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비확률표본추출(비확률표집)의 유형과 특성

    목차

    1. 임의(편의)표집
    2. 할당표집
    3. 판단(의도적, 유의)표집
    4. 눈덩이표집(누적표집)
    5. 참고문헌

    본문내용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확률표집과 비확률표집이다. 확률표집(probability sampling)은 모집단에서 표본을 선정할 때에 미리 각 요소가 뽑힐 확률을 지정하고 표본을 구하는 것이며, 비확률표집(non-probability sampling)은 표본으로 뽑힐 확률을 모르거나 요소들 중 표집 될 확률이 0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표집방법이다.
    확률표집방법은 좀 더 복잡하고 표본을 구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며, 보통 비확률표집보다 비용이 더 든다. 하지만 각 요소가 선택될 확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표집오차의 추정이 가능하며 보다 신뢰할만한 모집단 추론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유로 더 선호된다. 반면 비확률표집방법은 표본을 추출하는 데 빠르고, 쉽고, 비용이 적게 드는 방법이지만 추출과정의 주관성으로 인해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할 수 있고 얻어진 추정값들에 대해 일반화된 통계적 결론을 내리기 어려운 점이 있다.
    표집방식은 양적 연구자와 질적 연구자에 따라 서로 상이하다. 양적 연구자들은 대표성 있는 표본을 통해 모집단에 대한 정확한 일반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표본추출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생각한다. 그래서 확률이론에 근거한 여러 가지 표집유형을 활용하여 표본을 추출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실험설계의 3요소

    목차

    1. 실험대상의 무작위화
    2. 독립변수 조작
    3. 결과비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험설계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실험변수를 조작하여 그 영향을 받은 결과변수를 측정함으로써 과연 실험변수가 결과의 진정한 원인이었는지, 즉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실험설계에는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가 있고, 그 요소를 충족함으로써 다양한 내적 타당도 위협 요인을 제거한 진정한 실험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1) 실험대상의 무작위화
    실험대상의 무작위화(randomization)란 실험대상자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는 과정에서 무작위로 배분하는 것을 말한다. 대체로 실험집단에서는 실험변수(독립변수)가 연구자의 의도대로 발생되도록 하고, 통제집단은 실험변수(독립변수)의 조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통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한 사례에서는 실험집단의 경우 소액신용대출을 받은 경우를 말하고, 통제집단은 소액신용대출을 받지 않은 경우가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표집과정(표본추론)의 절차를 나열하시오

    목차

    1. 모집단 규정
    2. 표본틀 확보
    3. 표집방법 선정
    4. 표본크기 결정
    5. 표집 실시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회과학은 원칙적으로 조사대상 전체를 조사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조사대상의 방대함은 시간 및 경제적 비용 등의 현실적인 어려움을 초래하게 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 연구대상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표본 조사를 실시한다.
    표본 조사는 연구대상 전체 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사람이나 집단을 선별하여 연구대상 전체의 특성을 예측하게 된다.
    즉, 선별된 사람들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우리가 궁극적으로 조사하고자 하는 대상 집단인 모집단의 특성을 추론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모집단을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한 표본추출 방법은 무엇이며, 어느 정도의 표본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면서도 효과적인지 고민하게 될 것이다. 조사자가 표본추출을 실시하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실험설계의 기본개념을 정리하고 종류에 대해서 비교 설명하시오

    목차

    1. 실험설계의 개념과 목적

    2. 실험설계의 종류
    1) 전 실험설계
    2) 유사 실험설계
    3) 순수 실험설계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최근 들어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책임성이 증대되면서 관심의 폭이 넓어진 조사방법이 바로 실험설계다. 즉,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당초 설정한 목표를 적절히 달성하고 있는지를 보여 주는 방법으로 실험설계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사회복지 실천의 과정에서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 여러 외부자원이 투입되는데 이들에게 실천의 성과(outcome)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과정에서 실험설계가 매우 유용하다. 따라서 사회복지연구자는 물론이거니와 사회복지 실천가도 실험설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실제 활용방법을 익히는 것은 중요하다.
    실험설계는 사회 환경 안에서의 특정 현상이나 인간행동의 정확한 원인을 실험이라는 방식을 통해 밝히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동안 많은 조사방법은 원인과 결과 사이에 놓여져 있는 많은 매개요인을 적절히 통제하지 못함으로써 과연 특정 현상이나 인간행동에 대해 조사자가 가정하고 있는 원인에 의한 것인지를 확신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실험설계는 다양한 변수를 실험실에서의 실험과 같이 적절히 통제할 수 있어서 특정 현상과 인간행동이 어떤 요인에 의해 발생되었는지를 보다 정확히 알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실험설계는 연구를 수행하기 전에 어떤 조사를 해야 하는지 적절히 계획을 수립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고 연구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오류를 최소화함으로써 결국 통제된 연구(controlled inquiry)가 가능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빈곤계층의 자립을 위해 최근 각광받고 있는 창업을 위한 소액신용대출(Micro Credit)의 효과성 검증에 이러한 실험설계의 개념을 활용하여 설명하면 보다 그 개념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즉, 비슷한 사회경제적 수준의 빈곤계층을 무작위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은 소액신용대출지원을 통해 창업 등의 기회를 제공하고 한 집단은 어떠한 지원도 하지 않으면서 다른 개입이 없도록 두 집단을 적절히 통제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표본조사와 확률적 표집방법에 대한 이해 표본조사의 개념 및 장점에 대해서 설명하고, 확률적 표집방법에 대해서 그 종류별로 개념을 설명하세요

