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화공생물공학기초실험 A+] 반응열 측정과 Hess의 법칙 실험 레포트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5. Discussion
    6. Conclusion
    7. Reference

    본문내용

    1. Abstract
    반응열과 Hess의 법칙을 이해하기 위해 수산화나트륨과 염산의 중화반응을 중심으로 실험
    을 진행하여 단계마다 반응열을 측정하고 Hess 법칙으로 확인한다. 3가지의 반응을 통해 3
    가지 반응열을 구한다. 반응(1)에서는 고체 수산화나트륨과 염산용액, 반응(2)에서는 고체 수
    산화나트륨과 물, 반응(3)에서는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염산 용액에서 가장 높은 온도를 측정
    한다. 이와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열량 및 반응열을 구할 수 있다…

    <중 략>

    2. Introduction
    고체 수산화나트륨과 염산의 중화반응을 한 단계 및 두 단계로 진행하여 각 단계의 반응열
    을 측정하고 Hess 법칙을 이용하여 확인한다.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항상 에너지 출입이 일
    어난다. 이런 반응열은 반응의 종류에 따라 생성열, 연소열, 중화열, 용해열 등이 있다. 반응
    열은 주로 1mol의 물질이 반응할 때 출입하는 에너지로 J/mol, kJ/mol 등의 단위를 이용하
    고, 외부계와 에너지 교환이 차단된 특별 제작 열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연소열은 물질
    1mol이 완전히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으로 모두 발열 반응이다. 중화열은 산과 염기가 각
    각 1g 당량씩 반응하여 1mol의 물을 생성할 때 발생하는 열량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화공생물공학기초실험 A+] 미생물 비성장속도 측정 실험 레포트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5. Discussion
    6. Conclusion
    7. Reference

    본문내용

    1. Abstract
    미생물 비성장속도 측정에서 흡광도가 균체 농도에 비례함을 이용하여 액체배양을 하는 동
    안 비탁계로 미생물의 균체량을 측정한다. YM배지는 농도별로 peptone, yeast extract, malt
    extract 혼합 용액을 Glucose 용액과 4:1의 비율로 제조한다. 본 배양에서 효모 전배양액을
    무균적으로 접종하고, 샘플들을 진탕배양하여 일정 시간마다 배양액을 채취하고, 채취한 배
    양액을 비탁계를 통해 흡광도를 측정한다…

    <중 략>

    3. Materials & Methods
    가) 실험기구 및 시약
    삼각플라스크, Autoclave, 진탕배양기, UV spectrophotometer, Peptone, Yeast extract, Malt
    extract, Glucose, Dried yeast, 알루미늄 호일, 70% 에탄올, 알코올램프, Micropipette and
    Micropipette tip
    나) 실험방법
    1. YM배지의 제조
    ① 삼각 플라스크에 농도(2.5%, 5%, 7.5%, 10%, 12.5%, w/v)에 맞게 Glucose를 넣고 증류수
    를 50mL 넣어준 후 입구를 알루미늄 호일로 잘 감싼다. ② 삼각플라스크에 Peptone 0.625%(w/v), yeast extract 0.375%(w/v), malt extract
    0.375%(w/v)를 계산하여 넣은 후 증류수를 300mL 선에 맞춰 넣고 입구를 알루미늄 호일로
    잘 감싼다. 추가로 빈 삼각플라스크 5개를 세척하고 입구를 알루미늄 호일로 잘 감싼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화공생물공학기초실험 A+] 반응속도에 대한 온도의 영향 실험 레포트

    목차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5. Discussion
    6. Conclusion
    7. Reference

    본문내용

    1. Abstract
    반응속도에 대한 온도의 영향 실험은 가수분해 반응인 CH3COOCH2CH3 + H2O ↔
    CH3COOH + CH3CH2OH를 기본 반응으로 하여, 3가지 온도에서 일정 시간마다 시료를 채
    취하고 중화반응으로 반응 전후 물질의 양을 구한다. 실험한 결과인 온도와 시간에 대한 물
    질의 양을 차수별로 적분식에 대입해 보면서 그래프가 직선을 이루는 차수를 채택하고, 그
    그래프에서 기울기인 속도상수 k를 구한다…

