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2 -trifluoroethanol

  • A+ 성인간호학 수술실 실습 담석증 케이스사례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1개)

    목차

    1. 대상자정보
    2. 수술 전 주요증상
    3. 수술 전 환자확인
    4. 수술 적응증
    5. 수술기구 및 장비
    6. 수술절차(Brief op. note)
    7. 수술간호
    8. 대상자의 수술 중 간호활동
    9. 간호진단
    10. 간호진단 #1에 대한 간호과정을 작성하시오.

    본문내용

    수술 전 주요증상
    대상자는 biliary colic을 호소하는데, 특징적으로 abdomen(RUQ) 부위에 NRS 7점 정도로 산통이 지속적으로(3일간) 나타나며 움직일 때 악화되고 진통제 사용 시 완화된다고 함. fever, chilling, dizziness, anorexia, nausea, vomiting, jaundice이 동반되어 나타났다.
    이외에도, poor oral intake, abdominal pain&discomfort, Abdomen Tenderness, Abdomen distension, hypo Bowel Sound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OR Common Bile Duct Cancer

    목차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2. 사례연구
    1) 개인력
    2) 수술실 도착 시간
    3) 환자 준비
    4) 기계 준비
    5) 수술부위 소독
    6) 마취
    7) 피부 절개 혹은 수술부위 접근 방식
    8) 주로 사용하는 봉합사 및 바늘의 종류
    9) 절제 부위
    10) 출혈을 방지하기 위한 절차
    11) 수술동안 삽입되는 Drainage& Catheter
    12) 드레싱
    13) Scrub nurse, Circulating nurse의 역할
    14)수술 후 간호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Common Bile Duct Cancer
    정의
    총담관은 간에서 만든 담즙이 나가는 간 내 담관과 담낭에서 이어지는 담낭관이 합류하여 만나는 곳에서 십이지장 내로 연결이 되는 곳입니다. 총담관 결석은 담즙을 십이지장 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곳에 결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환자의 7~15% 정도가 담낭 결석과 함께 진단됩니다.
    원인
    담낭의 담석이 담낭관을 빠져나와 총담관에 결석을 형성하거나(이차성 담관결석), 담관의 감염 혹은 담즙정체로 인하여 처음부터 총담관 안에서 결석이 만들어지는 경우(일차성 담관결석)가 있습니다. 총담관 내에서 만들어지는 결석은 세균 및 기생충 감염과 관련이 되어 있으므로, 담관결석에 대한 치료 후 재발방지를 위해 원인제거를 해야합니다.
    증상
    우연히 발견된 무증상 담석은 저절로 십이지장으로 나가기도 하지만 담관의 확장, 간 기능 검사 수치의 상승과 함께 담성 산통, 담낭염, 또는 췌장염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담관결석에 의한 담도폐쇄가 나타난 경우 오심과 구토를 동반한 상복부의 심한 통증, 황달, 오한 및 발열의 3대 증상이 나타납니다.
    진단
    혈액 검사 상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되어 있거나 알카리성 인산분해효소(ALP)가 증가되어 있으면 총담관 결석을 의심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검사가 필요합니다. 복부 초음파는 결석의 60~70%, 총담관 확장의 60~75% 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조영술이(ERCP) 가장 표준적인 검사 방법이며 정확도가 높은 검사입니다.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의 예시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이 어렵고, 십이지장에 개구하는 부위에 협착이 있는 경우는 경피적 간담도조영술이 시행될 수 있습니다.
    치료
    총담관 결석은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하므로 무증상 결석도 제거해야 합니다. 총담관 결석의 제거는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도조영술에 의하여 진단과 동시에 내시경적으로 오디괄약근 절개술을 시행한 후 내시경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OR Donor Hepatectomy

    목차

    1. 수술환자 정보
    2. 문헌고찰
    3. 수술과정
    4. 소독/순환 간호사 업무
    5. 사용한 수술기구 및 봉합사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헌고찰

    간의 정의 : 간은 2개의 큰 엽과 2개의 작은 엽으로 구성된 인체 내의 가장 큰 내장기관으로 가로막 아래 우상복부에 위치한다.

    간 이식 유형 : 간이식의 유형은 크게 생체 부분 간이식, 뇌사자 전간이식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간 기증자 검사 : 장기 제공자는 3, 4일 전에, 수혜자는 4, 5일 전에 입원한다. 간 이식 수혜자는 수술 전에 철저한 검사를 거쳐야 한다. 간 이식의 금기증은 심한 폐고혈압, 병적인 비만, 내장 혈류폐색 등이다.

