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성인간호학 실습 뇌경색 케이스스터디입니다. (간호진단 7가지, 간호과정 1가지, 사례, 문헌고찰)

    목차

    없음

    본문내용

    3) 중환자실 간호과정

    (1) 사례연구

    A.간호사정

    1.일반적 사항
    작성일
    작성자
    정보제공자 EMR, 직접사정

    성 명
    김OO
    Unit No.
    0000
    병 실
    NCU
    입 원 일

    연 령
    77세
    성 별
    F
    입원경위
    외래

    응급실
    O
    기타

    입원방법
    도보

    Wheel chair

    strecher car
    O

    간호 사정

    영역 1. 건강증진 (Health promotion)
    내원 이유/주호소(c/c) : Lt side weakness

    과거력: 입원 및 수술경험 : 본원 입원 및 수술 이력 없음

    기타 질병, 건강문제 : 고혈압, 가족력 당뇨

    현재의 질병에 대한 자기관리 : 병식 있음

    간호, 치료에 대한 기대 : 긍정적

    전반적 대상자 상태 : 양호 O 불량 만성적인 문제
    질병에 관련된 정서 상태 : 안정됨
    흡연 : 예 양 /일, 흡연기관 년 아니오 O
    음주 : 예 양 /회, 음주기간 년 아니오 O
    알레르기 : 예 내용 아니오 O
    건강관리 방법:
    복용 약물(입원 전)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건강간호학실습 [문제해결형 사례보고서]_5.진통 산부간호

    목차

    없음

    본문내용

    CASE 5: 분만기 간호: 진통 산부간호
    (참고문헌: 김계숙 외 8명(2020). 여성건강간호과 비판적 사고. 군자출판사. P285~301)

    요 약

    ■ 통증은 경험과 정도는 개인차가 있다.
    ■ 비약리적 통증조절은 진통 시 통증의 주요원인인 두려움과 긴장을 줄이려는 시도이다.
    ■ 비약리적 통증조절은 지압, 열과 냉요법 적용, 치료적 마사지, 최면, 바이오피드백, 아로마요법 등이 있다.
    ■ 마사지나 지압 등의 통증완화방법은 관문통제이론을 활용하고 있다.
    ■ 약리적 통증조절 중 전신마취는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며 통증감각을 줄인다.
    ■ 전신마취는 태반장벽을 통과함으로 분만이 임박한 경우 투여시 신생아에게 호흡곤란을 일으킨다.

    사 례
    당신은 산부인과 외래 간호사입니다.
    20세 지영씨는 Gravida 2, Para 1의 산과력을 가지고 있다.
    [상황 1]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건강간호학실습 [문제해결형 사례보고서]_4.출산 산부간호

    목차

    1. 경미씨의 진진통의 징후는 무엇일까요?
    2. 간호사는 진진통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경미씨에게 어떤 것을 질문해야 할까요?
    3. [상황 1]에서 2시간 후 내진을 통해 확인한 결과 자궁경부 개대 3cm, 소실 80% 되었다. 나이트라진 테스트를 통해 양막 파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만 시기 중 지금은 어떤 단계일까요?
    4. [상황2] 경미씨에게 제공할 4가지 간호중재 중에서 1) 우선순위를 정하고, 2) 간호중재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세요.
    5. 다음의 주제를 문헌고찰 하세요.

    본문내용

    5. 다음의 주제를 문헌고찰 하세요.
    1) 분만 5요소
    – 분만의 5요소로는 만출 물질 (Passenger), 산도(Passage way), 만출력(Power), 심리적 반응(Psychological response), 산부의 자세(Position)가 있다.

    1. 만출 물질 (Passenger)
     만출 물질은 태아와 그 부속물인 태반, 양수 등을 말한다.

    2. 산도(Passage way)
     산도는 경산도(골반 : 골반 입구, 골반 출구, 골반 형태), 연산도(경부, 질강, 회음조직 등)를 말한다.

