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ABGA

  • ABGA

    목차

    1. ABGA의 정의
    2. 검사목적
    3. 검사방법
    4. 검사해석

    본문내용

    1. ABGA의 정의
    동맥혈 가스 분석은 폐의 가스 교환 능력을 알아보는 가장 주된 방법이며 중환자를 평가하고 관리하는데 가장 기본적으로 이용하는 검사이다. 폐의 O2와 CO2 운반기능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로 폐가 O2를 조직으로 얼마나 잘 전달하고 세포대사로부터 생긴 CO2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거하는가를 보여준다. PaCO2, PaO2를 측정하여 인공호흡기로 호흡하는 대상자와 COPD 등 폐질환을 갖고 있는 대상자의 호흡기능을 평가한다. 또한 동맥혈의 pH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인체의 산-염기평형 상태를 알 수 있다.

    2. 검사목적
    ABGA의 검사목적은 폐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운반 능력과 폐의 동맥혈 산화 능력, 폐포환기, 산염기 균형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3. 검사방법
    ABGA 검사는 생명이 위급한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검사 중 하나이기 때문에 병원의 중환자실, 응급실 등에서 자주 시행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 검사 목적, 방법, 정의, 주의사항

    목차

    없음

    본문내용

    소화기계
    1
    UGI series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위 조영검사

    정의
    위를 팽창시키는 발포제(가루약)와 위점막을 코팅시키는 액체 성분의 조영제(바륨현탁액)를 마신 후, X선이 발생 되는 방사선 투시기를 이용하여 식도, 위, 십이지장 등을 촬영하는 검사이다
    목적
    궤양, 종양, 염증이나 식도열공 등 상부 위장관의 구조적 이상이나 폐색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검사방법
    검사 전 8시간 금식하며 검사는 15~20분 소요된다. 흰색의 바륨 현탁액 240g과 발포제를 같이 복용한다. 위벽에 약제가 잘 분산되도록 복위, 앙와위, 측위 등으로 움직여 바륨이 중력에 의해 상부 위장관으로 잘 내려가도록 하여 촬영한다. 복부를 압박하여 촬영하는 압박 검사도 있다.
    주의사항
    검사 중 발포제를 삼키면 다량의 가스가 발생하여 입 안에 공기가 차게 되는데, 이때 가능한 한 트림을 참고 발생 된 공기를 삼켜야 정확한 검사를 할 수 있다. 장 폐색, 상부 위장관 천공 시 금기이다.

    2
    Barium enema
    바륨관장
    정의
    대장을 완전히 비운 후 직장 내 바륨을 투여하여 대장을 X-ray로 촬영하는 검사이다.
    목적
    대장 및 직장 내 질환을 찾아내는데 유용한 검사로 대장암, 염증성 장질환, 크론병, 대장의 종양 등의 질환을 찾아내기 위함이다.
    검사방법
    자정 이후 금식 및 시술 전날 완화제를 복용하여 장을 완전히 비운다. 검사 시 조영제(바륨)를 직장으로 투입하고 공기를 이용하거나 바륨으로 대장을 충분히 팽창시킨 후에 여러 가지 체위를 취하도록 하여 x-ray 촬영을 한다.
    주의사항
    바륨으로 인한 분변매복, 변비, 장폐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장 천공이 의심되거나 거대결장 환자는 시행할 수 없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혈액검사 정리/53페이지/혈액검사 종류/혈액검사 임상적 의의/ 진단 혈액검사 해석, 결과(CBC,혈액응고, 일반화학, ABGA)

    목차

    혈액학적 검사
    1. 전 혈구 검사(CBC)
    2. 혈액 지혈기능검사
    3. 혈액형 검사와 수혈
    —————-
    1. 탄수화물
    2. 단백질
    3. 단백질 대사물
    4. 혈액 주효소(Enzyme)
    ——————-
    1. 전해질
    2. 동맥혈 가스분석
    ——————-
    내분비 검사 및 임신관련 검사
    1. 뇌하수체 호르몬
    2. 부신호르몬
    3. 갑상선 호르몬
    4. 부갑상선 호르몬
    5. 인슐린
    6. 임신검사
    ———————-
    신장계 검사
    1. 혈중 요소질소(BUN)
    2. 혈청 크레아티닌
    3. 요산
    —————
    심혈관 검사
    1. CPK(CK, Creatine Phosphokinase)와 동위효소
    2. 마이오글로빈과 트로포닌I
    ——————–
    면역계 검사
    1. 면역글로불린 검사
    2. 간염 바이러스 표지자 검사
    3. 후천성 면역결핍증후군 검사
    ———————–
    염증 관련 검사
    1. C-반응 단백(CRP)
    2. ASO(Antistreptolysin O Titer)
    ———————-
    종양 표지자 검사
    1. 혈청-태아단백(AFP)
    2. 암배아 항원(cEA)
    3. 탄수화물 항원(CA19-9. CA125 항원)
    4. 전립선-특이항원(PSA)
    ———————-
    1. 약물 검사

