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로저스와 메슬로우의 인간행동에 관한 접근법과 핵심 개념을 기술하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로저스와 메슬로우의 인간행동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과 목적
    2) 로저스의 인간행동 이론
    3) 메슬로우의 인간행동 이론
    4) 로저스와 메슬로우의 인간행동에 대한 두 이론의 차이점과 공통점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로저스와 메슬로우는 인간행동에 대한 접근법과 핵심 개념을 제시한 대표적인 심리학자들로 알려져 있다. 로저스는 자아실현론을 중심으로, 개인이 자신의 내면적 경험을 통해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인간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메슬로우는 인간의 필요성이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이론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메슬로우의 필요성 계층 이론이라 부른다. 이 이론은 인간이 물리적, 안전, 사회적, 존경받음, 자아실현 등의 다섯 가지 필요성을 가지며, 이러한 필요성이 만족되어야만 다음 단계의 필요성을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러한 로저스와 메슬로우의 이론은 현재까지도 심리학 연구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로저스와 메슬로우의 인간행동에 관한 접근법과 핵심 개념을 기술하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울혈성 심부전(CHF) 간호과정_심장기능 저하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체액 과다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

    목차

    1. 대상자 정보
    2. 질병에 대한 고찰(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
    3. 입원 중 처치
    4. 진단검사
    5. 간호과정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대상자 정보
    이름

    성별

    나이
    89
    입원일
    2022.11.30
    내원수단
    119 구급차
    주호소
    chest pain
    입원경로
    ER
    전실병동
    MICU
    과거력
    CHF(congestive heart failure)
    ICMP(ischemic cardiomyopathy)
    Balloon & stent angioplasty
    Pulmonary edema
    Dementia
    Senile osteoporosis, site unspecified
    진단명
    [주] CHF(congestive heart failure)
    [부] ICMP(ischemic cardiomyopathy)
    입원동기
    상환 상기 시각 가슴 답답함 양상의 chest pain 및 호흡곤란 있어 응급실 내원함.

    2. 질병에 대한 고찰(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
    정의
    울혈성 심부전은 여러 원인으로 인해 심장이 신체 조직이나 기관에서 필요한 혈액(특히 산소)을 공급할 수 없는 병태생리학적 상태를 의미함. 심부전은 급성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만성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심부전은 흔히 다른 심장 질환, 예를 들면 만성 고혈압, 관상동맥 질환, 판막에 이상이 있는 기계적 결함, 만성적인 부정맥(심방 세동이 가장 흔함) 등의 다양한 원인 질환으로 인해서 나타남.
    원인
    고혈압,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심장근육병, 판막질환, 선천성 심질환(심실중격결손) 및 갑상샘 기능항진증 등 모든 심혈관 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심부전의 원인이 되며 심장질환의 유무와 관계없이 고령, 당뇨, 비만, 알코올 중독, 흡연은 고위험 요인
    증상
    • 좌심부전: 피로, 호흡곤란, 기침과 혈담, 신기능 저하, 부종, 체중 증가, 맥박 및 혈압 변화, 뇌의 저산소증
    • 우심부전: 간종창, 소화기계 증상, 심장성 부종, 사지냉감, 영양실조, 심리적 불안, 심장성 쇼크

    출처 : 해피캠퍼스

  • A+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ITP) 간호과정_혈소판 감소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 어지러움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목차

    1. 질병에 대한 고찰 (병태생리, 치료, 간호)

    2. 주요 검사결과

    3. 의학적 치료
    1) 내과적 치료
    2) 처치 및 기타 정보

    4. 시나리오 작성

    5. 간호진단

    6.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질병에 대한 고찰 (병태생리, 치료, 간호)
    질병: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ITP)이란 특별한 질병 없이 혈소판이 150,00/mm3이하로 감소되어 점막이나 피부 또는 조직 내에 비정상적인 출혈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후천적 형태의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이며 순환하는 혈소판의 비정상적 파괴가 특징으로 ITP는 급성과 만성으로 분류된다.
    ◾ 급성 ITP: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질환 이후 아동에게 나타나며 자기 제한적이고, 6개월 미만으로 지속되며 특별한 치료 없이 저절로 회복된다.
    ◾ 만성 ITP: 주로 성인 20~30대의 여성에게서 이환율이 높고, 자연 회복되는 경우가 드물어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다. 혈소판 항원에 대한 자가 항체의 생산에 의해 야기되어 자가 면역 저혈소판 자반증이라고도 불린다.

