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인적자원관리 A+]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대하여 논하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노동시장의 정의
    2)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변화
    3) 미래 노동시장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전에 근거한 노동의 의의는 인간이 생계에 요구되는 물건이나 재료를 갖기 위해 육체적인 또는 정신적인 노력을 하게 되는 행위로 다소 포괄적인 개념이다. 이는 인간이 살아남고 삶을 꾸려나가는 데 요구되는 물자들을 얻어내는 행위를 통칭한다. 생산하는 형식이 달라짐에 따라 인간의 노동은 원시 집단 사회의 사냥 및 채집 노동에서 출발해 고대사회의 노예제도와 중세사회의 봉건제도 노동을 벗어나 현대사회의 자본주의 노동까지 오게 되었으며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나타난 노동은 21세기에서도 전 세계 많은 나라에서 일반적인 노동의 모습으로 자리 잡았다. 본문에서는 노동시장의 정의와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변화 더 나아가 미래의 노동시장에 대해 서술해 보도록 하겠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시티어의 의사소통 유형을 간단하게 지시하고 본인이 스트레스 받거나 갈등상황에서 자신을 방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의사소통 유형을 제시하고 구체적으로 자신의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2. 의사소통 유형의 사례
    3. 의사소통 변화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본론

    1.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사티어는 대인관계에서의 대처 방법 연구를 통해 자아존중의 3대 요소를 ‘자신’, ‘타인’, ‘상황’으로 규정하고, 의사소통 시 이 세 요소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의사소통 유형을 ‘일치형’, ‘회유형’, ‘비난형’, ‘초이성형’, ‘산만형’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사티어는 세 요소 중 어느 하나라도 온전히 존중받지 못하면 역기능적인 의사소통 유형이라고 보았다. 여기서 ‘자신’은 스스로에 대한 애착∙사랑∙신뢰를 통해 갖게 되는 가치와 자신의 유일성을 의미한다. ‘타인’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형성되어 다른 사람에 대해 느끼는 것, 다른 사람과의 동질성과 이질성, 그리고 상호작용 등을 의미하며, ‘상황’은 주어진 여건과 맥락∙환경을 뜻한다.
    일치형(Leveling)은 ‘자신’, ‘타인’, ‘상황’을 모두 존중하는 의사소통 유형으로, 소통의 내용과 내면의 감정이 일치한다.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정확하고 적절하게 표현할 줄 알며, 심리적으로 안정된 유형이다. 자신의 감정과 생각, 기대, 자신이 원하는 것과 원하지 않는 것에 대한 표현이 정직하고 개방적이다. 사티어는 다섯 가지 유형 중 ‘일치형’만이 ‘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이라고 보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심리학개론 A+] 5주 1차시에서 기억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수업에서 배운 내용과 특히 '기억향상법'을 고려하여 본인의 생활 속에서 기억력 향상을 위해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나 혹은 교재에 제시된 기억향상법을 실제 자신의 생활에 적용해 본 다음 그 결과를 3가지 이상 기술하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기억력의 정의
    2) 기억을 높이기 위한 방법 및 적용 결과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내가 스마트폰을 어디에 뒀더라?” 가끔 또는 빈번히 우리가 스스로에게 묻는 말이다. 자주 사용하는 스마트폰이건만, 어디에 뒀는지 알 수 없어 자신을 책망하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다. 때로는 통화를 하면서 스마트폰을 찾고 있거나 자동차 열쇠를 잃어버리는 등 누구나 경험하는 기억력 감퇴는 동시에 여러 가지 일들을 기억해야 하는데 비교적 기억 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인간의 기억은 무한하지 않고 노화로 인해서 발생하는 아주 당연한 현상이며 나이가 들수록 기억력 감퇴 증상을 완전하게 피하기란 쉽지 않다. 약 16~18세까지 인간의 뇌세포는 기능을 발휘하고 발달하게 되며, 그 이후부터는 진보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가 기억력 저하를 겪기 시작하는데 특히 30대 이후부터는 이 때문에 일시적인 건망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노화의 원인 뿐만 아니라 컴퓨터나 스마트폰 없이는 한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는 요즘 세대의 젊은이들 또한 건망증으로 괴로워한다. 디지털 기기에 일정 수준 이상으로 의지하면서 기억력이 급격히 하락한 상태를 말하는‘디지털 치매’라는 새로운 단어가 나타날 정도이다. 이용하지 않는 뇌는 퇴보하기 마련이며 학문이나 기술을 배우고 잘 익히기 위해서, 사람을 대하고 사귀는 일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선, 조금 더 좋거나 앞서 있는 삶을 위해서도 기억력은 틀림없이 꼭 필요하다. 이에 본문에서는 건망증을 완화 시키고 퇴보하는 기억력을 높이는 방법을 소개하고 본인이 적용한 기억향상법의 결과에 대해서 서술해 보도록 하겠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쇼크환자 간호(종류, 방법 등)

