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현대정치이론_선거유동성 정리_정당체계의 지속과 변화

    목차

    1.개념정리
    2.선거 유동성과 정당체계
    3. Pedersen 논문의 연구과제
    4. 정당과 균열
    5. 선거의 추이
    6. 한국의 사례
    7. 토론거리

    본문내용

    1. 개념정리
    1) 정당체계변화 및 선거 유동성
    – 정당체계변화
    사르토리. 정당체계는 엄밀히 말해 정당 간 경쟁이 만들어낸 상호작용 체계이다.
    정당체계 변화는 특정 종류나 유형의 정당체계가 다른 종류 또는 유형으로 변화하는 것.
    정당의 체계적 역할과 관련이 있으며 체계 내 경쟁의 방향이나 정부 조직 과정에 따른 정당의 존재 또는 부재의 측면과 관련이 있음.
    정당체계 변화는 이념, 전략, 선거결과, 경쟁의 방향, 정부 조직의 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으나 ‘이념 대립 범위의 확장이나 축소’가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르토리의 주장도 있음. .ex. 프랑스 극우 정당 사례
    – 선거 유동성
    유권자의 이동에 따른 정당체계의 변화.

    출처 : 해피캠퍼스

  • 현대정치이론_선거 경쟁과 오래된 정당의 생존

    목차

    Ⅰ.선거 변화에 대한 신화와 오래된 정당의 생존

    1. 문제제기
    2. 선거 유동성의 수준
    3. 오래된 정당의 생존
    4. 선거 변화의 신화유지 이유
    5. 정당에 대한 무시

    Ⅱ. 정당 이데올로기의 정태적인 양상과 동태적인 양상

    1. 공간적 비유와 그 초기 활용
    2. 다양한 유권자 분포의 효과
    3. 신생정당의 기원
    4. 이데올로기적 응집성과 통합성
    5. 한 국가의 정치를 결정하는 기본 요인

    본문내용

    Ⅰ.선거 변화에 대한 신화와 오래된 정당의 생존

    1. 문제제기

    과거 립셋과 로칸은 “1960년대의 정치체계는 작지만 중대한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면 1920년대 균열구조를 반영하고 있으며, 경쟁하는 정당이나 정당 조직들은 대다수 유권자들보다 나이가 많다.”라는 「동결 이론」을 제시하였고, 이는 유럽 정치 와 그 발전과 관련된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에 큰 공헌을 하였다. 하지만 90년대에 이르러 「동결 이론」은 현대 정치의 양상을 이해하는데 더 이상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을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비판은 크게 세 가지 근거를 들고 제시한다.

    <중 략>

    Ⅱ. 정당 이데올로기의 정태적인 양상과 동태적인 양상

    1. 공간적 비유와 그 초기 활용

    (1) 공간적 비유
    – 헤럴드 호텔링의 『공간 경쟁』 논문: 연속선상 0~100의 눈금이 매겨진 수평선
    – 기본 가정
    ➀ 1차원적 공간에서 모든 유권자의 정치적 선호를 좌에서 우로 배열 가능
    ➁ 모든 유권자의 선호가 단봉적 정규분포의 모습
    이며 이상점에서 멀어질수록 선호 정도가 낮아짐

    출처 : 해피캠퍼스

  • 현대정치이론_동결이론 정리_정당체계의 지속과 변화

    목차

    1. 개념정리
    2. 비교정치론 강의 3 – Ch. 6 요약
    3. 달튼 논문 요약
    4. 동결이론과 반동결이론의 장단점과 한계
    5. 토론거리

    본문내용

    <1. 개념정리>

    Ⅰ. 정당
    동일한 정치적 가치와 주장을 갖는 사람들이 공공의 이익을 촉진하기 위해 선거나 다른 수단을 통해 권력을 획득하려는 정치집단이다.

