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생물학 보고서 – 기계심장과 전기심장

    목차

    Ⅰ. 기계심장
    1) 심장 구성
    1. 심방과 심실
    2. 판막
    3. 혈관
    2) 폐순환과 체순환
    3) 관상동맥 순환
    4) 간문맥계
    5) 관련질환

    Ⅱ. 전기심장
    1) 심장 박동 요소
    1. 심근
    2. 개재판
    3. 결절
    2) 심장 주기
    3) 관련 질환

    Ⅲ.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기계 심장
    A. 심장 구성
    i. 심방과 심실
    심장은 총 네 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당 신체의 주인 시점에서 왼쪽에 위치한 두 개의 공간을 각각 좌심방과 좌심실, 오른쪽에 위치한 두 개의 방을 우심방과 우심실이라고 명명한다.
    심방은 심장으로 들어오는 피를 받는 곳으로 정맥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심실은 동맥과 직접 연결되어 심방으로부터 받은 혈액을 모아 내보내는 부분이다.

    ii. 판막
    심방과 심실은 분리되어 각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때 혈액이 역류하면 원활한 순환이 일어나지 못해 관련 질환을 야기한다. 따라서 역류를 막기 위해 판막이 존재한다. 크게 반월판과 방실판,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한양대학교 에리카 일반물리학실험1 / 8. 각운동량 보존 (A+)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이론 및 원리
    4. 장치 및 방법
    5. 실험 결과
    6. 분석 및 토의
    7. 결론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 제목
    각운동량 보존

    2. 실험 목적
    이전의 실험에선 선운동량이 보존됨을 확인하였었다. 해당 실험에서는 이와 비슷하게 회전하는 물체에 대해 충돌 직전과 직후의 각운동량이 보존됨을 각각 낙하 물체를 다르게 하여 확인해본다. 또한 낙하로 인해 발생하는 충돌이 어떤 충돌인지 알아보고 회전 에너지 변화율도 구해본다.

    3. 이론
    3-1) 병진 운동과 회전 운동
    병진 운동이란 강체의 모든 부분이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운동을 의미한다. 여기서 강체란 외력을 가하더라도 크기나 형태가 변하지 않는 이상적인 물체를 뜻하며, 아주 큰 힘을 받지 않는 한 부서지지 않는 대부분의 고체들은 강체로 간주된다. 병진운동에서 표현 가능한 물리량에는 위치(x)와 위치에 대한 시간의 변화율에 해당하는 속도 (dx/dt=v) 속도에 대한 시간의 변화율에 해당하는 가속도 (dv/dt=a)가 존재한다. 회전 운동은 물체가 어느 한 공간에서 회전축인 어떤 한 직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팽이나 선풍기의 프로펠러 등이 이러한 회전 운동에 포함된다. 병진 운동을 하는 물체가 물체의 빠르기를 나타낼 때 속도를 사용하듯이 회전 운동을 하는 물체 또한 이에 대해 각속도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처럼 병진 운동과 회전 운동 사이에 대응되는 물리량들이 존재한다. 서로 대응되는 대표적인 물리량들은 아래와 같다.

    <중 략>

    3-3) 돌림힘
    돌림힘은 토크(τ), 모멘트라고 하며 물체를 회전 시키는 효력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회전 운동에서의 힘의 역할은 각가속도를 생성한다는 것에 있다. 힘 F ⃗가 물체를 얼마나 회전시킬 수 있는지는 접선 성분의 크기 F_t뿐만 아니라 힘을 가하는 점이 원점으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있는 가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이렇게 두 인자를 모두 고려하여 토크(τ)를 τ=r*Fsin∅ 로 정의한다. 토크는 다음의 두 방법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1) τ=r*Fsin∅=rF_t (2) τ=rsin∅*F=r_⊥ F
    r_⊥는 F ⃗의 연장선과 회전축 사이의 수직 거리를 의미하고 이때의 연장선을 F ⃗의 작용선이라고 한며, r_⊥는 F ⃗의 모멘트팔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한양대학교 에리카 일반물리학실험2 / 1. 멀티미터와 오실로스코프의 사용법 실험 데이터 (A+)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이론 및 원리
    4. 장치 및 방법
    5. 실험 결과
    6. 분석 및 토의
    7. 결론
    8. 참고문헌