    <중 략>

    마취 후
    마취과 의사 기관 삽관 실행 함 (후에 기도로 잘 들어갔는지 청진기로 확인), 환자 쇄골하정맥에 A-line(22G),오른쪽 팔에 PPV(16G), 오른쪽 다리에 PPV(16G) 함
    ②순환간호사는 허벅지에 bovie plate 부착함
    ③의사 환자 허벅지에 kendall SCD 연결(장기간 수술에 하지 쪽 정맥류 예방하여 혈전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함
    ④멸균장갑을 gloving 한 후 유치도뇨 실행(16F)
    ⑤ 10% Betadine으로 복부전체 소독 한 후 수술 할 부위에 Surgidrap부착
    ⑥의사 선생님 두 분 외과적 손 소독 후 멸균가운과 멸균장갑 착용 후 수술부위만 남긴 채 멸균포를 덮어 줌
    ⑦집도의 외과적 손 소독 후 수술 방 입실 후 멸균가운과 장갑 착용

    출처 : 해피캠퍼스

  • OR Case Study

    목차

    1. 수술환자 기본사항
    2. 수술정보
    3. 회복실 간호
    4. 여성생식기계 구조 및 기능, 질병

    본문내용

    1) 합병증 관련 중재
    ▸수술 후 15분 간격으로 4번, 30분 간격으로 4번, 2시간 간격으로 4번, 환자 상태가 안정되면 24~48시간 동안은 4시간 간격으로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환자 상태를 사정한다.
    ▸I/O를 체크하여 체액과 전해질 균형을 살피고 산-염기 균형을 사정한다.
    ▸투약 전후에 환자의 통증과 안위 수준을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걷기 운동을 권장하여 복강 내에 잔류하는 CO₂가 빨리 배출되도록 하여 복부팽만감과 폐기종 등의 관련 합병증을 예방하도록 한다. 단, 격한 운동이나 무거운 것을 드는 등의 신체활동은 수술 후 한 달이 지난 후 하도록 교육한다. 조기 이상하여 걷기운동을 해도 속이 더부룩하고 팽만감을 호소한다면 콧줄 등을 삽입하여 강제로 CO₂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한다.
    ▸수술 중 장시간 체위를 유지하고 복강경 수술을 위해 주입한 CO₂ 등으로 인해 수술 후에는 blood clot이 생기기 쉬우며 이는 폐색전증, 공기색전증, DVT 등의 합병증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규칙적인 ROM을 시행하고 탄력스타킹, IPC 등 혈전 예방 간호를 적용한다.
    ▸전신마취 후 발생할 무기폐, 폐렴, 폐부종 등의 호흡기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수술 전 강화폐활량계 사용법, 심호흡, 기침 등의 방법을 교육하고 회복실에서 나온 후 환자에게 교육 받은대로 시행하도록 격려하여 폐 확장과 가스교환이 원활하도록 한다.
    ▸출혈과 감염 징후를 관찰하기 위해 드레싱 부위에 oozing이나 bleeding은 없는지 관찰하고 정기적으로 무균술을 지켜 드레싱한다.
    ▸드물지만 발생하는 반흔 탈장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절개부위가 10mm 가 넘으면 근막을 포함해 봉합하는 지침을 따라 봉합한다. 반흔 탈장이 발생하였을 때에도 장 폐색, 괴사 등으로 악화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절개부위를 관찰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주식 투자 지표(ROE, EPS, PER, PBR, EV/EBITDA) 간단 정리

    목차

    ①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② EPS(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
    ③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
    ④ PBR(Price Book 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⑤ EV(Enterprice Value)/EBITDA(Earnings Before Interest rate, Tax, Depreciation & Amortization)

    본문내용

    ①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 자기자본만으로 기업이 얼마나 돈을 벌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

    – 자기자본수익률(ROE) = (당기순이익 ÷ 평균 자기자본) × 100
    – cf) ROA(Return On Assets): 기업이 이익을 낼 수 있는 힘(차입금+자기자본)
    – 총자산수익률(ROA) = (이익 ÷ 총자산) × 100

    – ROE가 타사에 비해 높다는 것은 기업의 가치가 타사에 비해 높다는 것을 의미함
    – 향후 ROE가 높아진다는 것은 기업의 가치가 올라감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주가도 상승할 것이다.
    – 종목을 선정할 때 자기자본에 비해 이익을 많이 낼수록 이익을 창출하는 힘이 강해지므로 ROE를 반드시 체크해야 함