    *권력획득을 목적으로 대중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유권자를 조직적으로 동원하는 집단인 정당은 시민사회 내에서 이익을 추구하는 다양한 집단과 차별성을 갖는다. 즉, 정당은 정책과 공약 등을 통해 공적 이익의 추구와 이를 실현하기 위해 권력획득을 목표로 하는 정치집단이다. 그리고 정당은 이데올로기적 경직성과 정책의 유연성 및 포괄성을 갖는 정치집단이다(이정희 1998, 361).

    Ⅱ. 정당체계(party system)
    정당체계는 복수의 정당들 사이의 권력획득을 목적으로 한 경쟁적 상호작용의 체계로서 정당과 정당, 정당과 다른 정치제도 그리고 정당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물

    Ⅲ. 사회적 균열(social cleavages)
    1. 균열이란
    일반적으로 사회구성원 간의 이해관계의 상충으로 인한 갈등이 집단의 정체성과 결합되어 조직적으로 표출되는 현상을 지칭

    2. 사회적 균열과 정당(체계)
    정당체계는 사회적 균열구조를 따라 유권자들의 지지를 동원함으로써 정치구조를 형성한다. 즉 균열은 유권자들의 정치적 판단, 정당 간 경쟁, 그리고 그 결과로써 정당체계를 연결하는 주요한 배경 구실을 한다.

    3. 립셋과 로칸의 네 가지 사회적 균열
    정당체제의 형성 연구의 사회학적 접근법은 사회적 요인인 사회적 균열을 정당(체제)의 형성에 결정적인 요인이 되는 변수로 본다. 립셋과 로칸은 유럽의 정당체제형성을 분석하면서 민족국가건설과 산업혁명이라는 두 역사적 사건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4가지 균열구조가 4가지의 관문(정당화, 통합, 대표성, 다수결)을 통해 근대적 정당체계가 형성되고 유지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들이 말하는 정당 탄생에 결정적 역할을 했던 4가지 사회균열은 ―①지배적 문화(중앙) 대 종속적 문화(주변), ➁교회 대 정부(국가), ➂1차산업(농촌, 토지) 대 2차산업(도시, 산업), ➃노동자 대 고용주 및 소유자(계급 간)― 이다. 앞의 두 사회균열은 민족국가형성 과정 속에서, 뒤의 두 사회균열은 산업혁명 과정 속에서 등장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유럽정치_유럽연합 역사 정리_통합시도의 역사적 배경과 초기의 성공

    목차

    없음

    본문내용

    통합시도의 역사적 배경

    1. 냉전

    ○ 소련의 유럽정책 : 독일에 대한 보복정책, 동유럽 공산화 정책
    ▪ 1945년 2월 얄타회담을 통한 독일에 대한 전후 4개국 분할 점령 및 관리
    ▪ 독일에 의한 전쟁재발방지를 구실로 소련군의 동유럽 계속 주둔

    ○ 처칠(Winston Churchill)의 ‘철의 장막(curtain of iron)’ 연설

    ○ 트루만 독트린(Truman Doctrine) 발표

    ○ 마샬 플랜(Marshall Plan)과 미국의 대소봉쇄정책
    ▪ 유럽부흥계획(European Recovery Program)과 동유럽 국가들의 참여 제안
    ▪ 서유럽 국가들만의 유럽경제협력기구(OEEC) 창설

    2. 독일문제(German Question)

    ○ 연합국 3개국에 의한 독일 루르(Ruhr) 지방의 공동관리
    ▪ <국제루르관청> 설치

    ○ 동서독 분단과 (서독) 재건

    ○ 재건되는 독일(서독)의 관리: 초국가적 통합의 방식 모색
    ▪ 독일에 대한 주변 국가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동시에 독일을 공산진영과는 구분하여 미국 진영에 포함시켜 소련에 대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독일문제를 유럽 통합 속에서 추진하고자 함.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로 가는 길

