심해져 이 병이 발생한다.

    3. 증상과 진단검사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환아는 출생 직후 호흡 곤란, 청색증, 함몰 가슴 등의 증상을 보인다. 호흡 곤란이 점차 심해져서 결국 인공호흡기의 도움을 받아야 될 정도로 진행될 수 있다.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병력, 아기의 진찰 소견, 특징적인 방사선 사진 소견, 혈액 검사, 위나 기관지에 들어 있는 양수를 이용한 검사 등으로 진단한다.
    ● 출산 전 진단
    – 출산 전에는 산모의 양수 검사를 통하여 태아의 폐 성숙도를 진단하게 된다. 폐 표면활성제의 주된 물질인 인지질의 비율 또는 개수를 측정하게 된다.
    ● 출생 후 진단
    – 흉부 엑스레이 촬영 : 사진 상에서 폐의 부피가 감소되어 보이고 폐포가 찌그러져 있으므로 폐가 뿌옇게 나타나면서 기관지의 구조가 보이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받은 성인간호학실습 CASE 대장암 Colon Cancer_간호과정 2개

    목차

    1. 일반사항
    2. PBL
    3. 간호력
    4. 신체검사
    5. 진단검사
    6. 약물
    7. 간호진단,계획,수행,평가
    8. Self study

    본문내용

    #Section 2. PBL
    58세 이OO은 여환으로 담낭제거술, 양측 고관절 치환술, 항암치료, 교모세포종 과거력, 입원력 및 수술력 있고 2022년 9월 건강검진 상 혈변 확인됨. 2022년 10월 7일 APCT, Chest CT, PET-CT, 내시경 결과 a-colon cancer 2기 (림프절, 원격전이 없음) 진단받고 10월 27일 Rt. hemicolectomy (laparoscopic with lymph node dissection) OP 위해 2022년 10월 25일 adm.
    2022년 10월 25일 (HD#1)
    15:30 입원함. V/S (122/77-84-18-37.1) stable 함. 18:00 Colyte powder 관장 약 PO하여 Bowel preparation 시행함. 이전에 IV line 때문에 고생하셔서 PICC insertion 하기로 함.
    2022년 10월 26일 (HD#2)
    8:00 수술 위해 NPO 시작함. 중심정맥도관 삽입술 동의서 확인함. 16:20 PICC 시술 (위치:Cubital fossa Rt.) 후로 Rt. PICC 유지 중이며, 개방성 양호하고 삽입부위 oozing, swelling 없음.
    2022년 10월 27일 (HD#3, 수술일) “사정일”
    6:00 V/S (122/70-79-18-36.3) stable 함. 7:20 수술 전 배뇨하도록 교육하고 확인함. 8:00~12:40 수술 Rt. hemicolectomy (laparoscopic with lymph node dissection) 진행함. 13:25 수술 후 회복실에서 회복하고 돌아옴. V/S 139/79-88-16-36.5로 stable함. JP drain, abd. binder, Antiembolism stocking, foley catheter 14Fr 2-way c urine meter, IV PCA 달고 옴. 수술 부위 NRS 7점으로 진통제 투여함 (Pethidine HCl 25mg, IVS). OP 부위 bleeding 없음.

    출처 : 해피캠퍼스

  • 뱀교상 – 응급 및 재해간호 실습 케이스스터디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기간 및 방법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나라에서는 5월~10월이 되면 본격적인 농사철 및 야외활동시기가 된다. 이때 논이나 밭에서 일을 하다가 또는 등산이나 잔디에서 야외활동을 하다가 교상(bite) 환자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인 교상(bite)은 비교적 양호한 경과를 보이지만 합병증이 발생하면 치명적일 수 있어 교상(bite)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합병증에 대하여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교상 발생 후 당황하거나 민간요법을 사용하며 질환이 더욱 악화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본 연구자는 교상(bite)의 정의와 종류, 합병증, 응급처치, 교상을 예방하는 방법, 치료방법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Ⅱ. 문헌고찰
    1) 정의
    우리나라에는 산지가 많아 흔하며, 주로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층에서 많이 발생한다. 발생 시기는 보통 4월 하순부터 10월 중순에 자주 호발된다.

    –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독사 4종류
    쇠살모사(27%)>살모사(23%)>까치살모사(10%)[나머지 40%는 환자들이 뱀을 구분하지 못함.]

    – 독사와 독사가 아닌 뱀과의 구분: 외형 차이를 통하여 구분
    관찰 경험이 적은 일반인의 경우 판단하기 쉽지 않다. 아울러 교상이 독사가 아닌 다른 파충류나 동물에 의한 경우도 있으므로, 육안으로 식별하지 못한다면 교상 후의 증상 및 징후를 통하여 임상적으로 판단한다.