    병태생리: 만성 ITP에서 혈소판 항원에 대항하여 생성된 자가항체(IgG)에 의해 둘러싸여 순환 중에 이물질로 인식되어 대식세포에 의해 지속적으로 파괴된다. 혈소판이 조기에 파괴되어 정상 혈소판은 8일에서 10일가량 순환하며 생존하는 반면에 ITP에서의 혈소판의 수명은 1일에서 3일로 짧아진다.

    치료: 혈소판 감소증에 대한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며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의 기본적인 세 가지 치료는 스테로이드 요법, 혈소판 수혈, 비장절제술이다. 그 외에 고용량 면역글로불린의 정맥투여 방법이 있다.

    간호: 혈소판 감소증 환자는 낮은 혈소판 수로 인해 출혈 가능성이 높고, 피내 출혈이나 점상출혈 또는 자반증으로 인해 조직 손상의 가능성이 많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공중위생관리법 및 식품위생법 과제, 보고서, 레포트 A+

    목차

    1. 공중위생관리법 및 식품위생법의 개념 …………………………………………………………………………………. 2

    2. 공중위생관리법 및 식품위생법의 연혁 …………………………………………………………………………………. 2

    3. 공중위생관리법 및 식품위생법의 목적과 정의 2

    4. 공중위생관리법 및 식품위생법 본문 5

    5. 공중위생관리법 및 식품위생법 시행령 …………………………………………………………………………………. 8
    5-1. 별표 1의 과징금 부과기준 ………………………………………………………………………………………………. 9
    5-2. 별표 2의 과태료 부과금액의 개별기준 ……………………………………………………………………… 10

    6. 공중위생관리법 및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12
    참고자료 15

    본문내용

    1. 공중위생관리법 및 식품위생법의 개념
    공중위생관리법이란 공중위생법을 폐지하고 새로 제정한 법률로서, 공중이 이용하는 영업과 시설의 위생관리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법률을 말한다. 식품위생법이란 식품 으로 인하여 위생에 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며, 식품 영양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국민 보건의 향상과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제정된 법률을 말한다. 이에 식품 및 첨 가물, 기구와 용기ㆍ포장, 표시 기준, 영업, 벌칙 따위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2. 공중위생관리법 및 식품위생법의 연혁
    공중위생관리법은 법률 제5839호로 1999년 2월 8일 제정되어 1999년 8월 9일 시행 되었으며, 그 후 여러 차례의 일부개정과 타법개정을 거쳐 최근에는 법률 제17195호로 2020년 4월 7일 일부개정, 2020년 7월 8일 시행되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식품위생법 은 법률 제1007호로 1962년 1월 20일 제정되어 1962년 4월 21일 시행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일부개정과 타법개정을 거쳐 최근에는 법률 제17809호로 2020년 12월 29일 일 부개정, 2021년 1월 1일 시행되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3. 공중위생관리법 및 식품위생법의 목적과 정의
    먼저 공중위생관리법의 본문을 살펴보면, 제1조에 따라 공중이 이용하는 영업의 위 생관리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위생수준을 향상시켜 국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은 제2조 정의로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첫 째, “공중위생영업”이라 함은 다수인을 대상으로 위생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업으로서 숙박업ㆍ목욕장업ㆍ이용업ㆍ미용업ㆍ세탁업ㆍ건물위생관리업을 말한다. 둘째, “숙박업”이 라 함은 손님이 잠을 자고 머물 수 있도록 시설 및 설비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업을 말한다. 다만, 농어촌에 소재하는 민박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우를 제외한다. 셋째, “목욕 장업”이라 함은 다음 각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손님에게 제공하는 영업을 말한다. 다만, 숙박업 영업소에 부설된 욕실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우를 제외한다. 넷 째, “이용업”이라 함은 손님의 머리카락 또는 수염을 깎거나 다듬는 등의 방법으로 손님 의 용모를 단정하게 하는 영업을 말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TN)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간호과정

