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Obstructive ileus_(A+, 질병기술, 병태생리, 건강사정, 약물, 검사,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2개 포함)

    목차

    1. 질병 기술
    1) 문헌고찰: 소화기계 구조와 기능
    2) 장폐색의 정의
    3) 원인과 위험요인
    4) 병태생리
    5) 증상 및 징후
    6) 진단검사
    7) 치료 및 간호

    2. 응급실 환자 간호 Critical pathway 보고서
    1) 응급실환자 건강사정
    2) 임상진단검사
    3) 투약
    4) 처치 및 진료방안
    5) 진료 후 결정

    3. 간호과정
    1) 가능한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적용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소화기계 구조와 기능
    소화계통은 연관된 기관들과 함께 소화관을 구성한다. 소화관은 인두, 입안, 식도, 위, 소/대장, 항문으로 이루어져 있고 소화와 관련된 샘들이 달려있다. 침샘은 입안으로 열려있고 간과 이자는 소장과 연결되어 있다. 이 관은 입과 항문으로 열려있고 외부 환경과 연결된다. 따라서 관 내로 들어온 음식에는 유용한 영양소뿐만 아니라 세균과 같이 유해한 것이 포함돼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소화관의 안쪽 면은 소화할 수 없는 물질이나 몸에 유해한 것들에 대한 방어 장벽과 같은 역할을 하고 영양분을 소화관의 벽을 가로질러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영양분이 소화관 벽을 가로지르면 순환계통으로 들어가 전신의 조직으로 들어갈 수 있다.
    소화관의 여러 부위는 각각의 기능에 특화돼 있다. 대부분의 소화관은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 또는 바깥막의 네 층으로 구성된다.

    2. 장폐색의 정의
    장이 부분적 혹은 완전히 폐색되어 소화액, 음식물, 가스 등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대부분의 폐색은 소장의 회장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대개 응급수술이 요구된다. 기계적인 원인으로 인해 장이 막히는 경우는 기계적 장폐색(mechanical obstruction)라고 하고, 장의 운동이 중지되어 기능적으로 폐쇄되는 경우에는 마비성 장폐색(paralytic ileus)라고 한다.

    장폐색의 위치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소장 폐색
    – 대부분의 장폐색이 소장에서 발생한다.
    – 이전에 수술을 받은 후 생긴 장유착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 강력한 복부의 통증이 발생한다.
    – 세균증식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설사를 호소한다.

    대장 폐색
    – 대장암과 같은 악성종양이나 염증성 장 질환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 통증이 약하고 서서히 진행된다(맹장의 경우 소장과 같이 급격하게 심한 통증이 나타나기도 함).
    – 결장의 골반후만곡에서 섭취물이 이동하지 못하여 변비를 호소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한국 가족복지정책과 선진복지국가의 가족복지정책 비교 및 발전 방향 제시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우리나라의 다양한 가족 형태에 따른 복지정책
    2. 선진복지국가의 가족 복지정책

    Ⅲ. 결론

    본문내용

    가족복지는 가족의 욕구와 문제에 대응하는 것으로, 2000년대부터 우리나라는 출산율 감소, 이혼율, 독신가구가 증가하고 급속히 노령화 사회가 되면서 가족복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가족복지의 필요성은 ①가족의 기능 약화, ②가족에 대한 개입의 관저 변화, ③다양한 가족 형태의 등장과 욕구의 다양화 ④사회문제 해결 단위로서 가족의 유형성이 있다.
    가족 복지정책은 가족 성원과 가족이라는 하나의 단위에서 표출되는 욕구를 지원, 보충, 대체하는 기능을 담당함으로써 가족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국가 개입적 활동이다. 사회의 기본단위인 가족의 복지를 증진함으로써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이상적 사회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양한 가족 형태에 따른 복지정책과 선진국가복지 정책을 살펴보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사회복지 대상자 사례연구 예시