    3. 만출력(Power)
     만출력은 자궁의 수축과 견축의 일차적인 힘과 산부가 밑으로 힘을 주는 노력을 포함하는 복부 근육의 긴장과 횡격막의 수축 등의 이차적인 힘을 말한다.

    4. 심리적 반응(Psychological response)
     심리적 반응은 산부 자신의 분만에 대한 이해와 준비성, 지지자의 도움과 환경, 문화의 조건을 말한다.

    5. 산부의 자세(Position)
     산부의 자세는 분만과정 중의 산부가 취할 수 있는 모든 자세(앙와위의 부동자세는 좋지 않다.)를 말한다.

    2) 분만기전
    – 분만 기전은 1. 진입(ebgagement), 2. 하강(descent), 3. 굴곡(flexion), 4. 내회전(internal rotation), 5. 신전(extension), 6. 원상 회전(restitution), 7. 외회전(external rotation), 8. 만출(explusion)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건강간호학실습 [문제해결형 사례보고서]_3.영양관리

    목차

    ■ CASE 3: 임신기 간호: 영양관리
    (참고문헌: 김계숙 외 8명(2020). 여성건강간호과 비판적 사고. 군자출판사. P80~89)
    1. 수영씨의 체중에 대하여 평가하시오. (과체중?/저체중?/보통?
    2. 수영씨의 체중에 대하 간호사가 가장 먼저 관심 두어야 할 문제는?
    3. 우유를 싫어하는 수영씨를 위해 간호사는 어떤 말을 해줄 수 있을까요?
    4. 만약 수영씨의 철분섭취량이 낮다면 어떤 의학적 합병증이 초래될까요?
    5. 만약 수영씨가 채식주의자라면 임신 중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쓰시오.
    6. 다음의 주제를 문헌고찰 하세요.

    본문내용

    요 약
    ■ 영양관리는 임신이 시작되기 전부터 시작한다.
    ■ 임신 중 영양관리는 태아의 크기와 신생아 영양소 저장에 영향을 미친다.
    ■ 임신 중 신생아의 신경관 결손을 예방하기 위해 엽산제제를 복용한다.
    ■ 철분제제는 빈혈을 예방하고 적절한 태아의 저장을 위해 섭취한다.
    ■ 일반적으로 권장하는 임신 시 체중증가는 9-16kg 정도이다.
    ■ 조직이 회복되는 산욕기까지 체중 감량 조절 식이는 시작하지 않는다.

    <중 략>

    6. 다음의 주제를 문헌고찰 하세요.
    1) 임신동안의 영양관리
    – 임신기의 영양 관리는 모체뿐만 아니라 태아에게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올바른 식습관 및
    철저한 영양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임산부의 균형 있는 식단관리와 더불어 충분한 영양소의
    공급은 본인의 건강과 태아의 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1~3개월 임신 초기>
    뱃속의 태아가 급속도로 성장하는 시기이다. 이때 모든 세포들은 자신이 만들게될 곳으로 이동을 하게되며, 피부와 내장들이 발달하고 손가락 발가락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태아가 이렇게 변화할 때 엄마가 겪는 고통중 가장 많은 불편을 느끼는 것이 입덧이다. 입덧의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지만 가장 큰 원인이 호르몬의 변화로 보고 있으며 기타 체질이나 체격, 성격을 입덧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4~7개월 임신 중기>…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건강간호학실습 [문제해결형 사례보고서]_2.임신의생리적변화

    목차

    ■ CASE 2: 임신기 간호: 임신의 생리적 변화
    (참고문헌: 김계숙 외 8명(2020). 여성건강간호과 비판적 사고. 군자출판사. P64~79)

    1. 위 자료를 통해 지원씨의 임신을 확진할 수 있는 근거가 쓰시오
    2. 지원씨의 임신을 확진하기 위해 어떤 정보가 더 필요할까요?
    3. 지원씨는 오심과 구토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어떤 정보를 줄 수 있을까요?
    4. 지원씨의 분만예정일을 구하세요
    5. 지원씨의 산과력을 5개의 숫자로 표현하세요
    6. 다음의 주제를 문헌고찰 하세요.