    목차

    1. 신생아 소개
    2. 질병
    3. 간호 사정
    4. 입원 중 처치
    5. 진단검사
    6. 간호과정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신생아 소개

    이름

    성별
    남아
    나이
    39+1
    출생일

    입원일

    퇴원일

    진단명
    [주] TTN
    [부] Neonatal sepsis
    ASD, secundum
    Congenital pneumonia, unspecified
    PFO(patent foramen ovale)
    (R/O) Aspiration of amniotic fluid, newborn
    Hyperbilirubinemia, neonatal
    입원동기 및 질병 과정
    상기 신생아 퀸스에서 c/sec(d/t breech) 39+1wks 3440mg Apgar 9/10으로 출생한 환아로 출생 이후 tachypnea, moaning sign 지속적으로 보여 응급실 통해 입원함. O2 5L/min hood 투여하였고 증상 호전되지 않아 O2 5L/min vertical 유지하며 본원 응급실 경유하여 산소 끊고 산소포화도 99%, RR 68회/min 측정되어 보조산소 없이 NICU 입원하였으며 Nasal CPAP 치료 및 보존적 치료 시행함.

    2. 질병
    1) 정의 및 병태생리
    정상적인 태아는 필요한 영양이나 산소를 엄마의 태반을 통해 탯줄로 공급받으므로 엄마의 자궁 속에 있을 때 숨을 쉬지 않는다. 따라서 태아의 폐는 공기가 아닌 폐액으로 차 있는데, 출생 후 폐액이 흡수되고 호흡을 하게 된다. 그러나 간혹 폐액의 흡수가 지연되어 폐 속에 물이 남아 있는 경우에 호흡이 정상적이지 못하고 호흡곤란이 생겨 호흡이 빨라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를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TN)이라고 한다. TTN은 신생아의 호흡기 질환 중 비교적 흔하고 경한 질환으로서 주로 만삭아 및 만삭아에 가까운 미숙아에서 볼 수 있는 질환이다.
    출생 시 폐포 내에 있는 폐액의 흡수 지연, 경한 흉골 함몰, 경한 청색증, 산소요구량 FiO₂ 0.4 이하로 필요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기, 경산부의 아기, 산모의 마취에 의한 과 진정으로 복압이 감소된 경우, 둔위 분만, 주산기 가사, 산모의 당뇨병 등의 병력이 있는 경우에 발생빈도가 높고, 보존적인 요법으로 대부분 1-3일 이내에 흉부 X-선 소견의 호전을 보이고 임상적으로도 대부분 1주 이내에 호전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HACCP(해썹)의 개념 및 역사, 7원칙 12단계 과제, 레포트, 보고서 A+

    목차

    1 HACCP 의 개념
    2 HACCP 의 역사
    3 HACCP의 12단계 중 준비단계 5절차
    4 HACCP의 12절차 중 7원칙
    참고자료

    본문내용

    1. HACCP의 개념
    HACCP란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의 약자로 ‘해썹’이라 부르며 식품위생법에서는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이라 명시되어 있다. HACCP는 위해요소분석(HA : hazard analysis)과 중요관리점
    (CCP : critical control points)으로 나뉘는데, 먼저 위해요소분석이란 ‘식품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해요소와 이를 유발할 수 있는 조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이때, 위해란 인체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는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또는 포장에 존재하는 위험요소 가리키며, 생물학적 위해요소, 화학적 위해요소, 물리적 위해요소로 구
    분된다…<중 략>