    본문내용

    3-3)저항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로 도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세기 성질에 해당한다. 도체의 저항은 두 점의 퍼텐셜 에너지 차이가 V일 때 흐르는 전류 i를 측정하여 결정되며, 이때의 저항 R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V/i
    저항의 SI단위는 V/A이며 Ω(ohm) 으로도 표현한다. 또한 저항은 도선의 길이 L에 비례하고 단면적 A에 반비례하는데, 이를 통해서 아래의 식과 같이도 표현이 가능하다.
    R=ρ L/A (ρ: 비저항)

    토의 6-2. 옴의 법칙 유도
    옴의 법칙은 V=IR로도 표현되지만, J=σE(J: 전류밀도 σ:전기전도율,E:전기장)으로도 표현되는데, 해당 식의 유도 과정은 다음과 같다. 앞서 전류는 단위시간당 단위 면적을 통과하는 전하량의 변화로 정의 된다고 하였다. (I=∆Q/∆t) 여기서 우측 항의 분자인 전하량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qN_e (∆tvA)
    위의 식은 단위 시간 동안에 일정한 부피 안에 들어있는 전하의 총 개수의 변화로 볼 수 있는데, ∆tv가 거리를 의미하며 면적A를 곱해주면 부피가 되고 N_e는 전하의 개수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해당 식에서 양변을 ∆t로 나눠주게 되면 전하의 전류의 정의에 대한 식이 다음과 같이 나오게 된다.
    I=∆Q/∆t=qN_e vA

    출처 : 해피캠퍼스

  • [생기부][수시][학생부종합전형][자율활동] 학생 특성을 잘 살린 교내활동 자율활동 특기사항 예시 특색활동

    목차

    1) 전통예절교육
    2) 장애이해교육/장애인식개선교육
    3) 심폐소생술/약물 오남용예방/ 감염병예방교육
    4) 리더십수련회(학급임원)
    5) 문학기행/토론캠프/인문학캠프
    6) 독도캠페인

    본문내용

    1) 전통예절교육
    전통예절교육에서 역사 강연을 통한 인성교육을 받고 지역 문화재에 대해 깊은 이해를 하는 계기가 됨. 이를 바탕으로 심신을 다스릴 수 있다는 다도 예절에 대해 알아보고 실천 의지를 보임.

    전통예절교육에서 배운 내용을 직접 경험한 것과 접목하여 이해하고 이를 실습하는 과정에서 빠른 습득력을 보임. 성역지 탐방의 역사 퀴즈에 빠짐없이 대답하며 뛰어난 지식과 관심을 드러냄. 단편적인 지식의 나열이 아닌 진로와 연계하여 옛 건축물의 특징과 모양새를 유심히 살피고, 전통과 현대 문명을 비교 분석하는 예리한 감각이 있음.

    전통예절교육에 참가하여 예절 교육 강의를 수강함. 전통예절교육 강의를 통해 인사 예절인 절을 하는 방법을 배움. 절을 하는 행동을 통해 상대방에 대한 존중과 예의를 표할 수 있음을 배웠음. 전통 예절 교육을 통해 전통문화의 소중함을 익히고 상대방을 존중하고 예절을 지키는 방법과 태도를 익힘. 또한 지역 문화 탐방을 통해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었음.

    전통예절교육에서 친구들과 함께 평소 입어 보지 못하는 한복도 입어보고 충렬사 관내의 곳곳을 탐방하고 참배를 하면서 임진왜란으로 목숨을 잃은 순국선열을 통해서 애국심을 고취할 수 있었다는 활동지를 제출함.

    전통예절교육에서 한복을 입고 올바르게 절하는 방법을 배우며 전통예절을 열심히 습득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돋보임.

    전통예절교육에서 적극적으로 절하는 방법과 한복을 입고 앉는 방법 등 전통예절을 숙지하여 자신의 일상에 스며들도록 함.

    전통예절교육에서 친구들과 함께 한복을 입고 당시 여인들의 생활의 불편함과 선조들의 삶의 지혜를 두루 학습하고 충렬사 곳곳의 안내를 듣고 참배를 하면서 임진왜란으로 목숨을 잃은 선국선열에 대한 고마움과 감사 하는 마음을 담은 활동지를 제출함.

    출처 : 해피캠퍼스

  • [생기부][수시][학생부종합전형][자율활동] 학생 특성을 잘 살린 교내활동 자율활동 특기사항 예시 핵심본

    목차

    1) 체육대회
    2) 합창대회
    3) 현장체험학습(수련회/수학여행/소풍)
    4) 학예전

    본문내용

    1) 체육대회
    체육대회에서 응원단장 역할을 자진하여 이벤트가 있을 때마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다양한 춤을 추며 사기를 돋움. 어려운 상황에도 포기하지 않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전달하며 모두가 끝까지 최선을 다하게끔 이끌어 학급 팀워크를 높이는데 기여함. 본인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포기하지 않는 마음가짐을 보여줌. 이러한 경험을 통해 끈기 있는 노력과 이타적인 태도, 그리고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배우고 현실에 적용함.