    목차

    없음

    본문내용

    성명
    ○○○
    생년월일
    0000. 00. 00
    사례개요
    보호자와 아들며느리와 함께 거주하고 계시나 가족농장을 운영하고 계셔서 어머님을 돌보기가 힘든 상황이어서 주간보호센터를 방문하셨음.
    목욕서비스와 병원방문, 이·미용서비스와 말벗 및 저녁식사도움 서비스를 요청하시고 주 6일 돌봄 서비스를 원하셨음. 치매정도가 점점
    악화되고 있어 걱정하시며, 반복적인 언어와 배회를 하심.
    사례회의
    (내 용)
    1. 반복적인 언어(집에 가자, 밥 먹자, 우리 아저씨 어디 있어~)의 사용.
    (어머님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질문을 많이 하기)

    2. 화장실을 5분 간격으로 자주가심.(화장실 가자. 급해~)
    (방금 전 화장실 다녀온 내용을 전달하고 병원치료병행하기)

    출처 : 해피캠퍼스

  • MI_(A+, 질병기술, 병태생리, 건강사정, 약물, 검사, 간호진단, 간호과정 포함)

    목차

    Ⅰ 간호과정 사례보고서
    Ⅱ 건강 사정 도구(NANDA)

    본문내용

    1. 질병기술
    1) 원인

    ▲대한심장학회 심장의 기능과 구조
    심장의 주요 기능인 충분한 혈액 박출을 위해 심근에 혈류가 부족하게 되면 심장 전체의 전기적 자극 전도의 변화가 생겨 우리 몸이 요구하는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한다. 심장근육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은 대동맥 판막 바깥 쪽 대동맥 뿌리 부분에서 시작되어 좌우 2개의 관상동맥이 있으며 좌관상동맥은 좌주관상동맥에서 시작하여 좌측전하행가지와 좌회선지의 두 개의 큰 혈관으로 갈라져 좌측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며 우관상동맥은 하나의 큰 가지로 우측 심장을 둘러싸서 혈액을 공급한다. 이러한 관상동맥이 죽상경화증을 포함한 혈관장애로 인해 내강이 좁아짐으로써 심근에 허혈을 초래해 충분한 양의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게 된다. 협심증은 관상동맥질환의 가장 흔한 형태이며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인해 심근에 혈액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허혈상태와 심한 흉통이 동반된다.
    심근의 허혈상태에 따라 크게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pectoris), 불안정형 협심증(unstable angina), 이형성 협심증(variant angina)로 나뉜다. 안정형 협심증은 만성적으로 좁아진 관상동맥의 상태에서 발생을 하며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나 운동을 하거나, 과식, 추운날씨, 흡연으로 인해 유발되며 활동의 정도가 증가할 때 발작적인 흉통을 초래한다. 불안정형 협심증은 협착된 관상동맥이나 혈전에 의해 좁아진 관상동맥을 막아 발생하며 심근의 혈류량이 예고없이 심각한 정도로 감소하기 때문에 흉통을 예측할 수 없으며 심근경색 전 협심증이라고도 한다. 이형성 협심증은 일시적인 관상동맥의 경련에 의하여 혈관이 좁아져서 발생하는 협심증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건축기사 필기시험 한번에 합격한 자료] 건축시공 정리본

    목차

    1장 총론 및 관리
    2장 가설공사 및 지반공사
    3장 토공사 및 기초공사
    4장 철근콘크리트 공사
    5장 철골공사
    6장 조적공사
    7장 목공사
    8장 지붕 및 방수공사
    9장 미장 및 타일공사
    10장 창호 및 유리공사
    11장 도장, 합성수지, 금속 및 커튼월 공사
    12장 건축적산