    출처 : 해피캠퍼스

  • 유럽정치_유럽연합 역사 정리_유럽연합 핵심 기구

    목차

    1. 유럽(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2. 유럽연합이사회(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 각료이사회
    3. 유럽이사회(European Council)
    4. 유럽의회(European Parliament)
    5. 유럽연합사법재판소(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6. 유럽중앙은행(European Central Bank)
    7. 유럽회계감사원(European Court of Auditors: ECA)

    본문내용

    1. 유럽(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본부
    벨기에 브뤼셀
    성격
    EU 초국가 기관
    역할
    ▪ 유럽연합 행정부인 동시에 입법부 기능 병행
    • 새로운 정책과 입법 제안
    • 다른 기구 및 회원국이 정책 및 입법의 이행 여부를 감독 (이행의 의무를 어긴 국가를 상대로 유럽사법재판소에 소를 제기할 수 있음)
    • 유럽연합 재정에 관한 역할 : 매년 예산안 초안을 설계, 예산을 집행, 예산을 배분 (구조기금, 각종 프로그램, 봉급 등)
    • 유럽연합의 대외적 역할 : 국제협상에서 유럽연합을 대표, 타국 주재 EU 사무소 유지 및 직원 채용 등
    연혁
    ▪ ECSC(1951년) 집행부인 최고관청(High Authority)에 기원
    ▪ 이후 1958년 로마조약으로 등장한 EEC, Euratom에서 집행부 역할을 담당한 각
    각 별도의 위원회와 1967년 7월 발효된 합병조약(Merger Treaty)으로 통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구성
    위원(단), 위원장, 위원 보좌진, 총국 및 관료 산하 위원회 등

    ① (집행)위원장(the President) :

    임명
    ▪ 위원 중에서 선출
    ∙ 위원 임명 이전에 이루어짐
    ⇨ 왜냐하면 위원을 선임하기 위해서는 위원장과 협의를 해야 하고, 또한 위원장은 (집행)위원회를 대표하며, 위원회의 나아갈 방향을 결정하는 유럽연합을 대표하는 최고 정점의 정치인이기 때문.
    ∙ 따라서 위원장은 대부분 회원국의 전직 수상 또는 외무장관 등을 역임한 주요 인물 중 선임
    ∙ 위원장은 유럽이사회가 가중다수결로 후보자 1인을 추천 ⇨ 유럽의회가 재적의원
    과반수(절대다수결)로 선출
    임기
    ▪ 5년, 연임 가능
    권한
    ▪ 유럽이사회 정상회담에 참석
    ▪ 국제회담에서 EU를 대표
    ▪ (집행)위원회 회의의 주요 의제를 설정
    ▪ 위원장에게는 다른 동료 위원을 그 직에서 해고할 권한이 없지만, 2000년 니스조약에 따라 위원장 권한이 강화되어 각 위원을 임명할 시 위원장과 협의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위원단 구성권을 갖게 되었고, 각 위원의 담당 업무 분야에 대한 결정권, 그리고 할당된 정책분야의 재편이 필요할 시 해당 개별 위원의 사퇴를 위원장이 요구할 수 있도록 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유럽정치_유럽연합 역사 정리_실패한 공동체와 경제적 결속심화를 향한 방향 전환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배경

    ○ 1949년 소련 원자탄 실험 성공, 중국 공산화
    ○ 1950년 한국전 발발 :
    ■ 유럽 대륙에서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열전(Hot War)에 대한 우려

    ○ 서독의 재무장 필요성 : 나토(NATO) 내에서 서독의 유럽안보 기여
    ■ 나토 : 1949년 4월 4일 발족
    ■ 바르샤바(Warsaw) 조약기구 : 1955년 나토에 대항해 발족

