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기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본론

    1.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의 성격이론은 결정론적이며, 자유연상법으로 내용을 검토하거나 순서대로 생각하지 않은 채 긴장을 풀고 마음속에 가지고 있는 모든 생각을 떠오르는 대로 말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해서 무의식의 세계를 연구하여 성격이론을 수립하였다. 그는 신경계통을 전공한 의사로서, 신체적 이상은 정신적 갈등에서 비롯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히스테리적인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하여 무의식 속에 잠재된 생각이나 욕망을 밖으로 끌어내기 위한 방법으로 자유연상법이나 꿈의 해석 또는 아동기 때의 경험이나 가족과의 관계분석이라는 기법을 개발하여 치료하였다. 프로이드는 카타르시스란 마음을 괴롭히는 느낌이나 충동 등을 언어를 통해서 표현케 함으로써 불안, 긴장, 또는 기타의 증상을 해소하는 치료방법을 연구한 브루너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내과병동 케이스스터디, HCC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름
    이 ○ ○
    성별/나이
    M/51
    입원날짜
    14년 2월 8일
    입원경로
    외래
    진단명
    HCC 간세포암
    (hepatocellular carcinoma)
    환자사정일
    15년 2월 23일
    수술명

    수술일(외과시)

    입원동기
    20년전 HBV, PNLC 진단 받으심 (B형 간염 진행 HBV→LC→HCC)
    20년전 HCC 진단 결과, PNLC 환자로 진단 받고 14년 HCC 진단 후 TACE&RTx 하시고 14년 11월 17일 RFA 시행
    local tumor progression 확인 15년 2월 9일 RFA 시행 후 추가시술위해 입원
    과거병력
    20년 전 HBV, PNLC 진단 받으심
    고혈압 : 무
    수술 : 무
    당뇨 : 무
    결핵 : 무

    (외부)
    자가 투약
    Lamina- G : 소화성 궤양 용제
    Almeron Cap : 소화성 궤양 용제
    Gasmotin : 소화성 궤양
    Pamdial : 소화(구역, 구토등 증상치료)
    Viread : HIV 감염 B형 간염

    진단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간세포암
    정의
    간에서 발생하는 상피성 악성종양
    증상
    – 간이 있는 오른쪽 윗배에 덩어리가 만져질 수 있음
    – 간암이 빠르게 커질 때 같은 부위에 통증 발생할 수 있음
    – 황달, 식욕부진, 체중감소, 피로감, 권태감

    * hepatitisB virus HBV B형간염 : 혈액 중에 B형 간염 항원이나 간염바이러스가 있으면 감염으로 진단

    출처 : 해피캠퍼스

  • 사회복지실천과 사회복지실천기술의 다른 점은 무엇인지 서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복지 실천의 정의
    2. 사회복지 실천 기술의 정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최근 사회복지사가 공공기관,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시설, 병원, 상담기관, 정신보건센터, 학교 등 많은 장면에서 활동하게 된으로서 사회복지실천 영역이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다.
    사회복지학은 인간의 사회적 생존을 어떤 측면에서 연구하는 인간학이다. 사회복지를 인간의 사회생활문제를 해결하고 생존을 발전시키는 실천이라든가, 사회복지학은 실천학문이라고 말한다. 사회복지가 어떻게 실천이고 사회복지학이 실천학문인지 그 이치와 법칙에 대한 확실한 규명이 없다. 어떻게 하여 사회복지는 실천과 실천학문이어야 하는지 그 이유를 명백히 규명해야 한다. 그 존재이유에 대해 확실한 논리와 실증은 아직 보완되어야 할 영역이지만 사회복지학이 인간학과 생활학으로서 존재하며 더욱더 인간의 삶에 대한 발전과 사회문제의 해결에 기여하고 있는 것만은 사실이다.
    사회복지실천은 다양한 상황에 있는 각 계층의 사람들에게 원조서비스를 제공하는 흥미롭고 도전적인 전문직이다. 도움이 필요해서 사회복지사를 찾게 되는 클라이언트의 문제와 욕구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특성을 기술할 수 있는 명확한 객관적 기준을 제시할 수 없다.
    클라이언트는 위기 문제 의심 회의 어려움 좌절 또는 걱정 등을 가진 문제 상황에서 원조를 필요로 하게 된다. 대게 문제라고 명명되는 문제는 수학적인 정확한 의미에서의 문제가 아니다. 클라이언트가 제대로 대처하기 어려운 클라이언트의 생활 속에 있는 복합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문제라기 보다는 문제 상황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 체액과전해질

