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간호진단
Ⅲ. 결론
1. 요약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만성신부전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2014년 16만 698명, 2016년 18만 9,691명, 2020년 58만 9,116명으로 전 세계 6위, 아시아 4위에 해당할 정도로 높다. 대한신장학회에 따르면, 우리나라 만 30세 이상 인구의 만성신부전 유병률은 11.4%로 성인 10명 중 1명은 이 질환을 앓고 있다고 한다. 신대체요법의 비율은 혈액투석 84%, 복막 투석 4%, 신장 이식 12%이다. 고령화로 당뇨,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이 증가하고, 이는 신부전의 증가 원인이다. 만 65세 이상의 투석환자는 20년간 2.7%에서 51.9%로 약 19배 증가했다.
▲ 만성신질환 연별 추이
이렇게 우리나라 만성신부전 유병률은 매우 높은 편이며, 투석 시 감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간호가 중요하다. 이에 만성신부전 환자의 적절한 간호 및 교육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만성신부전 환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시작하였다.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정의
만성콩팥기능상실(만성신부전, chronic kidney disease)은 콩팥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치료로 회복이 되지 않는 비가역적인 상태이다.
2) 원인
반복되는 감염과 콩팥염 악화, 요로계 폐색, 전신 질환, 오랜 기간의 고혈압이나 당뇨병으로 인한 혈관 파괴 등으로 인한 콩팥 기능 저하가 원인이다. 고혈압과 당뇨병이 심하며 주원인이다. 사구체병변, 간질성 신장염, 폐쇄성 요질환, 발달성·선천성 기형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말기콩팥기능상실(ESRD)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 다음으로 고혈압, 사구체신염 등이다. 만성콩팥기능상실의 발병률은 남녀 동일하며 중년기에 가장 높고 치료는 ESRD로의 진행을 늦추고 조절하는 데 중점을 둔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