    ○ 서독의 재무장 수준을 견제하려는 프랑스의 의도

    2) 전개

    ○ 1950년 10월 24일 플레벵 플란(Pleven Plan) :
    ■ 서독의 재무장을 유럽 차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계획
    ■ 유럽공동군 창설안
    ∙ 유럽국방장관 지휘
    ∙ 서독의 군사력 분산 : 대대급(약 1,000명) 단위로
    ∙ 유럽공동군 구성 : 서독군 전부, ‘프랑스, 이탈리아, 베네룩스 3국’ 군 일부
    ∙ 서독을 유럽공동군의 형태로써 나토 가입

    ○ 아데나워 서독 총리 : 동등한 군사적 참여권 주장

    ○ 미국 : 무시(나토 약화 우려), 나토(NATO)를 통한 독일 재무장 의도

    ○ 한국전쟁 발발 이후 전세 불리 : 세계대전 불안감 가중

    ○ 1951년 미국과 프랑스 협상 : 유럽방위공동체(EDC) 창설안

    육군
    12개 사단(약 310,000명) – 각 6개 무장 보병 및 기계화 보병
    해군
    186대의 전투용 함선, 54대 항공기 보유
    공군
    1,326대 항공기 보유
    총병력
    약 500,000명

    ○ EDC 창설조약 체결(서명) : 1952년 5월 27일 파리에서 ECSC 6개국

    출처 : 해피캠퍼스

  • 유럽정치_유럽연합 역사 정리_공동체의 확대와 유럽연합(EU)을 향한 도정

    목차

    1. 1차 확대(1973년 1월 1일) : 영국, 아일랜드, 덴마크
    2. 2차 확대 : 그리스(1981), 스페인과 포르투갈(1986)
    3. 유럽연합으로 가는 전초전 : 단일유럽의정서(Single European Act: SEA)
    4. 마스트리히트(Maastricht) 조약과 유럽연합(European Union) 출범
    5. 3차 EFTA 지역으로의 확대 : 오스트리아, 핀란드, 스웨덴 (all 1995년)

    본문내용

    1. 1차 확대(1973년 1월 1일) : 영국, 아일랜드, 덴마크

    1) 영국

    ○ 전후 유럽통합에 대한 입장을 좌우한 요인
    ▪ 영 연방국가와의 관계
    ▪ 미국과의 관계
    ▪ 서유럽 : 1950년대 나온 4개 공동체 가운데 3개(ECSC, EDC, Euratom)는 영국의 국익에서 볼 때 큰 실익이 없었다. – 단지 EEC만이 매력적이었으나, EEC는 관세 동맹 형태인 동시에 초국가 성격을 갖고 있는 공동체라는 점이 영국에게는 걸림돌.

    ○ EEC 불참과 그것의 대항마로서 EFTA(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 설립 주도
    ▪ 1960년 1월 1일 스톡홀름 회의(Stockholm convention)가 열려 7개 창설회원국으로 EFTA 설립
    ▪ 창설회원국 : 영국, 오스트리아,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스위스, 포르투갈

    ○ 입장 변화 : 60년대 가입 시도와 좌절 :
    <입장 변화 이유>

    정치적 이유
    ∙ 느슨한 조직으로 영연방 관계 변화
    ∙ 미국과의 특수 관계가 지닌 성격과 지위 약화
    경제적 이유
    ∙ 공동체 회원국들의 높은 경제적 성과
    ∙ 영연방과의 무역량 축소
    ∙ 무역패턴이 유럽대륙을 향해 변화

    ○ 1961년과 67년 가입 시도했으나, 프랑스(드골 대통령)의 반대로 무산 :
    <영국 가입에 대한 프랑스의 상반된 견해>

    반대 견해
    ∙ 유럽 무대에서 프랑스에 맞설 경쟁자가 될 수 있다.
    ∙ 독-프 동맹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
    ∙ 공동체에 대한 미국의 간섭을 불러오게 될 ‘트로이 목마’
    찬성 견해
    ∙ 독일을 견제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
    ∙ 공동체의 초국가적 성격을 약화시키는데 있어 지원세력
    ∙ 공동체 예산의 순-기여국이 됨으로써 프랑스에게 경제적 실익을 가져다 줄 것