    목차

    1. 체액 – 전해질 균형
    2. 체액-전해질 불균형

    본문내용

    1. 체액과 전해질 생리
    1)체액
    – 생명 유지에 기본적인 요소이며 세포의 형태를 유지하거나 구성요소가 되고 생리기능을 주관함
    – 세포내외로 물질을 이동의 수단
    – 체내의 화학반응을 일으킴
    – 체온조절을 한다.
    – 산소와 영양분, 체내의 불필요한 노폐물 배설
    – 노폐물 배설 운반작용

    ● 비율 : 성별, 나이, 체지방의 양에 따라 변화
    연령이 많아지면서 비율이 감소함
    – 신생아 : 체중의 거의 3/4
    – 성인 : 60%
    – 노인 : 45~50%

    체액 – 세포 내액 : 총 체액량의 2/3
    – 세포 외액 : 총 체액량의 1/3
    체중의 수분이 60% 이라면 그 중 40%는 세포 내액, 20% 세포 외액

    ● 구성
    1. 세포내액 – 세포의 내부에 위치, 모든 세포내 성분들이 녹아 있는 액체
    주요 양이온 – 고농도의 k⁺, Mg²⁺
    주요 음이온 – HPO₄², 단백질,ATP,ADP,AMP같은 유기인산들

    2. 세포외액 – 세포 외부에 존재하는 수분으로 세포에 필요한 수분, 전해질, 영양소, 산소를
    공급하고 대사결과 생긴 노폐물은 제거하는 운반기능을 담당
    세포외액 – 간질액 : 전체 세포 외액의 3/4
    – 혈장액 : 전체 세포 외액의 1/4
    주요 양이온 : 고농도의 Na⁺
    주요 음이온 : CI‐,HCO₃‐

    2)전해질: 물과 같은 용매에 넣었을 때 이온으로 해리되어 전기를 띄는 물질, 모든 체액은 전해질을 포함, 양이온, 음이온으로 구분
    Cf)비전해질 : 글루코스나 요소는 분리되지 않고 전기적인 힘 없음

    ● 전해질양 표시법
    1L당 mEq로 표시 : mEq/L
    100ml당 mg으로 표시 : mg/dl

    ● 기능
    1. 신경:근육의 흥분성을 증가
    2. 체액량,삼투질 농도 유지
    3. 체액구간에 체액을 분배시킴
    4. 산-염기 균형 조절

    출처 : 해피캠퍼스

  • A+받은 성인간호학실습 CASE 편마비 hemiplegia_간호과정1개

    목차

    1. 일반사항
    2. PBL
    3. 간호력
    4. 신체검사
    5. 진단검사
    6. 약물
    7. 간호진단, 간호과정
    8. Self study
    9. 참고문헌

    본문내용

    #Section 2. PBL
    67세 김OO은 남환으로 방광 암 과거력으로 transurethral resection 수술력 있음. 2022년 04월 08일 창고 고치던 중 말이 어눌해지면서 하지에 힘이 빠지는 증상 있었음. 경과 관찰 중, 구음장애 심해지는 소견 보여 2022년 04월 15일 OO병원에서 우측 중뇌 경색증 및 후대뇌동맥 협착 소견으로 OO병원으로 전원 되어 항응고제 치료하면서 퇴원 후 경증의 구음장애 상태를 유지함. 2022년 07월 10일 기상 후 Lt side weakness 있어 OO병원 응급실에 내원하여 시행한 MRI 검사에서 Rt BG infarction & M1 stenosis 확인 되어 입원 치료 시행함. 2022년 08월 16일 OO병원 전원됨. 2022년 09월 29일 포괄적 재활 치료 위해 본원 adm.
    2022년 9월 29일 (입원일)
    13:32 W/C 타고 입원함. V/S (114/79-91-18-36.3) 정상임. Dysarthria, Dysphagia, Lt. facial weakness, Depressive mood, nocturia 있으며, K-MMSE~2 27/30점으로 정상임. MBI 35/100점, FAC 2점으로 도움이 필요한 수준임. Chest CT 결과, pleural effusion 소견 있어 11/16 아산병원 외진 갈 때 f/u 후 thoracentesis 고려해보기로 함.
    2022년 10월 7일
    보호자 잠시 배선실 간 사이 병실 내 벽에 위치한 공용 전화기 받다가 균형 잃고 벽 잡으며 스르륵 바닥에 주저앉듯 낙상함. V/S 132/83-72-18-36.2 SpO2 98%로 정상임.
    2022년 10월 25일
    발 끌리는 것이 여전하다고 호소하며, 3보 보행 시 한 번씩 foot drop 나타나 post stroke fatigue 의심 되어 fatigue severity scale 평가 진행했으나, 37점으로 괜찮아 12월에 다시 f/u 하기로 함.