    목차

    쇼크 환자 간호
    1. 쇼크의 단계
    1) 보상단계
    2) 보상 부전 단계
    3) 비가역적단계

    2. 쇼크의 종큐
    1) 저혈량성
    – 출혈성 쇼크
    – 체액손실로 인한 쇼크
    2) 심장성 쇼크
    – 패혈성 쇼크
    – 신경성 쇼크
    – 아나필락틱 쇼크
    3) 병태생리
    – 호흡기계
    – 심혈기계
    – 신경, 내분비계 변화
    – 소화기계
    – 콩팥계
    4) 일반적 증상
    5) 약물 요법
    6) 치료
    – 에크모ECMO
    – 대동맥내 풍선펌프 IABP
    – 체위
    – 체온조절
    – 간호: 비침습적 사정, 침습적 사정

    본문내용

    쇼크는 원인이나 임상증상에 따라 저혈량성(Hypovolemic), 심장성(CArdiogenic), 분배성(distributive)로 분류된다.

    ① 쇼크의 단계
    쇼크의 단계는 보상, 보상부전, 비가역 세가지로 나뉘게된다.

    (1) 보상단계
    시작은 대동맥동과 경동맥동에 있는 압력수용기가 MAP보다 지속적으로 10mmHg 하강했을때이다. 심박출량의 저하로 모세혈관으로 가는 혈액순환이 저하되면 혈액의 정수압이 저하된다. 정수압이 주변조직보다 낮아지면 체액은 압력이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흐르므로 전신순환량은 증가된다. 심박출량이 감소되면 교감신경 자극으로 혈압이 유지된다. 따라서 초기단계에는 심박출량이 많이 저하되더라도 혈압은 정상으로 유지된다.

    <중 략>

    ⓐ 패혈성 쇼크: 세균감염으로 세균에서 유리된 내독소의 작용에 의해 전신 혈관이 확장, 혈압 저하 발생, 산소부족, 심박출량 감소로 쇼크가 발생됨. 원인균으로 그람음선균,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이 있으며 환자의 영양실조, 면역억제, 광범위한 개방상처, 위장관계 병변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음.
    – 초기에는 보상작용에 의한심박출량 증가로 과도한 혈관이완으로 건조하고 따뜻한 피부, 홍조를 띰(Early shock), 쇼크 진행 시 심근억제인자 유리, 정맥귀환향이 감소되어 피부창백, 차고 축축하며 얼룩덜룩해짐(Late shock)인 나타나는데 체온이 저하되고 폐에서 악설음, 천명음이 청진되며 2차적으로 폐울혈이 나타남.

    출처 : 해피캠퍼스

  • A+받은 아동간호학실습 CASE 폐렴 pneumonia_간호과정 3개

    목차

    1. 질환 문헌고찰
    – 폐렴
    – 중이염
    2. PBL
    3. 간호사정
    4. 임상검사
    5. 투약기록지
    6. 간호진단, 간호과정

    본문내용

    성** 환아는 3년 4개월, Ht : 95.9cm, Wt : 15.11kg의 여환으로 내원 2주 이상 전부터 로컬에서 부비동염과 중이염 치료 중으로 중간에 치료 거부와 약을 안 먹으려는 행동을 보여 다시 입원 치료하기 위해 2019년 10월 29일 입원하였다. 예방접종은 DTP 추가 5차, 소아마비 추가 4차, 폐렴구균 추가 4차, MMR 2차, 수두 1차, 일본뇌염, BCG, 독감까지 마쳤다. 2018년 7월 위장염과 결장염의 과거력이 있었다. 하루 수면 시간은 평균 10시간 정도 자고 특별한 수면 장애는 없다. 배뇨는 하루 6회 정도 보고, 배변은 하루 1회 정도 실시한다. 통증은 귀를 만지고 귀를 문지르고 아프다고 하는 귀의 통증으로 NRS 2점이었다. 기침, 객담, 콧물 등 호흡기 질환이 있고 이 외에는 다 정상으로 양호하다. 의식 상태는 Alert하고 4세로 의사소통, 친구관계에도 문제가 없다.