    체육대회에서 자신의 종목에 열심히 참가할 뿐만 아니라 급우들에게 춤을 가르쳐주며 응원 단장으로서의 역할도 함께 수행함.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며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임. 또한, 안무를 직접 제작하여 특별 무대를 선보여 전교생에게 엄청난 호응을 받음.
    체육대회에서 자신의 종목에 열심히 참가하고 팀원들과 협력하고 배려하며 신체적 능력을 기르며. 이를 통해 협동심을 강화함.

    체육대회에서 자신의 종목에 열심히 참가하고 협동심을 발휘하여 전체적인 화합을 이끌고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일조함. 이런 노력은 학급의 단합을 도우는데 큰 기여를 하고 협동심을 더욱 강화함.

    체육대회에서 적절한 타이밍에 전략을 세우고 실행하여 팀의 성적을 높이는 데 기여함. 피구에서의 뛰어난 실력을 보임. 협력하고 협동하는 자세를 보여줌.

    체육대회에서 전날 플랜카드와 응원 도구를 직접 만들어 학급에 큰 기여를 함. 어떠한 순간에도 좌절하지 않고 끈기와 인내력으로 학급의 협력을 이끌어냄으로써 리더로서의 자질을 보임.

    체육대회에서 쉬는 시간마다 작전회의를 통해 급우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전략을 세우고, 충돌이 있을 뻔한 상황에서 중재하여 협업능력과 갈등 해결 능력을 확인함.

    체육대회에서 응원 현수막 제작, 이어달리기, 줄다리기 등의 행사를 주도함. 특히, 현수막 제작 중 급우들이 지치기 시작했을 때, 희생하며 그림을 그려 배려심과 나눔의 정신을 보여주었고, 이어달리기와 줄다리기에서 전체 팀원들이 협력하며 활동할 수 있도록 구호를 외치며 팀의 분위기를 이끎.

    출처 : 해피캠퍼스

  • 한양대학교 에리카 일반물리학실험1 / 7. 회전관성 (A+)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이론 및 원리
    4. 장치 및 방법
    5. 실험 결과
    6. 분석 및 토의
    7. 결론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 제목
    회전 관성

    2. 실험 목적
    추와 회전 장치를 연결하면 추가 등가속도 운동인 자유낙하 운동을 할 때 회전 장치는 등각가속도 운동을 하게 된다. 각가속도를 측정하여 물체에 작용하는 가속도를 구해보고, 관계식을 통해 최종적으로 Ring, Disk, 회전 장치 각각의 회전 관성을 구해본다. 그 후 이론 값과 비교하여 오차 값을 계산하고 회전 관성에 대해 이해해본다.

    <중 략>

    3-2) 회전 관성
    회전 운동에너지를 구할 때는 운동 에너지 공식을 회전 운동으로 바꿔서 표현해야한다. i번째 질점의 운동에너지는 K_i=1/2 m_i v_i^2이고 v=rω로 표현이 가능하므로 이를 전체 운동에너지로 표현해주면 K=∑▒K_i =1/2 ω_i^2 ∑▒〖m_i r_i^2 〗 이고 여기서 ∑▒〖m_i r_i^2 〗를 회전 관성 (I) 라고 한다. 즉,K=1/2 Iω^2이며 병진 운동에서의 질량m이 회전 운동에서의 회전 관성 I와 대응됨을 알 수 있다. 즉, 질량이 얼마나 직선 운동을 일으키기 어려운가를 나타내는 척도라면 회전 관성은 얼마나 회전 운동을 일으키기 어려운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회전 관성이란 관성 모멘트 라고도 하며 회전체의 질량이 회전축에 대하여 어떻게 분포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물리량이다. 물체가 회전 운동을 하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려는 성질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회전 관성이 작다면 물체를 회전 시키기 쉬움을 의미하고 회전 관성이 크다면 물체를 회전 시키기 어려움을 의미한다. 동일한 물체더라도 회전축에 따라 회전 관성의 값이 달라질 수 있다. 강체가 몇 개의 입자로 구성돼 있을 때는 위처럼 ∑▒〖m_i r_i^2 〗으로 정의되지만, 강체가 연속적인 입자로 구성돼 있을 때는 I=∫▒〖r^2 dm〗 으로 정의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한방 case (뇌경색) 간호진단 3개포함됨. 한의학적 사정 포함됨

