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글쓰기이론과실제 / 영화 '아들' 비평적에세이

    목차

    없음

    본문내용

    “5년이나 감방에서 죗값을 치렀다고요.” 프란시스가 올리비에에게 말한다. 그에게는 어떠한 반성의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 죗값을 치른 자는 더 이상 용서를 구할 필요가 없는 것일까? 영화는 ‘용서’에 대해 다룬다. 그러나 영화의 마지막 장면까지 올리비에가 프란시스를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나오지 않는다. 영화는 바로 그것을 노린다. 사람마다 용서하는 기준이 다르다. 누군가는 올리비에의 모습을 보고 그가 프란시스를 용서했음을 주장할 수 있다. 혹은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말로 언급되지 않는 ‘용서’는 다른 장치로 그 존재를 보여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만점자료 / 서양의역사와문화 / 보리밭을흔드는바람

    목차

    1. 영화를 읽고 느낀 점, 알게 된 점은 무엇입니까?
    2. 이 영화는 어느 나라의 어느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까?
    3. 가장 주된 갈등은 무엇인가요? 갈등은 어떻게 변화하나요?
    4. 정치에서 ‘이상’과 ‘현실(또는 타협)’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본인은 어느 편인가요?
    5. 갈등의 결과는 어떠했을까요? 다음의 인용문은 도움을 줄 것입니다.
    우리에게는 이런 문제가 없을까요? 특히 앞글에서 ‘분단국’이라고 한 것에서 어떤 점을 느낄 수 있습니까?
    우리에게도 이런 문제가 있다. 오히려 더 심각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 이후 사상의 대립으로 인해 결국 ‘분단국’이 되었다. 따라서 아일랜드와 우리나라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공화주의자들과 자유국 정부 사이의 내전은 북한과 남한의 전쟁과 닮아있다. 외부의 적과 싸운 것이 아닌, 한때는 같은 목표를 가지고 함께 투쟁했던 동지들이 이제는 서로에게 총과 칼을 겨눈 것이다.
    6. 아일랜드 역사의 가장 암울했던 시기를 영국인 영화감독 Ken Loach 가 보여준다는 점은 우리와 일본 관계에 대해서 어떤 점을 시사하나요?
    7. (아일랜드 가톨릭에 대해서) 아일랜드 가톨릭의 성직자가 보이는 ‘보수성’은 우리의 가톨릭이 보이는 정치성과 어떤 차이를 보여줍니까?
    8. 아일랜드, 특히 Northern Ireland에서는 아직도 IRA가 그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아일랜드 문제와 스페인에서의 바스크 분리주의자들의 움직임 등은 유럽문화에 대해 어떤 시각을 가질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까?

    본문내용

    1. 영화를 읽고 느낀 점, 알게 된 점은 무엇입니까?
    아일랜드라는 나라에 대해서 무지했는데, 이 영화를 통해서 우리나라와 비슷한 역사를 가졌음을 알 수 있었다. 무려 800년 동안이나 식민 지배를 받았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그리고 아일랜드와 영국의 관계가 우리나라와 일본의 관계와 비슷하다고 느꼈다. 또한 영국의 잔인한 모습을 적나라하게 볼 수 있었다. 특히 영화 초반 영국군이 영어로 이름을 말하지 않았던 미하일을 죽여버리는 장면이 기억에 남았다. 마치 일제강점기 때 일본어만 쓰도록 강요한 일본의 모습과 겹쳐 보이기도 했다. 또한 테디의 손톱을 뽑으며 고문하는 장면에서도 일본이 자행한 악행과 유사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에 테디의 손에 결국 데이미언이 죽은 장면을 통해 과거에서부터 동고동락하며 함께 싸운 동생일지라도 사상이 다르다면 죽이기까지 하는 군대의 엄격함을 알 수 있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만점자료 / 서양의역사와문화 / 문화조사보고서 / 쾰른 카니발의 역사