    2) 병태생리
    뱀독에 대한 이해
    가. 뱀독이란?
    – 약리학적으로 활성화된 혼합체로 가장 복잡한 자연독소
    – 성분: 100여 가지 이상의 단백질(효소, 비효소성 폴리펩티드 독소, 비독성 단백 등), 금속 이온, 탄수화물, 핵산, 아민, 지질, 소량의 유리 아미노산)
    – 같은 속이라도 지역, 종, 계절, 뱀이 섭취하는 먹이에 따라서 뱀독의 성분과 비율이 다름. (독사의 독에는 Cytotoxin, Neurotoxins, Myotoxins, Hematoxin 그 외에 다양한 독이 섞여있다. 다양한 작용을 나타내며 서로 상승 작용을 일으켜 독성을 증가시킨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자립생활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정리하여 제시하시고, 장애인의 자립생활의 필요성은 무엇인지와 중증장애인의 자립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점과 지원되어야 할 방안은 무엇인지 개인의 견해를 담아 작성하세요.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자립생활의 개념
    2. 자립생활의 실천서비스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본론

    1. 자립생활의 개념

    자립(Independent)이란? 장애인이 아무런 도움 없이 모든 일을 혼자 스스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에게 필요한 원조와 지원을 받으면서 자신의 생활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주체적인 행위를 의미한다.
    협의의 의미에서 자립생활은 자립을 원하는 중증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원조하여 중증장애인의 자립을 지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의미하는 자립생활은 타인으로 부터의 완전한 독립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도움의 종류나 방법에 대해서 충분한 선택의 가능성을 가지고, 자신의 삶을 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광의의 자립생활 개념은 기존의 수직 하향적으로 제공되어 지는 장애인 프로그램에 대하여, 장애인 스스로가 자기개발 및 환경변화를 꾀하면서 사회변혁운동을 포함하고 있다.
    즉, 장애인의 자립생활이란, ‘장애인이 아무런 타인의 도움 없이 모든 일을 스스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이 의사결정과 일상생활을 영위함에 있어서 타인과의 의존을 최소화 하고, 스스로 납득 할 수 있는 선택의 가능성을 가지고서 자신의 삶을 통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노인간호학(성인간호)_뇌경색 CASESTUDY (간호과정 2개)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 정보
    2. 건강력
    3. 자료수집
    4. 간호과정 적용: 주요간호문제, 간호진단 등

    Ⅲ. 출처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정의
    뇌혈관이 막혀 혈류 공급이 차단되어 뇌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괴사되어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일과성 허혈발작은 뇌혈류 감소로 뇌 기능장애가 생겼지만 다시 혈액이 공급되어 괴사없이 뇌기
    능이 회복된 상태로 뇌경색과 일과성 허혈발작을 통틀어서 허혈성 뇌졸중이라고 한다.

    2. 병태생리
    뇌 세포는 산소와 당을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계속 혈류를 공급받는다. 뇌의 혈류가 감소하면 수분 내 뇌조직이 영구적으로 손상 되어 특정 동맥의 손상으로 혈관이 막혀 뇌기능이 손상된다. 이로 인해 뇌에
    무산소증, 저산소증, 저혈당증이 초래되어 침범된 신경원과 신경교세포 및 조직이 경색되거나 괴사된다.

    3. 원인
    혈전이 심장이나 굵은 뇌동맥에서 떨어져 나와서 말단부 뇌혈관을 막아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말단부 혈관이 아주 좁아진 경우 허혈성 뇌졸중이 생길 수 있다. 허혈성 뇌졸중의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으로 인해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죽상경화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뇌혈류가 차단된다.

    4. 증상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편측마비, 안면마비, 감각이상, 구음장애, 실인증, 연하장애, 정서적 불안 등이 흔히 발생한다.

    7. 합볍증
    세균감염, 욕창, 우울증, 성격변화, RSD(반사교감신경이상증), 경련, 골절, 인대손상 및 탈골

    Ⅱ. 간호과정 적용
    2. 건강력
    – 입원동기: 20년 전 뇌경색 진단, 2021년 11월경 다리에 힘이 없어 거동이 어려워졌으며 코로나 감염 이후 경구 섭취 부족, 전신 쇠약, 기침, 가래가 지속되어 도움이 되는 care를 위해 입원함
    1) C/C: 일반적인 약함
    2) P/I: 혼수 없음, 섬망 없음, 단기기억 이상(인식 기술 다소 손상), 대소변 가끔 실금
    3) 과거력
    – 20년 전 뇌경색으로 OO병원 입원 치료 후 신경과 약 처방 받음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