    목차

    Ⅰ. 문헌적 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예후/합병증
    6. 양방치료
    7. 한방 치료

    Ⅱ. 자료수집
    1. 간호력
    2. 건강정보
    3. 신체검진
    4. 임상검사 소견
    5. 낙상위험검사
    6. 망문문절/ 설진
    7. 사상체질
    8. 투약 처방
    9. 침구 혈자리 및 한방행위

    Ⅲ. 간호과정 적용
    1. 의미 있는 자료수집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및 중재

    Ⅳ. 참고문헌

    V. 교육자료

    본문내용

    Ⅰ. 문헌적 고찰 :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1) 정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뇌혈관에 폐색이 발생하여 뇌에 공급 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뇌 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목 부분에 있는 경동맥, 척추-기저동맥부터 우리 뇌 안에 있는 아주 작은 지름의 동맥까지 어떤 혈관이든 막힐 수 있다. 이 로 인해 혈관이 지배하던 부위의 뇌가 괴사하여 지속적인 증상이 남는다. 뇌혈류 감소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뇌조직의 괴사가 시작되고,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 이를 뇌경색이라고 한다.

    2) 원인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으로 인해 뇌에 혈 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죽상경화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뇌혈류 가 차단되는 경우이다. 그 외에 심장부정맥, 심부전 및 심근경색 의 후유증 등으로 인하여 심장에서 생성된 혈전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다가 뇌혈관을 막아서 발생하기도 한다.

    3) 병태생리
    -뇌혈전증
    고혈압이 있는 환자들은 혈관 내벽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며 고지혈증까지 동반되면 혈관은 아주 위험한 상태가 됩니다. 동맥경화증이 생기며 혈관 내벽이 두꺼워 지면서 혈관의 내경이 좁아지게 됩니다.

    <중 략>

    현병력 (입원 기록)
    – 2018년 여름 경 양팔 소력감 및 떨림 증상 발생하여 local visit. Steroid inj Tx 경과 관찰하던 중 2018 10. 몸 가누지 못하고 왼쪽으로 쏠리는 증상 발생. Brain damage 의심하여 2018.10.18. NS visit 당시 compression Fx Osteropoosis 관하여 재활 치료 후 2018.12.3.-2019.2.2. 본과 Adm Tx 후 자가 보행 가능한 채로 퇴원하여 cane 자가보행 가능하던 중 2020.10.2. 특이 trauma Hx 없이 양손 떨림 및 몸 가누지 못하여 보행 불가능해지고 숨이 들이 쉴 때 악화되는 back pain 발생

    출처 : 해피캠퍼스

  • 한양대학교 에리카 일반물리학실험1 / 6. 탄도진자 운동 (A+)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이론 및 원리
    1) 질량 중심
    2) 용수철의 복원력
    3) 운동량 보존 법칙과 비탄성 충돌
    4)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
    5) 단순 조화 운동과 진자 운동

    4. 장치 및 방법
    1) 실험 장치
    2)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1) 스프링의 발사 강도가 2단일때의 각각의 측정값과 계산값
    2) 스프링의 발사 강도가 2단일때의 각각의 측정값과 계산값

    6. 분석 및 토의
    1) 스프링 발사 강도가 2단일 때
    2) 스프링 발사 강도가 3단일 때
    3) 토의

    7. 결론

    본문내용

    1.실험 제목
    탄도 진자 운동

    2.실험 목적
    스프링의 발사 강도를 각각 2단, 3단으로 하여 Steel ball 의 발사 속도와 Pendulum의 회전 각도를 직접 측정해본다. 탄도 진자 운동의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과 충돌에서의 운동량 보존 법칙을 통해 Steel ball 의 발사 속도와 Pendulum의 회전 각도를 직접 계산 해보고 측정값과 비교해본다.

    3.이론 및 원리
    3-1)질량 중심
    질량중심점이란 물체 전체의 질량의 중심점으로 모든 외부력이 그 점에 작용하는 것처럼 보이는 특별한 점이다. 실생활에서 어떤 물체가 포물선 형태를 그리도록 앞으로 던지게 된다면 물체의 운동에 대해 포물선 궤도를 따르는 어느 한 특별한 점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점이 질량 중심에 해당된다. 모든 외부력이 그 점에 작용하는 것처럼 보이는 특별한 점이기 때문이다. 물체의 질량 중심이 아닌 다른 점들은 포물선 궤도와는 다른 궤도를 그리며 나아가게 된다.