    목차

    1. 쾰른 카니발의 역사
    2. 현재의 쾰른 카니발
    3. 주제선정이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1. 시작
    쾰른 카니발이 ‘정확하게’ 언제 시작했는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의견이 있다. 공식적으로 쾰른 지역에서 카니발 혹은 파스트나흐트(Fastnacht: 사육제)라는 용어가 사용된 기록은 1341년에서야 발견할 수 있다. 카니발의 시작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견해로 나뉜다. 요제프 크러쉬와 볼프강 헤르본의 견해인데, 전자는 쾰른 카니발의 시작을 쾰른이 로마의 식민지로 있던 시기로 보았고, 후자는 기독교 문화가 정착한 시기로 보았다. 하지만 쾰른은 일찍이 로마의 식민지였으며, 곳곳에서 로마시대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클러쉬의 입장이 논리적으로 더욱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1.2. 고대 로마시대
    고대 로마시대에는 이시스 를 숭배하기 위하여 사람들이 가면 복장을 한 채로 행렬을 하였으며, 사투르누스 를 기리는 축제가 있었다. 축제 기간동안 우스꽝스러운 복장을 하고, 사회적 지위가 뒤바뀌어서 주인이 하인 행세를 하는 등 평소와 다르게 행동하였다. 이 시기에 로마의 식민지인 쾰른 역시 로마인들과 마찬가지로 축제를 즐길 수 있는 권한이 동일하게 주어졌다. 로마시대에 행해진 이 축제가 점차 쾰른 지역의 특유 카니발 축제 형태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343년경 로마의 콘스탄티누스 황제 제위기간에 기독교가 정식 국교로 채택되었으며, 이로 인해 카니발 축제에 기독교 영향이 직접적으로 끼쳤다. 카니발 축제 시기가 기독교의 사순절을 중심으로 결정되었다. 따라서 사순절이라는 금욕기간에 들어가기 전 먹고 마시며 즐기는 향연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성격이 변화되었다.
    따라서 축제는 초기의 로마시대 이도교적인 농경문화 관습과 기독교 문화 관습이 혼합된 형태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는 오늘날까지 부분적으로 이도교적인 우스꽝스러운 축제 형태의 흔적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1.3. 중세
    이후 중세시대까지 전통이 이어지는데, 이 시대의 쾰른 카니발을 주도한 집단은 가족과 이웃 그리고 동업조합 같은 지역 공동체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해양학 실험 미역 관찰 보고서

    목차

    1. 실험 주제
    2. 실험 날짜
    3. 실험 이론
    4. 재료 및 방법
    5. 실험 결과
    6. 고찰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주제 : 미역 관찰

    2. 실험 날짜 : 2019.11.15.

    3. 실험 이론
    1. 미역
    미역과에 속하는 해조(海藻). 학명은 Undaria pinnatifida (Harvey) Suringar.이다. 뿌리는 나뭇가지모양이고 줄기는 편원(扁圓)인데 그 상부는 엽상부(葉狀部)의 중륵(中肋)으로 되었으며, 잎은 좌우에 우상열편(羽狀裂片)을 가진다.
    엽상부 전체의 모양은 난원형(卵圓形) 또는 피침형(披針形)이다. 엽면에는 모과(毛窠)가 있어 육안으로는 소흑점으로 보인다. 줄기의 양쪽에 주름이 촘촘히 있는데 이것은 포자를 가진 포자엽이다. 외해에 면한, 또는 외해에 가까운 바위나 돌에 착생하고 저조선(低潮線: 조수가 다 빠졌을 때의 물높이 선) 아래에 산다. 미역은 일년생 해초이며 지방에 따라 차가 있으나 대체로 가을에서 겨울 동안에 자라고 봄에서 초여름 동안에 유주자(游走子: 무성포자)를 내어서 번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만점자료 / 서양의역사와문화 / 장미의이름

    목차

    1. 영화를 읽고 느낀 점, 알게 된 점은 무엇입니까?
    2. 가장 이해할 수 없었던 점, 궁금한 점은 무엇입니까?
    3. 영화 속의 가장 중요한 갈등은 무엇입니까?
    4. 이 작품을 통해서(원작과는 다른 부분도 있지만) 저자 에코는 중세에 대해서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었을까요?
    5. 다른 사람이 웃음에 관해서 쓴 책이면 괜찮은데 아리스토텔레스의 것이어서 안 된다는 말은 무엇을 뜻했나요?
    6. 중세 수도원을 중세 기독교 세계의 축도로 볼 수 있다면 이 영화 속의 수도원을 통해서 어떤 점을 볼 수 있었나요?
    7. “그런 우려는 신앙의 적이다”라고 윌리엄은 이야기합니다. 웃음에 관련된 그 우려는 무엇이었나요?
    8. 윌리엄은 친기독교적인가요? 반기독교적인가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9. 마지막 장면인 아드소와 소녀의 만남, 이별의 장면은 원작에는 없는 부분입니다. 여러분은 이 점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여러분이 아드소(또는 소녀)라면 어떻게 했을까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10. 우리는 이 영화를 통해서 다음의 사항들에 대해서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용어에 관해서 설명해 주세요.