    <중 략>

    6. Conclusion
    이번 실험에서는 먼저 HCl 환경에서 Ethyl Acetate 가수분해 반응에 따른 Acetic Acid
    형성을 산-염기 적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강산인 HCl은 강염기 NaOH와 중화반응으로
    완전히 해리되고, Ethyl Acetate의 가수분해 반응 결과 생성된 Acetic Acid와 반응한다. 실험에서 온도를 35℃, 45℃, 55℃로 가정하고 시간에 따른 Acetic Acid 생성 정도에 따
    라 Ethyl Acetate가 반응하는 양을 구해 초기 몰농도…

    출처 : 해피캠퍼스

  • 우리나라 노인평생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노인의 개념과 특성
    2,2 노인 평생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2.3 노인 평생교육의 활성화 방안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오늘날 우리 사회는 저출산과 평균수명의 증가로 인하여 노인 인구의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생명공학의 발달로 보건 및 의료 기술의 발전과 생활방식의 향상으로 인간의 수명 연장과 결혼 연령 상승과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 증가 등의 이유로 인한 출산율 저하가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2019년 우리나라 출산율은 0.918명으로 현저히 낮은 비율을 기록하고 있는 반면에 2019년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은 전체 인구 중 대략 14%를 차지하고 있으며, 2030년에는 24%, 2040년 32%, 2050년 37%, 2060년 전체 인구의 40% 이상 차지하리라 예측할 정도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중 략>

    2,2 노인 평생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노인교육도 평생교육의 한 분야로서 평생교육처럼 그 개념 정의에 관하여 여러 가지 이견이 있다. Peterson(1977)은 노인교육을 ‘노인을 위한, 그리고 노인과 노화에 관한 교육적 노력의 실천과 연구’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Javis(1994)는 노인교육을 ‘노인들을 위한 교육, 노인과 노화에 관한 교육, 그리고 노인과 관련된 직업을 가진 이들을 위한 교육의 세 가지 분야를 포함하는 노인들을 위한, 그리고 노인들과 노화에 관한 교육적 노력의 연구와 실천’으로 정의하였다. 김종서(2009)는 노인교육의 개념을 ‘노인을 위하여 노인이 아닌 사람들이 무엇을 할 것인가에 관한 교육, 노인 이전의 사람들에게 실시하는 노년기에 대비하는 노인교육을 ’평생교육의 한 범주로 이해하면서, 노년기에 노인교육을 통하여 자신을 발전시키고, 여가를 효율적이고 보람되게 활용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교육‘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고 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간호학실습 치료적 의사소통 분석 기록지

    목차

    본문내용

    일시
    3/29

    대상자
    류OO
    김OO
    김OO
    연령
    50~60대
    성별
    F
    진단명
    치매
    상세불명의 조현병
    불안장애

    의사소통이 일어 난 상황에 대한 기술
    1. 미술요법을 진행한 후 완성된 꽃 그림을 보며 대화함
    2. 대상자가 화장실에서 나와서 질문함
    3. 아침식사 후에 대화함

    사례1
    간호 학생의 언어적
    간호 학생의 비언어적 행동
    “속이 왜 답답하셨어요?”
    “그러시구나.. 걱정이 많으시겠어요. 수술은 잘 되셨대요?”
    “아니에요 너무 걱정마세요. 괜찮으실 거예요.”
    – 눈을 마주치며 대화함
    – 고개를 끄덕이며 경청함
    – 상대방을 향해 몸을 기울임
    – 같이 슬픈 표정을 지음
    대상자의 언어적
    .
    .
    .