    본문내용

    6. 다음의 주제를 문헌고찰 하세요.
    1) 임신의 생리적 변화
    1. 임부의 생리적 변화
    – 1) 생식기계
    ① 자궁은 임신 전 자궁은 작고 서양배 모양으로 길이 7.5cm, 넓이 5cm, 두께 2.5cm이다.
    임신 말기에는 길이 28cm, 넓이 24cm, 두께 21cm로 증가하고 용적도 10ml 에서 5,000ml 이상 증가 된다.
    자궁의 무게는 비임신 시 약 50g에서 임신 말기에는 1,000g 이상으로 증가한다.
    임신 기간 자궁이 확대되는 원인 : 기존 근세포들의 확장과 비대한다.
    자궁 비대는 임신 초기에는 주로 estrogen의 작용에 의한 것이며 임신 3개월 이후에는 태아 및 부속기관의 확대로 인하여 자궁의 용적이 증가한다.
    임신 말기에는 자궁근층이 1.5cm 이하로 점점 얇고 부드럽게되어 복벽을 통하여 태아의 촉지가 가능하다.
    불규축적인 자궁수축인 Braxton Hicks 수축은 임신 약 4개월 정도부터 간헐적으로 나타난다. 임신 후기로 갈수록 Braxton Hicks 수축의 빈도는 증가되어 임부에게 불편감을 주거나 진진통으로 잘못 파악될 수 있다.
    ② 경관은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선조직의 활성화로 점액 분비를 증가시켜 분비물 과다를 초래하며, 자궁경관의 점액분비 세포가 현저하게 증식시켜 끈적끈적한 점액이 가득찬 벌집 모양이 된다.
    점액성 마개는 경관을 차단하여 임신 중 질을 통한 세균감염을 예방하며 진통이 시작되면 경관개대와 함께 배출되는 이슬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십이경맥 경혈별 미용방면에서의 응용에 대해서 정리하시오.

    목차

    1. 수태음폐경과 경혈의 미용방면에서의 응용
    2. 수양명대장경과 경혈의 미용방면에서의 응용
    3. 족양명위경과 경혈의 미용방면에서의 응용
    4. 족태음비경과 경혈의 미용방면에서의 응용
    5. 수소음심경과 경혈의 미용방면에서의 응용
    6. 수태양소장경과 경혈의 미용방면에서의 응용
    7. 족태양방광경과 경혈의 미용방면에서의 응용
    8. 족소음신경과 경혈의 미용방면에서의 응용
    9. 수궐음심포경과 경혈의 미용방면에서의 응용
    10. 수소양삼초경과 경혈의 미용방면에서의 응용
    11. 족소양담경과 경혈의 미용방면에서의 응용
    12. 족궐음간경과 경혈의 미용방면에서의 응용

    본문내용

    1. 수태음폐경과 경혈의 미용방면에서의 응용
    ◉ 운행경로
    중초(中焦)의 위(胃) → 배꼽→ 대장(大腸)→ 위(胃)의 입구[분문(噴門)] → 횡경막(가로막) → 양쪽 폐(肺)로 들어가 소속(屬) → 폐계(肺系)의 기관지(氣管支)와 인후(咽喉) → 후두(喉頭) → 쇄골(빗장뼈) → 겨드랑이 앞에 위치한 ‘중부(中府)혈’ →‘척택(尺澤)혈’ → ‘태연(太淵)혈’ → ‘어제(魚際)혈’ → ‘소상(少商)혈’ → 엄지 손가락 손톱 바깥쪽 모서리
    ※ 폐(肺) – 대장(大腸) = 표리(表裏) 관계
    ◉ 경혈
    : 중부(中府) → 운문(雲門) → 천부(天府) → 협백(俠白) → 척택(尺澤) → 공최(孔最) → 열결(列缺) → 경거(經渠) → 태연(太淵) → 어제(魚際) → 소상(少商)
    = 11개(좌우 양쪽 총 22개)
    ◉ 원리
    ☞폐는 위기를 선발하는 작용 ; 오체는 피부, 오화는 털로 영양을 공급한다
    ☞폐는 진액을 선발하는 작용 ; 피부와 모발로 진액을 운반한다.
    ◉ 미용 방면에서의 응용
    ☞피부의 혈관을 확장하고 피지 분비량을 조절하여 피부의 영양 상태를 개선 할 수 있기 때문에 탄력 있고 윤기 있는 피부로 만들어 준다.
    ☞폐열로 인한 얼굴의 기미(황갈반), 여드름 및 피부 알레르기 반응에 응용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건강간호학실습 [문제해결형 사례보고서]_1.태아발달