    본문내용

    4. 이 작품을 통해서(원작과는 다른 부분도 있지만) 저자 에코는 중세에 대해서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었을까요?

    “도서관은 장구한 세월 동안 그 누구에게도 알려지지 않은 어떤 비밀스러운 목적에 따라 탄생했다.〔ㆍ ㆍ ㆍ ㆍ ㆍ ㆍ 〕도서관 사서만이 선임 사서로부터 비밀을 물려받았고, 그리고 이 물려받은 비밀을 그의 생전에 다시 보좌 사서에게 전한다.〔ㆍ ㆍ ㆍ ㆍ ㆍ ㆍ〕사서만이 책으로 이루어진 미궁의 비밀을 알고 있을 뿐 아니라, 그 가운데를 돌아다닐 권리를 가지고 있다.” (「장미의 이름」에서)

    <중 략>

    5. 다른 사람이 웃음에 관해서 쓴 책이면 괜찮은데 아리스토텔레스의 것이어서 안 된다는 말은 무엇을 뜻했나요?
    신앙은 두려움에 의해서 유지되는데, 아리스토텔레스의 책을 읽으며 웃음을 되찾으면, 신앙이 사라질 것이라고 여겼다. 웃음은 악마의 바람으로 얼굴 근육을 일그러뜨려 원숭이처럼 보이게 한다. 모든 것에 대해 웃는다면 그것은 즉 하나님에 대해서도 웃는다는 것으로, 이 책에 대한 당시 수도사들의 두려움을 알 수 있다.

    ‘책과 권위’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하시나요?
    모든 책에는 권위가 따를까요(따라야 하나요)?

    <중 략>

    7. “그런 우려는 신앙의 적이다”라고 윌리엄은 이야기합니다. 웃음에 관련된 그 우려는 무엇이었나요?
    두려움이 있어야 신앙이 생기는데, 웃음은 두려움을 없애기 때문에 웃음이 있으면 두려움이 사라지고 나아가 신앙이 없어지며 종교가 사라진다는 우려이다.

    과연 신앙과 지식의 관계는 무엇일까요?
    신앙과 지식은 긴밀한 관계를 맺는다고 생각한다. 영화 내에서 지식을 독점한 권력층이 신앙을 이용해 이득을 취함을 알 수 있다. 지식은 일부 사람들에게만 공유되며 제한되지만, 신앙은 대부분 사람이 갖고 있다. 그래서 지식을 독점하게 되면, 신앙을 이용해 권력을 거머쥘 수 있는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플랑크톤 관찰 실험 계획서

    목차

    1. 서론
    2. 실험 목적
    3. 실험 이론
    4. 실험 재료 및 실험 방법
    5. 토의
    6. 자료 출처

    본문내용

    1. 서론
    식물 플랑크톤을 관찰하기 위해 이 실험을 계획하였다.
    2. 실험 목적
    영양염료 농도에 따른 식물 플랑크톤 번성 정도를 비교한다.
    3. 실험 이론
    1. 식물 플랑크톤 [ phytoplankton ]
    수중에서 부유생활을 하고 있는 단세포조류(單細胞藻類)의 총칭으로 담수산과 해산이 있다. 황색식물 중의 규조류, 염색식물 중의 편조류(鞭藻類), 녹조식물 중의 단세포군 등이 대표적이다. 각각이 가진 색소에 의하여 광합성을 영위하는데, 보상점에 도달하는 밝기는 수면조도(水面照度)의 3∼5 %이므로, 이들 플랑크톤은 표층 가까이에 분포하여 이른바 영양생성층을 형성한다.
    담수산과 해산이 있다. 크기로는 소형과 미소형이 있고, 분류학상으로는 남조류 ·녹조식물 ·녹충류(綠蟲類) ·염색식물(炎色植物) ·황색식물의 각 문(門)이포함된다. 황색식물 중의 규조류, 염색식물 중의 편조류(鞭藻類), 녹조식물 중의단세포군 등이 대표적이다. 각각이 가진 황갈색 ·황색 ·홍색 ·청람색 ·녹색등의 색소에 의하여 광합성을 영위하는데, 보상점에 도달하는 밝기는수면조도(水面照度)의 3∼5 %이므로, 이들 플랑크톤은 표층 가까이에 분포하여이른바 영양생성층을 형성한다. 또 편조류는 동물플랑크론으로 다루는 견해도있다. [1]

    출처 : 해피캠퍼스

  • 천리안 위성에 관한 조사 보고서

    목차

    본문내용

    우리나라는 독자적으로 2010년 6월 27일에 천리안위성을 발사하였습니다. 지구 적도 상공 36,000km 고도, 동경 128.2도에 위치하여 기상관측, 해양관측 통신서비스 임무를 수행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정지궤도 복합위성입니다. 해양 관측 탑재체와 본체를 천리안 해양 관측위성(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라고 부른다. 아래의 사항을 조사하여 제출하시오.