    본문내용

    1.1 건축시공의 개요
    ■ 건축생산의 3大관리, 3S system
    건축생산 3대 관리 목표 3S System
    원가 관리
    공정 관리
    품질 관리
    작업의 표준화 (Standardization)
    작업의 단순화 (Simplification)
    작업의 전문화 (Specialization)
    ■ 건축공사 관계자와 업무
    구분 업무
    건축주 공사시행주체, 발주자, 직영공사에서의 공사수행 주체
    개인, 기업주, 법인, 공공단체, 정부가 될 수 있다. 설계자
    자신의 책임하에 설계도서를 작성하고 설계도서의
    의도를 해설, 지도, 자문하는 자
    감리자
    건축물의 설비, 공작물이 설계도서대로 시공되는지
    여부를 확인 감독하는자
    관리자 건축주나 도급자에게 고용되어 공사관계 업무를 담당하는 자
    ■ 감리자의 업무
    – 건축자재의 확인과 품질시험의 실시, 시험성과의 검토, 확인
    – 시공방법의 지도, 공사의 지시, 공사진도 파악 및 시공계획, 공정표의 검토
    – 구조물의 위치, 규격의 적정성여부 확인 및 공사관리, 설계변경의 적정 여부 확인
    – 공사비 내역 명세조사, 공사비 지불조사 및 사정, 상세시공도면의 검토 확인
    – 공사현장의 안전관리 실시여부의 지도, 감독
    ■ 도급자의 종류
    구분 정의
    원도급자 건축주와 직접 도급 계약을 체결한 자
    재도급자 원도급자와 도급공사 전부를 수행하기로 계약을 맺은 자
    하도급자 원도급자와 도급공사 일부를 수행하기로 계약한 자
    ■ 건설노무자
    구분 정의
    직용노무자 원도급자에게 직접 고용, 잡역 등 미숙련자가 많다. 정용노무자 전문업자, 하도급자, 도편수의 기능노무자 등 숙련공
    임시고용노무자 날품노무자, 보조노무자로 임금이 싸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scending colon cancer_(A+,질병기술, 건강력, 약물, 검사, 간호진단 5게, 간호과정 2개 포함)

    목차

    1. 간호과정 사례보고서
    2. 건강 사정 도구(NANDA)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질병 기술 – Ascending colon cancer
    (1) 원인
    확실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은 위험인자를 제시할 수 있다.

    결장직장암 위험요인
    ● 50세 이상
    ● 가족력
    가족성 선종성 용종(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FAP)은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며 결장직장에 발생하는 용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40세까지 거의 100% 암으로 발전함.
    ● 궤양성 대장염의 과거력
    ● 진단 8~12년 후 위험 증가
    ● 대장 용종 또는 선암
    ● 흡연
    ● 서구화된 식습관 (저섬유, 고지방 식이)
    저섬유소 식이: 소량의 변을 형성해 장을 통과하는 시간이 지연돼 대사, 장내세균의 최종 산물인 발암 물질과 장 점막의 접촉 시간이 증가함
    고칼로리 지방 식이, 육류의 과도한 섭취
    ● 비만

    (2) 병태생리
    결장암은 대부분 *선종성 용종에서 시작해 악성이 됨에 따라 장 안에서 그 크기가 증가하고 장벽애 침윤하여 순환계나 림프계로 퍼지기 시작한다. 용종이 악성이되기까지 약 5~12년 정도 소요된다. 결장직장종양의 정맥혈류가 문맥으로 흐르기 때문에 주로 간으로 침범한다. 악성 종양의 침범은 위장에서부터 횡행결장까지 인접해있는 기관에는 직접 침범함으로써, 간으로는 혈액, 림프를 통해서, 복강으로는 암세포가 직접 퍼지거나 이식돼 이루어진다. 방광이나 요관, 생식기관 또한 직접 침범되고, 방광과 장 사이 혹은 장과 질 사이에도 누공이 생기며 혈액을 통하여 폐, 콩팥 및 뼈까지 전이되기도 한다.
    Dukes 분류, TNM 분류를 사용해 단계를 결정하는데, 이는 종양의 침윤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3) 임상증상
    ● 종종 무증상이고 우연히 진단됨
    ● 대변에 잠혈 또는 직장 출혈
    ● 부분적 장폐색 증상
    ● 배변 습관의 변화(변비 또는 설사)
    ● 연필같이 가늘거나 리본같이 부분적으로 굵고 가는 대변
    ● 배변 후에도 장이 비워지지 않은 느낌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EM C-sec_(A+, 질병기술, 건강력, 약물, 검사, 간호과정 포함)