    출처 : 해피캠퍼스

  • 스웨덴 문화 레포트

    목차

    본문내용

    또한 서로 화합하여 또 다른 문화를 만들어가는 것도 스웨덴의 특징이다. 이는 스웨덴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말인 ‘라곰’을 예로 들 수 있다. <라곰>의 저자인 ‘롤라 오케스트룀’은 라곰을 ‘삶의 가장 적절한 지점’이라 설명했다. 그뿐만 아니라 음료수의 중간 크기를 얘기하거나 음식의 간이 적당하다고 말할 때 ‘라곰’을 사용하기도 한다. 스웨덴에서 중요한 단어로 여겨지는 라곰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것이 아니라 균형을 이루는 저울처럼 적절히 융합되길 좋아하는 스웨덴의 특성에서 기반을 두는 것이다. 게다가 사회적 기업인 ‘삼할’에서도 스웨덴의 화합적 면모가 확인된다. 여전히 일부 사람들의 편견으로 사회에 융화되기 힘든 장애인의 취업을 도와주는 ‘삼할’은 현재 많은 스웨덴 기업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화공생물공학기초실험 A+] 친핵성 치환반응 실험 레포트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5. Discussion
    6. Conclusion
    7. Reference

    본문내용

    1. Abstract
    유기할로젠 화합물의 친핵성 치환반응에서 SN1, SN2 반응에 따라 기질 구조, 친핵체 농도, 용매가 친핵성 치환반응의 반응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실험 1에서는 2가지 용매 ethanol, acetone에 대해, 1-bromobutane, 1-chlorobutane, 2-bromobutane, 1-bromo-2-methylpropane 4가지 기질을 조작변인으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SN1 반응에서 생성되는 탄소양이온이 안정할수록, 즉 할로젠화 알킬의 차수가 클수록 반응속도가 빠른 반면, SN2 반응에서 기질의 입체장애가 적을수록, 즉 할로젠화 알킬의 차수가 작을수록 반응속도가 빠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2에서는 친핵체 농도를 조작변인으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SN2 반응에서 친핵체의 농도가 반응속도와 비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3에서는 ethanol, acetone 2가지 용매를 조작변인으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SN2 반응에서 친핵체와 용매 간의 이온-쌍극자 상호작용이 약할수록, 즉 양성자성 극성 용매보다는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에서 반응속도가 더 빠름을 확인할 수 있다.

    2. Introduction
    여러 가지 구조의 유기할로젠 화합물에 대해 친핵성 치환반응인 SN1 반응과 SN2 반응의 반응속도를 측정하고 상대 비교하여 기질 구조, 친핵체 농도, 용매가 유기할로젠 친핵성 치환반응의 반응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결과를 고찰함으로써, 관련 이론을 체득하도록 한다. 치환반응은 원자나 원자단이 다른 원자나 원자단에 의해 치환되는 반응이다. 일반적으로, 치환반응은 기질을 공격하는 시약에 따라 3가지로 분류된다. 시약이 친핵체(양이온성)인 경우 친핵성 치환반응(nucleophilic substitution, SN), 친전자체(음이온성)인 경우 친전자성 치환반응(electrophilic substitution, SE)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간호학 조현병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2개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및 위험요소
    3) 증상
    4) 치료

    Ⅱ. 간호과정 보고서
    1) 건강 문제와 관련된 정보수집
    2) 정신사회적영적 영역 평가
    3) 정신상태 검진
    4) 신체적 상태 사정
    5) 의학적 진단 및 치료 계획
    6)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Reference)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정의
    조현병(정신분열병)은 10대 후반에서 20대의 나이에 시작하여 만성적 경과를 보이는 정신적으로 혼란된 상태, 현실과 현실이 아닌 것을 구별하는 능력의 약화를 유발하는 뇌 질환이다. 이 질환은 100명 중 1명이 걸리는 흔한 질환이며 모든 계층의 사람이 걸릴 수 있다. 남녀의 발병 빈도도 비슷하다.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최근 학계에서는 뇌의 기질적 이상을 그 원인으로 보고 있다. 흔히 생각하듯이 약한 정신력, 부모의 잘못된 양육, 악령 및 귀신으로 인해 발병한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Ⅱ. 간호과정 보고서

    ▣ Brief description of the patient

    성 별 : F
    연령 : 38세
    정보 제공자: 본인, 모
    직 업 : 무직
    결혼상태 : 미혼
    학 력 : 고졸
    종 교 : 무교
    입원경로 : ■외래 □응급실
    신 장 : 165.8cm
    체 중 : 117.5kg
    입원형태: 자의(동의입원)
    보 험 : 의료급여 1종
    취 미 : 무
    운 동 : 무
    입원일 : 2017.11.29
    음주여부 : 무
    흡연여부 : 무
    기타 약물 복용 여부 : 무