    마지막 7원칙이자 12번째 절차는 문서화 및 기록유지이다. 기록유지는 HACCP 체계의 필수적인 요
    소이며, 운영근거의 확보를 위해 2년간 유지한다. 기록유지가 없는 HACCP 체계의 운영은 비효율적이
    며 운영근거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HACCP 계획의 운영에 대한 기록의 개발 및 유지가 요구되는
    것이다. 가장 좋은 기록유지 체계는 필요한 기록내용을 알기 쉽게 단순하게 통합한 것이다. 즉, 기록유
    지 방법을 개발할 때에는 최적의 기록담당자 및 검토자, 기록시점 및 주기, 기록의 보관 기간 및 장소
    등을 고려하여 가장 이해하기 쉬운 단순한 기록서식을 개발하여야 한다. HACCP 체계의 운영과 관련된
    기록목록의 예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료에는 규격에 적합함을 증빙하는 원료공급업체의 시험증명서,

    출처 : 해피캠퍼스

  • 출생순서, 유전적 요인, 학습 요인 등 성격 형성에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영화 및 드라마의 주인공, 또는 역사적 인물의 사례를 통해 성격 형성요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씀해 주세요.

    목차

    없음

    본문내용

    사람의 성격이란 그 사람이 어떠한 사물이나 상황을 대했을 때 일관적인 반응과 감정을 가지게 하는 그 개인의 심리적인 체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성격의 형성에는 선천적인 요소와 후천적인 요소가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야기되고 있으며, 성격의 발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유전적 요인과 더불어 후천적인 학습 요인이나 가정 환경 등이 개인의 성격을 형성하는 데 조력한다.
    성격의 개념 및 성격을 형성하는 요인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아볼 수 있도록 하겠다. 더불어 가상의 인물을 제시하고 그 인물의 성격을 분석함으로써, 여러 가지 성격 형성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해당 인물에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는지 본인의 소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후광효과에 대해 이론으로 정의하고 사례와 문제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세요.

    목차

    없음

    본문내용

    사람들이 새로운 누군가를 판단할 때 학벌, 사회적 지위, 외모에 따라 다르게 판단하기도 한다. 이를 심리학에서는 후광효과라 한다. 어떤 대상의 한 가지 측면이나 일부에 대한 평가가 그 대상의 일부나 나머지 전부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가리킨다. 후광은 대상의 신성함과 신비로움을 부각하는 역할을 한다. 특정 대상에게 객관성보단 호의적인 평가가 우선되게 한다.

    후광효과(Halo effect)란, 한 대상의 두드러진 특성이 그 대상의 다른 세부 특성을 평가하는 데도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다. 후광(後光)은 어떤 사물의 뒤에서 더욱 빛나게 하는 배경이라는 뜻이다. 영어 명칭을 따서 ‘헤일로 효과’라고도 불린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미래첨단소재 설계 레포트] 생체 세라믹 재료를 이용한 인공뼈 설계

    목차

    1. 서론 (설계 목적)
    1.생체 뼈의 구조 및 특성
    1.1생체 뼈의 구성성분
    1.2생체 세라믹스란?
    1.3.인공 관절 시장
    2.인공뼈 재료의 종류 및 특성
    2.1.생체 세라믹 재료의 필요성
    2.2.현재 사용되는 생체 세라믹의 문제점

    2. 본론-합성:목표 달성에 필요한 가능한 방법들을 제시
    3.인공관절 및 이식재로서 요구되는 특성
    3.1생체 세라믹의 장점을 이용한 설계방향 설정
    3.2분석:실험을 위한 설계를 하고 가능한 결과를 분석
    3.3제작:실제 제작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3.4재료설계
    3.5공정설계

    3. 결론-평가:설계자료 종합/논리력 평가
    4.생체 불활성의 다공질 섬유단상조직 구조 + 생체활성재료의 Coating의 장점
    5.설계 효과
    5.1구조적 측면
    5.2재료적 측면
    5.3생체적 측면

    4. [요약]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생체 뼈의 구조 및 특성
    1.1 생체 뼈의 구성성분
    뼈는 세포와 이들 세포 간에 존재하는 다량의 골 기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골 기질 대부분은 교원섬유로 구성된 유기질 성분과 칼슘으로 구성된 무기질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뼈의 생화학적 구성은 수분(15%), 아파타이트(세라믹, 50%), Ⅰ형 콜라겐(30%)과 다당류(5%)로 이루어진다.