    <중 략>

    <종합의의>
    Lymphocytes 증가, CRP 증가, Mycoplasma Pneumonia IgM positive, PNS water’s view 검사 상 sinus 혼탁으로 sinusitis, Mycoplasma성 폐렴임을 알 수 있다.
    폐렴임에도 불구하고 WBC가 정상 범주인 이유는 외래에서 약물치료(메이액트시럽-항생제)를 해왔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으며 간 기능을 알 수 있는 Urobilirinogen 증가, ALP 증가의 이유 또한 외래에서 약물치료를 해왔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경상대학교 전쟁과 질병 독후감

    목차

    없음

    본문내용

    코로나가 몇 년 동안 지속이 되면서 세계적으로 많은 감염자와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코로나 이전에도 신종플루나 메르스와 같은 전염병이 유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들은 적이 있지만, 태어난 이후로 나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 전 세계에 어마어마한 영향을 준 전염병은 처음이다. 코로나를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약과 백신이 개발 되고 있다. 현재뿐만 아니라 과거에도 인류의 생존에 치명상을 가한 전염병인 말라리아, 흑사병, 콜레라 등을 치료하기 위해 약을 개발 하였다는 사실을 수업을 통해 알게 되었고, 이러한 전염병들이 현재의 상황과 비슷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약의 개발과 약의 이용에 대해 관심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이에 관련한 여러 지식을 쌓고자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 의사소통 사례 보고서

    목차

    없음

    본문내용

    상황 : 내일 퇴원인 환자분의 주사를 빼주려고 하는 상황에 주사가 더 필요한지, 빼고 자는 것이 편한지 진통제가 더 필요할 것 같은지 세심하게 살펴보고 물어봐주었다. 또한, 그 외에 환자분이 전에 잠깐 스쳐지나가듯 말했던 것을 기억하고 이제 괜찮은지 상황을 확인해주고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도 걱정과 따뜻함을 전달해주는 상황이다.
    상호작용
    간호사
    내일 퇴원이라서 주사를 빼드릴거예요. 혹시 진통제가 필요할 정도로 아프시진 않으시죠?
    대상사
    네네.
    이론적 근거 및 분석
    ⦁관심 기울이기
    대상자를 향해서 앉아 눈을 맞추었다.
    ⦁인도
    말을 이끌어 가서 보다 자유롭게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경영학개론 A+] 목표관리란 무엇이며, 목표관리의 장단점을 설명하고, 일상생활에서 이를 어떻게 응용할 수 있는지 본인의 의견을 제시하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경쟁
    2) 경쟁우위 분석 단계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머서의 성과관리 실태 조사를 보면, 물음에 답한 세계적인 사업체의 64%가 기업의 목표 및 책략과의 관련성을 보강하는 방향으로 성과관리를 개정할 생각이라고 응하여 답할 정도로 성과관리에 있어 목표를 수립, 배열하고 맡아 처리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볼 수 있고 목표관리가 성과관리의 트렌드처럼 인정되고 있다. 근대적 경영이론이 적용되기 이전에는 일방적으로 관리자에 의해 구성원이 성취해야 하는 목표나 세밀한 계획이 정해지고 통제에 의한 관리의 성격을 띄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구성원들의 능동적인 행동, 개인적인 역량을 구속했으며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약하게 만드는 근원적인 문제가 발생 되었고 이후에 개개인의 능동적 목표설정과 관리를 내놓은 목표관리(MBO)가 생겨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즉 목표관리는 구성원의 참여 과정을 통하여 분명하고 짜임새 있게 집단의 목표를 수립하고 다룸으로써 관리의 능률성을 높이려는 형식을 의미하며, 요즘에는 단순히 업적을 평가하거나 계획을 만드는 것이 아닌 집단의 목표와 통제시스템, 그리고 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개개인의 목표를 통일하려는 통합적 이론으로 나아가고 있는 중이다. 이에 본문에서는 목표관리가 무엇인지, 목표관리의 장·단점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이것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내 생각을 자세히 서술해보도록 하겠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칭찬 받은 성인간호학실습 CASE Crushing injury of ankle_간호과정 1개

    목차

    1. 일반사항
    2. PBL
    3. 간호력
    4. 신체검사
    5. 진단검사
    6. 약물
    7. 간호진단, 간호과정
    8. Self Study
    9. 참고문헌

    본문내용

    57세 안OO은 남환으로 고혈압 과거력 있고 2022년 6월 6일 16:40경 오토바이 운전자로 주행 중 차선 변경하는 소형차와 부딪히며 C.C 생겨 OOOO병원에서 abrasion Dx, Lt. ankle wound irrigation 후 Lt. ankle은 deep laceration으로 입원 후 수술실에서 봉합 필요하다는 이야기 듣고 연고지 관계로 Crushing injury of ankle 진단 받으며 본원 응급실 통해 adm.

