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환율을 설명하는 국제수지이론에 대하여 환율을 결정하는 요소, 각 요소가 변할 때 환율에 미치는 효과 등 수업시간에 다루었던 내용을 중심으로 서술해주시기 바랍니다. (A4 1장)
2. 기후변화에 대한 초빙강의 내용에 대해 서술해주시기 바랍니다. (A4 0.5장)
3. 경제성장을 설명하는 다양한 요소에 대하여 수업자료 및 수업내용을 기반으로 서술해주시기 바랍니다. (A4 1장)
4. 한국경제의 과거와 미래에 대한 내용을 수업자료 및 수업내용을 기반으로 서술해주시기 바랍니다. (A4 1장)
본문내용
1. 환율을 설명하는 국제수지이론에 대하여 환율을 결정하는 요소, 각 요소가 변할 때 환율에 미치는 효과 등 수업시간에 다루었던 내용을 중심으로 서술해주시기 바랍니다. (A4 1장)
큰 관점에서 국경을 넘나드는 실물 부분의 거래를 생각해보면 수출, 수입(경상수지)이 있고, 이는 환율 시장에 굉장히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실물 부분이 아닌 자본 파트라고 할 때 자본파트에서 국경을 넘어가는 거래는 수출, 수입이 아닌 모든 것들이 자본파트라고 볼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서학 개미들의 금융 투자(FPI) 같은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해외에 공장을 짓고 자회사를 만들고, 해외 기업을 M&A하는 이런 것들을 통칭해서 FDI(Foreign Direct Invest)라고 한다.
따라서 환율에 영향을 끼치는 4가지 요소는 수출, 수입, 자본유출, 자본유입 이라고 할 수 있다.
중장기 환율을 예측할 때는 실물파트와 자본파트 두 가지가 동일하게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중장기적 환율, 예를 들면 6개월 정도의 환율 변화를 예측하고 싶다고 할 때 항상 ‘실물 부분’이 제일 중요하게 여겨진다. 직관적으로 우리나라가 수출이 잘되고 경제가 잘나간다면 한국돈은 스트롱해진다고 볼 수 있다.
자본수지 흑자라는 것은 우리나라로 캐피탈이 많이 들어오는 것으로, 서학개미의 경우 한국 기준 캐피탈이 밖으로 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자본 유출이며, 블랙락이 삼성전자 주식을 매수하는 경우 자본 유입이라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일단 수출이 잘되고 경상수지가 흑자이면 한국돈은 스트롱해진다고 본다. 반대로 경상 수지가 안좋다, 예를들어 경상수지가 계속 작자가 난다면 한국돈이 약해진다고 보며, 자본 유출이 극단적으로 많이 일어난다면 경제학적으로 외환위기라고 부른다.
환율 시장은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화폐끼리의 교환으로, 예를 들어 원달러 시장이라는 것은 한국돈과 달러를 서로 교환하는 시장이다. 원달러 시장에서의 공급은 우리가 여행을 간다고 했을 때 한국 돈을 시장에 내놓고 달러로 환전할 때 이를 ‘공급’이라고 하며, 여행 다녀와서 남은 달러를 다시 한국돈으로 환전할 때 이를 ‘수요’라고 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