    목차

    CASE 1: 임신기 간호: 태아발달
    (참고문헌: 김계숙 외 8명(2020). 여성건강간호과 비판적 사고. 군자출판사. P50~63)
    1. 당신은 간호사입니다. 소희씨의 걱정을 덜어주기 위해서, 약물이 태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시오
    2. 약물, 방사선, 감염 등 외부 영향요인으로 인해 선천성 기형이 유발되기 쉬운 시기를 설명하시오
    3. 다음의 주제를 문헌고찰 하세요.

    본문내용

    2. 약물, 방사선, 감염 등 외부 영향요인으로 인해 선천성 기형이 유발되기 쉬운 시기를 설명하시오.
    선천성 기형(Congenital Deformity)은 출생 혹은 출생 직전 가지고 있는 기형을 말한다. 선천성 기형이 유발되기 쉬운 시기는 임신 12주 까지다. 원인으로는 유전자 요인, 태내 환경요인 및 이들이 공동으로 작용하여 발생할 수 있다. 유전자 요인으로는 염색체 이상 또는 단일 유전인자의 장애로 구분할 수 있으며, 다운증후군과 유전인자의 돌연변이가 여기에 속한다. 그러나 인간의 모든 선천성 기형 중에서 10% 정도만이 유전적인 원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중 략>

    2) 태아의 주요기관의 발달과 성숙과정
    – 1개월은 신체 조직 형성 및 각 기관이 발생한다. (신경조직, 피부, 뇌, 소화, 폐 기관 등)​
    2개월은 심장이 발달, 머리 몸, 팔다리 구분 할 수 있다.
    3개월은 생식기 발달해 태아의 성별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방광이 생성된다.
    4개월은 태반이 완성되고, 감정이 발달하기 시작한다. 태반은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모체의 유해 물질이 태아에 들어가지 못하게 막아준다. 탯줄은 태아와 태반을 연결한다. 양수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태아를 보호해 주는 액체이다. 양막은 태아를 둘러싸고 있는 보호막이다. 소변이 양수로 배출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학 실습 미숙아, 호흡곤란증후군 (교내실습)case study(간호력 미포함)-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이론적 고찰
    2) 간호과정 적용

    3. 결 론

    본문내용

    1. 서 론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은 유리막질병이라고도 하며, 폐의 발달이 미숙하여 폐의 지속적 팽창을 유지 시켜주는 물질인 폐 표면활성제가 부족하여 무기폐를 초래하는 대표적인 진행성 호흡부전의 하나이다. 주로 미숙아에게 나타나는데,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아기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아기가 미숙아이다. 2015년에서 2020년까지 미숙아 생존율은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는 66.7%, 극소 저체중 출생아는 75%, 저체중 출생아는 91.1%이다.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을 증가시키는 요인은 폐 발달이 미숙한 미숙아와 당뇨병 산모의 신생아, 흉부 기형에 의한 폐 표면활성제 부족, 분만 진행 전의 제왕절개술, 백인, 남아 등이 있다. 본 사례연구를 통하여 미숙아에게 생명을 위협하는 가장 흔한 질병인 RDS의 원인과 치료 및 간호 등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대한 간호진단을 내리고 간호과정을 적용해보자 한다.