    출처 : 해피캠퍼스

  • A+ 정신건강간호학_조현병 CASESTUDY (간호과정 2개)

    목차

    1. 문헌고찰

    2. 사례연구 보고서
    2-1. 기초사정
    2-2. 간호진단
    2-3. 간호과정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정의
    조현병은 심한 생물학적 부적응적 반응으로 주요 뇌 기능인 인지, 지각, 감정, 행동, 사회적 활동이나 대인관계 등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정신질환으로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와해된 행동, 정서적 둔마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고,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이다. 일부 환자의 경우 예후가 좋지 않고 만성적인 경과를 보여 환자나 가족들에게 상당한 고통을 주지만, 최근 약물 요법을 포함한 치료법에 뚜렷한 발전이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에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질환이다.

    2. 발병률
    조현병은 10 대 후반에서 20 대의 나이에 시작하여 만성적 경과를 보이며 100 명 중 1 명이 걸리는 흔한 질환이다. 모든 계층의 사람이 걸릴 수 있으며 남녀의 발병 빈도는 비슷하다.

    <중 략>

    간호진단
    1 자존감 저하와 관련된 사회적 고립
    2 망상과 관련된 불안정한 정서 조절

    출처 : 해피캠퍼스

  • 오순절신학의 종말론에 관하여

    목차

    오순절신학의 종말론의 특징
    □ 성령론과 종말론의 상관관계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 오순절의 종말론적 특징 세 가지
    □ 오순절 신학의 종말론의 특징에 대한 결론

    본문내용

    □ 성령론과 종말론의 상관관계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1. 역사를 돌이켜 볼 때 성령의 운동이 강하게 일어난 곳에 종말에 대한 인식도 그에 따라 증가한다. – 도날드 데이턴
    2. 교회에 하나님의 성령 안에서의 보다 능력 있는 삶이 있으면 있을수록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보다 긴박한 기대가 있다. 따라서 종말에 대한 기대가 사라진다는 것은 성령세례나 성령의 사역에 대한 열망이나 경험이 축소되어짐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 에밀 브루너

    □ 오순절의 종말론적 특징 세 가지

    1. 임박한 종말인식 (임박한 재림론, 하나님의 나라)
    1) 최초의 오순절주의에서 보이는 주요 관심은 ‘성령세례’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재림’이다.
    2) 오순절운동의 주요한 추진력은 종말론적 기대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인지발달모델의 기본 개념과 인지발달단계를 간략히 설명하고, 본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단계는 무엇인지, 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서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인지발달모델의 기본개념
    2. 인지발달단계

    Ⅲ. 결론: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단계와 그 이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본론

    인지발달 이론은 스위스의 저명한 심리학자 장 피아제가 제기한 것으로 20세기 발달심리학에서 가장 권위있는 이론으로 인정받고 있다. 피아제는 인지발달은 일종의 구조적인 과정으로 개체와 환경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속에서 실현된다고 주장한다.

    1. 인지발달모델의 기본개념

    인지구조는 모든 연령대의 어린이들이 객관적인 세계를 이해하는 기초이자 전제이다. 피아제는 모든 인지구조를 심리적 발생의 최종적 산물로 보고 있으며 심리적 발생은 비교적 단순한 저급구조에서 보다 복잡하고 보다 고급적인 구조로 이행하는 과정이다. 피아제의 인지 발달 구조는 도식, 동화, 순응과 평행 네 가지 기본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도식은 사람들이 사물을 인식하는 기초이다. 사람들은 조직내의 지식과 인지구조를 저장하여 새로운 사물을 인식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동작을 한다.
    동화는 어린이 개체가 외부 환경에 적응하는 기능 중 하나이다. 어린이의 외부 자극을 이해하는 과정을 말하며 이 과정은 양적 변화이다.
    순응은 동화와는 달리 도식의 질적 변화이고 어린이 개체가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이다.
    평형은 어린이의 지혜로운 행위는 부단이 안정→불안정→안정 이라는 하나의 평형의 과정으로 평형동화와 순응의 과정으로 여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미생물