    그렇기에 해당 실험에서 높이의 변화량을 구할 때 Pendulum의 질량 중심점을 기준으로 잡고 그에 대한 높이의 변화량을 측정한다. 입자계에서 두 개의 입자 사이에서 만약 두 입자의 질량이 같다면 두 입자의 질량 중심점은 정확히 두 입자 사이의 가운데에 해당할 것이다. 만약 두 입자 사이의 질량비가 2:1이라면 두 입자의 질량 중심점은 두 입자 사이 거리를 3등분한 지점 중 첫 번째 지점에 해당할 것이다. 이를 통해 두 입자 사이에서의 질량 중심에 대한 공식을 유도해볼 수 있다.
    x_com=(m_1 x_1+m_2 x_2)/(m_1+m_2 )=(m_1 x_1+m_2 x_2)/M
    두 입자를 x축에 대해 놓았을 때 x 값들은 각각의 입자의 좌표에 해당하고 x_com은 질량 중심의 좌표에 해당한다. 만약 x축에 대해 n개의 입자들이 존재한다면 각각의 질량과 좌표값에 대해 m_1 x_1,m_2 x_2….m_(n-1) x_(n-1),m_n x_n으로 표현이 가능하고..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 환자 교육자료 (치매환자 대상 교육프로그램 계획서)

    목차

    활동요법 목적 및 효과
    활동구성 (도입.전개.결론)
    실제로 실시하고 난후의 소감

    본문내용

    대상 지역사회 치매안심센터 이용중인 경증 치매환자 8명 내외
    활동요법 목적 및 효과
    전체적 목적: 대상자는 활동요법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 수준을 향상시킨다.
    구체적 목적
    1. 대상자는 소근육 대근육 운동을 통해 운동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2. 대상자는 집단 오락활동 과정에서 인지기능과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3. 대상자는 집단활동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타인에 대한 감정을 이해할 수 있다. 4. 대상자는 오락요법을 통해 대상자들과의 친밀감 사교성 유대감을 증진시키고,
    사회성을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효과
    치매 진행속도가 늦춰질 수 있다. ->CDR 척도 점수(치매환자의 전반적 인지 사회적 기능평가도구)
    노인우울을 예방할 수 있다. ->GDS척도 점수(노인우울척도)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간호 case (조현병) 간호진단 5개포함

    목차

    1. 문헌고찰-schizophrenia
    1) 정의 및 발달과정
    2) 원인 및 정신역동
    3) 임상적 특성
    4) 질환분류
    5) 간호

    2. 간호진단
    1) 주관적 /객관적 자료

    3.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schizophrenia
    1. 정의 및 발달과정
    심한 신경 생물학적 부적응 반응으로 주요 뇌의 기능인 인지, 지각, 감정, 행동, 사회적 활동이나 대인관계 등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정신질환이다. 심각하고 지속적인 뇌질환으로 정신병적 행동뿐만 아니라 구체적 사고와 정보처리, 관계설명, 문제 해결 등의 어려움을 초래하는 질병이다. APA(미국 정신의학협회)는 조현병이란 ‘지적, 정서적, 행동적 장애가 다각도로 혼합되어 현실관계와 개념형성에 기본적 장애를 나타내는 정신증적 반응군’이라고 정의 내리고 있다.
    – 조현병은 인종, 종족집단, 성별에 관계없이 발생하며 대부분 후기 청소년기 또는 성인 초기에 진단받게 된다. 조현병의 평생 유병률은 전체 인구의 약 1%로 추정되며 세계적으로 거의 동일하다.

    2. 원인 및 정신역동
    ∎생물학적 요인
    1) 유전적 요인 :
    조현병 환자 형제의 조현병 평생 유병률은 10% 정도이고 한족 부모가 조현병인 경우 그 자녀의 발병률은 5-6% 정도이다. 한쪽 쌍생아에게 조현병이 발병했을 때 나머지 쌍생아에게 발병할 확률인 일치도는 일란성일 시 이란성인 경우보다 4배가 높다는 보고가 있다.
    2)신경화학적 요인 :
    [도파민 이론]
    도파민의 활성 과다로 인해 조현병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으로 도파민 과잉활동은 신경말단에서 도파민의 생성이나 유리증가, 수용체의 민감성 증가, 도파민 수용체의 과잉, 또는 이런 기전들이 서로 맞물려 발생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