    목차

    Ⅰ. 산부간호 자료수집 양식
    Ⅱ. 간호과정

    본문내용

    작성일: 2022.11.16 작성자: SN
    1) 일반적 배경
    성명: 박○○ 연령: 32세 종교: 무교
    교육정도: 대졸 결혼상태(결혼기간): 기혼(3년)
    직업: 주부
    진단명(임신기간): emergency cesarean delivery(38주 6일)
    (수술 전 진단명: antenatal care for high risk pregnancy)

    2) 입원 시 상태 (2022.11.14. 16:10 입원)
    임신기간: 38주 5일
    C.C: 익일 C/S하러 입원옴.
    Vital signs(T: 36.5℃ P: 96회/min R: 20회/min BP: 130/83mmHg)
    체중: 71.85kg * 임신 전: 67kg, 임신 중: 71.85kg
    신장: 164.6cm
    검사소견: Hb 11.3▼(11/02) → 11.5▼(postop-11/16)
    Hct 33.4▼(11/02) → 35.0▼(postop-11/16)
    단백뇨(-) 성병(-)
    자궁저부 높이: 사정하지 못함.

    3) 건강력
    ① 가족력(심장병, 당뇨병, 고혈압, 천식, 다태임신, 제왕절개수술 등)
    부: 유(간암으로 사망)
    모: 무
    형제: 무

    ② 과거 병력(부인병력 포함): Hemangioblastoma(2022.08 진단)
    → 수술력: Hemangioblastoma removal op(2022.08.03. -타 병원)

    4) 과거 산과력
    Gravida: 1
    Parity(TPAL): Term: 0, Preterm: 0, Abortion: 0, Living children/Ages: 0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Bipolar disorder_(A+, 질병기술, 건강력, 약물, 검사, 간호과정 포함)

    목차

    1. 질병기술

    2. 간호과정
    1) NANDA 사정양식
    2) 정신과적 병력청취
    3) 정신상태 검사
    4) 약물요법의 부작용 관찰과 간호
    5-1) 심리검사
    5-2) 기타 검사
    6) 가족사정
    7) 간호진단과정
    8) 간호계획

    3. 환자관찰 보고서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양극성장애(bipolar disorder)
    양극성 장애는 조증 삽화와 우울 삽화를 모두 나타내거나 조증 삽화만을 나타내는 정신장애를 말한다. 고양되고 과대하거나 과민한 기분을 경험하는 것을 조증 삽화라고 한다. 조증 삽화 초기에 대상자들은 대부분 기분이 너무 좋고 힘이 넘치고 자신감이 충만하여 행복감에 도취 되었다가 질환이 진행되면서 과민한 기분으로 변화하고 심각한 사회적, 직업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양극성 장애의 우울형의 진단적 특성은 한 가지를 더 추가하는 것 외에는 주요우울장애에서 나타나는 증상과 동일하다.

    1) 소인요소

    신경생물학적 소인
    a. 유전적 소인
    가족 내에서 발생 빈도가 높아 일반 인구에 비해 제Ⅰ형 양극성 장애 대상자의 직계가족에서 출현빈도가 5~10배 정도 높다. 또한,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제Ⅰ형 양극성 장애는 염색체 18, 22 및 X 염색체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연구 보고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b. 신경전달 물질 및 호르몬 소인
    특정 신경세포의 시냅스 부위에 serotonin, norepinephrine, dopamine 등의 신경전달물질의 과다, 과소 혹은 기능 이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serotonin과 norepinephrine의 조절 이상이 양극성 장애 발병과 관련성이 높다.