    본문내용

    1. 전혈구 검사(CBC)
    혈액의 혈구들은 생명 유지에 필수인 산소와 영양물질을 공급하고 세포에서 생성된 노폐물이나 세균, 외부 유해물질의 침입에 대항
    출혈 시에 혈액을 응고시키는 작용
    혈구 성분에 대한 분석을 전 혈구 검사(complete blood count: CBC)
    외래 및 수술 전 기본검사
    악성혈액질환의 진단 및 추적 관찰에 이르기까지 가장 흔하게 시행되는 혈액검사 중 하나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양적 및 질적 정보 조사
    백혈구의 수. 백혈구 감별계산, 적혈구의 수, 적혈구용적률(Hct), 혈색소 농도(Hb), 적혈구지수(평균적혈구용적(MCV), 평균적혈구혈색소(MCH),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MCHC), 적혈구분포지수(RDW)), 혈소판의 수, 평균 혈소판용적(MPV)
    범혈구 감소증, 백혈적혈모구증. 심한 혈구 증가증, 원인을 알 수 없는 빈혈 발견된 경우 골수검사 시행

    검체채취
    보라색 마개의 진공채혈관을 사용. 정맥에서 채혈
    EDTA라는 항응고제와 혈액이 잘 섞이게 조심스럽게 흔들어 혼합
    영아와 아동은 손가락이나 발꿈치의 모세혈관에서 천자하여 검체(sepcimen) 수집
    천자할 부위를 알코올 솜으로 소독. 멸균된 란셋.
    모세혈관을 깊게 천자 후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혈액을 검사. 소아용 EDTA 용기 사용

    검사적용
    혈액학적 평가의 기본검사
    골수 기능에 대한 정보제공
    약물치료 효과 모니터링
    혈액질환의 진단에 중요한 정보제공

    [적혈구 검사]
    1) 적혈구 수(RBC count)
    적혈구는 골수에서 생성. 노화된 적혈구는 비장, 간 등의 세망내피계를 지나면서 파괴됨
    혈구검사는 충분한 적혈구가 존재하는지, 적혈구 수가 정상으로 보이는지
    백혈구는 보통 모두 같은 크기와 모양이지만 비타민B12와 엽산 결핍, 철 결핍. 다른 질환들에서 크기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
    적혈구의 양이 부족한 환자는 빈혈이 있는 것.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과제 ABGA 절차 및 결과 판독

    목차

    1. 정의
    2. 검사의 필요성
    3. 검사의 적용
    4. 검체 종류
    5. 검사 절차
    6. 검사결과

    본문내용

    1. 정의
    동맥혈 가스분석(Arterial blood gas analysis, ABGA)이란, 동맥에서 혈액을 뽑아 분석하는 혈액검사 방법 중의 하나로, 혈액의 pH, 이산화탄소, 산소, 중탄산염 농도 등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한다.

    2. 검사의 필요성
    동맥혈 가스분석은 호흡기능의 지표로서 산소화(oxygenation)와 환기(ventilation)상태를 평가하거나, 대사성질환, 신장질환 등 산-염기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한다.

    3. 검사의 적용
    ① 만성폐질환, 신경계 발작, 약물 중독 시 폐 환기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② 쇼크나 급성 심근경색 시 적절한 산소 공급을 위한 심박출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③ PO2가 70mmHg 이하일 때 산소 공급의 필요성을 결정하기 위해
    (만성적으로 저산소상태를 보이지만 산소 공급이 없어도 견딜 수 있는 폐 장애에서는 산 소를 공급하지 않는다.)
    ④ PCO2가 50mmHg 이상이고 PaO2가 50mmHg 이하로 규정되는 호흡부전 상태를 판단하 기 위해
    ⑤ 산-염기 불균형의 유형과 보상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⑥ 기계적 환기의 필요성을 결정하기 위해
    ⑦ 기계적 환기의 효율성과 사용하는 호흡기구의 변경을 결정하기 위해
    ⑧ 기계적 환기 중단에 따른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출처 : 해피캠퍼스