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놀이’, 자율성‘, ’경험‘, ’유아중심‘의 개념을 각각 설명하시오.
2. 교재 121페이지의 [그림 5-1]이 의미하는 바를 설명하시오.
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육은 놀이, 활동, 일상생활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담당교수 홈페이지 자료실에 탑재된 ‘2023 중간과제물 놀이사례’를 보고, 해당 놀이 및 유아의 관심을 지원하기 위한 교사의 (1) 놀이, (2) 활동, (3) 일상생활 지원 방안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시오.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놀이는 유아교육에서 전통적으로 강조되는 개념으로 놀이의 본질과 가치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기 위해 강조되고 있다. 놀이는 유아 일상 속 자연스럽게 나타나며 세상을 경험하고 배워갈 수 있는 방식으로 온몸의 감각과 기억을 통해 자연과 세상을 만나게 된다. 유아가 놀이를 통해 보여 주는 독특한 움직임이나 표정, 재밌는 말과 이야기, 그림과 노래 등 모두 놀이의 과정이면서 배움의 결과물로 유아가 놀이를 통해 타인과 관계를 맺고 세상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성장한다고 본다.
자율성의 경우 교사가 유아와 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으로 그 누구보다 유아 놀이를 잘 아는 전문가로 교사가 유아 놀이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며 지원할 수 있고 유아와 함께 성장하며 배워가는데 교사가 활등을 계획하고 준비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기보다는 유아 놀이에 대한 이해와 지원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라고 본다. 유아의 놀이가 예측하여 계획하기 어려우므로 교사가 유아의 놀이 흐름에 따라 자율성을 토대로 가장 적합한 교육적 지원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판단하고 실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에 교사의 자율성이 존중되고 자율성을 기반으로 놀이를 통해 배운다는 가치를 믿으며 유아 중심으로 놀이가 살아나는 교육과정을 유아와 실천하도록 하는 것이다.
경험의 경우 유아는 다양한 환경에 대한 경험을 기반으로 건강한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경험은 유아 경험의 실제로 함께 제시되면서 영역별 내용으로 교사가 유아의 경험을 연계해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으로 경험을 통해 추구하는 인간상을 향해서 성장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