    목차

    I. 표본 조사의 개념 및 장단점
    1) 표본 조사의 주요 개념
    (1) 모집단과 모수
    (2) 요소
    (3) 표집틀
    (4) 표집단위
    (5) 표집간격
    (6) 표집오차
    (7) 비표집오차
    2) 표본 조사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II. 확률적 표집방법
    (1) 단순무작위표집
    (2) 체계적(계통) 표집
    (3) 층화표집
    (4) 집락(군집)표집

    *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회조사는 크게 전수 조사(complete enumeration)와 표본 조사(sample survey)로 구분된다. 전수 조사는 모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으로 정확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표본에서 얻은 자료로 올바른 모수 추정에 어려움이 있거나, 모집단이 소규모로 조사가 용이할 경우에는 전수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사회과학의 대부분의 연구는 표본 조사를 행하고 있다. 표본 조사는 조사대상의 일부만을 가지고 모집단을 설명하는 것이다. 즉, 표본자료를 통해 얻게 된 통계결과를 근거로 모집단의 값(모수치)을 추정하는 것이다. 많은 연구가 표본 조사로 수행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수 조사의 모집단이 방대하면 조사의 신속성과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전수 조사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표본 조사보다 상대적으로 정확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으나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입해야 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둘째, 전수 조사의 모집단을 정확히 알 수 없거나 파괴적인 실험(자동차 안전충돌시험, 전구 수명조사 등)에는 표본 조사가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모집단 일부분의 특성으로 모집단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모집단의 특성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표본을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업이다. 이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표본의 대표성(representativeness)과 적절성(adequacy)을 확보해야 하며, 이것은 표본추출의 핵심이 된다. 동일한 모집단이라 하더라도 다양한 방법으로 표본이 추출될 수 있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당연히 실제와는 다른 예측을 하게 될 위험을 갖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사회복지조사를 인과관계로 조사하는 이유를 중심으로 하여 인과관계의 개념을 정리하고, 인과관계의 3요소에 대해서 개념을 설명하고 실질적인 예시를 들어라

    목차

    I. 인과관계의 개념

    II. 인과관계의 3요소
    (1) 공변성
    1) 개념
    2) 예시
    (2) 시간적 선후관계
    1) 개념
    2) 예시
    (3) 통제성
    1) 개념
    2) 예시

    III. 인과관계의 입증논리
    (1) 일치법
    (2) 차이법
    (3) 공변법
    (4) 잉여법

    IV. 인과관계와 필요조건-충분조건의 이해
    (1)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이 아닌 경우
    (2) 충분조건이지만 필요조건은 아닌 경우
    (3) 필요조건이면서 충분조건인 경우

    *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인과관계의 개념

    인과관계란 어떤 변수가 원인이 되어 다른 변수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의미한다. 즉, 원인이 된 변수가 독립변수, 변화가 일어난 변수가 종속변수다. 사회과학(사회복지조사)에서는 대체로 이러한 인과관계가 결정론적이 아닌 확률적으로 표현된다.
    왜냐하면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조사과정 내의 변수 이외에도 여러 변수가 있을 수 있으며, 완전한 실험실 연구가 아닌 이상 다른 변수를 적절히 통제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앞의 사례인 소액신용대출 효과성 연구에서도 소액신용대출 프로그램이 빈곤계층의 소득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고 하더라도 소액신용대출만이 소득증가의 원인이라고 단정하기는 쉽지 않다. 왜냐하면 소득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요인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사회과학에서는 결정론적인 표현을 사용하기보다는 확률적인 표현을 쓰게 되고, 그나마 독립변수 이외에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통제할 수 있는 연구모형 이 바로 실험설계가 되는 것이다.

    II. 인과관계의 3요소

    인과관계가 성립되기 위한 요소로는 공변성과 시간적 선후관계, 통제성이라는 세 가지 요건이 성립되어야 한다.

    (1) 공변성

    1) 개념

    공변성이란 원인으로 추정되는 변수(독립변수)와 결과로 추정되는 변수(종속변수)가 상호 연관을 가지면서 변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이 두 변수 중 어떤 하나의 변수가 변화하지 않았다면 두 변수는 인과관계가 있다라고 말할 수 없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해 설명하고 신뢰도를 검사하는 방법, 타당도의 유형들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시오

    목차

    I. 신뢰도
    1) 신뢰도의 개념
    2) 신뢰도 검사 방법
    (1) 상호 관찰자 기법
    (2) 검사-재검사법
    (3) 대안법
    (4) 내적 일관성법
    1/ 반분법
    2/ 크론바하의 알파계수
    3) 신뢰도를 높이는 방법