    출처 : 해피캠퍼스

  • 수술실(OR) 신장이식 (renal transplantation) Case study

    목차

    Ⅰ. 대상자 선정 및 문헌고찰
    1. 대상자의 일반적인 정보
    2. 질환명에 대한 문헌고찰

    Ⅱ. 수술준비
    1. 마취종류
    2. 마취과 처방약물
    3. 수술체위 및 피부소독부위

    Ⅲ 수술 참관
    1. 수술절차

    본문내용

    ⓵ 연구의 필요성
    만성 신부전 환자에게 혈액 투석 치료는 신장 기능을 어느 정도 대신할 수는 있지만, 정상 신장이 담당하는 여러 가지 호르몬의 합성과 대사 기능을 완전하게 대치하지는 못한다. 특히 조혈 호르몬의 부족에 의한 빈혈과 부갑상선 호르몬의 과다분비로 인한 골다공증의 진행 등, 각종 비정상적인 신체반응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복막투석도 세심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며, 관리를 잘 해주지 않으면 복막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 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신장이식은 신장의 주요 기능을 거의 완벽하게 대체하여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말기 신부전의 궁극적인 치료방법이라 할 수 있다. 말기 신부전 환자가 신장 이식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수술 후에도 지속적인 면역억제제를 투여하고 감염의 예방 및 조기발견, 혈압의 조절, 거부반응과 식이요법 등 세심한 추후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신장이식 환자에게 이식의 성공을 좌우하는 변수로 자가간호이행의 중요성이 높이 평가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신장이식환자의 간호중재를 정확하게 공부하여 임상에서 실상에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이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⓶ 만성신부전의 정의
    만성 신장질환은 신기능 이상과 점진적인 사구체여과율의 감소를 동반한 다양한 병태생리학적 변화를 나타내는 질환이다. 여러 가지 신장 질환, 예를 들면 만성 사구체 신염, 당뇨병성 신증, 고혈압성 신경화증 등과 같은 질환으로 인하여 신장이 정상적으로 가지고 있는 배설, 조절, 대사 및 내분비적 기능이 전체적으로 저하되거나 이상이 초래된 상태를 말한다. 원인이 되는 신장 질환의 종류에 관계없이 만성적으로 신기능 장애가 진행되어 사구체 여과율이 50%이하로 감소하면, 대부분의 경우 계속적으로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하게 되며, 궁극적으로 말기신부전증에 도달하게 된다. 즉, 신부전이란 정상적인 신장 기능인 노폐물 여과와..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 서강대 화공생명공학실험1 A+ < Enzyme kinetics > 레포트

    목차

    <Pre-Report>
    1. 실험 목적
    2. 배경 이론
    3. References

    <Main Report>
    1. 실험 방법
    2. Data & Results
    3. Discussion
    4. Conclusion
    5. References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Michaelis-Menten 방정식을 통하여 효소의 메커니즘과 반응 속도론을 이해한다. 경쟁적 저해제의 첨가에 따른 KM, KI의 변화를 알아본다.
    2. 배경 이론
    2.1 효소 (Enzyme)
    효소는 생명체 내에서 가장 탁월한 촉매이다. 촉매는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 반응속도를 상승시키는 화학물질로, 반응 과정에서 변하거나 소모되지 않는다. 효소는 생명체의 중요한 화학 반응들이 알맞은 속도로 일어나게끔 돕는다. 효소는 특이성이 강하여 대게 하나의 단일 화학반응이나 밀접히 관련된 일련의 반응들을 촉매한다. 단백질로 구성된 효소는 반응물 기질을 선택하는데 있어 매우 높은 특이성을 보인다. 대부분의 효소는 활성을 갖기 위해 보조 인자가 필요하다. 보조 인자의 종류에는 금속 이온 (Ca2+, Mg2+, Cu2+ 등)과 유기물질 (NAD, FAD 등) 등이 있다.

    <중 략>

    4. Conclusion
    이번 실험에서는 ethanol의 산화 반응을 촉매하는 YADH 효소에 대한 assay를 진행하였다. YADH 효소는 조효소로 NAD+가 필요하며, NAD+와 ethanol의 반응 결과로 ethanol이 산화된다. ethanol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2,2,2 -trifluoroethanol을 competitive inhibitor로써 넣어 효소의 촉매 작용에 대한 저해제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Lineweaverburk plot을 그려 Vmax, KM을 구하고, 초기속도, Vmax, KM, Kcat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저해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Vmax는 일정, KM은 증가, Kcat은 감소해야 했으나, 그 경향성이 저해제 농도 0mM에서 5mM로 증가할 때는 성립했으나, 5mM에서 10mM로 증가할 때는 성립하지 않았다. 이러한 오차가 발생한 원인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trendline의 부정확성, 온도 차이, 실험자에 의한 오차 발생 등이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