    1) 기상탑재체의 기본 사양은? (센서 이름/공간 해상도/관측 영역/관측 주기 등)
    센서 : AMI, KSEM
    공간 해상도 : 500m 해상도
    관측 영역 : 한반도를 중심으로 2500*2500km 영역을 관측한다.
    관측 주기 : 하루에 8번씩 관측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염분 측정 실험 보고서

    목차

    1. 실험 주제
    2. 실험 목적
    3. 실험 방법
    4. 실험 이론
    5. 실험 결과
    6. 고찰
    7. 자료 출처

    본문내용

    1. 실험 주제 : 염분 측정 실험

    2. 실험 목적
    ① 염소량에 의한 염분 측정법을 알아본다.
    ② 염소량 염분 측정법으로 해수의 염분을 측정한다

    3. 실험 방법
    1. 여과한 해수를 pipet으로 10ml를 취하여 1000ml volumeric flask에 넣고 표선까지 취한다.
    2. 메스실린더를 이용하여 삼각플라스크에 희석된 해수 시료 25ml를 각각 넣는다. (3회)
    3. 증류수 25ml를 비커에 넣는다. (바탕실험)
    4. 1ml pipet으로 5% K2CrO4 지시약 2ml를 가한다.
    5. 5ml pipet으로 0.01M AgNO3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여 전체적으로 적갈색이 될 때까지 적정한다.
    6. 실험 결과를 기록하고 계산식을 통해 염분도를 추정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수산유용생물 30종 조사 보고서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생물명 : 고등어 Scomber japonicus
    계 : 동물
    문 : 척삭동물
    강 : 경골어류
    목 : 농어목
    과 : 고등엇과
    속 : 고등어속
    종 : 고등어

    2. 생물명 : 갑오징어 Sepia officinalis
    계 : 동물계
    문 : 연체동물문
    강 : 두족강
    목 : 갑오징어목
    과 : 갑오징어과
    속 : 갑오징어속
    종 : 갑오징어

    3. 생물명 : 크릴새우 Eupausia superba
    계 : 동물
    문 : 절지동물
    강 : 갑각류
    목 : 난바다곤쟁이목
    과 : 난바다곤쟁이과
    속 : 난바다곤쟁이속
    종 : 크릴새우

    4. 생물명 : 대하
    Fenneropenaeus chinensis
    계 : 동물계
    문 : 절지동물문
    강 : 연갑강
    목 : 십각목
    과 : 보리새우과
    속 : 대하속
    종 : 대하

    출처 : 해피캠퍼스

  • 에크만 수송과 동해의 수온 평면도 조사 보고서

    목차

    1. 에크만 수송과 용승

    2. 동해의 두 정점에서의 수온 시계열 단면도, 동해의 100m에서 수온의 여름, 겨울 평면도 비교와 차이점 고찰
    a, 수온 시계열 단면도 고찰
    b. 수온 평면도 고찰

    3. 라그랑지안, 오일러리안 예비 보고서

    4. 출처

    본문내용

    a. 에크만수송은 에크만류(Ekman current)의 수직 적분값이다. 바람에 의한 표층해수의 전체 이동은 에크만류의 나선형 분포를 평균하여 알 수 있는데, 북반구에서는 풍향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90° 방향으로 나타난다. 에크만수송은 연안지역에 해수의 용승과 침강을 일으킨다.

    지구 자전 때문에 표면류의 방향은 풍향에 대하여 45° 오른쪽으로 벗어난다(북반구, 남반구에서는 역방향). 깊이와 함께 흐름은 크기를 줄이면서 오른쪽으로 벗어나는데(에크만 나선), 이 흐름에 의하여 에크만 수송은 풍향에 대하여 직각 오른쪽 방향이다. 해류의 형성에 관계하는 것은 수송 자체보다는 표층에 있어서의 그 발산 및 수렴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