    1.2 용어정리
    1.2.1 생체 세라믹스
    생체재료는 조직의 기능을 대체하기 위하여 체내에서 간헐적 또는 지속적으로 주위 조직과 직접 접촉하여 체액에 노출되는 인공적인 물질이다. 즉, 생체의 기능을 치환, 대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질을 말한다.

    1.2.2. 생체관련 세라믹스의 종류
    – 생체활성 : 세라믹스 중에는 생체 내에 매립되어 주위에 섬유성 피막을 전혀 만들지 않고 주위의 뼈와 직접 접촉하여 강한 화학결합을 이루는 것들을 의미한다. 이들 세라믹스 중에서 대표적인 것은 수산화아파타이트가 있다.
    단점이라면 자체의 기계적 강도가 매우 낮다는 것이 문제이다.
    – 생체 불활성 : 생체불활성 세라믹스는 생체활성 세라믹스와는 달리 생체 내에서 뼈와 직접 화학결합을 형성하지는 못하지만 매우 얇은 섬유성 피막을 경계로 결합한다. 생체불활성 세라믹스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알루미나(단결정, 다결정), 카본, 부분안정화 지르코니아 등이 있다.
    단점이라면 세포와의 계면에 생기는 섬유질 피막이다. 이식재료에 기공을 만들어 주면 체액과의 접촉 면적이 넓게 되어 조금이라도 부식이 되는 재료의 경우 부식된 부산물이 체내에 남아 있을 수가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조선시대의 문화

    목차

    1. 한글의 창제
    2. 역사서의 편찬
    3. 고려 왕조의 역사 정리
    4. 조선중기와 후기의 역사서 편찬
    5. 지리서와 윤리서
    6. 세종와 성종 때의 지리지
    7. 경국대전의 편찬
    8. 조선시대의 과학 기술

    본문내용

    세종 대왕은 한글을 널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용비어천가를 지었고요 훈민정음을 1443년에 제정하여 1446년에 반포하였습니다.
    용비어천가는 조선왕조의 창업을 칭송하고 왕조의 번영을 기원하는 악장이었습니다.
    훈민정음을 창제한 후 불교의 경전인 불경, 농업서적인 농서, 윤리서, 병서 등을 한글로 번역하거나 편찬하였는데요 한글의 보급은 유교주의 교육과 지식 보급에 크게 기여하였고 국문학의 발전에도 크게 이바지하였습니다.
    한글이 창제된 이후 서리들로 하여금 훈민정음을 배워 행정 실무에 이용하게 하였고요 관리들의 채용에 훈민정음의 시험을 치르게 하기도 하였습니다.
    한글이 창제된 이후 한문을 알지 못하는 일반 백성들도 문자 생활을 누릴 수 있는 길이 열렸고요 민족 문화의 기반이 더 넓고 확고해졌습니다.

    역사서의 편찬
    조선은 건국된 이후 왕조의 정통성에 대한 명분을 내세우고 성리학적 통치 규범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역사서의 편찬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됩니다.
    역사서의 편찬은 국가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데요 건국 초기에 편찬된 역사서로는 정도전의 고려국사를 비롯하여 권근의 동국사략 등이 있습니다.
    정도전의 고려국사는 태조시기에 편찬이 되었고요 권근의 동국사략은 조선태종때에 편찬이 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왕이 죽은 후에는 한 왕대의 역사를 후세에 남기기 위한 실록을 편찬하였는데요 국왕이 죽은 후에는 바로 춘추관을 중심으로 실록청을 설치하고 관련 자료를 종합하여 실록을 편찬하였습니다.
    조선시대의 실록은 태조 실록 이후 조선 말기까지 계속 편찬되었는데요 고종과 순중시기의 실록은 없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