    목차

    1. 장침습성 장염
    2. 병원성대장균
    3. 리케치아 감염 질환
    4. 파상풍(Tetanus, Lockjaw)
    5. 가스괴저(gas gangrene)

    본문내용

    1) 정의
    – 장침습성대장균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 오염된 음식, 물 섭취 통해 감염 1~3일의 잠복기 후 발열, 복통, 구토, 수양성 설사 증상- 약 10%에서는 혈성 설사도 나타남
    – 위장관염 증상은 보통 7일 이내 소실
    – 진단 감염된 환자의 대변에서 장침습성대장균 검출을 통하여 확진

    2) 원인균
    – Gram 음성의 간균이며 주모성 편모가 있어서 운동성이 있으나, 편모가 없고 비운동성인 것도 있음
    – Lactose, Fructose를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생성하는 호기성 또는 통성 혐기성균
    – 발육 가능한 온도는 7~48℃, 최적온도는 35~37℃, 발육 가능한 pH 범위는 4.5~9.0
    -이질균과 같은 병원성을 가진 대장균으로 감염되었을 경우 대장의 점막상피세포 내로 침 입하여 증식하고 점막을 괴사시켜 궤양을 형성하는 대장균으로 세균성이질과 같은 침습성 인자 (inv)로 진단
    – 장침습성 대장균의 원인이 되는 종류는 혈청형 O28, O112, O124, O136, O143, O144, O152, O164, O167 등이다.

    3) 전파 경로
    -햄, 치즈, 소시지, 크로켓, 채소 샐러드, 구운 소고기, 분유, 도시락, 두부, 소간 등
    – 유아에서는 오염된 우유의 섭취가 원인이 될 수도 있음
    – 그리고 물을 통한 집단 식중독의 발생도 가능

    4) 침습성 장염의 특징
    – 대부분 소아에서 발생, 하지만 전 연령에서 발생 가능
    – 여름에 주로 발생
    – 동성연애자, 에이즈환자는 감염가능성 높다
    – 배낭 여행시 설사의 원인

    5) 증상
    – 유아에게는 증상이 심하나 성인의 경우에는 급성장염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 이질과 비슷한 증상을 일으킴. 장관침입성대장균(EIEC)는 장상피 세포에 침입하고, 점막 과 점막하 조직에서 증식하는 능력이 있음
    – O항원은 이질균과 항원교차성을 나타낸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사회복지법의 형성과정과 사회복지법이 본인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서 과제를 작성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족기능의 변화
    2. 자본주의사회 출현에 따른 사회문제 발생과 사회복지법 형성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본론

    1. 가족기능의 변화

    가족의 기능은 경제적 기능, 성적 및 재생산적 기능, 자녀양육기능 및 사회화 기능, 가족여가의 기능 등이 있다.
    경제적 기능은 산업화로 인하여 가족과 일터가 공간적으로 분리됨에 따라 변화가 일어났고, 농경사회에서 가족이 수행하던 생산기능은 약화 또는 상실되고 소비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주부양자의 직업 및 소득수준에 의하여 전체 가족원의 생활기회 또는 생활양삭이 결정됨을 의미하고 있다. 실업률이 낮아지면서 가계소득이 안정되기도 했지만, 반면 그들의 취업은 경기변동에 더 큰 영향을 받게 됨으로써 직업의 안정성은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실업은 일차적으로 가족의 소득중단 혹은 소득감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족 경제적인 측면에서 심각성을 가지며, 결과적으로 가족위기가 유발되고 있다.
    성적 및 재생산적 기능의 변화는 현대사회에서도 가족은 정상적인 규범하에서 성적 욕구 외 종족유지의 본능을 가능케 하는 장소로서의 기능을 하였다. 그러나 임신 및 출산의 자유, 다양한 피임법의 개발 및 보급으로 성에 대한 규범 및 가치관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