    <중 략>

    2022년 06월 07일 화 (HD2, 수술일) “사정일”
    07:00 Lt. forearm, Rt. elbow site abrasion allevyn dressing 함. 09:00 (Lt) Ankle 3D CT 결과, Calcific bursitis, focal laceration과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거골 골연골병변 R/O남. (Lt) Ankle MRI 결과, focal laceration, 외상성 연조직 edema, calcification, achilles tendinopathy, OLT lesion R/O남. 16:00 Primary closure of laceration OP 후 V/S (100/60-60-20-36.3) 정상이고 통증 호소하여 측정하니, NRS 3점으로 측정되어 진통제인 Acupan inj. H/S 수액과 함께 mix하여 1L 1bag IV 지속 주입해주었고, 진통소염제인 Airtal Tab. 100mg 1Tab PO로 투약했음. 수술 후 Penrose drain #1, IV PCA, Lt. Short Leg Splint인 단하지 부목, Lt. CHIROPACK인 Ice pack, Rt. DVT 예방 기계인 펌프 슬리브 적용하고 나옴. 양쪽 발 SMC (-/-/+) 확인됨. OP 후 익일 운동 치료를 위해 crutch 제공함

    출처 : 해피캠퍼스

  • A+받은 모성간호학 실습 CASE 분만 NSD_간호과정 2개

    목차

    1) 산부의 건강사정
    2) 자연분만 과정
    3) PBL
    4) 임상 검사
    5) 투약 기록지
    6) 간호진단
    7) 간호과정

    본문내용

    ■ PBL
    이**씨는 35세 경산모로 갑상선 질환 과거력 있어 2020년 반절제 갑상선 수술 받았다. Labor로 22.04.27 6:45에 입원하게 되었다. 임신기간은 35주 5일 되었으며 산과력 2-0-0-1(G-P-A-L) 이었다. 오전 7시 태아 심음 138회/min 이었다. 내진 소견은 자궁경부 개대 8cm, 자궁경부 소실 80%, 태아하강 –3cm 이었다. GBS 검사 결과, Positive 떠 7:10에 Bactacin 2.0g을 IV로 투여하였다. 계속되는 진통 호소로 인해 심호흡을 격려하였으며, ambulation 또한 할 것을 권유하였다. 7:40 태아 심음은 143회/min로 내진 소견은 7시와 동일하였다. 8:15 태아 심음은 143회/min이고 내진 소견은 Near-Full로 좌위를 취하고 코로 들이마시고 입으로 호흡 뱉지 않으며 힘주도록 하여 태아가 내려오도록 하였다. 8:50 태아 심음 동일하며 내진 소견 Full로 판정되어 분만 준비 하였다. 분만 중 산모가 힘을 잘 주지 못 해 복부와 옆구리를 눌러 밀어주었고 머리가 나오기 직전 Medio-lateral로 episiotomy하여 22.04.27 09:08 태아가 만출되었다. 보호자가 제대 자르고 신생아실로 보내졌다. 태반 박리가 아직 되지 않아 episiotomy 부분 봉합을 일부분 하고 태반 만출 했다. 1시간 후 출혈 확인하고 V/S (113/66-68회) 하고 병동으로 이동했다.

    <중 략>

    주관적 자료
    “통증이 너무 심한데, 무통 놓아주시면 안 될까요?”
    “아내가 너무 주기 없이 통증을 호소하는데 조치 좀 취해주세요.”
    객관적 자료
    35세, 임신 35주, 산과력 2-0-0-1
    입원동기 : Labor
    V/S : 혈압 130/81, 맥박 97회/분, 체온 37.1도
    7:00 : 자궁경관 개대 8cm, 소실 80%
    8:15 : 자궁경관 개대, 소실 Near-Full
    NRS 점수 : 8점 (예측)
    소리 지름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