    출처 : 해피캠퍼스

  • 유럽정치_유럽연합 역사 정리_동유럽으로의 확대

    목차

    1) 확대의 필요성
    2) 중동부 유럽국가들
    3) 사이프러스(Cyprus)와 몰타(Malta)

    본문내용

    1) 확대의 필요성

    ① 1993년 6월 코펜하겐(Copenhagen) 정상회담에서 회원국 가입 조건 제시 :
    ⇨ 민주주의, 법치, 인권, 소수자 보호를 보장하는 안정적 제도, 시장경제, 유럽연합의 목표에 대한 지지를 포함한 회원국 의무를 실행할 능력과 유럽연합 법률의 실행을 위한 행정체계의 구비 ⇢ 이는 중동부 유럽을 겨냥한 것이었다.

    ② 확대와 심화를 둘러싼 공동체 내 논쟁
    ⇨ 영국 : EU 확대(중동부 유럽으로의) 주장
    ⇨ 프랑스와 아일랜드 및 남유럽 국가들 : 확대 반대, 특히 프랑스는 심화를 주장

    출처 : 해피캠퍼스

  • 보이지 않는 도시들 독후감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탈로 칼비노의 소설 《보이지 않는 도시들》을 읽고 나서, 나는 도시와 여행, 그리고 이야기가 어떻게 엮여있는지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 소설은 도시를 중심으로 한 이야기들을 통해 우리에게 새로운 시선을 제시한다. 도시는 그 자체로 하나의 주인공이 되어, 그 안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이야기들이 도시의 성장과 변화, 그리고 사람들의 삶을 묘사한다. 이야기의 주인공인 쿠빌라이 칸과 마르코 폴로는 각자의 시대를 넘어서 도시의 이야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그들의 여행은 도시들 사이를 오가며 새로운 세계를 발견하는 모험이기도 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자료[성인간호학실습]간호대상자의 건강문제-thyroid cancer(갑상선암)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인적사항

    성명

    성별
    F
    나이
    2*세
    주소

    종교

    신장

    체중

    자료제공자
    본인, 모

    주증상 및 입원정보
    ■ 주증상 : 피로, 무기력
    ■ 주호소 : “많이 피곤하고 무기력하고 방전되는 느낌이었어요.”
    ■ 입원일자: 날짜기입/ 입원경로: 외래/ 입원방법: 도보
    ■ 입원동기: 타병원에서 갑상선 검사 후 갑상선암이 진단되셨음. OOO교수님께 11월 30일 수술예정이었으나 빠른 수술위해 입원함.
    병력 및 간호력
    ■ 진단명 : papillary Thyroid cancer
    ■ 과거력 :
    – 목디스크(올해 초 경추 불편감으로 진료보고 알았다고 함. 시술은 받지 않음)
    ■ 현병력 :
    – 발병일 : 정확히 언제부터인지 모름
    – 발병형태 : 점차적으로 발병
    – 위치 : nodules, LT thyroid
    – 범위 : 12mm oval cystic nodule
    – 동반증상 : 원래도 잠을 잘 자지 못하는 편인데 스트레스가 쌓이고 그로 인해 예민해져 수면에 더 어려움을 느꼈음
    ■ 진단검사
    – 날짜기입 CT Neck (contrast) : 반응성 림프 노드
    – 날짜기입 U/S 경부(neck) (Doppler)
    : K-TIRADS 5 and nodules, LT thyroid
    *Korean Thyroid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 날짜기입 U/S 경부(neck) – 1차 초음파 후 세포검사
    : Lt thyroid nodule에 대해 FNA시행 → 유성 갑상선 유두암(papillary
    thyroid carcinoma) *Fine Needle Aspiration (세침 흡입 생검)
    – 날짜기입 혈액검사

    날짜기입(외래)
    참고
    단위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