    6. 간호 과정보고서 작성
    6-1 간호 사정 : OD/SD
    6-2 간호진단 : Etiology r/t nursing problem, NANDA, 간호협회 진단 목록 참고
    6-3 간호 계획 : 간호목표/전략
    6-4 간호 중재 : 중재 내용과 대상자의 반응
    6-5 간호 평가 : 초기 평가 결과와 feedback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문제번호
    진단명(원인요소 진술 – 관련된 – 간호진단)
    1 환청 및 부적절한 감정조절과 관련된 타인에 대한 폭력위험성
    2 약물 부작용 및 운동부족과 관련된 변비
    3 병식 결여와 관련된 비효율적 건강관리

    출처 : 해피캠퍼스

  • 국립현대미술관 작품을 통한 예술 및 문화 비평문

    목차

    본문내용

    그 중 입구에서 가장 가까운 「Lo-fi Manifesto_Cloud Flex」는 전시장의 중앙에서 매우 압도적인 크기를 자랑한다. 한눈에 시선을 사로잡는 작품은 작가가 우리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를 강하게 내포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작품의 하단에는 교탁과 책상이 놓여있기에 작품의 배경이 교실이라는 사실을 명시한다. 그러나 흰색으로 칠해진 바닥 위로 다채롭고 역동적인 색채가 유영함으로써 정적이고 단조로운 분위기를 띠는 현실 세계의 교실과 정반대의 모습을 보인다. 이는 학생들이 오랜 시간 동안 머무는 교실이 디지털화되고 있음을 암시하면서 우리에게 작품과 현실 사이의 괴리감을 전달한다. 작품의 상단에는 바닥에 색을 비췄던 모니터가 보인다. 비디오는 분홍색, 파란색 등의 색과 타원, 회오리 등의 모양들을 화려하게 담아내며 우리의 일상을 지배한 가상 세계를 연상시킨다…<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간호 치료적 환경 보고서

    목차

    본문내용

    물리적 환경; 정신병원의 물리적 환경(구조, 시설)에 대한 소개 및 느낌을 기술하라.
    정신병원은 폐쇄병동이고 병동 내에는 샤워실, 화장실, 보호실, 면회실이 있다. 문도 모두 잠겨 있고 목욕시간, 취침시간도 정해져 있어서 환자분들은 답답하다고 느낄 수 있을 것 같았다. 창문도 완전히 열리지 않았고 끈이나 젓가락 같은 뾰족한 물건도 반입할 수 없었다. 환자분들 입장에선 답답하겠지만 자살이나 자해, 낙상 등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제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했다. 병동 내에서는 개인 휴대폰을 소지할 수 없었기 때문에 공중전화와 TV가 있다. 화장지나 과자, 음료 같은 물건은 따로 신청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인적 환경: 치료팀의 구성과 역할

    정신간호사
    (정신건강간호사,
    정신전문간호사)

    – 대상자에게 치료적 환경을 제공하여 대상자가 건강을 회복할 뿐만 아니라
    대상자가 더 나은 건강을 유지·증진하도록 한다.
    – 간호학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신체의 치료와 더불어 환자를
    위한 치료적 환경을 조성하고, 환자들이 자율적으로 약물을 복용하고
    재발증상을 관리하도록 돕는다.
    – 다른 의료 전문가들과 연계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환자와 관계를
    맺고 병실생활의 일상적인 생활과 동료 환자들의 관계형성을 도와준다.
    자조그룹지도를 포함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정신 간호 대상자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관리한다.
    인지행동치료, 직업재활, 미술요법, 독서요법, 음악요법, 놀이요법 등 정신간호에 필요한 치료적 활동과 정신장애자의 생활훈련, 작업훈련 및 개인, 가족, 집단치료를 수행한다.
    정신장애자의 증상 및 약물관리를 실시한다.
    약물교육 및 증상 관리 교육을 통해 환자들이 자율적으로 약물을 복용하고 재발증상을 관리하도록 돕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