    2. 본 론
    1) 이론적 고찰
    (1) 질병의 정의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은 주로 폐가 작은 미숙아에게 자주 발생하는 질병으로 폐 성숙의 발달지연과 관련이 있다. 이는 폐를 팽창하게 만드는 폐 표면활성제의 생산과 분비 부족으로 출생 후 진행성 호흡부전이 생기는 질병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실습 퇴행성 관절염 case study(간호진단3개, 간호과정2개)

    목차

    Ⅰ. 서론 및 문헌고찰 (필요성)
    Ⅱ. 간호력
    Ⅲ. 신체검진
    Ⅳ. 검사소견
    Ⅴ. 우선순위
    Ⅵ. Problem List
    Ⅶ..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의 적용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퇴행성 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생겨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관절염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인 장애의 주 유발요인이다. 정형외과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케이스로 우리나라의 경우 65세 이상 인구의 33.4%가 결체조직 질환 중 가장 흔한 퇴행성 관절염을 지니고 있어 만성질환 중 유병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퇴행성 관절염의 원인과 치료 및 간호 등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대한 간호진단을 내려 간호과정을 적용하고자 한다.

    A. 정의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서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관절의 염증성 질환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다. 특별한 기질적 원인 없이 나이, 성별, 유전적 요소, 비만, 특정 관절 부위 등의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일차성 또는 특발성 관절염과 관절 연골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외상, 질병 및 기형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이차성 또는 속발성 관절염으로 분류한다.

    B. 병태생리
    퇴행성 관절염은 가장 흔한 관절염으로 전 세계적으로 성인 장애의 주 유발요인이다. 퇴행성관절염은 하나 이상의 관절에서 발생하는 연골의 진행적인 파괴와 상실이다. 관절 연골은 유리 연골이라고도 하며, 수분과 다음 성분을 포함하는 매트릭스로 구성된다.
    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s: 콘드로친, 케라틴 황산염, 그 외의 물질을 포함하는 당단백)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실습 대장암 case study-간호진단3개, 간호과정2개

    목차

    Ⅰ. 서론 및 문헌고찰 (필요성)
    Ⅱ. 간호력
    Ⅲ. 신체검진
    Ⅳ. 검사소견
    Ⅴ. Problem List
    Ⅵ. 우선순위
    Ⅵ.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의 적용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장암(colorectal cancer)은 대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악성종양을 말한다.
    이는 초기에 특징적인 증상이 없고 일정 크기 이상으로 커지거나 다른 장기로 퍼질 때까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 ‘조용한 암’이라고 불릴 만큼 발견이 어렵다. 또한, 암세포를 제거하여 완치가 되더라도 재발과 전이가 강한 암으로 알려져 있다. 대장암은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는 암에 해당되어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장암의 원인과 치료 및 간호 등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대한 간호진단을 내려 간호과정을 적용하고자 한다.

    (1) 정의
    대장암이란 대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악성종양을 말한다.
    우리가 음식을 먹게 되면 섭취된 음식물은 소화관을 거쳐 대변으로 배설된다. 우리 몸의 소화기관은 식도, 위, 소장, 대장으로 구분되는데 대장은 소화기관의 마지막 부위이며 주로 수분 및 전해질의 흡수가 일어난다. 대장은 크게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되고 결장은 다시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그리고 S결장으로 나누어지는데,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하고,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 직장암이라고 한다. 대략적인 대장의 각 부위 별 암 발생률은 맹장과 상행결장 25%, 횡행결장 15%, 하행결장 5%, S결장 25%, 직장-S결장 접합부 10%, 직장 20% 정도로 알려져 있다.
    대장은 파이프 모양의 관으로 안쪽에서부터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 등 4개의 층으로 나뉘어져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