    II. 타당도
    1) 타당도의 개념
    2) 타당도의 유형
    (1) 내용타당도
    (2) 기준타당도
    1/ 예측타당도
    2/ 동시타당도
    (3) 구성타당도

    III.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 참고문헌

    본문내용

    ) 신뢰도의 개념

    측정의 신뢰도(Reliability of Measurement)는 측정값의 일관성을 의미한다. 즉, 같은 대상에 반복적으로 적용된 특정 측정이 매번 같은 결과를 만들어내는지에 대한 검증이다. 측정도구의 정확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타당도와 일치하나 신뢰도는 타당도와 명백히 구분된다. 신뢰도는 측정의 무작위 오류와 관련되어 있다.
    동일한 측정도구를 동일한 대상에게 반복해서 적용한 경우에 이상적으로 고정된 값이 일관적으로 나타나야 하는데 실제로는 측정값이 매번 달라져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대부분 측정환경이나 과정상의 미묘한 차이 등에서 발생하는 무작위 오류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측정의 안정성, 일관성, 예측가능성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저울이 있다.
    이 저울을 측정도구로 해서 똑같은 사람이 연속해서 5번의 몸무게를 측정했는데, 각각 70kg, 72kg, 69kg, 73kg, 71kg으로 나타났을 때 저울의 신뢰도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 70.5kg, 70kg, 70.2kg등으로 나타났다면 저울의 신뢰도는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같은 측정도구로 같은 대상의 응답자를 조사했을 때 그 결과가 어느 정도 일관성 있게 나타나면 측정도구의 신뢰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2) 신뢰도 검사 방법

    특정 연구에 가장 적절한 측정 신뢰도의 평가 유형은 연구목적과 연구 설계에 따라 다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명목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에 대해 설명한 후 예를 각각 2개이상 쓰시오

    목차

    1) 명목 척도화
    2) 서열 척도화
    3) 등간/비율 척도화
    4) 소시오메트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척도구성(scaling)은 척도를 구성하는 절차로 숫자나 기호를 연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특정 개념의 다양한 수준에 부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주요한 척도구성의 유형으로는 리커트(Likert) 척도화, 거트먼(Guttman) 척도화, 써스톤(Thurstone) 척도화, 소시오메트리(sociometry), 보가더스의 사회적 거리(Bogardus social dance), 의미분화(어의적 차이, semantic differential) 척도구성이 있다.

    1) 명목 척도화

    명목 척도는 한 변수에 포함되는 속성 값을 단순히 구분하여 측정대상의 속성에 부호나 수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명목적 수준에서의 척도화(nominal scaling)는 상호배타적이면서 포괄적인 성격을 가진다.
    다차원적 명목 척도화에서는 응답범주를 구성하는 것이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단일차원적으로 명목 척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측정의 오류는 체계적 오류와 무작위적 오류가 있다. 이 두 가지를 설명하고 무작위적 오류를 줄이는 방법까지 설명하시오

    목차

    1) 체계적 오류
    (1) 인구통계학적·사회경제적 특성으로 인한 오류
    (2) 응답자의 개인적 성향에 의한 오류
    (3) 측정 개념의 태도와 행동에 대한 오류
    (4) 편향에 의한 오류
    1/ 순응적 반응양식에 의한 편향(고정반응에 의한 편향)
    2/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사회적 적절설 편향)
    3/ 문화적 차이에 의한 편향

    2) 무작위 오류(비체계적 오류)

    3) 무작위 오류를 줄이는 방법

    4) 측정오류의 확인

    * 참고문헌

    본문내용

    측정오류(Error of Measurement)는 변수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측정하려는 개념을 정확하게 묘사하지 못하거나 데이터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측정오류를 측정오차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측정오류는 체계적 오류와 무작위 오류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측정은 연구자가 개념을 개념화하고 그것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사회과학 및 사회복지에서 측정하려는 것은 일반적으로 연구대상자의 태도, 행동, 일반적 특성 등에 관한 추상적인 개념이 많이 있다. 이러한 추상적인 개념을 개념화하는 과정에서도 오류가 발생하기 쉬우며, 하나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을 하는 과정에서도 그리고 잘못 선택된 측정도구 자체에서도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글쓰기이론과실제 / 학술적글쓰기 / 중간대체과제 / 기후위기와 대응방안

    목차

    1. 서론
    2. 기후위기
    3. 기후위기 대응 방안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호주에서 2019년 9월부터 2020년 2월까지 6개월간 산불이 지속된 사태가 있었다. 이에 따라 12.4만 제곱킬로미터에 해당하는 면적이 불에 타 사라지고 약 10억 마리의 야생동물이 죽었으며 수많은 사람이 집을 잃어 이재민이 되었다. 김지석, 「호주 산불은 꺼졌지만, 기후변화는 현재진행형」, 『GREENPEACE』, 2020.03.09., https://www.greenpeace.org/korea/update/12338/blog-ce-au-bushfire-wrapup/, 2023.10.22.
    그뿐만 아니라 2022년 6월 파키스탄에서 강한 폭우로 인해 국토의 1/3가량이 물에 잠기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그 결과 침수 지역에서 수인성 질병이 창궐하였고 뎅기열 환자가 급증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