    c. 신경해부학적 소인
    변연계, 기저신경절, 시상하부, 뇌하수체 등의 병리와 관계가 있다. CT나 MRI 상 뇌측실의 확장, 좌측 측두엽의 비대, 백질 위축, 피질 용량의 감소 등이 발견되었다. 또한, 전두엽의 혈류량 저하와 전두엽의 활동저하, 변연계의 과활동이 나타났다.

    d. 생물학적 리듬
    양극성 장애는 일정 주기로 나타나고 계절에 따라 변화를 보인다. 대상자들은 수면-각성 리듬에 약간의 변화만 생겨도 아주 민감하게 반응한다. 과다수면은 우울 삽화를 유도하고, 과소 수면은 조증 삽화를 유도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충북대 일반 화학 및 실험 질량 측정과 액체 옮기기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표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5. 실험 고찰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실험 제목: 질량 측정과 액체 옮기기

    실험 목표: 처음 사용법과 액체를 옮기는 기구의 사용법을 익히고, 실험 데이터의 처리 및 불확정도 추정 방법 등을 배운다.

    실험 방법:

    실험 A. 무게 측정
    1) 실험에 사용할 저울의 제조회사와 모델, 측정 용량(최대 측정 무게), 측정의 정밀도를 조사하고 ‘실험 결과’에 적는다.
    2) 올바른 저울 사용법을 충분히 익힌다.

    실험 B. 피펫을 이용한 액체의 이동
    1) Filter와 피펫의 사용법을 충분히 익힌다.
    2) 저울 위에 비커를 올려놓고 무게를 측정한다.
    3) Filter를 사용해서 피펫의 가장 위쪽 눈금 위까지 증류수를 채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MDD cas study_영화 비버_(A+, 질병기술, 건강력, 약물, 검사, 간호과정 포함)

    목차

    Ⅰ. 질병기술
    1) 정의
    2) 소인요소
    3) 유발 스트레스원
    4) 행동특성
    5) 임상유형별 행동특성
    6) 간호

    Ⅱ. 간호과정
    1) NANDA 사정양식
    2) 정신과적 병력청취
    3) 정신상태 검사
    4) 심리검사
    5) 투약
    6) 가족 사정
    7) 간호 진단 과정
    8) 간호계획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정의
    우울은 한 개인이 생각하고, 행동하고, 자신과 주위 환경을 지각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주관적, 지속적인 감정이다. 슬픔이나 짧은 기간 동안의 우울은 상실 또는 실망감을 겪는 과정에서의 정상적인 반응으로 볼 수 있지만, 객관적 현실과는 다르게 기분이 가라앉고 감정표현이 없으며, 무디고 슬픈 감정을 지속적으로 지니고 있는 경우는 심한 우울로서 치료적 중재가 필요한 상태이다. 우울장애는 희망상실, 파괴된 인간관계, 생산성 상실, 치료비용 부담, 자살 등 많은 문제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우울장애를 앓고 있는 개인은 물론 가족, 친구, 동료들도 만성적인 우울장애 대상자로 인해 복합적인 감정에 휩싸인다. 가족들은 대상자의 회복이 지연되거나 증상이 재발하는 상황에 대해 좌절, 슬픔, 무기력함을 느낀다. 우울장애가 심할 경우에는 직장생활이 힘들며, 가족들은 경제적인 부담으로, 체념하거나 분노한다. 또한 우울장애는 성인을 비롯하여 아동, 청소년, 노인인구에서도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으며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울장애는 DSM-5에서 주요우울장애, 파괴적 기분조절장애, 지속성 우울장애, 월경전불쾌감장애,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우울장애,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우울상태로 분류된다. 주요우울장애는 가장 흔한 정신장애 중 하나이다. 주요우울장애 또는 주요우울증은 우울한 기분이 최소 2주 동안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나. 소인요소
    1) 신경생물학적 소인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에는 유전적 소인이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염색체나 유전자 이상에 대해 아직 분명하게 규명된 바는 없지만 주요우울장애는 가족 내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 부모 중 한 명이 우울증일 경우 자녀가 우울증에 걸릴 가능성은 10~13%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